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완골 소결절에 발생한 부정 유합의 관절경적 치료 - 증례 보고 -

        손훈상,정덕문,신상진,Sohn, Hoon-Sang,Chung, Duk-Moon,Shin, Sang-Jin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3

        오구 충돌 증후군은 상완골 전상방 면과 오구견봉 궁 후외측면의 비정상적 접촉에 의해 발생하며, 그 원인으로는 외상성, 특발성 및 의인성 인자가 있다. 그 중 외상에 의한 경우는 견갑골 경부, 오구 돌기, 또는 상완골 소결절 골절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상완골 소결절 부정 유합에 의한 오구 충돌 증후군은 드문 질환으로 치료에 대해서는 주로 개방적 수술이 사용되어 왔으나 관절경적 오구 돌기 성형술과 함께 소결절의 경피적 고정술을 보고한 예는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상완골 소결절 부정 유합으로 발생한 오구 충돌 증후군에 대하여 관절경적 수술로 치유된 1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Coracoid impingement syndrome results from abnormal contact between the anterosuperior humerus and the coracoacromial arch. The coracoid impingement may occur from traumatic, idiopathic, or iatrogenic causes. Traumatic causes of coracoid impingement include fractures of scapular neck, coracoid process or lesser tuberosity. Coracoid impingement due to lesser tuberosity malunion is a rare disease and most of them were treated by open procedures. The authors present a case of coracoid impingement caused by malunion after isolated lesser tuberosity fracture which was treated by arthroscopic coracoplasty with percutaneous screw fixation.

      • KCI등재

        견갑하건 부착부의 제1부착면에 대한 초음파 소견의 기술적 연구

        손훈상(Hoon-Sang Sohn),위찬국(Chan Kuk Wi),손민수(Min Soo Sh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4

        목적: 병변이 없는 견갑하건 부착부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통한 견갑하건의 부착부, 특히 제1부착면에 대한 초음파적 영상 소견 및 그 크기를 기술하고 인구통계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3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견갑하건 부착부에서 병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시행된 115예(평균 연령 53.4세, 범위 23-74세)를 최종 평가대상으로 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초음파를 통한 견갑하건의 부착부에 대한 검사상 가장 상부에 위치하면서 제2부착면 이하 부착면들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넓고 평편한 형태와 상방으로 향하고 있는 제1부착면을 확인하였으며 제1부착면의 상완골 간부의 축에 대한 횡축과 종축상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 예의 나이, 성별, 키, 체중, 체질량지수 및 팔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측정된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평균 횡적 길이는 12.75 mm (범위 10.54-14.50 mm, 표준편차 0.712), 평균 종적 길이는 12.22 mm (범위 9.20-13.30 mm, 표준편차 0.888)였다. 성별간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크기는 횡적 길이와 종적 길이 모두에서 남성에서 유의하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1, p=0.001). 양성의 선형 상관관계를 보이는 키, 체중, 체질량지수, 팔 길이 요소들 중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종적 및 횡적 크기 모두에서 키와 가장 강한 양성 선형관계를 보였고(횡적 길이 r=0.749, p<0.001; 종적 길이 r=0.642, p<0.001), 체질량지수와는 약한 양성 선형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외 좌우부위 및 나이는 제1부착면의 크기와의 통계적 유의성이나 선형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병변이 없는 견갑하건 부착부의 초음파적 영상 평가를 시행하여 그 부착부, 특히 가장 상부의 제1부착면의 구조적 및 형태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견갑하건 파열에 대한 초음파 진단적 검사에 대한 해부학적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the sonographic morphology of the subscapularis footprint, particularly the 1st facet, of the non-pathologic subscapularis tendon and footprint,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of the 1st facet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15 and December 2017, retrospectivel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ultrasound (US) scans of 115 consecutive shoulder (mean age 53.4 years, range 23-74 years) with non-pathologic subscapularis tendon and footprint. The sonographic findings of the 1st facet of the subscapularis footprint was a very unique, flat, broad, and plane angle in the upward direction, which wer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facets. On US, the transverse (medio-lateral) and longitudinal (superior-inferior) length of the 1st facet on axis of the humerus shaft were recorded. The 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age, site, body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arm length, were reviewed. Results: On US, the mean transverse length of the 1st facet was 12.75 mm (range 10.54-14.50 mm, standard deviation [SD] 0.712) and the mean longitudinal length was 12.22 mm (range 9.20–13.30 mm, SD 0.888).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length of the size of the 1st facet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01, p=0.001). Of the demographic data (body height, weight, BMI, arm length) tha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linear correlation, the correlation with body height (transverse r=0.749, p<0.001; longitudinal r=0.642, p<0.001) showed the strongest relationship,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BMI was weakly rel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ize of the 1st facet to site/ag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appeared to have no linear correlation. Conclusion: The structural and morphologic features of the 1st facet of the subscapularis footprint on the US were identified. This will provide anatomic knowledge of an US examination for subscapularis tendon pathology.

      • KCI등재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 대한 Hook 금속판 고정술의 치료 결과

        손훈상 ( Hoon Sang Sohn ),조병철 ( Byung Chul Jo ) 대한골절학회 2011 대한골절학회지 Vol.24 No.4

        목적: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 대해 AO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하고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 및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 대해 AO Hook 금속판을 이용하여 수술한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로 UCLA 점수, KSS 점수을 이용하였으며, 방사선학적 결과는 최종 추시 단순 방사선을 이용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평균 골유합 시기는 13.9주 (9~20주)였다. 임상적 평가에서 UCLA 점수는 9예에서 우수, 7예에서 양호이었으며, KSS 점수는 평균 95.5점이었다. 최종 추시상 11예 (68.7%)에서 견봉하 골미란이 발생하였으며 그 중 3예에서 견봉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였다. 다른 합병증으로는 금속판 근위부 골절 1예와 견봉하 충돌증후군과 관련된 관절 강직 2예, 절개창 주위의 감각저하 1예가 발생하였다. 결론: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 대한 Hook 금속판 고정술은 견고한 고정과 함께 높은 골유합율을 얻을 수 있어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지만, 금속판의 형태학적 특성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unstable distal clavicular fractures treated with an AO Hook plat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9 to October 2010, sixteen patients with distal clavicular fractures underwent open plating using an AO Hook plate. The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by measuring the UCLA scores and KSS sores, and the radiolog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simple radiographs at the final follow-up. Results: Fracture union was obtained in all patients at an average of 13.9 weeks (range, 9~20 weeks). The UCLA scoring system showed excellent results in 9 cases and good results in 7. The average KSS scores of distal clavicular fractures were 95.5. At the final follow-up, subacromial osteolysis developed in 11 cases (68.7%) of whom 3 suffered from pain around the acromion. Other complications occurred in 4 patients: one had a fracture adjacent to the plate proximally, two had a stiff shoulder with subacromial impingement, and one had hypoesthesia around the surgical wound. Conclusion: Unstable distal clavicular fractures treated with a Hook plate provided rigid fixation and satisfactory outcomes considering the high union rate. Nevertheless, potential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lated to morphometric properties of the plate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상완골 근위부, 간부 및 원위부 골절에 대한 최소 침습적 금속판 술식

        신상진(Sang-Jin Shin),손훈상(Hoon-Sang Sohn),도남훈(Nam-Hoon Do),강성식(Sung-Shik Kang),백경영(Kyoung-Young Bae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6

        목적 : 상완골 근위부, 간부 및 원위 1/3 골절에 대해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고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여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상완골 근위부, 간부 및 원위 1/3 골절에 대해 최소 침습적 금속판 술식을 시행한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6.7세였으며 남자가 12명, 여자가 19명이었다. 방사선학적 평가로 골유합 및 해부학적 정복에 대한 평가를 하였고, 견관절 및 주관절의 운동 범위, UCLA 점수, KSS 점수 및 술 후 합병증을 조사하여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 모든 환자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평균 골유합 시기는 18.4주였다. 근위부 골절의 임상적 평가에서 UCLA 점수는 9예에서 우수, 3예에서 양호이었으며, KSS 점수는 평균 92.5점이었다. 또한 상완골 간부 및 원위부 골절의 UCLA 점수는 15예에서 우수, 4예에서 양호이었으며, KSS 점수는 평균 98.6점이었다. 합병증으로는 술 후 요골 신경 마비가 1예, 금속판 원위부 골절이 1예 있었으며, 그 외 1예에서 골절부의 회전 변형이 발생하였다. 결론 : 상완골 간부를 비롯한 근위부 및 원위 1/3골절에 대한 최소 침습적 금속판 술식은 낮은 합병증 발생과 우수한 골유합률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는 술기라고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proximal, middle and distal third humeral fractures treated with the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 Materials and Methods: Thirty-one patients with the proximal, middle or distal third humeral fractures underwent MIPO. There were 12 men and 19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46.7 years. The radiological outcomes of bony union and anatomical reduction were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by measuring the range of shoulder and elbow motion, UCLA scores, KSS sores and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Fracture union was obtained in all patients at an average of 18.4 weeks. According to the UCLA scores, 9 were excellent and 3 were good for the proximal humeral fractures. For the middle and distal third fractures, UCLA scoring system showed excellent results in 15 cases and good results in 4 cases. The average KSS scores of proximal and shaft fracture were 92.5 and 98.6, respectively. Complications developed in 3 patients one had radial nerve palsy, one had a fracture adjacent to the plate distally, and one had a rotational deformity. Conclusion: MIPO for proximal, middle and distal third humeral fractures provided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considering high union rate and minor complications.

      • KCI등재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서의 최소 침습적 금속판 술식

        신상진(Sang-Jin Shin),도남훈(Nam-Hun Do),송미현(Mi-Hyun Song),손훈상(Hoon-Sang Soh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대하여 최소 침습적 금속판 술식을 시행하고, 임상 결과를 분석하여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대하여 최소 침습적 금속판 술식을 시행한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 분류는 2분 골절 16예, 3분 골절 10예였으며, 4분 골절 1예가 포함되었다. 임상적 평가는 UCLA 점수와 KSS 점수 및 운동 범위 회복 정도와 합병증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방사선학적으로는 골유합 기간과 경간각 회복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9개월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UCLA 점수는 우수가 15예, 양호가 12예였으며 KSS 점수는 평균 91.4점이었다. 또한 최종 견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 거상이 평균 167.2º로 측정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후 평균 14.1주에 골유합을 얻었으며, 경간각 회복 정도는 우수가 24예였으며 보통이 3예였다. 액와 신경 마비나 심부 감염, 금속판의 충돌 증후군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대한 최소 침습적 금속판 술식은 충분한 해부학적 지식을 숙지하고 시행하면 주변 연부 조직 박리를 최소화하여 합병증 발생을 감소시키고 조기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하므로 상완골 근위부 골절 치료의 효과적인 수술 방법의 하나로 사료된다. Purpose: In this study we introduced minimal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 and analyzed clinical outcome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intervention in proximal humerus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27 patients including 16 cases with a 2-part fracture, 10 cases with a 3-part fracture, and 1 case with a 4-part fractur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UCLA score, KSS score and recovery of range of motion. Time to union and humerus neck-shaft angle change were estimated by radiologic assessment.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19 months. Results: UCLA scores were “excellent” for 15 patients, “good” for 12 patients. The mean KSS score was 91.4 at final follow-up. The average shoulder range of motion was 167.2º in forward elevation. Bone union occurred by 14.1 weeks postoperatively. Humerus neck-shaft angle recovery was “excellent” in 24 patients and “moderate” in 3 patient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such as axillary nerve paralysis, deep infection, or subacromial impingement of the plate. Conclusion: MIPO for proximal humerus fractures is an effective procedure if performed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MIPO leads to minimized dissection of soft tissue, low complication rates and early recovery of range of motion.

      • KCI등재

        경골 원위부 골절의 치료에 사용된 골수강내 금속정과 금속판의 비교

        정훈 ( Hoon Jeong ),유재두 ( Jae Doo Yoo ),고영도 ( Young Do Koh ),손훈상 ( Hoon Sang Sohn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2

        목 적: 경골 원위부 골절에서 골수강내 금속정과 금속판으로 치료한 증례들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골절선이 원위 관절로부터 4㎝ 내에 위치한 경골 원위부 골절 중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하여 치료한 10예 (금속정 고정군), 금속판으로 치료한 9예 (금속판 고정군)를 대상으로 방사선 사진과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각각의 치료군에 대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골 유합은 금속정 고정군에서 평균 14주, 금속판 고정군에서 평균 16주였다. 관상면에서의 변형은 금속정 고정군에서 평균 4.1도, 금속판 고정군에서는 평균 3.1도였으며, 시상면에서의 변형은 각각 1.7도 및 2.7도였다. 회전 변형은 금속정 고정군에서 평균 2.8도, 금속판 고정군에서 평균 1.7도였다. 최종 추시에서 내고정 기기의 파손은 없었으며 전 예에서 연부 조직과 관련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경골 원위부 골절에서 관절면의 침범이 최소한인 경우에 사용된 골수강내 금속정은 골 유합의 시기와 임상적 결과에서 금속판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며, 연부 조직의 보존이라는 측면을 고려할 때 경골 원위부 골절에서 골수강내 금속정은 유용한 치료 방법이라 고 생각된다. Purpose: To com pare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between intram edullary nailing and plate fixation in the treatment of distal tibi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19 cases of distal tibialmetaphyseal fractures within 4㎝ of the ankle joint line were enrolled. T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 and the others with plate and screws. Results: The mean union time was 14 weeks in nailing group and 16 weeks in plate group. The average angulation in AP view was 4.1 degrees in nailing group and 3.1 degrees in plate group. The average angulation in lateralview was 1.7 degrees in nailing group and 2.7 degrees in plate group. The rotational deformity was 2.8 degrees in nailing group and 1.7 degrees in plate group in average. There was no implant failure and soft tissue problem.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between intramedullary nailing and plate in the treatment of the distal tibial fractures and, considering the preservation of the soft tissue, the intramedullary nails are a reliable method for managing distal metaphyseal fractures of the tibia.

      • KCI등재

        증례 보고 : 동측 쇄골의 내측 및 외측 동시 골절: 이중 쇄골 골절

        박경준 ( Kyoung Jun Park ),손훈상 ( Hoon Sang Sohn ),백경영 ( Kyoung Young Baek ) 대한골절학회 2011 대한골절학회지 Vol.24 No.1

        쇄골 골절은 임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상지 손상의 하나이나, 동측 쇄골의 내측, 외측 혹은 간부 골절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7예가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낙상 후 발생한 쇄골 외측골절과 동반된 쇄골 내측 골절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손상 기전과 진단 및 치료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Clavicular fracture is common injury in the upper extremity, but ipsilateral proximal, distal or middle-third clavicular fractures which occur simultaneously are an extremely rare. Seven ca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English and Japanese literatures, but it has never been reported in Korea. We report a case of ipsilateral proximal and distal clavicular fracture caused by fall from height and describe its presumed mechanism, diagnosis, treatment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중등도 이상의 손상 환자에서 손상 중증도에 따른 정형외과적 손상에 대한 수상기전, 손상유형, 초기 치료적 접근의 비교

        이의섭(Eui-Sup Lee),손훈상(Hoon-Sang Sohn),김영환(Younghwan Kim),손민수(Min Soo Sh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5

        목적: 중등도 이상의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의 중증도에 따른 정형외과적 손상의 손상기전, 부위, 유형, 치료적 접근 및 그 치료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응급실/외상센터가 운영되지 않은 기간을 제외한 57개월 동안 국립중앙의료원 외상센터로 입원한 손상 중증도 점수(Injury Severity Score, ISS) 9점 이상의 환자들 중 정형외과적 손상이 동반된 77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ISS와 생리학적 지표를 기준으로 한 손상의 중증도에 따라 중등도 손상군(1군, 679명)과 중증 손상군(2군, 99명)으로 분류하고 손상기전, 비정형외과적 손상을 평가하였다. 정형외과적 손상은 침범된 해부학적 영역과 골격구조의 수와 유형을 평가하였고, 치료적 접근 방법을 세분화하여 비교하였다. 치료결과는 재원기간을 포함하여 재원기간 내 발현된 전신 합병증과 사망률을 평가하였고 사망률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2군이 보다 젊고, 남성의 빈도가 높았고 고에너지 손상기전 및 동반 손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정형외과적 손상중 침범된 골격계의 수는 2군에서 유의하게 많아지면서 하지를 주로 침범한 1군에 비해 2군에서는 골반, 척추, 상지 영역의 침범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정형외과적 손상은 환자의 임상적 상태에 따라 확정적 또는 단계적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다발성 중증 손상을 보이는 2군에서는 일시적 외고정술을 이용한 단계적 수술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1군에서는 생리학적 안정화를 이룬 뒤 확정적 수술을 시행하는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재원기간 역시 길어졌으며 재원기간 내 총 전신 합병증은 약 4.9%, 총 사망률는 약 4.5%였다.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사망률은 유의하게 높아졌다(1군 2.9%, 2군 15.2%; p<0.0001). 사망률에 미치는 요인 중 고령과 높은 ISS가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손상의 중등도가 높을수록 고에너지 손상기전에 의한 손상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며 보다 젊고, 남성의 빈도와 동반 손상의 빈도가 높아졌다. 정형외과적 손상 역시 다발성 손상의 빈도와 중증도가 유의하게 증가되면서 정형외과적 외고정장치를 이용한 내고정술 등이 단계적 치료의 일환으로 시행된 경우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재원기간, 전신 합병증 및 사망률 역시 유의하게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며, 사망률에는 높은 연령과 ISS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injury mechanism, site, type, initial management approach of orthopedic injury, and outcomes according to the injury severity in moderate-to-severe injure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57-month, excluding the period when the authors’ emergency/trauma center was not operating, from 2014 to 2019,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778 patients with orthopedic injuries among patients with an Injury Severity Score (ISS)>9 scored.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moderate-injured group (group-1, 679) and severe-injured group (group-2, 99) according to the injury severity based on the ISS and physiologic parameters. The injury mechanism and non-orthopedic injury were evaluated. Orthopedic injuries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 injury pattern and the number of anatomical regions and bone sites involved. The management approach for the orthopedic injuries in two groups was compared. Outcomes (hospital stay, systemic complications, and inhospital mortality) were evaluated, and the risk factors for mortality were analyzed. Results: In group-2, the incidence of younger males, high-energy mechanisms, and accompanying injur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group-1. The number of anatomical regions and bone sites involved increased in group-2. The involvement of the pelvis, spine, and upper extrem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2, whereas group-1 was involved mainly by the lower extremities.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definitive or staged management for orthopedic injuries may be used. Group-1 was treated mainly with definite fixation after the physiological stabilization process, and group-2 was treated with staged management using temporary external fixation. Th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longer in group-2. The overall systematic complications and in-hospital mortality was approximately 4.9% and 4.5%. A higher injury severity was associated with higher in-hospital mortality (2.9%, 15.2%; p<0.0001). Increasing age and high ISS a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mortality. Conclusion: A higher severity of injury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incidence of high-energy mechanism, younger, male, accompanying injuries, and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orthopedic injuries. Severe polytrauma patients were treated mainly with a staged approach, such as external fixation. The hospital stay, systematic complications, and in-hospital morta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vere-injured patients. Age and ISS are strong predictors of in-hospital mortality in polytrauma.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 감염의 술전 위험 인자

        김희천 ( Hee Chun Kim ),손훈상 ( Hoon Sang Sohn ),이상은 ( Sang Eun Lee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rate of deep infection and the risk factors for infection after primary total knee arhroplasties.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of 229 patients (376 knees) who underwent total knee replacement (TKR)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07 and who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one year. The risk factors for deep infection were determined via univariate analyses. Results: The overall rate for developing infection was 1.9% (7 of 376). The risk factors were an operating theatre other than the main room (odds ratio=33.2, 95% confidence interval=1.9, 583.6) and a preoperative hemoglobin level lower than 12 mg% (odds ratio=4.3, 95% confidence interval=1.9, 9.4). Conclusion: The deep infection rates after TKRs might vary depending on the preoperative level of hemoglobin and the operating-room environment. Successful strategies to overcome the host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are needed with the goal of preventing infection of the prosthesis.

      • KCI등재

        비스포스포네이트: 1차 약제로서의 역할은 여전한가?

        정회정 ( Hoejeong Chung ),이진우 ( Jin Woo Lee ),엄재웅 ( Jae Woong Um ),손훈상 ( Hoon-sang Sohn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3

        Bisphosphate는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된 약물로, 현 시점에서 치료제로서 적용되는 영역과 현재까지 보고된 부작용에 대해 살펴보며 향후의 방향성에 대해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Bisphosphate 사용에 따르는 단기 부작용에는 급성기반응, 저칼슘혈증, 안구 염증, 위장관 장애 등이 있으며, 장기 부작용에는 악골 괴사, 비전형 대퇴골 골절 등이 있다. Bisphosphonate의 현재 치료 적용 분야에는 골다공증뿐만 아니라 골감소증,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전이성 골종양 등이 있으며, 향후 골표적제로서의 역할 또한 기대해 볼 수 있다. Bisphosphonate는 골다공증의 1차 치료약제로서 최근에도 활발히 치료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골절 발생 위험도 및 발생 시기에 따른 치료 시작 시기와 기간 및 휴약기 등을 고려하여 치료에 적용하여야 한다. 골다공증 치료 영역에서 bisphosphonate는 그 자체의 효과 및 효용성은 물론, 사용기법의 정교화 및 적용방법의 다양화 등을 통해 1차 약제로서의 입지가 당분간은 굳건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골대사성 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골병변 및 관절병변의 치료에 있어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갖고 있으며 앞으로 다양한 연구가 가능한 영역이 될 것이다. Over the last two decades, bisphosphonate has widely been applied in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We reviewed the various adverse effects, current trials involving diverse bone metabolic disease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bisphosphonate. Acute phase reaction, hypocalcemia, ocular inflammation, and gastrointestinal disturbances are the well-known short-term side-effects of bisphosphonate. Long term side-effects include osteonecrosis of the jaws and atypical femur fracture. In the modern clinical setting, bisphosphonate is widely used in treatments for osteoporosis, osteopenia, osteo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and metastatic bone cancer. Further studies are underway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 as a bone-targeting agent in bone-related diseases. Bisphosphonate remains useful and invaluable as the 1st line medication for osteoporosis. Considering the numerous clinical situations, including time to medication after fracture, duration of drug usage, and individual drug holiday, an optimal and proper use of bisphosphonate needs to be achieved. In the current scenario, bisphosphonate will retain a strong position due to good efficacy and effectiveness for osteoporosis treatment, and the precise application to various bone diseases. We anticipate a key role of bisphosphonate for future application in the treatment of metabolic bone diseases. Further studies and advancement are highly anticipated, considering the high potential of bisphosphonate for various 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