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스마트폰 이용행동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손영곤(Young Kon Sohn),주시각(Shi Gak Choo),이진우(Jin Woo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광고연구 Vol.0 No.95

        모바일 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스마트폰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편의성 등 정보기술수용모형에 기초하여 스마트폰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는 데 그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여기에 한 걸음 더 나아가 스마트폰 이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측정 변수를 요약, 축소하여 가장 영향력이 높은 설명 변수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500명을 대상으로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12개 변수의 설명량을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의사결정나무분석에서 도출한 6개의 변수(지각된 유희성, 적합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편의성, 사회적 영향/압력, 자기효능감)에 대한 신경망 분석을 통해 개별 측정 모형의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 이용행동과 예측 모형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smartphone, which is referred as the mobile revolution, are examined to show the factors of smartphone usage based on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martphone use behavior and to develop the most powerful explanatory variable among them.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the twelve candidates for determining factors are investigated through the Data Mining Answer Tree program with 500 samples. In the other part of this study, six determinants derived from decision tree model-perceived playfulness, compatibilit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to use, social influence and pressure, self-efficacy - are compared through the Data Mining Clementine program. And then thos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smartphone use behavior and prediction model.

      • KCI등재

        유아의 구강건강 실천행동 의도의 사회인지적 예측변인에 대한 탐구

        손영곤(Young Kon Sohn),이병관(Byoung Kwan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들의 구강건강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건강신념모델(HBM)과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유아대상 중재 프로그램의 사후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총 471명의 유아들의 응답 자료를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HBM이나 TPB 모두 유아의 구강건강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데 모델의 적합도나 설명 변량 측면에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델의 간명성 측면에서는 TPB가 HBM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PB에 따른 검증 결과, 지각된 행동통제가 높고 구강건강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구강건강 행동의도가 증가하고 있었으나 주관적 규범에 의한 행동의도의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HBM과 TPB를 이론적 모델로 하여 유아들의 구강건강을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그리고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의 실행과 공중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메시지 전략 방향을 수립하고 전개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predictors behavioral intention to preventive oral health among kindergarten children with the health belief model (HBM)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to compare the models` predictive power and fit to the data. The post-test data (471 kindergarten children) collected from the kindergarten-based oral health intervention was analyzed for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echniques were used in analysis of the data. Results showed that the TPB model is a better model compared with HBM in terms of model parsimony, even though both model showed a good fit to the data. Within the TPB model, attitudes and subjective norm had a positive relationship to behavioral intention for preventive oral health.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oral health interven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자궁경부암 조기 검진 캠페인의 설득 효과에 관한 연구

        손영곤(Young Kon Sohn),이진우(Jin Woo Lee),장지영(Ji Young Ja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90

        본 논문은 자궁경부암 조기검진 캠페인에 영향을 미치는 낙관적 편견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자궁경부암은 다른 암과는 달리 조기검진과 치료를 하면 예방과 완치가 가능한 질병이다. 그러나 젊은 여성들의 경우 자궁경부암에 대한 인식부족 및 조기검진 회피 등으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에 대한 낙관적 편견 및 자아존중감, 통제 가능성, 관여도, 지식, 위험인식, 예방태도, 예방 행동의향 등이 낙관적 편견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는 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분석결과 국내 여대생의 경우 자궁경부암에 대한 낙관적 편견이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자아존중감, 통제가능성, 관여도, 지식이 높을수록 낙관적 편견이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낙관적 편견은 자아존중감과 태도, 지식과 태도, 지식과 행동의향 간에 유의한 매개 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The study attempts to find out effects of optimistic bias on early medical check-up of cervical cancer campaign. Unlike other cancers, cervical cancer is curable disease if early medical check-up and treatment have been done. However, young females are not well aware of cervical cancer and shun early medical check-up. As a result, outbreak rate of cervical cancer has been increased.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optimistic bias on cervical cancer and self-efficacy, controllability, involvement, risk perception, preventive attitud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Female college students have been found to have optimistic bias on cervical cancer. As self-efficacy, controllability, and involvement increase, optimistic bias decreases. In addition, optimistic bias has been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between self-efficacy and preventive attitude, knowledge and attitude, knowledge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 KCI등재

        메타분석에 의한 국내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 연구 현황 및 개관

        손영곤(Young Kon Soh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6 No.2

        본 연구는 유명인 광고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들을 조사하여 그 결과들을 분류, 정리함으로써 그간 나타난 연구 흐름을 파악하는 한편, 개별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한 메타분석을 통해 축적된 연구결과들을 체계화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체계적 수집과정을 거쳐 77편의 논문에서 582개의 효과크기를 찾을 수 있었으며 연구에 포함된 총 표본크기는 23,515명이다. 유명인 광고모델의 광고효과는 .29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인 모델에 비해 12.6% 정도 높은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문가 모델의 경우 비전문가 모델에 비해 광고효과가 9.5%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에서 두드러진 사실은 유명인 모델은 소비자들에게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시키는 데는 크게 작용하고 있었으며, 전문가 모델은 광고나 브랜드를 알리는데 거의 효과가 없었다. 유명인 광고모델의 광고효과는 소비자들의 관여수준이나 제품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유명인 모델은 고관여 상황보다 저관여 상황에서 효과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전문가 모델은 반대로 저관여보다 고관여 상황일 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기서도 볼 수 있듯이 광고모델의 선정은 제품이나 브랜드가 처한 환경을 고려하여 선정되어야 함을 읽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his study examined, categorized and organized the research results about the effect of the celebrity endorsements in advertisements, so that tried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of this field which has been studied variously for a long time. This study explored all articles about the celebrity advertisement published nationally for the last 30 years, to investigate and integrate the effects of the celebrity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using meta-analysis. The results of collections were as follows: 77 articles and 582 effect sizes were came out. The effects of celebrity advertisements presented .29. This means that the effects of celebrity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are 12.6% higher than the effects of ordinary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And the effects of expert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are 9.5% higher than in inexpert endorsement cases. The result means that celebrity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can increase the favorable attitude of the products, but the expert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has no effect for the informing the brand. The effects of celebrity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are presented differently as to the types of the products and the levels of the involvements. Also, high involvement situation in the celebrity endorsement in advertisements is higher than low involvement situation. After all, the result is showing that the choice of some models in advertisement should be considered by the situation of the brand and products.

      • KCI등재

        승마 스포츠 상품 개발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 컨조인트 분석을 중심으로

        손영곤(Young Kon Sohn),김운한(Woon Han Kim),김현정(Hyun Jeong Kim) 한국광고PR실학회 2021 광고PR실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승마 스포츠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에 기여하기 위해 승마 상품 선택 속성을 도출하여 타깃이 선호하는 최적의 승마상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승마 타깃층, 승마 혜택, 이용장소, 이용가격 등 승마 선택 속성을 이용한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승마대상, 승마유형 등 승마상품을 구성하는 주요 속성 중 가격을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승마대상의 부분가치는 여자, 남자, 어린이/청소년 순으로 높았다. 셋째, 승마 이용 장소에 대한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편이었다. 넷째, 승마유형으로는 건강형 승마, 체험형 승마, 교육형 승마, 관광형 승마 순으로 가치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자, 건강형 승마, 공공장소를 활용한 승마, 3만원대 가격 요소를 포함한 승마 상품을 설계하고, 승마 활성화를 위한 기업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tract the optimal selection attributes for composing horseback riding products, focused on the product aspect as a marketing strategy plan for the activation of horseback riding. Four value factors are used for conjoint analysi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horseback riding options such as target audience, horseback riding benefits, use places, and prices. The results of conjoint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value price among the attributes of horseback riding was found most highly perceived Second, the partial value of horseback riding type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or children. Third, the importance of horseback riding places was perceived relatively low. Fourth, the value of horseback riding type was highly recognized in the order of health, experience, education, and tourism. Based on the results, the most appropriate products are proposed with some long-term activating plans.

      • KCI등재

        성별 및 소비자 이용동기에 따른 바이럴 영상 콘텐츠 이용행동 차이

        손영곤 ( Young-Kon Sohn ),김운한 ( Woon-Han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9 No.3

        최근 유튜브를 중심으로 타깃들의 주목을 끌기 위해 자극적인 내용의 바이럴 영상 콘텐츠가 보편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럴 영상의 자극성이 설득에 미치는 효과 과정에서 맥락효과 요인으로 제품유형 및 이용자의 성별 요인들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콘텐츠 수용도에 대한 자극성의 주 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극성과 제품유형은 콘텐츠 태도와 콘텐츠 구전의도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자극성과 이용동기는 콘텐츠 태도와 구전의도에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셋째, 자극성과 개인의 성 차의 상호작용효과에서는 콘텐츠 태도와 구전의도에 대해서도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바이럴 영상 콘텐츠의 자극성이 콘텐츠 태도와 콘텐츠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용동기는 쾌락적 동기가 강할 경우, 이용자가 여성보다 남성일 경우에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erceived provocation of viral video on content attitude, content immers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with modulating effects of product types and users’ gende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ain effects of stimulus on content acceptance, provocation of content and product type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content attitude, content immersion, and content word-of-mouth intention.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of provocation of content and product types was significant on content attitude and word-of-mouth intention. Third, perceived provocation and gender showed interaction effects on content attitude and word-of-mouth intention, but not content immers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provocation of viral video have positive persuasive effects, but the effects are stronger in more hedonic motives and male context.

      • KCI등재

        건강 관련 행동의 예측을 위한 사회인지이론의 유용성 국내 건강신념모델 연구의 메타분석

        이병관 ( Byoung Kwan Lee ),손영곤 ( Young Kon Sohn ),이상록 ( Sang Lok Lee ),윤문영 ( Mun Young Yoon ),김민희 ( Min Hee Kim ),김채린 ( Chae Rin Kim ) 한국PR학회 2014 PR연구 Vol.18 No.2

        This study is a meta-analytic review on the studies of health belief model(HBM) in Korea, which is a socio-cognitive theory of decision making to individual health-related behaviors. From a database of 54 independent studies published in major academic journals in Korea up to the end of 2013, the HBM accounted for 24.5% and 25.0% of the variance in health behavior and behavioral inten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health behavior and behavioral inten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ll variables of HBM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s, and self-efficacy) except for perceived barriers. Although the effect size of perceived barrie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health behavior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largest effect siz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and other variables of HBM showed relatively low effect size. Since the analysis indicated the heterogeneity of the results, subsequent analyses were performed to test moderating effects of behavioral type (screening, preventive behavior, sick role behavior), measurement, and subjects of study. Overall, these findings provide an empirical evidence that HBM is still a useful model to explain and predict individuals’ health related behavior although the magnitudes of its effect sizes was relatively low.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meta-analytic review,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홍보학연구> 통계분석방법의 경향과 과제: 1998년 창간호부터 2014년 여름호까지 게재된 논문의 내용분석

        이병관 ( Byoung Kwan Lee ),손영곤 ( Young Kon Sohn ),오현정 ( Hyun Jung Oh ),박선화 ( Sun Hwa Park ) 한국PR학회 2015 PR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review statistical methods used in quantitative PR research and provide future direction for improving statistical rigorousness in the academic field of public relations. Results from a content-analysis of 219 quantitative research papers published between 1998 and 2014 in Korea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suggest some problems and errors in utilizing statistical methods for inferential testing and reporting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es. First, while a majority of the studies reported reliabilities of the study instruments, a fewer studies tested or reported their validity. Second, only one study used the confidence interval to make a statistical inference. Third, a very few studies tested basic assumptions (i.e., normality, linearity, multicollinearity) before choosing the statistical method for the main analysis. The present study is limited as it only examine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Future studies should expand the scope of the analysis into the journals in other communication fields and diagnose the appropriateness of statistical methods from various aspects.

      • KCI등재

        ‘환자 위기’ 개념과 범주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식·의약품 분야 환자 발생 현황 및 사례를 중심으로

        김현정(Kim, Hyun Jeong),손영곤(Sohn, Young Kon),김활빈(Kim, Hwalbi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기존에 우리 사회에서는 ‘환자 위기’의 개념이 따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필요성에 대해서도 크게 인지하지 않았다. 하지만 여러 감염병을 겪으면서 감염병 외에도 다양한 ‘환자 위기’발생이 가능할 수 있고 그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에 우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환자 위기’에 대한 명확한 개념 규정과 범주를 구체적으로 정리하고자 문헌분석, 사례분석,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여러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환자 위기로 볼 만한 식품, 의약품 관련 사고는 매년 증가해왔다. 둘째, 환자위기로 볼만한 대표적 사례들 가운데 인보사케어와 같은 의약품 오도 사례가 중요한 사례로 언론에서 다루어졌다. 셋째 전문가들은 환자 위기의 개념 정의를 수치적으로 구체화할 필요성에 동의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환자 위기 대응매뉴얼을 비롯한 다양한 환자 위기관리에 있어서 하나의 시사점을 던진다. Previously, the concept of a "patient crisis" did not exist in our society and was not much aware of the need. However, through various infectious diseases, we knew that a variety of "patient crises" could be possible in addition to infectious diseases, and that countermeasures were needed. This study aims is to define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patient crise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and media newsof these studie analysis, case analysis, and exper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 are as follows: First, many food and drug-related accidents have increased every year. Second, among the representative cases worth considering as a patient crisis, misleading medicines such as Invossacare have been dealt with in the media as important cases. Third, experts agreed on the need to numerically refine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a patient crisis. These findings in this study cast very significant implication in various patient risk management, including the Patient Crisis Response Manual.

      • KCI등재

        콜센터 상담사 이직행동 예측 모형: 직무 및 조직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형근 ( Hyung Keun Lee ),손영곤 ( Young Kon Sohn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6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8 No.1

        콜센터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그 기능 또한 확대되고 있으나 콜센터 상담사들의 근무환경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담사들이 겪게 되는 감정노동과 스트레스, 직무소진은 높은 이직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콜센터 상담사들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이 과정에서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측정 변수를 요약, 축소하여 가장 영향력이 있는 설명 변수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콜센터 상담사로 근무하고 있는 73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회귀분석 및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 모두 감정고갈, 비인격화, 역할모호성이 이직의도를 예측하는 주요 변수가 되고 있었다. 이와 동시에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정도, 특히 상사와의 수직 커뮤니케이션이 이직을 낮추는 역할을 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콜센터 상담사 이직행동을 예측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과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Unlike industrial growth and functional expansion of the call center, call center employees working condition is not good. While performing a work, call center employees are going through emotional lobar, role stress, burnout, that led up to turnover. Focusing on this point, this study is going to analyse an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call center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nd to develop the most powerful explanatory variable among them.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739 employees in a call center organization. Through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and answer tree analysis, results show that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role ambiguit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 call center, particularly vertical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r plays an important role to reduce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nd thos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call center employees turnover behavior and prediction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