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학습공동체의 리듬과 학습과정 연구 : 의례이론을 중심으로

        석영미(Young-Mi, Seok),양흥권(Heung-Kweun, Yang)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3

        학습공동체는 학습을 주목적으로 하는 개인들이 연합한 하나의 단위이며 학습이라는 인간의 행위에 의해 관계 지어지고 그 공동체의 구성과 유지에 학습이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집단이다. 다문화 학습공동체 또한 일상을 통한 다문화 학습과 상호소통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학습의 장으로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에서 상호소통과 학습의 장으로 기여할 다문화 학습공동체의 학습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주민들의 한국사회에 성공적인 적응과 주체적인 통합, 상호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주여성들이 함께 학습하는 다문화 학습공동체인 바리스타 교실을 선정하여 참여관찰 한 후 의례이론에 입각하여 학습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번째 새로운 학습의 출발점인 분리단계, 리미널리티와 커뮤니타스를 통한 미메시스적 학습이 일어나는 전이단계,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는 통합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특히 전이단계에서는 공동체 안에서 순환리듬, 다리듬, 조화리듬들이 발생하며 학습이 일어나고 있었다. 의례는 정형화된 집합적 표상이 아니라 한 개인이 미메시스적으로 하나의 세계에서또 다른 세계로 옮겨 가는 방식이고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방식이 펼쳐지는 장이다. 따라서 다문화 학습공동체 속에서 습득되는 실천적 지식과 다양한 학습리듬을 발견하고 그 속에서의 창조를 유도 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Learning Community is one unit united by individuals whose main purpose is studying and group whose core function is related by human behaviors, studying, organization, and maintenance of the community. Multi-studying community is also focused as the place of new studying for multi-studying and mutual communication through daily l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immigrants’ successful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subjective unity, and mutual understanding by analyzing studying process of multi-cultural studying community which will contribute as the place of mutual communication and studying in multi-cultural society. Therefore, this researcher selected, participated, and observed Barista class that is multi-cultural studying community immigration women with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study together and analyzed studying process by referring ritual theory. As a result, first, it could be divided into separation stage thai is starting point of new studying, transferring stage of mimesis studying through liminality and communitas, and united stage new identity forms. Especially, in transferring stage, circulation rhythms, multi-rhythms, and harmonious rhythms were occurred and there was studying in community. Ritual are the method one individual transfers from one world to another world as mimesis, not typical integral symbol, and place of the method creating new world. Therefore, practical studying knowledge and various studying rhythms learned in multi-cultural studying community should be discovered and in there, multi-cultural education inducing creation should be conducted.

      • 페미니즘 서발턴의 저항으로서의 수요시위 ―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부산여성행동을 중심으로

        석영미(Young-MI, Seok) 동서대학교(동아시아연구원) 2022 동아시아와 시민 Vol.1 No.-

        이 글은 2016년부터 시작된 부산 수요시위와 평화의 소녀상 건립 등 일본군‘위안부‘ 문제해결의 중심에 있었던 여성들의 저항의 기록이다.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민족, 젠더, 계급 문제가 중층적으로 얽힌 문제이다. 페미니즘 시각에서 일련의 운동들은 서발턴이 또 다른 서발턴에게 ‘말걸기’이자 서발턴 연대의 저항이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역사적 해결은 정치적•외교적 상황과 맞물려 아직 요원하지만 지역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해 펼쳤던 제 운동들의 성과는 결코 가볍지 않다.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의 존엄과 명예를 되찾을 때까지 수요시위와 소녀상을 지키기 위한 저항의 네트워크는 계속될 것이다. This article is a record of the resistance of women who have been at the center of solving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problems, including the Busan demand Wednesday demonstr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a statue of peace, which began in 2016.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problem is a layered problem of ethnicity, gender, and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a series of movements were subaltern’ s “talking” to another subaltern’s and resistance to solidarity. The historical solution to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problem is still far away in line with political and diplomatic situations, but the results of movements to solv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problem in the region are by no means light. Until the dignity and honor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victims are restored, the network of resistance will continue to protect demand Wednesday demonstrations and statues of peace.

      • 부산지역 가족여가 프로그램의 현황

        석영미(Seok Young-Mi),공미혜(Kong Mee-Hae)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08 젠더와 사회 Vol.19 No.-

          이 연구는 가족여가 프로그램의 현황을 알아보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부산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관련 기관(종합사회복지관, 건강가정지원센터, 기타 여성단체 등)의 프로그램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지와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BR>  첫째, 부산지역 가족여가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본 결과 기관 당 평균 프로그램 개수는 1.4개, 운영기간은 32.7개월, 담당자의 담당기간은 21.4개월로 비교적 짧고 교육경험도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전문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운영목적은 주로 ‘여가활동을 통한 기족관계증진’과 ‘가족에게 문화향수의 기회 제공’으로 밝혀졌다.<BR>  둘째, 가족여가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명칭은 ‘가족’이라는 단어와 보편적 가족가치를 지향하는 단어들을 많이 쓰고 있었고 그 목표로는 가족관계 강화 영역, 가족과 사회와의 적응력 강화, 가족여가 지원 영역, 자녀교육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프로그램의 대상자는 일반가족, 가족생활주기별 가족, 한 부모 가족, 조손 가족, 다문화 가족 등으로 분류되어 부족하지만 다양한 가족들에게 프로그램을 서비스 하고 있다. 실시 횟수는 연 1~2회 시행되는 연중행사 프로그램과 월1회 정도의 프로그램이 많았고 내용별로는 대회나 축제형태의 프로그램, 나들이, 문화체험 형태와 캠프 형태, 가족단위 봉사프로그램, 체험과 교육, 정서, 문화 지원 등의 복합적 성격의 프로그램과 영화나 공연 관람 등의 단순문화향유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었다.<BR>  셋째, 설문지와 면접을 통해 가족여가프로그램의 운영상의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을 살펴본 결과 운영상의 어려움으로 예산확보의 어려움과 과중한 업무량, 프로그램 개발의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으며 활성화 방안으로 충분한 예산과 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 연계를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다.<BR>  부산지역 기관의 가족여가 프로그램은 아직 활성화 단계에 있지 않고 인식도 부족하며 예산도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관련 기관들은 보다 체계적인 요구도 분석과 계획을 통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다 객관적인 평가 시스템 구축과 피드백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질 향상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검증된 가족여가 프로그램은 가족여가관련 시설의 확충, 가족여가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개선,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더불어 진정한 활성화의 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resent conditions and the contents of Family Leisure Programs in Busan, and to find out various ways of activating the program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1 organizations that include 34 Social Welfare Centers, 2 Healthy Family Centers, and 5 NGO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BR>  The general conditions of Family Leisure Programs were not actively cultivated in its" numbers and contents, because periods of program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programers were not enough. With the major goal of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hip,"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consisted of strengthening family relationship, activating the adaptation between family and the society, supporting family culture and leisure, and child education. In addition, the majority of these programs tended to be a one-off session. Also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among programs of organizations.<BR>  Family Leisure Programs has not be activated, require more basic knowledge relevant to family leisure among programers, and need sufficient budget for regularization. Thus, organizations concerned with these programs need more efforts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demands and planning. In order to activate the Family Leisure Programs, it is essential to expand facilities relevant to family leisure, to improve social recognition of it, and to get financial support from the community.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학습생애사 연구 : 중국 이주여성들의 이야기

        석영미(Young-Mi Seok)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4

        집 떠난 여성들의 이야기를 듣는다는 것은 그들의 관점에서 그들의 삶을 재구성한다는 것이며 성인학습자로서 그들의 주체성을 인정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행위주체자로서의 이주여성이 자신들의 삶과 학습경험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는지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이주를 둘러싼 사회적 제약과 구조 속에서 학습을 자원으로 어떻게 주체적으로 성장해 나가는지를 밝혀 향후 다문화교육과 이주민 지원의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조적인 생애과정을 보여주는 중국 결혼이주여성 두 사례를 선정하여 그들의 학습생애를 탐구하였다. 생애사 연구방법과 Schütze의 내러티브 분석단계를 활용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사례는 각 각 노동이주에서 결혼이주로, 유학에서 결혼이주라는 복합적인 이주과정을 경험하였지만 혼란 속에서도 적극적인 제도편입을 통하여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려 하였다. 또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계획하며 추진해 나가는 생애사적 행동모델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성장과 변화는 일터와 학습공동체 속에서 무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적 학습을 통해 가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Listening to the stories of women who left home is to reorganize their lives from their standpoint and means the acknowledgement of their identity as adult learners. Therefore, it’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method migrant women understand and interpret their lives and learning experiences as behaviors. This researcher intended to examine how marriage migrant women subjectively grow with a resource of learning under social constraints and structure around the migration and provide it as basic data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igrant support in the future. For it, this researcher selected two cases of Chinese migrant women who show contrastive life course and explored their life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using the method to study on life stories and Schütze’s narrative analysis stage are as follows. In two cases, those women respectively experienced complex migration from labor migration to marriage migration and from studying abroad to marriage migration, but intended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s by active introduction of system in spite of confusion. In addition, they showed a behavioral model of life stories that subjectively plan and promote their lives. This researcher realized that they could grow and change through formless cultural learning in workplace and studying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일상학습의 개념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병준(Byung-Jun Yi),석영미(Young-Mi Seok),마루오시(Ruoxi Mai),이지인(Ji-In Lee),손혜진(Hye-Jin Son)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6

        학습현상을 설명하고 학습현실을 이해하는데 있어 일상 속에서 형식을 갖추지 않은채 자연스럽게 또는 문화적으로 습득되는 것의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다. 일터학습의 경우에도 형식교육을 통한 개인의 성장과 발달보다는 무형식상황에서의 학습이 더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어떤 학자들은 무형식학습으로, 또 어떤 학자들은 일상을 강조한다는 의미에서 일상학습으로 명명하기도 한다. 그리고 어떤 이들은 삶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학습이 일어난다고 하여 문화적 학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계에서의 일상학습의 흐름과 동향을 분석하고, 일상 또는 일상성의 개념의 생성과 의미를 학제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일상학습의 개념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한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일상의 개념은 철학적으로는 후설의 현상학에서 제시된 생활세계로부터 시작하여 이를 사회학적으로 이어받은 슈츠가 일상적 생활세계라는 개념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프랑스사회학에서는 일상성을 강조하는 하나의 사회학적 흐름이 형성되었다. 역사학에서는 집단기억과 심성을 연구한다는 차원에서의 일상사연구라는 하나의 패러다임이 생겨났다. 교육학에서도 일상학습을 강조하는 일군의 연구자들이 생겨났는데 학습이 생성되는 일상적 맥락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For explaining learning phenomena and understanding learning realities, an importance of acquiring naturally or culturally without form in daily life is emphasized as time goes by. In case of workplace learning, studying results that learning of informal situation makes more effects than individual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formal education are increasing. Some scholars name the phenomenon as informal learning and other scholars name it as casual learning because it focuses daily life. And some people call it cultural learning as learning is occurr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lif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er intended to analyze steam and tendency of casual learning in Korean academic world, examine creation and meaning of the concept of daily life or dailiness interdisciplinarily and based on it, try to conceptualize casual learning. To achieve them, this researcher tried to analyze the content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concept of daily life started from living world suggested in Husserl’s phenomenology philosophically, Schutz who succeeded to it sociologically started to use it as daily living world, and one social stream focusing dailiness was formed in French sociology. In historical studies, one paradigm of daily life research was occurred in respect of studying collective memory and mind was created. In pedagogy, some researchers who emphasized casual learning were appeared because they focused on daily context causing learning.

      • KCI등재

        다문화 NGO활동가들의 직업전문성 및 다문화역량 발달에 관한 생애사 연구: 평생교육적 함의

        이병준 ( Byung Jun Yi ),석영미 ( Young Mi Seo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3 교육인류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제3섹터 영역에서 활동하는 NGO활동가들의 직업생애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영역의 시민단체 활동을 수행해 온 5년 이상의 중견실무자들에 초점을 둔 사례를 다루고 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라고 하는 국가적, 제도적 시스템이 구축되기 전에 초기에 다문화업무는 NGO들이 도맡아왔는데, 이들이 결혼이주여성들의 교육업무를 포함하는 다문화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통해서 습득된 노하우는 사실상 여전히 매우 중요한 전문성을 가진다. 다문화영역에서 5년 이상의 활동을 해온 NGO실무자들은 이제 어느덧 중견관리자로서 독자적인 사업기획을 추진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입지, 참여, 주도라고 하는 3단계의 전문성 발달과정을 거쳐 각 단계마다 문화적 욕구의 분출과 문화적 만남, 문화적 자각, 문화적 기술의 적용과 타문화에 대한 수용과 이해, 편견 없는 자세, 민감성, 중용 등의 다문화역량을 갖추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NGO실무자들이 다문화 업무의 입문에서 지금의 실무책임자에 이르기까지 형성해온 경험적 지식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직업생애사 연구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NGO activists in the third sector obtain educational professionalism. This study treats examples focusing on hands-on workers who have performed civic group activities in multi-cultural area for more than 5 years. An NGO had been in charge of multi-cultural duties before national and institutional system, support center for multi-cultural families, was established. The knowhow they learn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educational duties on marriage migrant women still actually has very important professionalism actually. NGO hands-on workers who have performed in multi-cultural area for more than 5 years have the capability to promote independent business plan as middle-grade managers now. They are obtaining multi-cultural capabilities such as outpouring of cultural desires, cultural meeting, cultural consciousness, application of cultural technology,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 unbiased attitude, sensitivity, moderation, etc. in each stage while following the three stages of professionalism developmental process such as position, participation and the leadership in common. This is a study of occupational life and its purpose is to explain empirical knowledge that NGO hands-on workers have formed from the introduction of multi-cultural duties to the current working-level executives through the biographical approach by narrative interview method.

      • KCI등재

        미메시스 이론에 기반한 다문화학습 모형 연구

        이병준(Byung-jun, Yi),석영미(Young-mi, Seok)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4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6

        한국 사회과학연구에서 다문화는 고령화와 더불어 매우 중요한 핵심 아젠다가 되었다. 다문화연구에서 다문화교육은 지금까지 대체로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다루어져 왔다. 첫째로 다문화교육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적응에 관한 주제를 주로 다루었으며, 둘째로 다문화교육은 이주배경을 가진 가족의 아동과 청소년들이 학교와 사회에 어떻게 잘 적응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어 논의를 해왔다. 적응의 관점은 필요하나 이들이 주체적인 사회구성원으로 자리매김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교육적 과제의 핵심이라고 볼 때 이들이 어떻게 주체적인 존재로 학습과정을 통해 변화되어 나아갈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작업은 다문화교육의 담론의 새로운 지평을 연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메시스 이론은 다문화학습과정을 효과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제공할 수 있다. Paul Ricoeur의 미메시스 이론에 따르면 창조적 모방으로 불리우는 미메시스의 과정의 세 가지 단계를 거쳐 진행이 되며 이는 다문화 학습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주자들은 선행이해와 경험의 단계와 자신이 가져왔던 인식의의 재구성 단계를 거쳐 재해석의 단계로 경험과 학습의 과정들이 변화되어 간다. 이들이 미메시스과정을 통해 한국의 사회와 가치, 문화를 경험하고 이를 자신의 해석에 의해 재현하게 될 때 진정한 주체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In studies on Korean society and science, multiculture became a core agenda with the graying population. In studies on multi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mainly been treated from two angles: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mainly treated as a subject about the adaptation of migrant women marrying into a Korean family.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adaptation of children and youth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migrant background to school and society. These issues are important, but at the core of educational tasks is to help immigrants and people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settle as subjective members of society. In this sense, efforts to examine how these people can adapt by a learning process as active agents can open up a new prospect in the discussion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paper argues that mimesis theory can provide an appropriate theoretical model which can effectively explain the multicultural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mimesis theory by Paul Ricoeur, there are three steps in the mimesis process which is called creative imitation, and they can be equally adapted to the multicultural learning process. Migrants go through a step of preceding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a step of reorganization of previous awareness, and a step of reinterpretation and processes of experience and learning. When they experience Korean society, value and culture through the mimesis process, they can interpret them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and learning, and ultimately become authentic subjects.

      • KCI등재

        카페, 연행적 공간, 그리고 한국인의 일상학습

        이병준(Yi, Byung-Jun),석영미(Seok, Young-Mi)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5 No.-

        카페는 단순히 차를 마시는 장소가 아닌 사람과 사람이 모이는 장소이며 의사소통의 공간이다. 인간의 인지와 학습이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이루진다고 본다면 카페 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것은 그 사회의 문화가 개인에게 어떻게 체화되는 지 알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본 연구는 제3의 공간으로 부각되고 있는 카페의 문화적 학습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총 4곳의 카페를 참여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분석했다. 연구결과 카페는 사람과 사물, 행위가 하나로 어우러진 일상의 리듬이 흐르는 공간이며, 다양한 문화적 취향과 가치들이 드러나는 공간이었다. 또한 대화와 고독을 통한 만남이 공존하며 이러한 만남과 소통들은 연행적 행위로 이루어졌다. 카페에서 사람들은 일상의 연기로 자신을 표현하고 연행적 의례를 통해 공동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카페는 연행을 통한 자연스러운 일상학습이 일어나는 교육적 공간이며 나아가 한국적인 가치와 규범들이 문화적으로 학습되는 장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afe is the place people gather and space of communication, not the place they drink tea simply. If awareness and learning of human are fulfilled in a social and cultural context, examination of interaction in cafe is a way to learn how culture of the society is acquired by individuals. This researcher analyzed total 4 cafes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so as to examine cultural learning process of cafe which is focused as the third space. As the result of research, the cafe was the space daily rhythm harmonized by people, materials and ared. In addition, there were meetings by conversation and loneliness and those meetings and communications were fulfilled by performative behaviors. In the cafe, people expressed themselves through the daily performance and strengthened and learned common identity through the performative rites. This research confirmed, the cafe is educational space that daily learning is naturally fulfilled by performance and furthermore, the space that Korean values and norms are culturally lear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