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단순절제술 이후 견봉쇄골 낭종에 합병된 무균성 누공 -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 -

        손민수,백덕인,이경학,Shon, Min Soo,Baek, Duck In,Lee, Kyung Hag Korean of Orthopedics Ultrasound Society 2014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7 No.2

        견봉-쇄골 관절 낭종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되나, 대부분의 경우 만성적인 회전근 개 질환과 퇴행성 견봉-쇄골관절염에서 동반된다. 이러한 병변에 대한 임상적 해석, 치료적 접근 및 치료 후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견관절 질환과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저자들은 단순 흡입술 후 재발되는 견봉-쇄골 낭종에 대한 추가적인 단순 절제술 이후 재발성 무균성의 누공이 합병된 증례와 함께 초음파 검사상 누공을 가진 낭종성 병변과 동반된 광범위한 회전근 개의 파열을 진단하였던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하며, 문헌고찰을 통하여 견봉-쇄골 관절 낭종의 발생 기전을 고려한 임상적 접근 및 치료적 방법들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Acromioclavicular (AC) joint cyst is an uncommon presentation around the shoulder joint that is usually associated with chronic rotator cuff pathology and degenerative AC joint arthritis.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pathophysiology of the shoulder joint is essential for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the AC joint cyst, assistance in determining the therapeutic strategy, and prevention of complications after treatment. We present a case of AC joint cyst with an aseptic fistula which was complicated by simple excision for recurred AC joint cyst after multiple aspirations. This case revealed a massive rotator cuff tear involving supraspinatus, infraspinatus, and subscapularis tendon on ultrasonography. We also reviewed the clinical approach and treatment options to be considered for its pathogenesis in the literature.

      • 정형외과 영역에서의 증식치료

        손민수,유재철,Shon, Min Soo,Yoo, Jae Chul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4 No.2

        증식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기전, 시술방법, 결과 및 합병증 등에 대하여 근거-중심의 문헌 고찰을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증식치료는 전통적으로 건 혹은 인대 이완으로 인한 통증을 포함한 만성적인 근-골격 계 통증의 치료법 중 하나로써 증식치료제를 주사하여 염증 반응을 유도하여 인체의 정상적인 치유 기전을 자극하는 최소 침습적 주사요법이다. 증식치료제는 크게 세가지 기전에 의하여 작용하며, 가장 흔히 사용되는 증식치료제는 10~25% 포도당이다. 최근 초음파 기기의 발달과 함께 증식치료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어 진단 뿐 아니라 초음파 중재 하 시술을 통해 효율을 높이고 합병증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가장 흔한 합병증은 주사 부위의 통증으로 대개 자기한정적이고 진통제에 잘 반응한다. 그 외 합병증은 드물며 경험이 많은 임상의에 의해 시행되었을 경우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증식치료는 근-골격 계 통증 및 관절 이완의 치료방법으로써 최근 재조명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보고된 결과들은 아직까지는 그 적응과 효과에 대한 확실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향후 적응이 되는 대상의 선택을 확실히 할 수 있는 신체검진 혹은 진단 기술 등에 대한 연구 혹은 주사요법과 다른 보존적 치료와의 비교 연구 등을 통하여 증식치료에 대한 근-골격 계에 있어서의 독립적이면서 효과적인 역할에 대하여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To describe the background, mechanism, clinical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prolotheap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Prolotherapy is a minimally invasive injection-based treatment of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including ligament and joint laxity. The mechanism of this injection-based technique is to initiate a local inflammatory response with resultant tissue healing. The used proliferants are classified by bio-mechanism to act in three different ways as osmotic, irritants, and chemotatics. The most commonly used proliferant is hyperosmolar (10~25%) dextrose to act by osmotic rupture of cells. High resolution ultrasound imaging of musculoskeletal structure provide a more accurate diagnosis. Also ultrasound-guided intervention provides a more high efficacy and low rate of complication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is local pain at the injected site, that is self-limited and good responsive to anti-inflammatory agents. Other complications are rare. It is reported that prolotherapy appears safe when performed by an experienced clinician. Prolotherapy has grown in popularity and has received significant recent attention. However there are limited evidence-based data supporting the indication and efficacy of prolotherapy in the treatment of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or soft tissue injuries. Future studies are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prolotherapy can play an independent and definitive role in a treatment for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 KCI등재

        견갑하근의 건 부분에 대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분석

        손민수(Min-Soo Shon),고경환(Kyoung-Hwan Koh),이성산(Sung-Sahn Lee),유재철(Jae Chul Yoo)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해상도 자기공명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젊은 성인에서 병변이 없는 견갑하근의 건 부분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4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상완-관절와 불안정성 및 비특이적 견관절 통증을 평가하기 위해 본원 정형외과 외래를 방문한 20대의 젊은 성인들에서 시행한 총 88예 (88견관절)의 고해상도 자기공명영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예에서 견갑하근의 근-건 단위에서의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자기공명영상에서 견갑하근의 근-건 단위에 대한 횡적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각 근육 내 건가닥의 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자기공명영상에서 설정된 축상 기준면 상 측정된 견갑하근의 건대의 횡적 길이는 평균 15.0 mm (범위: 8~20 mm)였고, 전체 건 부분의 횡적 길이는 48.9 mm (범위: 40~60 mm)였다. 또한 관상사면을 기준으로 관절와의 가장 내측 면을 지나는 영상에서 측정한 근육 내 건가닥의 수는 20예에서는 3개 (22.72%), 45예에서는 4개 (51.14%) 그리고 23예에서는 5개 (26.14%)였다. 또한 관상사면을 따라 견갑하근의 근-건 단위를 추적하였을 때, 외측으로 갈수록 건가닥의 형태가 점진적으로 둥글어지고 두꺼워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상방으로 수렴되는 방향성을 가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결론: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견갑하근의 건 부분에 대한 구조와 형태적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자기공명영상의 분석과 이해는 견갑하근에 대한 연구의 생역학적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생각하며, 견갑하근의 파열과 정상적인 생역학적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수술적 접근의 근거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tendinous portions within the non-pathologic subscapularis muscle by performing high resolution MR imaging of the should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pril 2007 and May 2010, we retrospectively obtained the MR scans of 88 consecutive young patients (88 shoulders) who were in their twenties. MRI and MR arthrography were performed using a 3.0-T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glenohumeral instability and nonspecific shoulder pain. None of the patient in this study had any evidence of injury to the tendon or muscle belly of the subscapularis. On MR images, we recorded the transverse length of a stout tendinous band and the total tendinous portion of the subscapularis. In addition, we recorded the number of intramuscular tendinous slips of the susbscapularis. Results: The mean transverse length of the tendinous band was 15.0 mm (range: 8 to 20 mm). The mean transverse length of the total tendinous portion was 48.9 mm (range: 40 to 60 mm). The number of intramuscular tendinous slips on the base of the glenoid fossa was 3 in 20 (22.72%), 4 in 45 (51.14%) and 5 in 23 shoulders (26.14%). On the lateral portion, the intramuscular tendinous slips became gradually rounder and thicker and they gave converge in the superior direction.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tendinous portions of the subscapularis on the MR scans were identified. This will in return give good justification for the lines to be pulled during biomechanical stimulation and also for the surgical approach to restore the biomechanical function.

      •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초음파 유도하 1회 주사요법에 의한 방사선학적 조기 소멸 정도에 대한 예비보고

        유재철,손민수,고경환,임태강,이영석,Yoo, Jae-Chul,Shon, Min-Soo,Koh, Kyoung-Hwan,Lim, Tae-Kang,Lee, Yeong-Seok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5 No.1

        목적: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그 석회화의 크기, 시기나 형태와 관계없이 초음파를 이용한 1회 주사요법(needling)에 의한 석회 침착에 대한 방사선학적 조기 소멸 정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3월부터 9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증상이 있는 석회화 건염으로 진단받은 모든 환자에서 1회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을 시행 받은, 총 46명(47 견관절) 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사요법을 시행하기 전 초음파를 이용하여 석회 침착물의 정확한 위치와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초음파 유도하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침착된 석회에 대하여 가능한 예에서는 흡입을 시도하였고 흡입 실패 시 다발성 천공을 시행하였고 모든 예에서 견봉하-삼각근하 점액낭에 1 ml 리도케인과 1 ml 스테로이드의 혼합액을 주입하여 주었다.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에 의한 침착된 석회의 조기 소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주사요법 시행 전과 시술 후 첫 외래 방문시기인 4주째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석회 침착물의 크기, 음영 및 형태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임상적 평가로는 통증과 기능에 대한 Visual Analogue Scale (VAS)와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점수를 시술 전과 후에 평가하였다. 결과: 남자가 11명, 여자가 35명이었고, 시술 당시 평균 연령은 53.8세(28~71세)이었다. 우측 35예, 좌측 견관절에서 12예로 관찰되었고, 우세 상지측에 발생된 경우는 37예 (78.7%)에서 해당되었다. 주사요법 시행 전 시행한 방사선학적 검사 상 석회 침착의 형태는 31예에서 A형, 16예에서 B형으로 관찰되었고 평균 크기는 $2.9{\pm}6.7$ mm이었다.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 시행 후 4주째 시행한 방사선학적 검사 상 크기나 음영이 변화가 없었던 경우가 10예, 변화를 보였던 경우가 37예에서 관찰되었다. 변화를 보였던 37예 중 크기는 유지되나 음영이 감소되거나 경계가 불분명해진 경우가 14예, 크기가 감소된 경우 13예(50%이상 감소한 경우 4예, 50%미만 감소된 경우 9예), 흔적만 남은 경우 8예, 그리고 완전한 소실을 보인 경우가 2예에서 관찰되었다. 방사선학적 변화를 보였던 군과 보이지 않았던 군의 시술 후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두 군 간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는 않았으며 시술 전 FAS 분류에 있어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1). 결론: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그 석회화의 크기, 시기나 형태와 관계없이 초음파를 이용한 1회 주사요법(needling) 이후 조기(4주째)에 방사선학적으로 크기나 음영에서 변화를 보이는 예는 79%에서 보였으나 거의 없어지거나 완전한 소멸을 보이는 예는 21%에서만 관찰되었다. 향후 장기적인 추시 관찰을 통하여 석회 침착물의 소멸 여부를 비교해 봄으로써 1회 시술의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preliminarily result of the radiologic disappearance of the calcific material, regardless of the size, type or location, on one-time ultrasonographic (US) assisted needling for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to August 2011, 46 patients (47 shoulders) with symptomatic calcific tendinitis were treated by one-time US assisted needling. Initially, a diagnostic US was performed with patient to determine the locations, numbers and sizes of calcific deposits. After 1% lidocaine local anesthesia, the calcific material was punctured with an 18-gauge needle under US monitoring. If no calcific material was aspirated after 2 or 3 additional attempts, the deposits was performed multiple puncture to achieve decompression. And then all patients were performed subacromial corticosteroid injection.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4 weeks after procedure. To assess the radiologic disappearance after one-time US assisted needling, simple radiographs of the treated shoulder were performed and size, dense, and morphology of the calcific deposit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baseline radiographs. For clinical evaluations, 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and function (PVAS and FVAS), and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were assessed. Results: There were 11 male and 35 female patients with the mean age of 53.8 years (28-71). The morphology of the calcific deposits were 31 type A and 16 type B by French Arthroscopic Society classification and mean size was $2.9{\pm}6.7$ mm before the procedure. At 4 weeks after the index procedure, the radiographic unchanged group was included in 10 cases and changed group was 37 cases. No intergroup difference for the clinical results after the procedure was evident, but group FAS classification before the procedu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11). Conclusion: At 4 weeks after one-time US assisted needling for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the radiographic size- or dense-changed cases were showed in 79%, regardless of the size, type or location of the calcific material. But the radiographic nearly or complete disappearance were showed in only 21%.

      • KCI등재

        쇄골 간부 분쇄골절에서 골편간 나사고정과 금속판을 이용한 치료 결과

        고경환 ( Kyoung Hwan Koh ),손민수 ( Min Soo Shon ),이승원 ( Seung Won Lee ),김종호 ( Jong Ho Kim ),유재철 ( Jae Chul Yoo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4

        목 적: 전위된 골절편을 동반한 쇄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모든 골절편을 해부학적으로 정복한 후 골절편간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추가적으로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치료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6월부터 2011년 8월까지 Edinburgh 분류상 IIB2에 해당하는 전위된 골절편을 가진 쇄골 간부 분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연속적인 13예에 대하여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골절편을 해부학적으로 정복하였으며 이에 대한 골편간나사고정을 먼저 시행한 후 금속판을 적용하였다. 골절편의 수, 골절의 전위 정도와 쇄골의 단축 정도를 평가하였다. 유합의 여부와 유합까지 걸린 기간, 그리고 합병증의 유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골절편은 7예에서 2개, 5예에서 3개, 그리고 1예에서 5개였다. 쇄골의 평균 단축은 1.1 cm였고 주요 골편간 전이는 평균2.6 cm였다.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학적 유합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평균 유합기간은 10.8주(8∼14주)였다. 불유합과 감염을 포함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 론: 모든 골절편을 해부학적으로 정복하고 골절편간 나사못으로 고정한 후 금속판 고정을 시행하여 여러 개의 골절편을 동반한 전위된 쇄골 간부 골절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Purpose: To report the treatment results of anatomical reduction of all fracture fragments and internal fixation using an inter-fragmentary screw and plate in displaced mid-shaft clavicle fracture with comminut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ne 2005 and August 2011, 13 consecutive displaced clavicle fractures with comminution (Edinburgh classification IIB2) treated by anatomic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using inter-fragmentary screw and plate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re were 11 male and 2 fe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37.4 years (15∼55 years). The right clavicle was injured in 4 patients and the dominant arm was involved in 46%. The mean duration from trauma to surgery was 7.0 days. The cause of injury was a traffic accident in three, a fall in two, and sports activity or direct injury in eight patients. All of the fracture pieces were anatomically reduced and fixed with inter-fragmentary screws. An additional plate was applied to maintain and reinforce the reduction of the fracture. Radiographic assessments for the numbers of fragments and the amount of shortening and displacemen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fracture healing and determine the time from fracture surgery to union and complications, all of the radiographs taken after surgery were evaluated. Results: The number of fragments was 2 in 7 cases, 3 in 5 cases, and 6 in one case. The mean shortening of the clavicle was 1.1 cm (0.3∼2.1 cm) and mean displacement between the main fragments was 2.6 cm (1.3∼4.5 cm).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16.5 months (8∼26 months). Radiographic union was achieved in all patients with a mean time to union of 10.8 weeks (8∼14 week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including metal failure, nonunion, or infection. Conclusion: Anatomical reduction of all the fracture fragments and fixation using inter-fragmentary screws in addition to the usual plate fixation showed good fracture healing in displaced clavicle fracture with comminution.

      • KCI등재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치료

        이승원(Seung Won Lee),손민수(Min Soo Shon),유재철(Jae Chul Yo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1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치료는 다양하지만 표준이 되는 지침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종설에서는 현재 광범위 파열에 대해 시행되고 있는 여러 치료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다양한 광범위 파열의 치료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봉합 가능성에 대한 평가와 생역학적 변화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관절경적 봉합술 중 완전 봉합술의 임상 결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 외 봉합 불가능한 파열에 대한 변연 절제술, 부분 봉합술, 상완 이두근 장두 절제술 및 건 고정술, 대체물을 이용한 보강술 등의 구제술 역시 만족스러운 임상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에 대해 장기간 관찰한 결과는 부족한 편이다. 광범위 파열은 봉합 불가능 파열을 포함하며, 재파열률 또한 높게 보고되고 있어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의 장단점을 이해하는 것이 치료를 선택하고 그 결과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ere are no standard guidelines for treatment of massive rotator cuff tears. In this article, we reviewed the various modalities for treatment of massive rotator cuff tears, especially focusing on arthroscopic treatment. Selection of one of a variety of treatment modalities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pathogenesis, biomechanics and reparability of massive rotator cuff tears. The best clinical results have been reported with arthroscopic complete repair of massive rotator cuff tear. Satisfactory results have also been reported with other various arthroscopic treatment methods, including simple debridement, partial repair, biceps tenotomy or tendesis, and augmentation using a tissue substitution. However few long-term follow up results are available with these salvage options. Treatment of massive rotator cuff tears is difficult due to high incidence of irreparable tears and re-tear rate. Thus, understand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is thought to be helpful to improving the outcome of treatment of massive rotator cuff tears.

      • KCI등재

        견갑하건 부착부의 제1부착면에 대한 초음파 소견의 기술적 연구

        손훈상(Hoon-Sang Sohn),위찬국(Chan Kuk Wi),손민수(Min Soo Sh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4

        목적: 병변이 없는 견갑하건 부착부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통한 견갑하건의 부착부, 특히 제1부착면에 대한 초음파적 영상 소견 및 그 크기를 기술하고 인구통계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3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견갑하건 부착부에서 병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시행된 115예(평균 연령 53.4세, 범위 23-74세)를 최종 평가대상으로 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초음파를 통한 견갑하건의 부착부에 대한 검사상 가장 상부에 위치하면서 제2부착면 이하 부착면들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넓고 평편한 형태와 상방으로 향하고 있는 제1부착면을 확인하였으며 제1부착면의 상완골 간부의 축에 대한 횡축과 종축상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 예의 나이, 성별, 키, 체중, 체질량지수 및 팔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측정된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평균 횡적 길이는 12.75 mm (범위 10.54-14.50 mm, 표준편차 0.712), 평균 종적 길이는 12.22 mm (범위 9.20-13.30 mm, 표준편차 0.888)였다. 성별간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크기는 횡적 길이와 종적 길이 모두에서 남성에서 유의하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1, p=0.001). 양성의 선형 상관관계를 보이는 키, 체중, 체질량지수, 팔 길이 요소들 중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종적 및 횡적 크기 모두에서 키와 가장 강한 양성 선형관계를 보였고(횡적 길이 r=0.749, p<0.001; 종적 길이 r=0.642, p<0.001), 체질량지수와는 약한 양성 선형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외 좌우부위 및 나이는 제1부착면의 크기와의 통계적 유의성이나 선형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병변이 없는 견갑하건 부착부의 초음파적 영상 평가를 시행하여 그 부착부, 특히 가장 상부의 제1부착면의 구조적 및 형태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견갑하건 파열에 대한 초음파 진단적 검사에 대한 해부학적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the sonographic morphology of the subscapularis footprint, particularly the 1st facet, of the non-pathologic subscapularis tendon and footprint,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of the 1st facet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15 and December 2017, retrospectivel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ultrasound (US) scans of 115 consecutive shoulder (mean age 53.4 years, range 23-74 years) with non-pathologic subscapularis tendon and footprint. The sonographic findings of the 1st facet of the subscapularis footprint was a very unique, flat, broad, and plane angle in the upward direction, which wer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facets. On US, the transverse (medio-lateral) and longitudinal (superior-inferior) length of the 1st facet on axis of the humerus shaft were recorded. The 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age, site, body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arm length, were reviewed. Results: On US, the mean transverse length of the 1st facet was 12.75 mm (range 10.54-14.50 mm, standard deviation [SD] 0.712) and the mean longitudinal length was 12.22 mm (range 9.20–13.30 mm, SD 0.888).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length of the size of the 1st facet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01, p=0.001). Of the demographic data (body height, weight, BMI, arm length) tha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linear correlation, the correlation with body height (transverse r=0.749, p<0.001; longitudinal r=0.642, p<0.001) showed the strongest relationship,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BMI was weakly rel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ize of the 1st facet to site/ag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appeared to have no linear correlation. Conclusion: The structural and morphologic features of the 1st facet of the subscapularis footprint on the US were identified. This will provide anatomic knowledge of an US examination for subscapularis tendon pathology.

      • KCI등재

        중등도 이상의 손상 환자에서 손상 중증도에 따른 정형외과적 손상에 대한 수상기전, 손상유형, 초기 치료적 접근의 비교

        이의섭(Eui-Sup Lee),손훈상(Hoon-Sang Sohn),김영환(Younghwan Kim),손민수(Min Soo Sh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5

        목적: 중등도 이상의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의 중증도에 따른 정형외과적 손상의 손상기전, 부위, 유형, 치료적 접근 및 그 치료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응급실/외상센터가 운영되지 않은 기간을 제외한 57개월 동안 국립중앙의료원 외상센터로 입원한 손상 중증도 점수(Injury Severity Score, ISS) 9점 이상의 환자들 중 정형외과적 손상이 동반된 77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ISS와 생리학적 지표를 기준으로 한 손상의 중증도에 따라 중등도 손상군(1군, 679명)과 중증 손상군(2군, 99명)으로 분류하고 손상기전, 비정형외과적 손상을 평가하였다. 정형외과적 손상은 침범된 해부학적 영역과 골격구조의 수와 유형을 평가하였고, 치료적 접근 방법을 세분화하여 비교하였다. 치료결과는 재원기간을 포함하여 재원기간 내 발현된 전신 합병증과 사망률을 평가하였고 사망률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2군이 보다 젊고, 남성의 빈도가 높았고 고에너지 손상기전 및 동반 손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정형외과적 손상중 침범된 골격계의 수는 2군에서 유의하게 많아지면서 하지를 주로 침범한 1군에 비해 2군에서는 골반, 척추, 상지 영역의 침범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정형외과적 손상은 환자의 임상적 상태에 따라 확정적 또는 단계적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다발성 중증 손상을 보이는 2군에서는 일시적 외고정술을 이용한 단계적 수술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1군에서는 생리학적 안정화를 이룬 뒤 확정적 수술을 시행하는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재원기간 역시 길어졌으며 재원기간 내 총 전신 합병증은 약 4.9%, 총 사망률는 약 4.5%였다.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사망률은 유의하게 높아졌다(1군 2.9%, 2군 15.2%; p<0.0001). 사망률에 미치는 요인 중 고령과 높은 ISS가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손상의 중등도가 높을수록 고에너지 손상기전에 의한 손상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며 보다 젊고, 남성의 빈도와 동반 손상의 빈도가 높아졌다. 정형외과적 손상 역시 다발성 손상의 빈도와 중증도가 유의하게 증가되면서 정형외과적 외고정장치를 이용한 내고정술 등이 단계적 치료의 일환으로 시행된 경우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재원기간, 전신 합병증 및 사망률 역시 유의하게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며, 사망률에는 높은 연령과 ISS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injury mechanism, site, type, initial management approach of orthopedic injury, and outcomes according to the injury severity in moderate-to-severe injure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57-month, excluding the period when the authors’ emergency/trauma center was not operating, from 2014 to 2019,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778 patients with orthopedic injuries among patients with an Injury Severity Score (ISS)>9 scored.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moderate-injured group (group-1, 679) and severe-injured group (group-2, 99) according to the injury severity based on the ISS and physiologic parameters. The injury mechanism and non-orthopedic injury were evaluated. Orthopedic injuries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 injury pattern and the number of anatomical regions and bone sites involved. The management approach for the orthopedic injuries in two groups was compared. Outcomes (hospital stay, systemic complications, and inhospital mortality) were evaluated, and the risk factors for mortality were analyzed. Results: In group-2, the incidence of younger males, high-energy mechanisms, and accompanying injur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group-1. The number of anatomical regions and bone sites involved increased in group-2. The involvement of the pelvis, spine, and upper extrem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2, whereas group-1 was involved mainly by the lower extremities.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definitive or staged management for orthopedic injuries may be used. Group-1 was treated mainly with definite fixation after the physiological stabilization process, and group-2 was treated with staged management using temporary external fixation. Th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longer in group-2. The overall systematic complications and in-hospital mortality was approximately 4.9% and 4.5%. A higher injury severity was associated with higher in-hospital mortality (2.9%, 15.2%; p<0.0001). Increasing age and high ISS a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mortality. Conclusion: A higher severity of injury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incidence of high-energy mechanism, younger, male, accompanying injuries, and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orthopedic injuries. Severe polytrauma patients were treated mainly with a staged approach, such as external fixation. The hospital stay, systematic complications, and in-hospital morta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vere-injured patients. Age and ISS are strong predictors of in-hospital mortality in polytrauma.

      • KCI등재

        레저 활동의 서핑 초보자들의 비접촉성 기전하 점진적으로 발현된 어깨 통증의 특성: 단일 기관에서 시행된 초음파 소견을 토대로 한 예비 연구

        김순규(Sun-Kyu Kim),박태정(Tae Jeong Park),손민수(Min Soo Sh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본 연구는 레저 스포츠 활동으로 1년 이하의 서핑 경력을 가진 초보자 중 비접촉성 기전하 점진적으로 어깨 통증이 발현된 서퍼(surfer)들을 대상으로 그 통증의 양상과 초음파 검사의 소견을 평가하고자 하며, 그에 대한 치료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9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외래로 내원한 환자들 중, 레저 스포츠로 서핑을 즐기면서 점진적으로 발현된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3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향적 자료 수집하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들은 서핑 동호회에서 1년 이하의 서핑 경력을 가지고 있었고, 서핑-특이적 정보를 포함한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신체 검진의 소견을 분석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에서는 1차적 진단으로 양측 견관절에 대한 단순 방사선 촬영과 초음파 검사가 시행되었고 필요 시 추가적인 진단을 위하여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였다. 모든 환자는 약물 치료와 필요 시 주사 요법을 포함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면서 주로 척추 신전근, 견갑주위 근 및 체간근에 집중된 기능적 회복 치료가 병행되었다. 임상적 결과는 치료 전후 시각통증척도와 Simple Shoulder Test (SST) 점수를 평가하여 비교하였고 치료 결과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32명(94.1%)의 환자에서 경미한 증상을 보였으며 각 대상 환자들의 임상적 진단은 크게 다음의 형태—견갑 주위 근 또는 흉근에서의 근 긴장(14.7%), 상완 이두건 장두 병변(38.2%), 견봉하 충돌 증후군(44.1%), 그리고 견관절 불안정성(2.9%)—로 분류되었다. 흔하게 관찰된 초음파 소견은 이두근 장두 주변의 삼출액, 회전근개 건염과 견봉하 윤활낭염이었다. 모든 대상 환자들은 보존적 치료 후 시각통증척도 및 SST 점수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p<0.001, p<0.001), 치료 결과에 대한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는 31명에서 ‘만족스럽다’, 2명에서 ‘그저 그렇다’, 1명의 환자에서는 ‘불만족스럽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레저 스포츠로 서핑을 즐기는, 특히 1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서퍼들에서 점진적으로 발현된 어깨 통증은 대부분 상완 이두건 장두와 회전근개를 중심으로 한 건증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초음파는 외래 방문 당시 1차적 진단적 접근 과정에서 빠른 진단과 치료 계획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였다. 대부분의 경우 직업이나 서핑 활동의 중단 없이 서핑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경미한 증상을 보였으며, 보존적 치료와 병행된 기능 회복을 위한 근육 훈련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스런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ultrasound findings of non-contact, gradual-onset shoulder pain in recreational-level surf beginners with a surf experience of one year or less and the treatment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9 to May 2020, 34 patients with gradual-onset shoulder pain from recreational-level surfing activity who visited outpatient clinic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with prospective data collection. All patients had a surf experience of one year or less as surf club members. The demographic data, including the surf-specific data and physical test, were reviewed. Simple radiographs and ultrasound of both shoulders were performed for an initial evaluation in all patients. If needed, magnetic resonance images were taken for an additional evaluation. Conservative treatments, including medication or injection, combined with trunk extension, periscapular, and core muscle training were performed in all cases.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for pain (PVAS), the Simple Shoulder Test (SST) score at the initial and final follow-up, and the patient’s level of satisfaction with treatment. Results: Thirty-two patients (94.1%) showed minor symptoms. The clinical findings were predominantly divided into periscapular or pectoralis muscle strain (14.7%), proximal biceps tendinopathy (38.2%), subacromial impingement (44.1%), and shoulder instability (2.9%). The common findings in ultrasound were effusion around the biceps tendon, cuff tendinosis, and subacromial bursitis. The mean PVAS and SST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at the last follow-up (p<0.001, p<0.001). The patient’s satisfaction with treatment ranged from ‘satisfied’ to ‘very satisfied’ in 31, ‘so so’ in two, and ‘dissatisfied’ in one patient.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mmon pathologic conditions of shoulder pain in recreational-level beginners with a surf experience of one year or less are tendinopathy around the long head of the biceps tendon and rotator cuff. Ultrasound was helpful in rapidly diagnosing and determining the treatment plans during the primary diagnostic approach at the outpatient visit. Most cases were associated with minor symptoms that did not interfere with work or surfing and showed relatively satisfactory results for conservative treatments combined with functional muscle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