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영상 학습에서의 대학생 동공 반응 분석

        신윤미(Yunmi, Shin),조일현(Il-Hyun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3

        본 연구는 동영상 학습 과정에서 발생한 대학생의 동공 반응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수도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73명을 대상으로 2017년 1학기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동영상 학습 순서에 따라 개별 학습자의 특성과 동공 반응의 기술통 계를 살펴본 뒤 집단에 따른 차이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은 남학생이 모든 학습 과정에서, 전공은 인문계열이 시험 1과 학습 2에서, 자연계열이 학습 1과 시험 2에서 동공 반응이 크게 나타났다. 둘째, 성취도의 경우 사전 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학습 1에서 동공 반응이 크게 나타났으며 사전 성취도가 낮은 집단은 학습 1을 제외한 모든 구간에서 동공 반응이 크게 나타났다. 반면 사후 성취도의 경우 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모든 학습 과정에서의 동공 반응이 크게 나타났다. 셋째, 수학불안은 낮고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수준의 집단이 모든 학습 과정에서 동공 반응이 크게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시험 2에서만 수학불안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체적인 동영상 학습 과정에서는 시험보다 학습에서 동공 반응이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 과정에서 측정된 동공 반응을 학습자 특성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동영상 학습 과정에서의 events of instruction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함을 도출하고 학습자 특성에 따른 교수 설계 도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llege students in video learning in the first semester of 2017. For learner characteristics, gender, major, achievement, math anxiety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were used. In the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of pupil response were deriv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and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showed the greatest pupil response in all the lessons, the major in the humanities in tests 1 and 2, and the naturalistic in the lessons 1 and 2. Second, pupil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earning 1 than in high-achievement group, and pupil response was larger in all groups except learning 1. On the other hand, the pupil response of the group with high post-achievement was large in all learning processes. Third, learners with low mathematics anxiety and high mathematical self-efficacy showed large pupil responses in all learning processes. Fourth, in test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Fifth, the pupil size was larger in learning than in the test. However, according to the students perceived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the pupil responses in the learning process were different. In a follow-up study, it is suggested to derive instructional design implications of learning images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through additional analysis as events of instruction.

      • KCI등재

        외국인 교원의 직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지원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한송이(Han Songlee),신윤미(Shin Yunmi)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소속된 외국인 교원의 양적 확대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대학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외국인 교원 지원 미흡을 인식함에 따라 이들을 위한 대학적응 및 행정, 연구 활동, 교수(teaching) 영역에 대한 지원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A 대학교에 재직 중인 외국인 교원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심층 면담에 동의한 6명을 대상으로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이들의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1차 전사, 2차 주제별 내용 구분 및 분석, 3차 참여자 응답 간 비교를 통해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및 행정 적응에서는 대학 구성원을 대상으로 전달되는 행정 정보 공유 및 교내 사이트의 측면에서 언어적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속 대학의 시스템 활용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핸드북을 제공하고 동료 외국인 교원과 내국인 교원과의 간담회 및 멘토링을 통해 대학 생활 및 행정 영역 지원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 활동 영역의 경우 전공 분야에 맞춘 연구 정보 및 지원제도 안내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강의 및 교육활동에서는 외국인 교원을 대상으로 한 교수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내국인 교원과 마찬가지로 각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서 운영하는 수업설계 및 최신 교수법 지원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외국인 교원임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위한 직무수행 능력 향상 지원 관련 연구가 부족한 현실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대학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각적인 지원 방향의 기초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ome up with a plan to provide support for foreign teachers adjustment to universities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research, and teaching, because South Korean universities support for foreign teachers is viewed as insufficient despite the increase in their number.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ten foreign teachers employed by ’A’ university in the country and investigated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foreign teachers by employing narrative research with six of them who consented to an in-depth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first step of transcription, the second step of topic-specific categorization and analysis, and the third step of comparison of responses from the participants. The study go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ar as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ies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is concerned, language issues occurred in the sharing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elivered to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and its website. This highlights the need to create a system that would immediately enable the support fo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by providing a handbook that can promote an understanding of how to use the university s system and holding talks and establishing mentoring between fellow foreigners and domestic university staff. Second, as far as research is concerned, the revealed demand for guidance to specialty-customized research information and support programs highlights the need to actively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Lastly, as far as teaching is concerned, the survey which found that no teaching-related support was available for foreign teachers illuminated the need to support class design and latest teaching method as operated at the teaching centers of different colleges, as was available for domestic teachers. This study took its cue from the fact that even though South Korean universities continued to hire foreign teachers in step with their upgrade in globalization, the research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their work performance remained insuffici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a basic plan for diversified supports for application to different South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 대상 디자인사고 적용 수업모형 개발

        고영미(Go, Youngmi),강진주(Kang, Jinju),이은영(Lee, Eunyoung),신윤미(Shin, Yu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 대상 디자인사고 적용 수업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디자인사고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이론적 준거와 모형시안에 반영할 사항을 도출한 후 이를 토대로 모형 시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모형 시안의 현장 적용 가능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0년 9월에 유아교육 전문가 8인의 적합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2020년 10월 첫째 주부터 2020년 12월 첫째 주까지 10주 동안 본 연구자가 담당한 「유아과학교육」 수업에 적용하였다. 전문가 적합성 검증 및 예비유아교사 대상 시안적용 결과를 분석하여 개선사항과 모형 최종안에 반영할 사항을 도출한 후 이를 토대로 모형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최종 제시된 디자인사고 적용 수업모형은 운영의 기본방향과 실제로 구성하였다. 운영방향으로는 일상 및 유아교육 현장의 문제 포함, 서론 다른 관점 및 배경을 지닌 동료 및 전문가 간 협력, 학습자 중심의 팀 기반 학습 적용, 허용적이며 도전과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수업 분위기 조성을 제시하였다. 운영의 실제로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창의성, 협업, 공감, 융합 등의 미래 역량을 함양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위한 단계로는 사전안내,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화, 프로토타입, 테스트를 기본으로 하되, 공감과 문제정의, 아이디어와 프로토타입이 반복적으로 순환하도록 10회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디자인사고를 실제 수업에 적용할 때 쉽게 활용 가능하도록 각 회기별 내용 및 학습자와 교수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자인사고 적용 수업모형을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활용함으로써 미래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창의, 융합, 공감, 협업, 문제해결역량을 함양하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미래 역량을 함양하는 교육을 실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lass model with applying design thinking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ethods Theoretical criteria and contents were derived from the review on the literature related to design thinking, which was a basis for constructing the model draft. Then,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possibilities to apply the model to the educational field, the drafts was validated by 8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in the September of 2020, and was applied to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ourse taught by the first author from the first week of October to the first week of December, 2020. The final model was developed by modifying the draft reflecting the data from the applied course as well as the validation of the experts. Results The final model consists of the basic direction and practice in carrying out the class with applying design thinking to. The content of the direction suggests including problems in daily life of the studen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operating between colleagues and expert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and backgrounds, applying learner-centered team-based learning, and creating a permissive class atmosphere to encourage not to be afraid of challenges and failures. The content of practice suggests pre-service teachers should cultivate competencies for future such as creativity, collaboration, empathy, and convergence. To do this, the model consists of 10-cyclical-and-repeated sessions of the steps of empathy, problem definition, and idea and prototype based on guidance, empathy, problem definition, ideation, prototype, and test. Furthermore, the contents of each session and the role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are presented in detail so that design thinking can be easily used when applying it to actual classes. Conclusions The model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creativity, collaboration, convergence, empathy, cooperation, and problem-solving capacity for pre-service teachers as well as to improve the future capacities of young childre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자살과 알코올 사용장애를 동반한 기분장애와의 연관성 : 공통 데이터 모델을 활용한 연구

        조용혁(Yong Hyuk Cho),이은영(Eunyoung Lee),허은실(Eun Sil Her),황규범(Gyubeom Hwang),임기영(Ki-Young Lim),노재성(Jai Sung Noh),신윤미(Yunmi Shin),홍창형(Chang Hyung Hong),노현웅(Hyun Woong Roh),이동윤(Dongyun Lee),이혜림(Heirim Lee)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1 신경정신의학 Vol.60 No.3

        Objectives This study determines the effects of comorbidity of mood disorder and alcohol use disorder on suicide behavior. Methods We converted data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one university hospital into a common data model and utilized it in our analysis. We selected 9551 patients with diagnosis codes of mood disorders or alcohol use disorders and divided them into three groups: mood disorder (MD) only, alcohol use disorder (AUD) only, and comorbidity of mood disorder and alcohol use disorder (MD+AUD). The mood disorder group was also subgrouped with depressive (DD) or bipolar affective disorder (BD) groups, and the comorbidity group was classified in the same way. Then, we appli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risk of suicide attempts between the diagnostic groups. Subgroup analysis according to age also was conducted. Results The MD+AUD group had 2.7 (odd ratio [OR]=2.70, 95% confidence intervals [CI]=1.91- 3.81, p<0.0001) and the DD+AUD group had 2.78 (OR=2.78, 95% CI=1.95-3.98, p<0.0001) times higher risk of suicide attempts than the MD only and DD only group, respectively.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ge subgroup, the risk of suicide attempts was the highest (OR=5.17, 95% CI=2.35-11.40, p<0.0001) in the DD+AUD group for those aged 40-59.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in BD.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orbidity of mood disorder and alcohol use disorder could increase suicide risk. This study suggested that alcohol use behavior needs to be assessed as well as mood symptoms for suicide pre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