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현대사진에서의 실재

        손영실 ( Youngsil Soh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2 예술과 미디어 Vol.11 No.2

        본 논문은 디지털 환경이 도래한 후 현대 사진 의 주요한 흐름을 형성한, 실재를 새로운 사진적 현 실로 구축해내는 방식의 작업들에 나타난 사진 담론들을 분석해 보았다. 동시대 현대 사진은 사실성의 기준과 현실성의 다양한 담론 속에서 ``실재를 어떻게 다뤄내며 새로운 현실성을 부여하는가``로 그 중심축이 이동해 오고 있다. 이것은 실재의 개념이 눈에 보이는 현 실로서의 실재 그 자체와 새로운 현실성 구축 사이 에서 긴장감을 부여하며 사진의 주요한 담론을 결 정하는 장치로 다시 등장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1990년대 초 다큐멘터리에 관한 관심이 전세계적으로 증대되었다는 점과 독일 현대 사진에서 나타나듯이, 눈에 보이는 현실을 하나의 스타일로 수용 하며 개념적 성향을 강화하는 방식이 새로운 사진 적 태도로 나타났다는 점이 매우 중요한 동인이 된 다. 또한 디지털이 보편화되면서 이미지가 조작되더 라도 중요한 것은 사실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얼마나 현실로 수용됨직한 이미지가 되는가의 문제 가 큰 관심사로 부각된 것도 일조를 한다. 이 과정 에서 많은 사진가들은 현실과 무관한 이미지보다는 현실로 받아들여질 만한 새로운 현실성을 제시하는 이미지에 관심을 갖고 이런 형식의 작업적 성향을 자연적으로 받아들이게 됨으로 인해 하나의 주요한 경향으로 수용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현대 사진에서 실재와 새로운 현실성 구축의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게 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대 이후의 현대 사진에서 의 실재의 문제를 현실에 개입하는 정도와 그에 따른 조형적 언어로의 표출 양상에 따라 세 개의 층 위로 구분하며 분석해보았다. 이미지 분석을 통해 이런 작업들이 이미지의 간 극을 제시하고 사물의 지각과 인지의 문제를 가속 화된 현실을 통해 재사유하게 하고 예술을 통한 현대 문명과 일상에 관한 비판적 사유를 작품으로 치환시킴을 알 수 있었다. 현대 작가들은 실재의 개념을 중심으로 현실 (reality)의 해석과 변용에 관여하고 새로운 현실 구축에 다가가며 또한 이들의 작업은 사진에서의 개념적 요소를 강화하는 가운데 사진 매체의 증대 된 역할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hotographic discours in the works of contemporary photographers which indicates vision on the diverse paradigms of new reality shows, after the advent of digital environment. Contemporary modern photography has shifted its central axis to approach the question of how to deal with an uncertain reality; how to empower any new reality in the light of accepted of models of reality and the various discourses on contemporaneity. The concept of the real has detoured into the inner spaces of the photographic field as a medium set to determine the major discourses of photography in an attempts to create a new vision of photography while it maintains the tension between the real itself as visually actualized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reality. In other words, it is the detour of the real and, simultaneously, the birth of another reality. Within this change, a significant number of photographers contemplate the nature of reality in an age of digital technology and explore how reality can be established. In pursuit of this key question, rather than constructing the photographic image as un-related to reality, photographers have become interested in creating the photographic image that suggests a new reality. This study has analyzed the works in three sections according to the extent to which the vision of photography and the new reality intervene in the real and how this can subsequently be expressed in formative language: the violation of representation, the strategy of intervention, and enchanting power of reality. This study has indicated diverse photographic perspectives on the new reality that construct the new photographic realities from the real around us. Contemporary photographers has approached to the construction of new reality around the concept of the real, engaging in the interpretation of reality. At the same time, their works have shown the fortified role of media o photography.

      • KCI등재

        사진에서의 윤리적 문제

        박제영 ( Jaeyong Park ),손영실 ( Youngsil Soh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6

        사진이란 현실의 대상을 카메라로 기록하는 것이며 사진으로 찍힌 것은 사실성을 담보하는 것으로 오랜 기간 인정받았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의 등장과 시대에 따른 사진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로 인해 아날로그 사진이 지녔던 사진적 개념은 점차 약화되고 있다. 이미지 편집기술은 합성, 삭제, 크로핑 등을 통해 손쉽게 사진의 수정과 변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런 기술로 사진을 조작하여 허위사실을 실제처럼 만들어 버리기도 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단순한 하나의 규범으로 예외 없이 판단할 수 없는, 복합적인 양상을 띠게 된다. 현대사회에서 이러한 기술들은 윤리적인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진과 인권 윤리, 허위 조작과 사진의 윤리, 초상권과 사진의 윤리, 전쟁과 사진의 윤리, 이미지 도용과 저작권, 표현의 자유와 도덕적 윤리를 다루었다. 이미지는 변하지 않지만 이미지의 해석은 시대적, 문화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충분히 바뀔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진에서의 윤리의식에 대한 문제는 고정 불변의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사진가가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음을 조망 할 수 있는 유용한 기회를 제공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사진이미지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의 일상에서도 디지털 시대의 이미지와 윤리에 관해 사고하는 것이 점차 중요성을 띠게 됨을 환기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Photography records a real object by a camera and a photo has been considered proof of the truth for a long time. But the emergence of digital technology and thise change in the point of view throughout the world by people affected is getting weaker by the concept of analog photography. Presently, image editing programs make it easy to modify and transform images through the use of tools such as deleting and cropping. These programs can change fakes to look real. so this adds a layer of complexity. This technology can cause ethical problems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considers six categories in the analysis: the human rights and photography, the falsehood and photography, the rights to one`s portrait and photography, war and photography, copyright and image theft and freedom of expression, ethics & morality. An image cannot be changed but the analysis of the image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culture and society. Also, a matter of ethics in photography is that it is not set in stone. Likewise, it provided practical opportunities in holding the view of the problem of moral consciousness in photography is not stable, but changeable depending on how the photographer reacts to the situation. In addition, the reflection of the image and ethics in the digital era is strongly required at this moment when the use of the photography has spread in our daily lives. This study will offer a very important opportunity to consider this condition.

      • KCI등재

        미디어 아트 기반의 체험형 문화콘텐츠 연구

        김민경 ( Minkyung Kim ),손영실 ( Youngsil Sohn ),윤준성 ( Joonsung Y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2 No.-

        현대 미디어 아트는 단순히 예술의 범주에 머물러 있지 않고 상호 작용성을 전면에 내세우며 관객과의 소통을 중시하는 형태로 변모되고 있다. 상호소통의 예술로서의 변화된 예술의 위상은 예술을 대중과의 접촉의 장으로 끌어내고 있으며 이런 과정에서 예술적 행위는 하나의 문화적 실행으로 변모되고 있다. 그리고 이 점은 디지털 미디어 기술에 의한 상호소통성에 기반하고 있는 다양한 문화콘텐츠 속에 반영되고 있고 특히 전시나 공연 예술에서 그러한 예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미디어 아트는 문화 원형을 소재로 한 미디어 아트 형태의 작업에서도 대중의 교육적 차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체험형 문화콘텐츠로 큰 의미를 가지게 됨을 구체적인 작품들의 분석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 체험형 문화 콘텐츠가 문화유산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든다는 의미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배가될 것이다. Contemporary media art doesn`t only remain in the field of art. it makes the interactivity stand on the front of art, and it is going to be changed to emphasis on communication with the viewer. The status of changed art as interactivity draws in the art on the stage of meeting with public. In this process, the artistic activity is going to be changed as the cultural practice. Here, these change is reflected in the various culture content based on interactivity by digital media technology. It can be seen easily especially some media art exhibition or performing art. We got confirm as analysis of these cases so that contemporary media art can be significant as experience-oriented cultural content which can be used practical for public not only cultural but educational. In the future, it will be increased their significance because the experimental culture contents make an opportunity as new recognition about value of cultural heri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