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비교연구 -장애인과 비장애인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손지아 ( Son Ji-a ),박순미 ( Park Soon-mi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3 장애인복지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괜찮은 일자리 기준에서 장애인 일자리와 비장애인 일자리 특성을 비교하여 장애인 일자리의 질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괜찮은 일자리 특성에 따른 장애인, 비장애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괜찮은 일자리 지표 가운데 특히 적절한 임금(장애인 32.0%, 비장애인 63.1%), 노동보장성(장애인 34.6%, 비장애인 68.4%), 사회보장(장애인 33.5%, 비장애인 55.8%) 지표는 두 집단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비장애인-장애인의 괜찮은 일자리 비율 격차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괜찮은 일자리 여부를 구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전체 집단, 비장애인집단, 장애인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체 집단모형에서 장애변수의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비장애인과 장애인 간의 괜찮은 일자리 여부확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임금근로장애인의 일자리의 질적 수준이 매우 낮음을 알려준다. 또한 임금 근로장애인은 임금근로비장애인에 비해 상대적으로도 질적 수준이 낮은 일자리에서 종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정부가 장애인의 취업정책을 전개할 때 일자리의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장애인이 일하기 적합한 일자리의 확보가 더 중요함을 알려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mploym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with ‘decent job’ based on the ILO index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im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of the Eisabled(PSED) and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 The following results were identified. First, the factors of adequate wages(the disabled 32.0%, non-disabled 63.1%),, employment stability(the disabled 34.6%, non-disabled 68.4%), social security(the disabled 33.5%, non-disabled 55.8%) in terms of decent job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In other words, the disabled employe were less level than non-disabled employe. Second, the factor of disabili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cerning the two groups.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jobs for the disabled tended not to satisfy the 'decent job' standard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reexamine the directions of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It appeared that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should be directed to raise quality standards of the available jobs rather than increasing job itself. On the other hands, it would be also important in the future to deal with ‘decent job’ more carefully and concretely by developing qualitative indicators which reflec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 KCI우수등재

        청소년의 우울과 비행의 종단적 관계: 부모, 또래 및 교사요인의 영향

        손지아(Ji Ah Son),김선희(Sun Hee Kim)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6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to explor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elinquenc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parent neglect, delinquent peer association, and teacher relationships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elinquenc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79 students from the second to sixth waves of longitudinal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Results: First, the trajectory of adolescent depression decreased slightly, whereas delinquency increased across time. Second, the initial level of depression indicate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slope of delinquency. Third, the intercept of depression was affected by parental abuse, parental neglect, and teacher relationships. Further, the slope of depression was only influenced by parental abuse. Fourth, the intercept of delinquency was affected by parental abuse, delinquent peer association, and teacher relationships. Further, the slope of delinquency was influenced by parental abuse, parental neglect, and delinquent peer associa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s targeting parental abuse and neglect to prevent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 KCI등재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의 관점에서 본 장애인 고용의 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손지아(Ji-a Son),박순미(Soon-mi Park) 한국노동연구원 2011 노동정책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일자리의 질을 측정함에 있어 최근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한 ‘괜찮은 일자리’ 개념을 도입하여 괜찮은 일자리의 구성요소들을 기준으로 장애인 일자리에서 괜찮은 일자리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측정 가능한 지표들을 구성하고, 장애인 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장애인의 특성(성별, 학력 등)별 비교를 통하여 괜찮은 일자리를 분석한 결과, 개별 지표별 다양한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연령에 있어서는 20~30대 집단(vs. 40대 이상)이, 학력에 있어서는 대졸 이상 집단(vs. 중졸 이하)이 괜찮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괜찮은 장애인 일자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40대 이상의 중고령자 및 저학력 근로자들을 배려하는 고용정책이 도입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산업 구분에 대한 분석 결과는 지표별로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또한 임금근로 장애인의 일자리 특성을 괜찮은 일자리 구성요소에 적용해 보았을 때 10개 지표 전체를 충족시키는 일자리 비율은 0%였으며 최고 8개 지표를 충족시키는 일자리 비율은 0.4%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 장애인 고용정책의 방향에 대해 검토하고 일자리 그 자체가 아닌 일자리의 질적 수준을 고려한 고용정책으로 전환해야 함을 시사한다. 한편으로는 장애인 일자리의 특수성을 반영한 질적 지표들이 개발되어 장애인 일자리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석과 접근 또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asurable indicators of ‘decent job’ based on the ILO indexes and to explore how much of the disabled people’s job could be classified into ‘decent job’ category.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im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When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criteria employ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identified. First, when the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s, results showed a remarkable differences. However, in terms of age and education level, it was found that thos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vs. forties) and those who were college graduate(vs. middle school graduate or less) tended to be over representative under 'decent job' categories. Second, when the job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using ‘decent job’ standards, it was revealed that 0% of the jobs available for the disabled satisfied all the 10 standards employed in this study. The ‘decent job’ which satisfied 8 out of 10 standards was 0.4%.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jobs for the disabled tended not to satisfy the 'decent job' standards employed in this study.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reexamine the directions of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It appeared that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should be directed to raise quality standards of the available jobs rather than increasing job itself. On the other hands, it would be also important in the future to deal with ‘decent job’ more carefully and concretely by developing qualitative indicators which reflec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와 실무원의 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D광역시교육청을 중심으로

        손지아(Ji A Son),주현준(Hyun Jun Joo)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6 지방교육경영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와 실무원이 직접 경험한 갈등의 유형을 파악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갈등관계를 개선할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D광역시교육청 산하 초등학교에 근무 중인 교사와 실무원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실무원의 갈등은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직접적 갈등은 업무 수행 측면과 업무 외적 측면, 간접적 갈등은 인사관리, 학교문화로 구분된다. 둘째, 갈등의 원인은 각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표적으로 비협조적인 근무 태도, 전문성 부족, 불명확한 업무 구분, 부적절한 언행 등이 있었다. 셋째, 교사와 실무원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와 교육청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 교사와 실무원의 부단한 노력과 단위학교 및 시·도교육청 차원의 지원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 Teacher assistants in public schools have become valuable members of the educational support staff for teachers. As the number of teacher assistants has steadily increased over the last two years, the need to solve the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teacher assistants has become imperative. However, studies about the status quo are quite limit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n in-depth investigation into the conflict phenomenon and casual factors between teachers and teacher assistants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This qualitative research is conducted with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eacher assistants located within D metropolitan city area from March, 2014 to May, 2014.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two types of conflicts. One is work related conflict and the other is non-work related conflicts such as personnel management, and school cultures. Second, the causes of conflicts differ based on types of conflicts: Service attitude, lack of professionalism, workload, improper language, and negative manner. Third, cooperated efforts from school-based and office of education must be made to settle down the conflicts. It is an urgent issue to change the conflicts into positive functions so that the system can reach its original purpose. Therefore, efforts of teachers and staffs must be harmoniously made along with the efforts of school and office of education.

      • KCI등재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분석

        송영달(Song, Young-dal),손지아(Son, Ji-a),박순미(Park, Soon-mi)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2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생태체계적 관점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개인체계, 가족체계, 지역사회체계로 구분하여 노인자살생각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독거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 정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개인체계 요인 중 우울, 가족체계 요인 중 가족구조, 지역사회 요인 중 사회활동의 참여로 나타났다. 즉 우울이 높을수록, 가족구조에 있어 동거하지 않는 가족이 존재하는 노인들의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활동의 참여가 활발하지 않을수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인우울에 대한 프로그램과 서비스의 체계적 제공과 독거노인의 사회참여를 위한 기회 및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노인자살문제에 대한 정책방향이 현재의 개인적 접근위주에서 벗어나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의 다차원적인 접근으로 전환되어야함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eco-system approach.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im, this study first classified important variables into three broad categories including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systems and then proposed intervention strategies useful to prevent suicide among the single elderly.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ubjects' overall level of suicidal ideation was relatively high. Second, in terms of personal system factors,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score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the single elderl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depressed, the more they thought about suicide. Third, within the family system facto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derly who had children or grandchildren tended to have more suicidal ideation than others. Finally, as a local community system factor, the participation into social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 in reducing the elderly's suicidal ide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programs and services for the single elderly in order to prevent suicide. It is also important to vitalize the opportunities and practical programs for social participation among the single elderly. Las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the social policies to suicidal prevention for the elderly should move away from overly focusing on individual-level approach and should be directed to multi-dimensional approaches which incorporate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dimensions.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 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습성과의 매개효과

        박순미(Park, Soon Mi),손지아(Son, Ji A)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 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과 실습성과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G지역과 J지역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출방식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89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 만족도 중 실습수업 만족도만이 임파워먼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실습성과 수준이 증가할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습성과는 사회복지현장실습 만족도 중 실습내용적절성 만족도, 실습슈퍼바이저 만족도, 실습지도교수 만족도와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수업 만족도와 임파워먼트간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 성과 향상과 나아가 이들의 임파워먼트 증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practicum satisfaction on their empowerment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practicum outcomes.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completing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n Gyeongsangnam-do and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major outcomes of the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First, the practicum clas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as found to have direct impact upon their empowerment. Second, it became evident that the empowerment of the students is intensified as the level of their practicum outcomes escalates. Thir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path from practice content suitability, supervisor satisfaction and practicum advisor satisfaction to the student"s empowerment majoring in social welfare was fully mediated by practicum outcomes. And the path from practicum class satisfaction to the student"s empowerment majoring in social welfare was partially mediated by practicum outcom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could be discussed to take measures to enhancement th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from the practicum satisfaction and to promote their empowerment a practical manner as part of policy intervention

      • 여성운동이 여성복지에 미친 영향과 의미

        김영화(Kim, Young-Hwa),손지아(Son, Ji-A) 한국복지행정학회 2004 복지행정논총 Vol.14 No.2

        한국의 여성복지는 요보호여성을 중심으로 한 부녀복지사업에서 출발하여 오랫동안 그 틀을 유지해오다가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여성의 지위와 역할의 변화로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여성복지의 개념으로 확대되었고 국가가 점차 여성복지정책의 주체로 확립되었다.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는 여러 개혁적인 복지관련 입법들을 주도하고, 여성정책을 독립적으로 담당하는 정부기구가 형성되는 등의 발전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방 이후 여성복지의 변화와 특성을 여성운동과의 관련성속에서 연구해보고자 한다. 즉 한국의 여성운동이 여성복지정책과 제도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한국 여성복지의 전개 방향과 특성은 무엇인지 파악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특히 여성운동과 여성복지의 관계 속에서 복지발전에 대해 시사하는 점을 밝혀내고, 앞으로 변화된 복지환경 속에서 여성운동이 여성복지 일반에 어떤 영향을 가지는지 논의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women s social action on the social welfare for women and their meaning for it. The study begins with an analysis and discussion of the Korean historical background divided 5 periods from 1945 to 1990 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s social action and social welfare for women; their issues and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the general level of Korean social welfare, women s welfare is much more developed thanks to women s social action even the global neo-liberal circumstances. The women s social action based women s studies, one side, and feminist s participation, the other side, has accelerated making various social policies related women issues. A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women s social action is inevitably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for wome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hav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for developing of specific areas, such as welfare for children, aging people and families. Social movement and action foster developing welfare policies from conformable and accommodative forms to innovative and reformative types.

      • KCI등재

        재학대 피해아동의 보호에 관한 소고

        김혁돈(Kim Hyeok-Don),손지아(Son Ji-A) 한국피해자학회 2020 被害者學硏究 Vol.28 No.3

        아동학대는 아동의 인격형성에 악영향을 기칠 수 있어 현재의 피해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피해자를 양산한다는 점에서 근절되어야 할 대상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아동학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재학대행위 역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학대행위의 증가는 피해아동의 열악한 지위에서 오는 구조적인 문제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고, 이러한 상황은 피해아동이 적극적으로 학대피해사실을 신고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아동학대는 재학대행위로 나아가는 경향이 있는 것이 확인되고 이에 대하여 단순히 처벌이나 상담이나 교육과 같은 가정지원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재학대행위를 예방하고 근절하기 위하여는 사전적인 조치와 함께 사후적인 조치가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학대행위가 재학대행위로 나아가는 것이므로 학대행위가 발견되었을 때 학대행위의 위험성을 판단하여 학대행위자와 피해아동을 분리하는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동의 경우 원가정에서 보호되고 양육되는 것이 아동과 친권자 모두에게 최선의 방향인 만큼 모든 경우에 분리보호조치가 취해져서는 안되겠지만 위험성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한다면 효과적인 재학대예방책이 될 수 있다. 여기에는 재학대위험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아동학대지수와 같은 사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선결과제라고 할 수 있다. 학대행위자에 대한 사후적인 처분에 있어 아동학대처벌법상의 규정에 따라 분리조치, 접근제한 등의 조치뿐만 아니라 실효적인 교육 내지는 치료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동가정에 대한 종합지원이 있어야 하고, 이것이 실효적이기 위해서는 학대조사공무원 등 피해아동지원에 관계된 인력의 육성과 확보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Child abuse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formation of children s personality, so it should be eradicated in that it produces not only the current damage but also potential victims. However, child abuse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number of re-abuses is also increasing. The increase in re-abuse can be attributed to structural problems arising from the poor status of the victim, and this situation is said to be the cause of the inability to actively report abuse victims. Therefore, child abuse tends to go on re-abuse, and it is a problem that cannot be solved by simply punishment and family support such as counseling or education. In order to prevent and eradicate re-abuse, it seems that preventive and follow-up measures should be taken. Since abusive behavior leads to re-abus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separate the abuser from the victim by judging the risk of the abuse when it is discovered. In general, in the case of children, being protected and raised in the original family is the best direction for both the child and the parental authority, so separate protection measures should not be taken in all cases. The prerequisite is to develop assessment tools such as the Child Abuse Index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risk of enrollment. In the post-mortem disposition of abusers, there must be effective education or treatment, as well as access restrictions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Child Abuse Punishment Act. In addition, there must be comprehensive support for child families, and in order for this to be effective, attention must be paid to fostering and securing human resources related to support for victims such as social worker working fo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