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ulture의 공간 적용을 위한 한국적 표현 특성 연구

        신은별(Shin, Eun-Byeol),이민(Lee, Min),이진민(Rhie, Jin-Mi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The aim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spatial feature based on K-Dsign which the background of K-Culture. The objects of research are selected case studies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best awards of Korean style space`. Based on those cases, the concept and cultural-tradition aspects of k-culture with theory will be examined. And also, form&material which are the elements formative design of will analysed by re-interpreting the concept of Korean space and the perception of Korean form. By doing this, the feature of space through qualitative interpretation will be concluded based o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chosen cases if valuation criteria, which will be able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Korean spatial design and expand the possibilities of further research. This study extracts the representative features of Korean spatial design, which creates this study to be meaningful reference for applying K-Culture in brand space.

      • 회현시민아파트 리노베이션을 통한 대지 활성화 방안 제시 - 건축에서 회화로 표현 방법의 확장을 중심으로-

        김나연 ( Kim Na-yeon ),이진민 ( Rhie Jin-min ),이선경 ( Lee Sun-kyung ),신은별 ( Shin Eun-byeol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낙후된 건물의 개선을 통하여 기능이 퇴색한 건물을 재생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재생의 범위를 건물에서 그치지 않고 건물이 지어진 대지까지 포함하여 활성화시킴을 통하여 건물과 대지가 공생하며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건축의 진정한 의의를 새롭게 재해석하여 풀어내보았으며, 더 나아가 재생을 표현함에 있어서 건축적인 풀이법에만 그치지 않고, 회화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방법으로의 접근과 표현을 시도해 보았다. 본 연구는 숙명여대 환경디자인과 건축설계스튜디오VII, VIII 수업에서 30주 동안 진행한 결과물을 바탕으로 하며 본 연구의 과정은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되어있다. 가장 먼저, 타켓의 배경과 현황을 분석하여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해내고, 그러한 특징과 단점을 재해석하여 장점으로 전환시키는 사고 과정을 거쳤다. 과정을 통하여 건물이 지닌 퇴색된 정체성을 새롭게 정립시켰다. 설정된 개념을 기본으로 하여 새로운 구조 계획과 배치, 프로그램 등을 설정 하였다. 계획을 토대로 실무적인 설계를 하였으며, 3D작업과 모델링으로 마무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건축적인 풀이법을 진행한 개념을 회화적인 방향으로 전환하여 새로운 방법으로 표현해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건물의 단점을 새롭게 재해석하여 풀이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건축의 진정한 순기능과 건물과 대지와의 관계성을 고찰하고 사고를 전환하여 기존 건축의 틀이 아닌 회화로 확장하여 자유롭고 새롭게 표현해봄으로써 건축의 근본적 의미와 표현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자한다. This study suggest method to regenerate disabled buildings by improving the old buildings. The range of renovation includes the building and the built site, so this range makes both to be utilized and harmonized. Therefore through the process, the true meaning of architecture can be reinterpreted in a new way. In addition, to express regeneration, this study not only stops at architecture interpretation,but also shows new approach and expression using figurative methods. The process of study Firstly, we found features and problems byanalyzing the background and recent condition of the target and through thinking process, we switched the disadvantages to advantages. This process made a new decolorized identity. After that, based on new design concept, theold procedure was changed with new structure plan and arrangements. Then, the practical design was made based on the plan and finished with 3D modelers and hand modeling. Lastly, from the previous concept of architectural process, we expressed another way using pictorial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30 weeks during Design Studio CourseVII, VIII In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Design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conclusion, this study is valuable in concerning the proper function in architectur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buildings and sites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problems of the buildings . Also this process intends to give opportunities to think one more time about endless possibilities related to underlying meanings and ways to express architecture.

      • 브랜드 "페니"를 위한 전시 디스플레이 디자인 연구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한 평면회화와 공간간의 조형적 관계를 중심으로-

        김나연(주저자) ( Na Yeon Kim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은별(공동저자) ( Eun Byeol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 물질성이 사라지고 비 물질화가 되어가는 공간의 형태와 존재 의미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공간 디자인에 있어 기초 디자인 요소를 충실히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형(造形)에 대해 탐구 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건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조형성에 기초한 디자인을 도출하여 브랜드 전시공간에 적용하는 일련의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를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조형적구성과 형태적 아름다움에 대한 탐구의 선행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기초 디자인 요소의 ``Form&Space``를 중심으로 회화의 조형성과 건축의 상관관계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디자인을 전개하다. 두 번째로 ‘페니’를 분석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반영한 형태로 발전시켰으며 이에 맞는 재료, 컬러, 도면 3D작업 등을 통해 공간을 구체화 시켜 최종 결과물을 얻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숙명여대 환경디자인과 공간디자인스튜디오Ⅱ수업에서 15주간 진행되었으며 실제 작품의 진행 기간은 약 13주가 소요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조형적 탐구에 기초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를 살펴봄으로써 현대 공간의비 물질화에 따른 폐해와 물질적 공간의 조형성 추구를 통해 공간의 근본적 의미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기회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a question about the form and existential meaning of space where the modern society’s materiality is giving way to immateriality, with an intention to explore the formative arts based on the faithful understanding of basic design elements. Also, by analyzing its relationship with architecture and developing a design on basis of formativeness,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series of spatial design processes to apply. Through this, the study tried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being preceded by the exploration of formative structure and morphological aesthetic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hases. First, this study developed a design through theoretical review of the correlation between formativeness of painting and architecture based on ‘Form & Space’, which is one of the basic design elements. Second, after analyzing the brand ‘Penny’, its brand image was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a form, and the final result was achieved by the specific expression of a space with materials, colors, and 3D drawing adequate to its brand image. The study was conducted as an assignment of the 15 week-long Spatial Design Studio Ⅱ class for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the actual period required for the project took approximately 13 weeks. Finally, based on analysis of spatial design processes through formative exploration, this study intended to offer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fundamental meaning of space throughrealization of harmful effects of immateriality in the contemporary space and through pursuit of formativeness of a material space.

      • 지이크 파렌하이트의 새로운 전시공간 계획 -역 발상의 디자인 프로세스와 기초 디자인 요소을 중심으로-

        이종화(주저자) ( Jong Hwa Lee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은별(공동저자) ( Eun Byeol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Ⅱ 수업에서 진행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로서, 이론적 고찰을통해 조형(造形)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한 공간 구성, 이에 맞는 브랜드를 적용시킨 브랜드 전시 공간을 디자인하는 프로젝트 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크게 두 과정으로 나뉘며, 먼저 기초 디자인을 차원과 요소의 두 가지 관점으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이를바탕으로 점, 선, 면의 평면구성과 몬드리안의 작품을 모티브로 하여 입체화 시켜 mock-up 스터디를 통해 형태를 발전시켰다. 두 번째로 이에 맞는 브랜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선정하였으며 공간의 기능과 색, 재질 등을 형태에 적용시켜 전시 공간으로 완성하였다. 이에 따른 도면 및 다이어그램, 동선 소재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15주 수업기간동안 진행되었으며 실제 작품의 진행 기간은 약 13주가 소요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기능에 따른 공간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달리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따른 형태적 조형미를 탐구 한 후 그에 걸 맞는 브랜드의 적용과 전시라는 기능을 반영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earch on spatial design process during the Spatial Design Studio Ⅱ, and this project was to form a space based on the exploration of modeling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and to create an exhibition space by selecting and applying a correspondingly adequate brand.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hases. First, this study borrowed motifs from the works by Frank Stella and rendered it into a three dimensional modeling on basis of a theoretical review of design elements.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brand image and then created a form in reflection of it, and then the exhibition space was planned by applying those functions, colors and textures which were considered appropriate to the brand image. Based on this, the drawings, diagrams, moving lines, and materials were specifically expressed. To this end, the class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15 weeks, and the actual period required for the project took approximately 13 weeks. Lastly, this study’s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patial designs which intend to explore the formative esthetics based on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unlike the existing function-driven spatial design process and to apply a correspondingly adequate brand and exhibition function.

      • 프랭크 스텔라 작품을 모티브로 한 뱅앤올룹슨 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권지수(주저자) ( Ji Su Kwon ),김하정(주저자) ( Ha Jeong Kim ),조지은(주저자) ( Ji Eun Cho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은별(공동저자) ( Eun Byeol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Ⅱ 수업에서 진행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로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조형(造形)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한 공간 구성, 이에 맞는 브랜드를 적용시킨 브랜드 전시 공간을 디자인하는 프로젝트 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크게 두 과정으로 나뉘며, 먼저 ‘Man the designer’의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Frank Stella을 작품을 모티브로 하여 입체화 시켜 형태를 발전시켰다. 두 번째로 뱅앤올룹슨을 분석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반영한 형태로 발전시켰으며 이에맞는 기능과 색, 재질 등을 형태에 적용시켜 전시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이에 따른 도면 및 다이어그램, 동선 소재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15주 수업기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실제 작품의 진행 기간은 약 13주가 소요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기능에 따른 공간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달리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따른 형태적 조형미를 탐구 한 후 그에 걸 맞는 브랜드의 적용과 전시라는 기능을 반영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 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earch on spatial design process during the Spatial Design Studio Ⅱ, and this project was to form a space based on the exploration of modeling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and to create an exhibition space by selecting and applying a correspondingly adequate brand.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hases. First, this study borrowed motifs from the works by Frank Stella and rendered it into a three dimensional modeling on basis of a theoretical review of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of ‘Man the designer’.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brand image of Bang & Olufsen and then created a form in reflection of it, and then the exhibition space was planned by applying those functions, colors and textures which were considered appropriate to the brand image. Based on this, the drawings, diagrams, moving lines, and materials were specifically expressed. To this end, the class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15 weeks, and the actual period required for the project took approximately 13 weeks. Lastly, this study’s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patial designs which intend to explore the formative esthetics based on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unlike the existing function-driven spatial design process and to apply a correspondingly adequate brand and exhibition function.

      • 자연 친화적 요소를 도입한 `내온듯` 브랜드 개발 연구 - 브랜드 믹스 개념을 중심으로 -

        김지윤 ( Kim Ji-yoon ),최해원 ( Choi Hae-won ),이진민 ( Rhie Jin-min ),김태범 ( Kim Tae-beom ),신은별 ( Shin Eun-byeol ),장미정 ( Jang Mi-jeo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최근 효율적인 마케팅 방식으로 주목받는 브랜드 믹스 전략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 확장을 가능하게 하고, 지속적인 브랜드 성장을 이끄는 방법을 모색한다. 또한 각 브랜드의 강점과 약점을 상호 보완하여 효율적인 브랜드 이미지 강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밝힌다. 지금까지의 브랜드 믹스에 관한 연구는 소비자 관련 변수에 브랜드 마케팅 자체의 성과에 관련한 접근이 대부분이라면,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마케팅에 디자인적 요소를 접목하여 `브랜드와 디자인, 마케팅`을 융합된 시점에서 바라보고 장기적 관점에서의 브랜드 믹스 공간을 구현하고 제시 한다. 그리고 소비자 트렌드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마케팅 및 디자인 전략을 세우고 새로운 세컨드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계획한다. 디자인 구축 과정에 있어서, 공간에 감성 스토리와 자연요소를 실내로 도입하여 현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자연결핍현상`을 해결하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충족하게 한다. 그 결과, 새로운 세컨드브랜드는 GI, PI. SI의 통합 브랜드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통해 자연적 요소를 적용 및 전략화하고 브랜드와 마케팅을 융합하여 좀 더 체계화된 통합 브랜드 매뉴얼을 만든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이와 관련된 브랜드 믹스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 된다. This research explores ways to drive brand image expansion and sustainable brand growth through brand mix strategie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effective marketing method.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s how brand mixes complement each other`s strengths and weaknesses, thereby solidifying them as effective enhancement means of brand image. Unlike most previous analyses that mark the consumer variable as the measurement of brand marketing success, this research grafts the design aspects of marketing, takes the viewpoint of a fused `Brand and Design` while ultimately materializing and presenting a long-term brand mix space. The study analyzes consumer trends carefully, builds marketing and design strategies based on them, and plans a new second brand identity.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design, an empathic plot and natural elements are introduced into the space to solve the `Nature Deficiency` phenomenon that is emerging as today`s social issue and secures customer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new second brand, through various processes of combining GI, PI, and SI, has a significance in creating a more integrated branding manual by applying and strategizing the natural elements and thus building a merge of brand and marketing.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elementary data in developing brand mix design related to this future.

      • 외모 콤플렉스 개선을 위한 셀프매니지먼트 `봄` 브랜드 개발 - 메이크업, 이미지 트레이닝, 놀이치료를 중심으로 -

        김다영 ( Kim Da-young ),엄연정 ( Eom Yeon-joung ),우예림 ( Woo Ye-lim ),임채은 ( Lim Chae-eun ),조아란 ( Cho A-ran ),이진민 ( Rhie Jin-min ),장미정 ( Jang Mi-jeong ),신은별 ( Shin Eun-byeol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우리 인(人)적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셀프 매니지먼트로 뷰티 콘텐츠를 활용한 통합 브랜드를 개발함에 있어서 `브랜드와 디자인, 마케팅`을 융합된 시점에서 바라보고 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Space Identity의 통합브랜드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은 2016년 3월~6월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 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로서 4개 팀 중 1개 팀의 작업물을 정리한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범위는 4개(物, 事, 人, 場)의 주제 중 人의 `인물`로 한정한다. 그 결과,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된 측면에서 도출된 봄`(Bom)`은 기존의 수많은 뷰티 콘텐츠의 과포화로 인한 정보 선택의 혼란과 실제 적용의 어려움을 겪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봄 브랜드는 디자인과 마케팅측면을 융합하여 로고 및 사인물의 그래픽 디자인에서부터 제품디자인 및 공간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일관성과 객관성, 스토리성을 띄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人(인)을 활용한 문화 공간 디자인에서 `봄`은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좀 더 체계화된 G·I, P·I, S·I의 통합 브랜드 매뉴얼을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이와 관련된 통합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looks at the convergence of brand and design marketing, indeveloping an integrated brand that solves our society`s social issues by utilizing Beauty contents with self-management in order to solve our society`s social issues and also aims to examine the series of processes used to establish the integrated brand of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and Space Identity . The study subject is the resultant organized work completed through the course “Brand Space Marketing"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Environmental Design Division by one of the four teams during the 15 weeks of March through Jun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subject of `person` within the four proposed categories (物, 事, 人, 場). As a result, as `Spring (Bom)` was regarded from the aspect of both design and marketing, the study focused on women in their 20s-30s who face confusion and thus difficulty in deciding due to the supersaturation of numerous beauty contents. From that design and marketing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consistency, objectivity, and narrative of the logo and signboard graphic design and product and space design of the`Spring(Bom)` brand. Final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ing and design aspects of `Spring(Bom)` in regards to the topic of `people` in cultural space desig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of the consequential creation of a manual of the more systemized, integrated brand of G.I, P.I, and S.I.Furthermore, this study shows promise in henceforth becoming a foundational resource in future development of such integrated brands.

      • 미학과 사회적 이슈를 연계한 전시디스플레이 작품 연구 저출산에 대한 인식 개선 프로젝트 - “나쁜 엄마, 최고의 아빠”의 전시디자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강미선 ( Kang Me-sun ),박수빈 ( Park Soo-bin ),윤정원 ( Yoon Jung-won ),오정은 ( Oh Jung-eun ),이소원 ( Lee So-won ),이진민 ( Rhie Jin-min ),신은별 ( Shin Eun Byeol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전시디스플레이 디자인 분야에 미학을 기반으로 예술적, 사회적, 디자인적 측면으로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전시 디자인 분야의 색다른 코딩 프로세스를 체계화하고, 동시에 기존의 전시와는 차별화 되는 새로운 전시 공간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6년 9월~12월까지 15주간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디자인학과<전시디스플레이 디자인>교과목에서 진행된 프로젝트 중 일부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총 3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학적 개념과 사회적 문제, 전시관련 학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 뒤 이를 전시디자인에 코딩하는 작업을 선행하였다. 두 번째로는 코딩한 작업을 바탕으로 전략적 모티브를 빛으로 선정하고, 전시디자인 전략계획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료를 바탕으로 만든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전시전개구성을 하고 이를 통해 스토리가 있는 차별화된 공간구성을 하였다. 로고디자인, 포스터디자인, 리플렛디자인, 영상 디자인 등 전시디자인 E.I작업을 통해 전시를 표현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미학 + 사회문제 + 전시디자인의 코딩`이라는 새로운 창의적 전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였고, 이는 미학과 사회문제의 이론적 고찰을 반영한 전시디스플레이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 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ultilateral approach to the exhibition display from aesthetic, social issues, design aspects based on the aesthetic theory, to systematically summarize the display works and to propose unique exhibition display design process different from standardized display. The study subject is output from the `Exhibition display` subject of the Environment Design department of Soookmyung university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6. The process of this study consists three phases. First, the study developed ideas for the project in advan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esthetics theories on middle age art and social issues. and then applied them to exhibition display. Second, the project created display outline and strategical design motive based on coding process with aesthetics. Lastly, the exhibition space planning was conducted by storytelling, and specifically expressed by logo design, poster design, brochure design and media design are specifically expressed. All in all, This study`s creative design process called `aesthetics + social issues + exhibition display design coding`,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new and creative exhibition display processes, which will reflected aesthetics theory and social issues unlike the existing process of exhibition display design

      • 디터람스에 관한 전시 공간 리뉴얼을 위한 연구 -기초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손지원(주저자) ( Ji Won Sohn ),오한결(주저자) ( Han Gyeol Oh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은별(공동저자) ( Eun Byeol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Ⅱ 수업에서 총15주간 진행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로서, 공간기초 디자인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전시 공간 디자인프로젝트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총 세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먼저 선(Line), 형태(Form), 빛(Light),색(Color) 등의 기초 디자인 이론을 통해 디자인 요소에 대한 이해와 이를 공간에 적용하여 프로젝트 아이디어 도출 과정을 선행하였다. 두 번째로는 FrankStella의 작품을 바탕으로 공간 디자인 요소들의 형태적 변화와 주요 특징 요소들을 이용해 조형적인 공간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에 기능을 적용시켜전시 공간 계획을 진행하였으며 도면, 다이어그램, 동선, 소재 등 이러한 계획 과정을 구체화하여 표현하였다. 이 단계에서 기존 전시 공간 스터디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도출하여 공간의 컨셉과 목적을 구체화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기능에 따른 공간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달리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따른 형태적조형미를 탐구 한 후 그에 걸 맞는 브랜드의 적용과 전시라는 기능을 반영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 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a project for the 15 week-long Spatial Design Studio Ⅱ class for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and the project was to develop a spatial design based on the basic theory of spatial design. The process of this study consists three phases. First, the study developed ideas for the project in advan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esign elements through exploration of basic design theories on line, form, light, color, etc. and then applied them to space. Second, the study created a formative space by identifying and using morphological changes of spatial design elements and major characteristic factors based on the exploration of the works of Frank Stella. Lastly, the exhibition space planning was conducted by applying functions to space, and the planning processes such as drawings, diagrams, moving lines, and materials are specifically expressed. In this phase, problem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existing studies on exhibition space and solutions were to substantiate the concept and purpose of the space. All in all, this study’s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patial design processes, which will explore morphological aesthetics based on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which apply a correspondingly adequate brand, and which reflect an exhibition function unlike the existing process of function-oriented spatial design.

      • ‘스탠리 돈우드 앨범아트웍’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라디오헤드 ‘A Moon Shaped Pool’ 앨범아트 작품을 중심으로 -

        박수현,이진민,신은별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 II 수업에서 진행한 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로서, 디자인 요소와 원리를 바탕으로 조형(造形)의 평면(2D),입체(3D), 공간(4D)으로 나아가는 차원의 확장을 통한 전시공간 디자인 프로젝트이다. 본 연구는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첫째, 스탠리 돈우드와 그의 작품세계를 분석하고 둘째, 그의 시각적 조형 언어를 재구성하여 평면작업으로서 그의 전시 포스터를 만든 후 이를 바탕으로 입체조형을 한다. 셋째, 스탠리 돈우드의 작품에서 추출한 색채 및 재질을 적용시키고 입체조형에 기-승-전-결의 이야기 구성과 기능을 적용해 전시 공간을 계획한다. 이를 평면, 조닝, 동선 등을 도면과 다이어그램으로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이에 따른 결과물을 판넬과 모형으로 정리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평면으로부터 공간까지의 조형적 탐구에 기초한 디자인 프로세스로 기능적 공간디자인에서 벗어나 형태적 조형미를 갖춘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 향후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