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밴쿠버 분류 B2와 B3 삽입물 주위 골절을 위한 대퇴 스템 재치환술

        성윤재(Yoon Jae Seong),신원철(Won Chul Shin),조형준(Hyung Joon Cho),이정섭(Jung Sub Lee),서근택(Kuen Tak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3

        목적: 밴쿠버 분류 B2와 B3 대퇴 스템 주위 골절 치료 시 대퇴 스템 재치환술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5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인공고관절 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 스템 주위의 불안정 골절을 수상한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밴쿠버 분류에 의해 B2는 11예, B3는 4예였다. 밴쿠버 B3는 B2의 치료와 동일하게 관혈적 정복과 긴 대퇴 스템 재치환 및 동종 망상골을 이식하였다. 추가적인 안정성이 필요한 경우는 동종 피질골로 외재골 이식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67.1세, 평균 추시 기간은 31.5개월이었다. 전 예에서 방사선학적,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Beals와 Tower의 기준에 따른 결과는 모두 우수 또는 양호였다. 고관절 점수는 평균 94.4점으로 모든 환자의 임상적 평가는 양호하였다. 전 예에서 골절부의 골유합을 얻었다. 합병증으로 대전자 불유합, 표재성 감염, 이식 외재골의 불유합 각각 1예씩을 보였으나 탈구, 심부 감염, 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대퇴 스템의 해리가 있는 밴쿠버 분류 B2와 B3 골절의 치료는 관혈적 정복과 긴 대퇴 스템 재치환 및 동종 망상골 이식술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지만 장기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outcome of femoral stem revision for Vancouver B2 and B3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ssessment of 15 patients who had received treatment for a periprosthetic unstable femoral fracture after primary hip arthroplasty between May 1997 and September 2009. According to Vancouver classification, 11 patients were type B2 and four were B3. Open reduction and long stem revision were performed in all 15 cases. In Vancouver type B3 fractures, we treated patients with open reduction and long stem revision with an allogenic cancellous bone graft, which is the same as in that used in Vancouver type B2 fractures. An allogenic onlay cortical bone graft was used when additional stability was required.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7.1 years at the time of surgery and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31.5 months. We described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Results: Using Beals and Tower’s criteria, fair to good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were observed at the latest follow up, with an average Harris hip score of 94.4 points. Fractures were united in all 15 patients. One patient had non-union of the greater trochanter of the femur, one patient had superficial infection, and one patient had non-union of onlay bone graft, however, there were no further complications, such as dislocations, periprosthetic infections, or nerve injuries. There was no loosening of the femoral stems. Conclusion: In Vancouver type B2 and B3 fractures, when there is loosening of the femoral stems, open reduction and long stem revision with allogenic cancellous bone graft provided a satisfactory result. However, long-term follow up is need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내족지 보행을 동반한 저항성 특발성 만곡족의 치료

        이종서(Jong Seo Lee),김휘택(Hui Taek Kim),성윤재(Yoon Jae Seong),배성호(Seong Ho B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6

        목적: 내족지 보행을 동반한 저항성 특발성 만곡족에 대해 대퇴골 및 경골 염전의 정도와 두 가지 수술적 치료법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3명의 환자에서 31족을 대상(이차적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4.3세)으로 하였다.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대퇴골 전염각 및 경골 염전각을 평가하였다. 내족지 보행의 정도에 따라 두 가지 술식을 적용하였다. 내족지 보행이 심하지 않은 1군(10족)에 대해서는 연부 조직 해리술, 중족부 절골술(내측 설상골의 개방형 쐐기 절골술 및 입방골의 폐쇄형 쐐기 절골술)과 전 경골건 이전술을 시행하였고, 내족지 보행이 심했던 2군(21족)에 대해서는 이들 술식과 함께 경골 과 상부 외회전 절골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수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평균 6.3년이었다. 결과 판정 시, Dimeglio 분류와 Clubfoot Assessment Protocol에 근거하여 임상적 평가와 방사선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이환측의 평균 대퇴골 전염각 및 경골 염전각이 증가를 보였다. 전체 31예 중 28예(90.3%)에서 우수 및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이중 2군에서는 우수 19예(90.5%), 양호 2예(9.5%)의 결과를 보였으며, 1군은 우수 6예(60%), 양호 1예(10%), 보통 3예(30%)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내족지 보행을 동반하는 재발한 만곡족 환아들에서 연부 조직 해리술, 건 이전술, 중족부 절골술 및 경골 과 상부 외회전 절골술은 만곡족 환아에 있어서 잔존 변형의 교정에 효과적이다. Purpose: We evaluated the degree of femoral and tibial torsion in, and the efficacy of two operative procedures for, resistant idiopathic clubfoot with toe-in gait.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one feet in 23 patients (average age at the time of revision surgery 4.3 years) were studied. CT was used to determine femoral anteversion and tibial torsion. Two different operative procedures were appli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toe-in gait: group 1(10 feet whose toe-in gait was not severe) - soft tissue release, anterior tibial tendon transfer and mid-foot (cuboid closing and cuneiform opening) osteotomy; group 2(21 feet which had relatively severe toe-in gait) - supramalleolar external rotation osteotomy of the distal tibia (SEROT), along with the same procedure as group 1. Mean follow-up period after revision surgery was 6.3 years. Results were assessed radiologically and clinically with the Dimeglio classification and Clubfoot Assessment Protocol. Results: The mean femoral anteversion and external-tibial torsion of the affected side were increased. Twenty eight of 31 feet (90.3%) demonstrated excellent or good results. In group 2, we obtained 19 excellent (90.5%) and 2 good (9.5%) results. Group 1 had 6 excellent (60%), one good (10%) and 3 fair (30%) results. Conclusion: Surgical treatment of the relapsed clubfoot with toe-in gait including soft-tissue release, tendon transfer and mid-foot osteotomy, along with SEROT in cases of severe toe-in gait, is effective in correcting residual clubfoot deformities.

      • KCI등재

        소아에서 요골 원위 골단판 골절

        김휘택 ( Hui Taek Kim ),윤명수 ( Myung Soo Youn ),이종서 ( Jong Seo Lee ),최영준 ( Young Jun Choi ),성윤재 ( Yoon Jae Seong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3

        목적: 소아에서 발생한 요골 원위 골단판 골절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치료 후 1년 이상 추시 (평균 3.2년)된 23예를 도수 정복과 석고고정을 시행한 1군 (6예)과 도수 정복 및 K-강선 고정술과 석고고정을 시행한 2군 (17예)으로 나누었다. 술 후 및 추시 관찰 엑스선에서 골단판의 잔여 전이 정도와 골단판의 경사도를 비교하였다. 결과는 방사선학적 기준 (요골측 경사, 수장측 경사, 요골 단축)과 임상적 기준 (운동 범위 제한, 동통, 파악력, 완관절의 변형)으로 양호, 보통, 불량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1군은 양호 5예, 보통 1예를 보였으며 2군은 양호 14예, 보통 2예, 불량 1예를 보여 양 군 간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복 후 30% 이하의 골단판 전위는 만족스럽게 재형성되었다. 불량을 보인 예는 조기 골단판의 폐쇄와 함께 요골 단축, 완관절의 변형을 호소하는 경우였다. 골단판 폐쇄가 발생한 예에서는 골교 제거술, 지방 조직의 이식, 요골 절골술, 척골 골단 유합술, 요골 연장술 등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전위된 소아 요골 원위 골단판 골절은 비교적 풍부한 재형성력을 기대할 수 있다. 정확한 정복을 이루기 위한 과도한 도수 정복은 이차적 골단판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long-term results of treatment of epiphyseal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23 cases of distal radial epiphyseal fracture, treated by two methods: group 1, closed reduction (CR) plus cast (6 cases); group 2, CR and K-wire fixation (under anesthesia due to marked translation of the distal fragment and swelling) plus cast (17 cas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average: 3.2 years). Postoperatively, epiphyseal displacement and epiphyseal angulation were measured on antero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s. At follow-up, the affected and normal sides were compared. Final results were classified by radiologic (radial inclination, volar tilting and radial shortening) and clinical (limitation of ROM, wrist pain, grip strength and wrist deformity) criteria. Results: Group 1 had 5 good, 1 fair result; group 2 had 14 good, 2 fair and 1 poor-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ll cases where the epiphyseal displacement was less than 30% had good results. A poor case showed a radial shortening, wrist deformity and pain due to premature epiphyseal closure. Premature epiphyseal closure was treated by bar resection and free fat, along with corrective osteotomy when necessary and lengthening of radius with or without epiphysiodesis of the ulna. Conclusion: Remodeling can be expected in epiphyseal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Repeated forceful attempts to achieve accurate reduction should be avoided to prevent secondary physeal inj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