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每日申報󰡕(1910-1945) 기사를 통해 본식민지 조선의 臺灣 인식

        손준식(Son, Jun-sik),이승찬(Lee, Sung-c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7 역사문화연구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Joseon’s recognition of Taiw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an analysis of the articles in Maeilshinbo (1910-1945). Maeilshinbo was the only Korean daily newspaper published without interrup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analysis of Maeilshinbo reveals the following results. In the 1930s, during which ‘Rice Self-management Law(米穀 自治管理法)’, ‘the Taiwan Rice Shipment Administration Order(臺灣米 穀移出管理案)’ had been considered and enacted, there were many articles published: the Great earthquake(1935), colonial management salary reduction(1931), government general personal transfers (1936), the Taiwan inspection team(1939), and the WuShi(霧社) incident(1930). Political and economic topics account for 80% of the total articles. The publication also consisted of many simple reports and very few editorial and commentary articles. In the political field, of most articles reported on colonial power, domination and administration, only a few of them were devoted to nationalist movements, while more of them were related to the economic field. In the social field, there are many weather related articles such as earthquakes and typhoons, as well as articles related to travel,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in the cultural field. On the other hand, it was introduced that Taiwan was a far south island with no relation with Joseon, and became a paradise through the colonial rule of Japan, despite the actual heat, epidemic, and den of wild tribesmen. In addition, though Taiwan was a competitor of Joseon, it was also recognized as a partner capable of cooperating with trade, industry, and colonial administration. It seems to have often been the subject of comparison and reference as a model of colonial Joseon. As a result, the articles related to Taiwan mainly focused on two areas: the political and economic fields, as well as the achievements of the colonial rule and system over both the social and cultural field, and the national resistance movement needed to understand and recognize Taiwan. The articles als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Maeilshinbo, such as its position as the official newspaper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However, it shares similarities regarding a sense of superiority to Taiwan, regardles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r Joseon intellectuals. 본 연구는 󰡔매일신보󰡕(1910-1945)의 관련 기사 분석을 통해 일제 식민지시기 조선의 대만인식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매일신보󰡕는 일제 통치기간 중단된 일 없이 발간된 유일한 한국어 일간신문이었다. 대만 관련 󰡔매일신보󰡕 기사 분석 결과, 연도별로는 ‘米穀自治管理法’과 ‘臺灣米穀移出管理案’이 논의되고 시행되었던 1930년대 중에서 大地震(1935), 식민지 官吏 減俸문제(1931), 총독부 인사이동(1936), 대만시찰단(1939), 霧社사건(1930) 등이 있었던 해의 기사가 많았다. 주제별로는 정치와 경제 관련 기사가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성격별로는 단순 보도기사가 대부분이고 논설이나 해설 기사가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다음 정치 분야에서는 식민지 권력과 지배 및 행정에 관한 보도에 편중되고 민족운동 관련 기사가 매우 적으며, 경제 분야에서는 정책 기사가 다른 항목보다 많다는 특징이 있다. 사회 분야는 지진과 태풍 등 기상 관련 기사가 많으며, 문화 분야에서는 여행과 공연/전시 관련 기사가 많았다. 한편 대만은 조선과 별 인연이 없는 머나 먼 남쪽 섬나라로 더위와 전염병이 창궐하고 사람 목을 따는 生蕃의 소굴이었으나 일본의 식민통치를 통해 天惠의 樂土로 변했다고 소개되었다. 또 대만은 朝鮮米의 경쟁 상대이기도 하지만 무역과 산업, 식민행정 상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파트너로 인식되었고, 식민지 조선의 모델로 자주 비교와 참고의 대상이 되었던 것 같다.결국 대만 관련 기사가 대만을 이해하고 인식하는데 필요한 사회 문화 분야에 비해 정치 경제 분야에 집중되고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는 민족운동에 비해 식민 통치와 체제에 관련된 단순 보도와 일본 식민통치의 치적을 강조하는 내용이 많았다는 점은 총독부 기관지였던 󰡔매일신보󰡕의 특징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다만 총독부 관리나 조선 지식인을 막론하고 대만에 대해 모종의 優越感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民族紙와의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方豪와『中西交通史』 : 그 사학사적 의미와 한계

        손준식(Son, Jun-sik)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0 중앙사론 Vol.0 No.51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modern Chinese historian Fang Hao(1910-1980) and the meanings of Zhongxi jiaotong shi, one of his representative achievements, in history of historiography including its composition, material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It is thought that the author, who had never had any formal professional education of history, was able to write a masterpiece of this field not only due to the atmosphere of Chinese universities and academia of the time which emphasized competence rather than educational background, but also with his own effort and will as the greatest driving force. The author lived an extraordinary life by consistently publishing numerous wide-ranging academic writings during his busy daily life of actively participating in various conferences and research institute activities, while fulfilling his duties as a Catholic priest, a director of a press, and a professor as well. Zhongxi jiaotong shi is a book that almost completely summarizes the history of Sino-Western exchange from the prehistoric era to the mid-Qing Dynasty, and it’s difficult to find a research comparable to this in terms of composition, cited materials,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perspective. While it describes the relations with the West in a chronological order until the late-Ming dynasty, which is when the contact between China and the West began in earnest, it takes an exceptional approach regarding the Sino-Western cultural exchange mainly developed by Western missionaries after the late-Ming dynasty, by dealing in detail according to each academic discipline. In addition, the trustworthiness of historical investigation is increased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materials and preceding studies including excavated artifacts and ancient legends, and in some cases it shows flexibility of using materials from East Asian countries that are not in the research range. Moreover, comprehending the phenomenon of Sino-Western exchange from the world-history perspective and focusing on indirect and trivial relations were rare attempts compared to preceding researches. This book not only has expanded the horizon of studies on the history of Sino-Western exchange through finding out historical sources and individual researches unnoticed by others, but is also characterized by solving long-standing issues of academia and correcting errors of related materials and preceding researches which led to a lot of new interpretations. This has been made possible due to the author’s solid basis of Chinese studies, excellent foreign language skills, detailed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his own unique view of the history. The author focused on studying the Sino-Western cultural exchanges during the late-Ming and the early-Qing period because, other tha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his growing up and being a priest, he considered the continuation of cultural exchanges with the spirit of mutual equality and respect as the most ideal direction for human society’s coexistence and convergence. As a member of the generation that had experienced inequalities and invasions between China and the West since the Opium War, this perception of the author is thought to be an academic attitude ahead of the times. Although this book has a lot of strengths shown above, it has problems such as poor readability due to the systematic limitation of writing practices of the time, and the misprints caused by rushing printing to use it as a textbook. Quite a few imperfections such as contents that seem to be the author’s mistake or misunderstanding and the lack of consistency(unity) are found additionally. As the author was also aware of these shortcomings and was very dissatisfied by them, it’s a shame he did not have an opportunity to make corrections and supplementations to the en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일제시기 臺灣人의 중국 진출 유형과 그 삶

        손준식(Son, Jun-Sik) 한국역사민속학회 2012 역사민속학 Vol.- No.40

        본 논문은 일제시기 대만인의 조국 인식 즉 그 정체성의 일면을 이해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 식민지 대만인의 다양한 중국 경험을 파악해보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대만인의 중국 진출 동기와 유형을 지역별로 정리한 다음, 대만인의 활동을 ‘臺灣浪人’, 반일단체의 조직과 항일활동, 친일·부일협력자, 중일전쟁 시기의 항일투쟁으로 나누어 검토해보고 아울러 그 삶의 모습을 엿보고자 하였다. 일제시기 중국에 진출한 대만인이 얼마나 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대만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언어소통에 큰 문제가 없는 화남지역 특히 복건에 가장 많이 거주하였고, 만주국 수립 이후와 중일전쟁 기간 대륙으로 건너간 사람이 그 이전보다 많았으며, 상공업에 종사한 사람이 가장 많았고 의사·교사·학생 등 정상 직업을 가진 자가 다수였지만 도박?아편?매음 등을 업으로 삼은 무뢰배와 기녀들도 적지 않았다. 당초 대만에서 죄를 짓고 중국으로 밀항한 자가 주축이었던 대만낭인들은 이후 일본의 남진정책에 따라 강력한 범죄 집단으로 성장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비호 하에 온갖 불법을 저질러 私利를 챙기고 중국의 치안을 파괴하고 중국인을 멸시하고 괴롭혔을 뿐 아니라 일본의 중국침략에 앞장섰다. 이들은 대만인 전체의 이미지를 추락시키고 중국인의 악감정을 불러일으켜 결국 戰後 대만인과 대륙인의 충돌을 야기하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가 되었다. 한편 식민지지배를 거부하고 중국에 온 대만지식인과 청년학생들은 중국 거주 대만인을 결집, 항일활동을 전개하였고 더 나아가 중국인·조선인과 함께 각종 단체를 결성하고 잡지를 발간하여 일본제국주의에 반대하고 대만 해방을 주장하였다. 중일전쟁 발발 후에는 대만의용대와 대만혁명동맹회 등을 조직하여 항일투쟁에 나섰지만 국민당정부로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받지 못했고 대만 접수작업에도 직접 참가하지 못했다. 일제시기 중국 진출 대만인 중 항일운동 참가자와 친일협력자 및 무뢰배들을 제외한 대다수는 안정된 생활이 우선이었기 때문에 처한 상황에 따라 자신의 신분을 감추기도 이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중일 간에 전쟁이 일어나면서 이러한 처신은 더 이상 용납되지 않고 양자택일을 강요받게 된다. 이에 일본군 내지 괴뢰정권에 참여하여 안전을 보장받고 일본‘신민’으로서의 ‘특권’을 누린 이들은 전후 그 ‘代價’를 지불하거나 자신의 중국 경험에 대해 침묵해야만 했다. 일본제국의 일원으로서 일본 세력의 확장에 따라 출세와 이익을 위해 스스로 중국에 진출한 자들은 그렇다 치더라도 식민통치의 차별과 억압에 불만을 품고 좀 더 나은 자기 발전을 위해 중국에 건너갔거나 전쟁 중 군인이나 군속 등으로 징집된 이들에게는 억울하고도 슬픈 일이었다.

      • KCI등재

        文化大革命 시기(1966-1976) 『人民日報』 보도를 통해 본 중국 정부의 한국 인식

        이사사(Li, Sha-sha),손준식(Son, Jun-sik)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1 역사문화연구 Vol.79 No.-

        본 논문은 문화대혁명 시기 『인민일보』의 한국 관련 보도 분석을 통해 중국 정부의 한국 인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전체 기사 수 통계 결과 문화대혁명 절정기와 1976년을 제외한 연평균 편수는 다른 시기와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1970년 이후 기사가 급증하는데, 주로 한국전쟁, <中朝友好合作互助條約>, 남북적십자회담, 한·미 군사훈련, 베트남 전쟁 등 북한과 미국 관련 보도이며 북한 매체의 보도를 많이 이용했던 반면 한국 자체를 대상으로 한 기사는 매우 적었다. 정치 기사가 압도적으로 많고 그중에서도 외교 분야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1971년 이후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사회, 문화, 경제 분야에 관한 기사가 늘어나고 있다. 한국 정부에 대해 1972년부터 ‘傀儡’라는 용어 대신 ‘僞’라는 수식어와 ‘파시스트’ 등의 표현이 늘어나는 반면 미 제국주의란 호칭과 관련 기사에서 미국이 등장하는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 한국 사회를 ‘인간 지옥’ 또는 ‘철장 없는 감옥’ 등으로 묘사하면서도 朴正熙 정권과 미국에 항거하는 한국 청년학생과 인민에게는 동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결국 문화대혁명 시기 한국 관련 『인민일보』의 보도는 중국의 유엔 가입을 계기로 크게 달라지고 있지만, 미국에 대한 비난과 언급을 자제한 것일 뿐 미국에 종속된 해방시켜야 할 한국이라는 기존 인식은 거의 변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중국 정부(인민)의 내면화된 ‘중국-서구의 이원적 세계관’과 ‘대중국-소한국 구조인식’에 기반한 대국주의적 한국관이 표출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hinese government s cognition of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People s Daily’s reports on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of the Cultural Revolution.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the annual average number of articles is similar to other periods except for the peak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1976. After 1970, there was a surge in reports, mainly about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uch as the Korean War, Sino-North Korean Mutual Aid and Cooperation Friendship Treaty, inter-Korean Red Cross talks, South Korea-U.S. military exercises, and the Vietnam War. However, it makes use of the media in North-Korea, thus there were few reports about South Korea. At the beginning, the majority of the news reports was on politics, especially on diplomacy, but since 1971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coverage on the democratic movement and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fields. Since 1972, the term fake and fascist have been used to refer to the Korean government instead of Puppet. On the contrary, the imperialist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has been used less frequently in terms of U.S. South Korea was described as a hell on earth or a prison without a cage, but it showed sympathy for the Park Chung-hee regime and the Korean students and people who fought against the United States. In the end, although during the period the Cultural Revolution, the People s Daily’s news reports of Korea changed greatly when China joined the United Nations, it only refitted its criticism and remarks against the United States, basically not changing the existied understanding that The liberation of Korea should belong to the United States . This is the perception of the China-Western Europe binary world view and the Greater China-Little Korea structure that the Chinese government has internalized. This is a manifestation of the great-power view of Korea based on the little-Korea Struc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