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자유학기와 일반학기의 연계 실태 분석

        신철균(Shin Chol Kyun),황은희(Hwang, Eun-Hui),송경오(Song Kyoung-Oh)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성과가 일반학기까지 어떻게 연계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살 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에서 실시한 교사 및 학교 수준의 혁신적인 교육 활동이 일반학기에서는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지 그 연계실태를 살펴보고, 연계가 잘 되고 있 는 학교들의 경우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및 희망 학교 115개교 1,380명의 교사와 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체로 자유학기에 서의 혁신적인 교육활동이 일반학기로 연계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 사 개인 수준에서 보자면, 전통적인 교수학습활동보다 프로젝트식 수업과 같은 ‘통합적’인 교 수 학습 활동에서, 그리고 학생 자기성찰 평가나 학생 동료 평가 등과 같은 ‘혁신적’인 평가 활동에서 연계수준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에서는 학교 밖 직업 체험 활동과 같이 지역 사회의 ‘지역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 활동의 연계 수준이 낮았다. 또한 교육과정에 명기되지 않아 ‘일상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교육활동인 주제선택 활동이 동아리 활동이나 예술 체육 활동에 비해 연계 정도가 현저히 저하되었다. 이렇듯 자유학기와 일반학 기간 연계수준의 차이가 학교간 특성에 의한 것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상위 연계 학교와 하위 연계 학교의 집단간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유학기와 일반학기의 연계성이 높은 ‘상위 연 계 학교’는 교사 자율성, 교사 협력, 학부모의 지지와 지역사회의 체험처 인력풀 지원 등의 측면에서 ‘하위 연계 학교’에 비해 높은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유학기에서의 새로 운 시도가 일반학기까지 지속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서는 연계의 핵심 요소로서 교사 간의 동 료성, 교육과정의 통합성, 그리고 지역사회 기반의 지역성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measures by focusing on the linkage between Free-semester and general semester. There are two major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s following. First, what is the general linkage trend between Free-semester and general semester in Korea?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that have successful linkage of Free-semester and general semester? According to the result, at first, as in individual teacher level, the level of teachers’ educational activity linkage with other subjects or creativity experiential class was found to be weakened in general semester. Also, the linkage of using innovative evaluation method during Free-semester program were also found to be declined. Second, as in school level, educational activity based from linkage or support from local community significantly declined in general semester. Third, integrative curriculum and teaching that cannot be done by individual teacher alone, but by cooperation with other subjects was also found to be declined in general semester. Fourth, optional programs that are not officially indicated in curriculum have also declined sharply compared to regular student club activity or arts and sports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schools that achieved high linkage between Free-semester and general semester showed high teacher autonomy, strong cooperation among teachers, high support from parents as well as from local community providing experiential site and human resources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factors compared to those schools with weak linkage.

      • KCI등재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세 학교에 대한 사례 연구

        신철균(Shin Chol Kyun),박민정(Park, Min-Je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가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고, 어떠한 긍정적 측면과 해결 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 자유학기제를 운영하는 세 학교에 대해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유학기제 정책을 통한 긍정적 측면은 ‘내면의 성찰과 새로운 가능성 탐색’, ‘새롭게 관계 맺기’, ‘교사 주도의 정책 실행 경험’, ‘진로의식 증진을 통한 학승동기 생 성’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를 통해 교사, 학생, 학부모들이 긍정적 변화와 성장을 경험하였 지만, 극복해야할 자유학기제 정책의 과제는 ‘자유학기제 정책의 일관성 부족과 단절에 대한 우려’, ‘자유학기를 향한 오해와 편견’, ‘학교교육 방식에 대한 상충된 시각’, ‘체험처 발굴 및 평가 업무의 부담’ 으로 드러났다. 자유학기제의 정착을 위해 예산 지원 지침이나 법규 등의 제도적 장치 마련, 학교의 협력적?긍정적 문화 형성과 전문성 공유 기회 확대, 교원 업무 경 감과 체험의 내실화를 위한 진로 체험 활동의 질 확보, 자유학기를 한 학기만의 문제로 바라 보는 관점이 아닌 전체 교육과정 속에서의 조망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what Korean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experienced in implementing the new educational policy of free learning semester. For this study, we interviewed with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the three pilot schools which have initiated this new educational policy in 2013. Several possibilities evolved from the analysis of their experiences: Firstly, the free-semester policy motivated the teachers to participated in instructional reforms, the students to reflect themselves in terms of their unseen potential and talents, and the parents to see their children from the different points of view; Secondly, it enabled the teachers and parents to improve relationship with their students and children because they shifted the attention from academic achievement to the unique strength and talents of their students and children. Thirdly, it intrigued sustained interaction among peer teachers and fostered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in implementing innovations, and thereby the teachers could experience ownership of school change. Finally, it initiated students to raise career consciousness which motivated them to study. Several dilemmas and challenges were also found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policy: the pessimistic perspective on continuation of this new educational policy; the misunderstanding of the free semester as the educational policy solely focused on career exploration without any academic study; content-laden curriculums and the deference given to textbooks; the lack of infrastructure and quality in program of for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and teachers’ workload.

      • KCI등재
      • KCI등재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및 학생의 학교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이재덕 ( Lee Jae Duck ),신철균 ( Shin Chol Kyun ),이호준 ( Lee Ho J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3

        연구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의 구성원들이 학교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조사하고, 학생의 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를 전수 조사하였으며, 재학 중인 학생, 학부모,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학생의 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율형 사립고의 지정 취지와 교육 중점 간에는 이질적 차이가 존재하고,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만족도와 학생의 사교육 참여 시간 사이에는 역의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학생과 학부모의 진학 이유는 ‘성적 향상’이며, 학교 내 교우관계의 명암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학생들의 학교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생의 자기주도성 및 진로의식 정도, 학부모의 학교 만족도가 학생의 학교 만족도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자율형 사립고가 성적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서 벗어나 특색 있는 교육과정 강화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학교 및 교육과정 운영의 기본 방향을 개선시키고,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에서 과도한 성적 중시 문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APHS members about their school curriculum and management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the perception of the APHS for students, their parents, and teachers from all APHSs nationwide. We utilize the multi-level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student perception about school satisfaction. As a result, we find that there is a contradiction between the designated purpose of the APHSs and their actual operational strategies related to the school curriculum. Our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self-direction, career consciousness, and parents' school satisfaction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f enhancing the positive student satisfaction on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HS improves the quality of school curriculum and strategies so that it would be turned into strengthening the characteristic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school vision. Furthermore, policy efforts should be made to ameliorate the culture that emphasizes excessive academic achievement in APHSs

      • KCI등재

        ‘확산없는 확산’ 또는 비(非)확산?

        정바울(Baul Chung),신철균(Chol-Kyun Shi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A교육청의 혁신 확산의 과정과 의미를 추적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 10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orel et al.(2019)이 제시한 다중적(polysemic), 역동적(dynamic) 확산 개념 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교육청의 혁신 확산의 과정은 기존 주류 확산 이론의 가정과는 다르게 초기 확산을 성공적으로 달성한 이후 광범위한 후속 확산으로 이어지지 않고 오히려 확산이 정체되고 꺾이는 흥미로운 확산 궤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A교육청의 독특한 혁신 확산 과정의 의미는 단순히 확산 또는 비확산의 이분법적으로 환원되지 않는 보다 다층적이고 역동적인 특징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Morel et al.(2019)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ce the peculiar process and meaning of scale of a district-wide reform initiative. Drawing on polysemic and dynamic perspective on the meaning of scale(Morel et al., 2019). we analyze the trajectories and shifting meaning of the scaling up processes of the district-wide reform initiative in the A School District over the past ten years, from 2010-2020. Findings from a qualitative case study demonstrate that in contrast to the common prevailing assumption of scaling up that a growing number of adopters will lea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uture adopters, scaling up was dampened by the heterogeneity of organizations, politics and was suffered by the lack of conceptual clarity of scale. We argue that more studies that consider scaling up as a multi-dimensional entity and sheds light also on the post-adoption phases would require a longer timescale research design.

      • KCI등재

        학교컨설팅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진동섭 ( Dong Seop Jin ),김정현 ( Jung Hyun Kim ),신철균 ( Chol Kyun Shin ),이혜나 ( Hae Na Lee ),이주희 ( Ju Hee Lee ),민윤경 ( Yun Kyung Mi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3

        이 논문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학교컨설팅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연구이다. 예비교사들은 교직 입문 후 가장 중요한 컨설팅 의뢰인 집단이라는 점 그리고 예비 교사 단계에서 학습한 내용이 입직 후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연구가 필요한 대상이다. 교육대학 4학년 135명을 대상으로 하여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론적 측면에서 보면 예비교사들은 일부의 원리를 중심으로 학교컨설팅을 이해하고 있었으며, 개념적으로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적 측면으로는 학교컨설팅을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학교의 책무성 강화에 도움을 주는 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는 학교컨설팅의 이론적 완성도를 높이고 실행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구안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is a stud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school consulting. As a result of dividing it into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and analyzing with contents analysis, it appear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comprehended school consulting centering on some principles of school consulting among the whole. While there were many cases of understanding it through comparison with similar concepts such as supervision, many of them appeared to be going through conceptual confusion. In the practical aspect, they generally took the concept of school consulting positively. On the other sideptthey suggested several problems that can be caused when school consulting was not properly condosied accordingly. On original purposes. Also, the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school consulting as helpful and useful al p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and rvenal cement of school accountabilit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more efforts to research steadily about school consulting, improve the working procedure of consulting and so on so as to actualize the principles and purposes of school consulting in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efforts on continuous research and improvement on consulting procedures are needed for school consulting`s principles and purposes to be properly implemented in the school sites.

      • KCI등재후보

        자율형 사립고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탐색

        박효정(Hyo-jung Park),이재덕(Jae-duck Lee),신철균(Chol_kyun Shin)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6 지방교육경영 Vol.19 No.2

        본 연구는 자율형 사립고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자율형 사립고 정책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문헌 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사고의 지정 취지와 교육 중점 간에 괴리가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시간이 많은 집단에서 교육활동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의 좋은 점과 아쉬운 점에서 모순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의 업무 부담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면 첫째,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강화해야한다. 둘째, 학생들의 협동적 학급 문화를 형성해야 한다. 셋째, 교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불필요한 규제 완화와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plans to develop policies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by analyzing management status of it.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a disparity was found between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and its educational focus. Second, a level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activities was low in a group which spends significant amount of time on private education. Third, advantages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are inconsistent with what students want for. Fourth, workload of teachers was very high. The research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related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First,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distinctive education curriculum. Second, cooperative school culture needs to be formed between students. Third, teachers need to be supported to strengthen their competencies. Fourth, it is required to ease unnecessary regulations and provide financial support in early stage.

      • KCI등재

        학교컨설턴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진동섭(Jin Dong Seop),허은정(Hur Eun Jung),이재덕(Lee Jae Doc),김효정(Kim Hyo Jeong),김정현(Kim Jung Hyun),신철균(Shin Chol Kyun),이동찬(Rhee Dong Chan),김시영(Kim Si 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敎育行政學硏究 Vol.26 No.2

        이 논문은 학교컨설턴트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램은 교수 체제 설계 모형에 근거하여, 목표 수립, 분석, 설계, 개발 단계를 거쳐 개발했다. 그라고 현직 초ㆍ중등 교원을 대상으로 하여 S대학교 중등교육연수원의 직무 연수로 실행, 평가되었다. 학교컨설팅이 교육개혁의 새로운 대안으로 교직사회에 자리 잡기 위해서는 실행의 주체가 되는 학교컨설턴트의 발굴과 양성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학교컨설턴트 교육 프로그램과 그 적용 결과에 대한 논의는 학교컨설턴트라는 새로운 역할에 대한 이론적ㆍ실제적 역량 함양의 기초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for enhancing school consultants' expertise. The program is developed based on ISD(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through the process of goal setting, analysis, designing, and development. And the program was carried out and evaluated as a form of in-service training sponsored by S National University In-service Training Center for Secondary Education. In order for school consulting to be settled in teacher society as a new approach for educational reform, it is needed to find and train school consultants, the main body of implementation. The school consultant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discussion concerning the result of its application will be the basis in cultivat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competency for the new role-school consult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