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1N0 성문암의 방사선치료관련 예후 인자 분석

        송시열(Si yeol Song),신성수(Seong Soo Shin),김수산(Su Ssan Kim),김종훈(Jong Hoon Kim),조경자(Kyung Ja Cho),최승호(Seung Ho Choi),남순열(Soon Yuhl Nam),김상윤(Sang Yoon Kim),최은경(Eun Kyung Choi),이상욱(Sang wook Lee),안승도(Seung Do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9 No.1

        Objective: To analyze the treatment-related parameters after the radiotherapy of T1N0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glottic larynx.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89 and August 2000, 54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T1N0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glottic larynx who received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i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Asan Medical Center were analyzed. They were all males with age ranged from 31 to 80 years (median 61 years). 1997 AJCC stages were 31 T1a, 23 T1b. Patients were treated with 4-MV X-rays with a parallel-opposed two-field technique. Ten patients received 66.0-68.4Gy at 1.2Gy per fraction twice daily, 21 patients received 64.8-66.6Gy at 1.8Gy per fraction once daily, and 23 patients received 66.0Gy at 2.0Gy per fraction once daily. Follow-up period was 16-119 months (median 56 months). Results: 5-year overall survival and local control rates for patients with T1 lesions were 87.0% and 88.5%, respectively. 5-year local control with larynx preservation rate was 90.5%. Host and tumor-related prognostic factors including age, stage, anterior commissure involvement and tumor bulk proved not to be significant. Only shorter overall treatment time among treatment-related factors had correlation with imporved local control. Conclusion: Comparable high local control rate with organ preservation was achieved with primary radiation therapy and salvage surgery. Shortening of overall treatment time is related to improved local control rate. To determine the optimal fractionation scheme, randomized trial is mandatory.

      • KCI등재후보

        비인강암에서 방사선치료의 예측인자로써 Ku70 발현의 의의

        송시열(Si Yeol Song),이상욱(Sang-wook Lee),유은실(Eunsil Yu),조경자(Kyung-Ja Cho),박진홍(Jin-hong Park),김상윤(Sang Yoon Kim),남순열(Soon Yuhl Nam),이봉재(Bong-Jae Lee),김성배(Sung Bae Kim),최승호(Seung-Ho Choi),안승도(Seung Do A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1

        목 적: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비인강암 환자에서 Ku70과 DNA-PKcs의 발현 정도가 국소제어율과 치료 실패 양 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6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방사선치료 단독 또는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66명의 원격전이가 없는 비인강암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진단 시 얻은 조직검사 표본에서 Ku70과 DNA-PKcs의 면역활성도를 분류하였는데, 그 기준은 면역활성도가 50% 이상 Ku (+)과, 50% 미만 Ku(-) 이었다. Ku70과 DNA-PKcs의 면역활성도와 방사선치료에 대한 종양의 반응 정도와 재발양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비인강암의 국소제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변량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Ku (-) 환자에서 Ku (+) 환자보다 높은 5년 국소제어율(85% vs. 42%, p=0.042)을 보였으나, 원격전이율은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78% vs. 82%, p=0.8672). 단변량분석결과 Ku70의 과발현이 기존에 알려진 비인 강암의 예후인자보다 우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소재발을 보였던 22명의 환자 중 18명의 환자에서 Ku70 (+) 으로 관찰되었다. DNA-PKcs의 발현 정도는 방사선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Ku70은 원격전이가 없는 비인강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단독 또는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 시행 이후 종양의 반응과 국소제어율을 예측할 수 있는 분자생물학적인 예측인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expressions of the two components of DNA-dependent protein kinase, Ku70 and DNA-PKcs, influence the response to radiotherapy (RT) and outcome of treatment of non-disseminated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in patients who received definitive RT. Materials and Methods: Sixty-six patients with NPC who were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or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between June 1995 and December 2001 were divided into groups based on the levels of immunoreactivity for Ku70 and DNA-PKcs in pretreatment biopsy specimens. The over-expression of Ku70 or DNA-PKcs groups included patients whose biopsy specimens showed at least 50% immunopositive tumor cells; patients in which less than 50% of the tumor cells in the biopsy tissues were immunopositive were placed in the low Ku70 and DNA-PKcs groups. The immunoreactivities for Ku70 and DNA-PKcs were retrospectively compared with the sensitivity of the tumor to radiation and the patterns of therapy failure. Un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that influenced locoregional control of NPC. Results: The five-year locoregional control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 Ku70 group (Ku(-)) (85%) than in the high Ku70 group (Ku(+)) (42%) (p=0.0042).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etastases- free survival rates between the two groups (Ku70 (+), 82%; Ku70 (-), 78%; p=0.8672). Un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over-expression of Ku70 surpassed other well-known predictive clinocopathologic parameters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locoregional control. Eighteen of 22 patients who had locoregional recurrences of the tumor displayed an over-expression of Ku70.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 of DNA-PKcs expression and the clinical outcome. Conclusion: Our data suggest that the level of Ku70 expression can be used as a molecular marker to predict the response to RT and the locoregional control after RT and concurrent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non-disseminated NPC.

      • 진행된 하인두암에서 유도항암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

        송시열(Si Yeol Song),김성배(Sung Bae Kim),김상윤(Sang Yoon Kim),남순열(Soon Yuhl Nam),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훈(Jong Hoon Kim),안승도(Seung Do Ahn),제형욱(Hyoung Uk Je),이상욱(Sang-Wook Lee)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8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4 No.2

        Purpose :To know the results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curative radiation therapy for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Methods and Materials :From August 1990 to December 2003, forty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in-duction chemotherapy and curative radiation therap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Median age of patients was 60 years(range:40-78 years) and clinical stage was wholly stage 3 or 4. Induction chemotherapy used cisplatin with 5-FU or docetaxel, and its interval was 3 weeks. Irradiated radiation dose was 70 to 78Gy (median:70.8Gy). Results :Median follow-up time was 39.4 months(range:8-115 months). Treatment failures were ob-served in 52.5% patients, and main failure pattern was local recurrence in 16 patients. 3 and 5 year disease free survival were 52.6%, 48.2% respectively and values of overall survival were 60.0, 43.9% and median survival time was 44.7 months. Treatment response was only a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Laryngeal preservation was observed in twenty-four(60.0%) patients. Conclusion :Initial primary tumor stage w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laryngeal preservation, and response after radiation therapy was a prognostic factor for long-term survival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curative radiation therapy for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 KCI등재

        폐암 정위체부방사선치료 시 고정기구(frame) 사용 유무에 따른 셋업 정확성 평가

        지윤서,장경환,조병철,곽정원,송시열,최은경,이상욱,Ji, Yunseo,Chang, Kyung Hwan,Cho, Byungchul,Kwak, Jungwon,Song, Si Yeol,Choi, Eun Kyung,Lee, Sang-wook 한국의학물리학회 2015 의학물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폐암의 정위체부방사선 치료 환자에 대하여 정위체부고정기구 사용 유무에 따른 셋업 정확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본원에서 정위체부방사선치료를 받은 총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정위체부고정기구를 기반으로 한셋업 방식의 환자군 20명과 고정기구 없이 Wing board를 사용한 환자군 20명으로 구분하여 각 셋업오차를 비교, 분석 하였다. 폐암의 정위체부방사선치료는 총 4~5회에 걸쳐 48~60 Gy 조사되었다. 매 치료 전, 먼저 레이저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중심점에 위치시킨 후 On-board kV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2차원 직각영상을 얻어 척추를 기준으로 환자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3차원 체적 영상을 획득 하여 종양의 위치를 치료중심점에 일치시키고, 마지막으로 호흡에 의한 종양의 위치 확인 및 조정을 위해 2차원 직각 투시영상을 이용하였다. 각 과정에서 얻은 테이블 이동 및 회전 값을 조사하여, 셋업 군별로 계통오차 및 랜덤오차를 구하였다. 고정기구 사용유무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계통오차에 대한 t-test 시행을 하였고, 셋업의 재현성의 차이를 보기위해 랜덤오차에 대한 F-test를 시행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셋업 방식의 차이가 셋업 여유분의 크기 결정에 영향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위해 치료계획체적의 여유분을 계산하여 두 방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정위체부 고정기구를 사용했을 때의 셋업 오차는 수직방향, 길이방향, 수평방향으로 각각 $0.05{\pm}0.25cm$, $0.20{\pm}0.38cm$, $0.02{\pm}0.30cm$이었다. 반면에, Frameless immobilizer을 사용한 단순 고정방법을 사용했을 때의 셋업 오차는 수직방향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0.24{\pm}0.25cm$으로 증가함을 보였으나, 길이방향,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각각 $0.06{\pm}0.34cm$, $-0.02{\pm}0.25cm$의 작거나 비슷한 결과값을 보였다. 정위체부 고정기구를 사용했을 경우, 수직방향, 수직방향 및 길이방향으로의 여유분은 각각, 0.67 cm, 0.99 cm, 0.83 cm였고, Frameless immobilizer시 수직방향으로 0.75 cm, 길이방향으로 0.96 cm, 수평방향으로 0.72 cm로써 수평방향에서 최대 0.11 cm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위체부고정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환자 자세 재현성을 향상시켜 셋업 오차를 환자의 전후, 위아래 방향으로의 약 0.1~0.2 cm씩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였다. 다만 정위체부 고정기구 사용에 따른 시간 소요 및 치료절차의 복잡성에 비해 그 효과는 그리 크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t up accuracy using stereotactic body frame and frameless immobilizer for lung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For total 40 lung cancer patients treated by SBRT, 20 patients using stereotactic body frame and other 20 patients using frameless immobilizer were separately enrolled in each group. The setup errors of each group depending on the immobilization metho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ll patients received the dose of 48~60 Gy for 4 or 5 fractions. Before each treatment, a patient was first localized to the treatment isocenter using room lasers, and further aligned with a series of image guidance procedures; orthogonal kV radiographs, cone-beam CT, orthogonal fluoroscopy. The couch shifts during these procedures were recorded and analyzed for systematic and random errors of each group. Student t-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immobilization methods. The setup reproducibility was further analyzed using F-test with the random errors excluding the systematic setup errors. In addition, the ITV-PTV margin for each group was calculated. The setup errors for SBF were $0.05{\pm}0.25cm$ in vertical direction, $0.20{\pm}0.38cm$ in longitudinal direction, and $0.02{\pm}0.30cm$ in lateral direction, respectively. However the setup errors for frameless immobilize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0.24{\pm}0.25cm$ in vertical direction while similar results of $0.06{\pm}0.34cm$, $-0.02{\pm}0.25cm$ in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ITV-PTV margins for SBF were 0.67 cm (vertical), 0.99 cm (longitudinal), and 0.83 cm (latera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TV-PTV margins for Frameless immobilizer were 0.75 cm (vertical), 0.96 cm (longitudinal), and 0.72 cm (lateral), indicating less than 1 mm difference for all directions. In conclusion, stereotactic body frame improves reproducibility of patient setup, resulted in 0.1~0.2 cm in both vertic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However the improvements are not substantial in clinic considering the effort and time consumption required for SBF setup.

      • KCI등재

        고선량률 강내 근접치료에 사용되는 Ir-192 선원과 치료계획 시스템간의 계산선량 비교

        박동욱,김영석,박성호,최은경,김종훈,이상욱,송시열,안승도,노영주,Park, Dong-Wook,Kim, Young-Seok,Park, Sung-Ho,Choi, Eun-Kyung,Kim, Jong-Hoon,Lee, Sang-Wook,Song, Si-Yeol,Ahn, Seung-Do,Noh, Young-Joo 한국의학물리학회 2009 의학물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시스템 내에서 기하학적 모델이 다른 Ir-192 선원을 사용한 두 치료계획의 선량차이를 비교하고, 치료계획시스템 간 차이에 대해서 동일 선원을 사용할 경우 제조사별 프로그램 및 선원들의 위치결정방법에 따른 선량 계산결과의 차이와 그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 10월에서 2008년 1월까지 본 원에서 Ovoids와 Tandem을 이용하여 자궁경부암 근접치료를 시행 받았던 10명 환자의 치료계획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실제 환자에 적용된 치료계획을 바탕으로 평가한 결과 선원의 기하학적 특성의 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임상의 영향이 1.43% 이내로 전체 조사시간의 차이 및 B-point, 방광과 직장에서의 선량차이는 평균 $-0.91{\pm}0.09%$, $-0.27{\pm}0.07%$, $0.88{\pm}0.37%$, $0.22{\pm}0.39%$로 나타났다. 각 제조사별 프로그램에서 계산된 선량값들 간의 차이는 A-point, B-point, 방광 및 직장에서 평균 각각 $-0.22{\pm}0.42%$, $-0.25{\pm}0.29%$, $-0.23{\pm}0.63%$, $-0.17{\pm}0.76%$로 나타났다. 두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프로그램과 위치결정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한 각 치료계획의 선량분포 차이는 A-point, B-point, 방광 및 직장에서 평균 $-0.61{\pm}0.59%$, $-0.77{\pm}0.45%$, $-0.72{\pm}1.70%$, $0.35{\pm}2.82%$로 나타났다. 제조사별 프로그램상의 차이는 대체로 1.68% 이내, 직교좌표 상에서 선원의 경로좌표를 결정하는 방법론적인 차이에서는 치료계획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더해져 최대 5.87% 가량의 선량계산결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선원의 위치차이는 주로 환자의 AP방향에 위치한 직장과 방광의 선량에 더욱 민감하게 반영되었다. For HDR intracavitary brachytherapy with ovoids and a tandem, we compared the dose discrepancy of treatment plans using two different Ir-192 sources (microSelectron, Varian) and generated on two different treatment planning systems (PLATO, BrachyVision). The treatment plans of ten patient treated from Oct. 2007 to Jan. 2008 were selected for these comparisons. For the comparison of dose calculation using different sources, the average discrepancies were $-0.91{\pm}0.09%$, $-0.27{\pm}0.07%$, $0.22{\pm}0.39%$, and $0.88{\pm}0.37%$ in total treatment time and at B-point and ICRU bladder and rectum reference point, respectively. Comparing the two systems, the average dose discrepancies between treatment planning programs were $-0.22{\pm}0.42%$, $-0.25{\pm}0.29%$, $-0.23{\pm}0.63%$, and $-0.17{\pm}0.76%$, and the average dose discrepancies between positioning methods (PLATO with film and BrachyVision with digitial image) were $-0.61{\pm}0.59%$, $-0.77{\pm}0.45%$, $-0.72{\pm}1.70%$, and $0.35{\pm}2.82%$ at A-point, B-point, and ICRU bladder and rectum reference points, respectively. The rectal dose discrepancies between two systems were reached 5.87%. The difference in the dwell position expected by each TPS are mainly affected by the differences in the positioning method in TPSs and have an effect on dose calculations of rectal and bladder located in AP direction.

      •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종에서 $^{18}FDG-PET$을 이용한 방사선치료 반응평가

        이상욱,류진숙,이병용,김종훈,안승도,신성수,김상윤,남순열,송시열,윤상민,박진홍,김성배,김재승,Lee Sang-Wook,Ryu Jin-Sook,Yi Byong-Yong,Kim Jong-Hoon,Ahn Seung-Do,Shin Seong-Soo,Kim Sang-Yoon,Nam Soon-Yuhl,Song Si-Yeol,Yoon Sang-Min,Park Jin-H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9 No.1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with 2-[F-18] fluoro-2-deoxy-D-glucose in discrimination of response in the nasopharyngeal carcinoma patients who treated with radiotherapy. Methods and Materials: Twenty-four patients who underwent FDG-PET scan before and after radiotherapy for no disseminated head and neck carcinoma at the Asan Medical Center between August 2001 and September 2002 were evaluate by prospective analysis. First FDG-PET scan performed before radiotherapy within 1 month, and second FDG-PET scan performed 1 month after radiotherapy. FDG-PET images were analyzed by standard uptake value (SUV). Follow-up period was more than 6 months. Results: The pretreatment SUV was 3.4-14.0 (median: 6.0) and posttreatment SUV was ground level-7.7 (median: 2.0). The overall sensitivity and specicity of FDG-PET to evaluate residual tumors in the nasopharyngeal carcinoma patients were 94% and 94%. Conclusion: FDG-PET is effective in evaluation of radiation response in the nasopharyngeal carcinoma. We think that the timing of one month after finished radiotherapy FDG-PET scan was not too fast to evaluation of radiation response.

      • Comparison between Surgical and Non-Surgical Treatme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onsil:Retrospective Analysis of 87 Patients

        Dong Hoe Koo(구동회),Sang-wook Lee(이상욱),Si Yeol Song(송시열),Sang Yoon Kim(김상윤),Soon Yuhl Nam(남순열),Seung-Ho Choi(최승호),Jong-Lyel Roh(노종열),Kyung Ja Cho(조경자),Jin-Hee Ahn(안진희),Sung-Bae Kim(김성배)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7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3 No.1

        연구목적:국소적 진행성 편도암환자에서 수술적치료와 비수술적치료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수술 후 보조방사선요법을 시행한 군과 유도화학요법 시행 유무에 상관없이 근치적 방사선 치료 또는 항암화학-방사선 동시치료를 받은 비수술군의 임상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52.4개월의 중앙 추적기간결과, 대상환자의 중앙 연령은 53세 이었다. 대상 환자 중 병기 Ⅲ, Ⅳ기 환자는 72명 (82.8%)이었고, 49명(56.3%)이 수술적 치료를, 38명(43.7%)명이 비수술적 치료를 받았다. 방사선 조사량외에 양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수술군:60.4Gy, 비수술군:70.2Gy, p=0.02). 비수술군의 전체 생존율은 81.6%이었다. 수술군의 8명(16.3%), 비수술군의 6명 (15.8%)에서 재발이 발생하였다. 흥미로운 사실은 원격재발은 2명 모두 수술군에서 발생하였다. 병기 Ⅲ, Ⅳ기의 5년 무병생존율과 전체생존율은 수술군이 각각 82.1%, 86.9%이고, 비수술군 이 각각 83.3%, 83.1%이었다(p=0.96, p=0.96). 결 론:수술적 치료에 비해 비수술적 치료가 활동능력이 불량한 환자에게 선호되었을 가능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성적은 비슷하였다. 편도암에서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의 전향적 무작위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편도암에 대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예비적 결과

        박금주(Geumju Park),이상욱(Sang-wook Lee),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훈(Jong Hoon Kim),송시열(Si Yeol Song),윤상민(Sang Min Youn),박성호(Sung Ho Park),박동욱(Dong-wook Park),안승도(Seung Do A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7 No.3

        목 적: 편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예비적 임상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1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12명의 편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5명, 근치적방사선치료는 7명에서 시행되었고, 이중 6명의 환자가 cisplatin을 기본으로 하는 항암화학요법과 병용으로 치료를 받았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는 9명의 환자에서 동시차등조사가속치료(simultaneous modulated accelerated radiation therapy)가 이용되었다. 근치적치료의 경우 일회선량 2.4 Gy 씩 총 72 Gy, 그리고 수술 후 치료의 경우 일회선량 2.2 Gy 씩 총 61.6 Gy의 방사선량이 조사되도록 하였다. 전체 환자의 추적 관찰 기간은 24∼80개월(중앙값 34개월)이었다.결 과: 전체 대상 환자 12명 모두 치료 중단 없이 계획된 치료를 수행 받았다. 방사선치료 종료 후 11명의 환자에서완전반응을 보였고 한 명의 환자에서 잔존림프절종양이 발견되어 구제 경부곽청술을 시행하였으나 3개월 후 국소림프절종양이 재발하였다. 완전 반응을 보인 11명의 환자는 마지막 추적 관찰 시점까지 국소림프절 재발 및 원격전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 기간 중 급성 합병증은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3도 이상의 구강 점막염,인두염과 구강건조증이 각각 3명, 3명, 6명에서 관찰되었다. 결 론: 세기조절방사선치료는 편도암의 치료에 있어서 초기 종양반응과 국소제어면에서 임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치료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향후 궁극적인 종양반응과 만성 합병증을 알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대상과 추적관찰이 필요하겠다. Purpose: We wanted to present the preliminary results of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for the treatment of tonsillar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2 patients who underwent IMRT for tonsillar cancer at Asan Medical Center between November 2002 and February 2007. Seven patients (58%) received definitive treatment, and five (42%) were treated in the postoperative setting. Among the definitively treated patients, 6 patients received cisplatin-based chemotherapy regimens. Simultaneous modulated accelerated radiation therapy (SMART) was used in nine patients. The prescribed dose was 72 Gy at 2.4 Gy/fraction for the definitively treated cases and 61.6 Gy at 2.2 Gy/fraction for the postoperative case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4 months. Results: All twelve patients completed treatment without interruption, and eleven showed a complete response. One patient had persistent loco-regional disease after treatment. The three-year estimates of loco-regional control, disease-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were 91.7%, 91.7%, and 100%. The worst acute mucositis was Grade 1 in four patients, Grade 2 in five patients, Grade 3 in two patients and Grade 4 in one patient. Grade 3 xerostomia was observed in six patients. Conclusion: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was shown to be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tonsillar cancer. Further studies with a larger number of patients and a longer follow-up period are needed to evaluate the ultimate tumor control and late toxicity of IMRT for treating tonsillar cancer.

      • KCI등재

        간문부 담도암에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결과

        이유선(Yu Sun Lee),박재원(Jae Won Park),박진홍(Jin-hong Park),최은경(Eun Kyung Choi),안승도(Seung Do Ahn),이상욱(Sang-Wook Lee),송시열(Si Yeol Song),이승규(Sung-Gyu Lee),황신(Shin Hwang),이영주(Young-Joo Lee),박광민(Kwang-Min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7 No.4

        목 적: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간문부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율, 재발양상, 예후 인자, 치료 부작용을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98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근치적 또는 고식적 절제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받은 총 39명의 환자 중 총 방사선 조사량이 30 Gy 이상이었던 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연령은 28∼72세(중앙 연령, 59세)였으며, 남자가 23명 여자가 15명이었다.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활동도는 모두 2 이하였다. AJCC에 따른 병리적 병기 1기, 2기는 각각 15명(40%), 23명(60%)이었다. 수술은 완전 절제가 시행된 경우는 9명(24%), 절제연 양성인 경우는 29명(76%)이었다. 동시 항암화학요법은 30명(79%)에서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는 원발 종양이 있던 부위와 주변 림프절에 조사하였으며, 1회 선량은 1.8 Gy 또는 2 Gy로, 총 방사선량은 35∼61 Gy (중앙값, 59.4 Gy)였다. 대상 환자들의 추적 관찰 기간은 6∼45개월(중앙값, 14개월)이었다. 대상 환자의 생존율 분석은 Kaplan-Meier 법, 예후 인자 분석은 log-rank 법을 사용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의 3년 생존율은 30%, 3년 무진행 생존율은 8%이었으며, 중앙생존기간은 28개월이었다. 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 예후 인자는 종양의 분화도(p=0.003)였고, 무진행 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 예후 인자는 혈관-림프 침범(p=0.0307), 종양의 분화도(p=0.0245), 수술 후 CA 19-9 (p=0.0172)이었다. 완전 절제가 시행된 환자 9명의 3년 생존율은 34%로서 불완전 절제가 시행된 환자 29명의 20%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3067). 최초 재발 양상은 국소 재발 18명(47%), 원격전이는 16명(42%)이었다. 치료에 연관된 EORTC Grade 3 이상의 급성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만성 부작용으로는 십이지장 궤양에 의한 출혈이 2명(5.1%)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완전 절제가 시행된 경우와 절제연 양성인 경우에서의 생존율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방사선 치료의 국소재발 억제 효과가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으나, 환자수가 적고 수술 단독군과의 비교가 이루어지지 않아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웠다. 게다가 완전 절제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도 높은 국소 재발률을 보여, 향후 항암제와의 병용치료 및 정밀 방사선 치료 등을 통한 국소 제어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a case of perihilar cholagiocarcinoma by analyzing overall survival rate, patterns of failure,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and toxici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8 and March 2008, 38 patients with perihilar cholangiocarcinoma underwent a surgical resec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The median patient age was 59 years (range, 28 to 72 years), which included 23 men and 15 women. The extent of surgery was complete resection in 9 patients, microscopically positive margins in 25 patients, and a subtotal resection in 4 patients. The tumor bed and regional lymphatics initially received 45 Gy or 50 Gy, but was subsequently boosted to a total dose of 59.4 Gy or 60 Gy in incompletely resected patients. The median radiotherapy dose was 59.4 Gy. oncurrent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in 30 patien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14 months (range, 6 to 45 months). Results: The 3-year overall survival and 3-year progression free survival rates were 30% and 8%, respectively.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28 months. A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differentiation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for overall survival. The 3-year overall survival was 34% in R0 patients and 20% in R1 patien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were found between the 2 groups (p=0.3067). The first site of failure was local in 18 patients (47%). No patient experienced grade 3 or higher acute toxicity and duodenal bleeding developed in 2 patient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adjuvant RT might be a significant factor in patients with a positive margin following a radical resection. However, there was still a high locoregional recurrence rate following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adjuvant radiotherapy.

      • KCI등재

        절제 불가능한 식도암의 근치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성적

        노오규(O Kyu Noh),제형욱(Hyoung Uk Je),김성배(Sung Bae Kim),이진혁(Gin Hyug Lee),박승일(Seung Il Park),이상욱(Sang-wook Lee),송시열(Si Yeol Song),안승도(Seung Do Ahn),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훈(Jong Ho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4

        목 적: 절제 불가능한 식도암에서의 근치적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치료 성적과 재발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2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절제불가능한 국소진행된 식도암으로 진단 받 거나 내과적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식도암으로 진단 받은 후 근치적 목적의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1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원발병소와 종격동, 그리고 원발병소와 림프절 전이의 위치에 따라 쇄골 상부림프절과 복강림프절을 포함하여 42∼46 Gy의 외부방사선을 조사하였고, 이후 원발병소와 림프절 전이 부위에는 54∼66 Gy까지 추가 조사하였다. 분할조사 방법은 분할조사선량 1.8∼2 Gy씩 1일 1회 조사하거나, 1.2 Gy씩 1일 2회 조사하였다. 고선량률관내방사선치료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Ir-192를 이용한 고선량률 방식으로 3 Gy씩 3∼4회 시행하였다. 항암치료는 5-FU와 cisplatin을 이용하여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5-FU 1,000 mg/m2/day, days 2∼6, 30∼34, cisplatin 60 mg/m2/day, days 1, 29)를 2주기 시행하고 방사선치료 후에 2 주기를 추가하여 시행하였다. 결 과: 분석 가능한 환자는 160명 이었으며, 추적관찰 기간은 1개월에서 149개월(중앙값 10개월)이었다. 환자의 AJCC 병기는 I, II, III, IV 기가 각각 5명(3.1%), 38명(23.8%), 68명(42.5%), 49명(30.6%)이었다. 26명(16.3%)의 환자에서는 9∼12 Gy의 추가 관내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관내방사선치료를 포함하여 총 40 Gy 이상 조사받은 144명의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조사량의 범위는 44.4∼66 Gy (중앙값 59.4)이었고, 총 방사선 조사량의 범위는 44.4∼72 Gy (중앙값 60)이었다. 분석가능한 160명의 환자 중에서 101명(63.1%)에서 재발하였으며, 재발 양상으 로는 국소 재발이 20명(12.5%), 지속적 병변 또는 국소 진행이 61명(38.1%), 원격전이가 15명(9.4%),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함께 있는 경우가 5명(3.1%)이었다. 전체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1.1개월이었고, 2년 및 5년 전체생 존율은 각각 31.8%, 14.2%이었다. 중앙무병 생존기간은 10.4개월이었고, 2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29.0%, 22.7%이었다. 항암화학방사선치료 후에 종양 반응 및 림프절 병기만이 전체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였다. 방사선 조사량(≥50 Gy vs. <50 Gy), 관내방사선치료의 추가 유무, 분할조사(1회/day vs. 2회/day)에 따른 전체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결 론: 식도암에서 근치적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성적은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 후의 주된 재발 양상은 국소 재발이었다. 방사선 조사량의 증가(≥50 Gy), 고선량률관내방사선치료 및 과분할조사법의 시행은 치료 성적을 향상시키지 못하였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outcome and failure patterns after definitive chemoradiation therapy in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94 to December 2002, 168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or medically inoperable esophageal cancer were treated by definitive chemoradiation therapy.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 (42∼46 Gy) was delivered to the region encompassing the primary tumor and involved lymph nodes, while the supraclavicular fossa and celiac area were included in the treatment area as a function of disease location. The administered cone-down radiation dose to the gross tumor went up to 54∼66 Gy, while the fraction size of the EBRT was 1.8-2.0 Gy/fraction qd or 1.2 Gy/fraction bid. An optional high dose rate (HDR) intraluminal brachytherapy (BT) boost was also administered (Ir-192, 9∼12 Gy/3 ∼4 fx). Two cycles of concurrent FP chemotherapy (5-FU 1,000 mg/m2/day, days 2∼6, 30∼34, cisplatin 60 mg/m2/day, days 1, 29) were delivered during radiotherapy with the addition of two more cycles. Results: One hundred sixty patients were analyzable for this review [median follow-up time: 10 months (range 1∼149 months)]. The number of patients within AJCC stages I, II, III, and IV was 5 (3.1%), 38 (23.8%), 68 (42.5%), and 49 (30.6%), respectively. A HDR intraluminal BT was performed in 26 patients. The 160 patients had a median EBRT radiation dose of 59.4 Gy (range 44.4∼66) and a total radiation dose, including BT, of 60 Gy (range 44.4∼72), while 144 patients received a dose higher than 40 Gy. Despite the treatment, the disease recurrence rate was 101/160 (63.1%). Of these, the patterns of recurrence were local in 20 patients (12.5%), persistent disease and local progression in 61 (38.1%), distant metastasis in 15 (9.4%), and concomitant local and distant failure in 5 (3.1%).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31.8% at 2 years and 14.2% at 5 years (median 11.1 months). Disease-free survival was 29.0% at 2 years and 22.7% at 5 years (median 10.4 months). The response to treatment and N-stag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overall survival. In addition, total radiation dose (≥50 Gy vs. <50 Gy), BT and fractionation scheme (qd. vs. bid.)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Conclusion: Survival outcome after definitive chemoradiation therapy in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was comparable to those of other series. The main failure pattern was local recurrence. Survival rate did not improve with increased radiation dose over 50 Gy or the use of brachytherapy or hyperfractio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