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Expression of Dazla Gene in the Development of Mouse Ovary

        서창석,김용범,구승엽,지병철,최영민,김정구,문신용,이진용,김석현,Suh, Chang-Suk,Kim, Yong-Beom,Ku, Seung-Yup,Jee, Byung-Chul,Choi, Young-Min,Kim, Jung-Gu,Moon, Shin-Yong,Lee, Jin-Yong,Kim, Seok-Hyun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9 No.3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생쥐 Dazla 유전자의 난소내 발현 위치를 확인하고, 배아의 발달에 따른 Dazla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임신 제 7일, 10일, 11일, 14일의 태자 (각각 n=9)와 생후 27일된 암컷 미성숙 생쥐 (n=32), 8주령의 암컷 성숙 생쥐 (n=9)로 부터 난자, 과립막세포, 난소 조직을 획득하였으며, 9주령의 수컷 성숙 생쥐 (n=3)로부터 고환 조직을 획득하였다. 각각의 획득된 조직과 세포에서 Dazla mRNA의 발현 여부를 RT-PCR, in situ hybridization (ISH) 방법 등으로 확인하였다. 성선자극호르몬을 투여하지 않은 미성숙 및 성숙 생쥐에서 획득한 미성숙 난자 (GV)와 PMSG와 hCG를 투여한 미성숙 및 성숙 생쥐에서 획득한 성숙 난자 (MII)에서 RT-PCR로 Dazla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다. 미성숙 및 성숙 생쥐의 난소 조직과 성숙 생쥐의 고환 조직에서 RT-PCR 및 ISH 방법으로 Dazla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 과: 난소의 과립막세포에서는 미성숙 및 성숙 생쥐, PMSG와 hCG 투여 여부 등과 상관없이 모두 Dazla 유전자의 발현은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PMSG 및 hCG를 투여하지 않은 난소에서 획득한 미성숙난자 (germinal vesicle, GV) 또는 PMSG 및 hCG 투여 후 채취한 성숙 난자 (metaphase II, MII) 모두 Dazla 유전자가 발현되었다. Dazla 유전자의 발현은 수정 직후 (2PN) 음성으로 전환되었으며, 착상 직전의 배반포 시기까지 유전자 발현이 음성으로 지속되었다. Dazla 유전자는 임신 제 7일 (PCD 7), 10일 (PCD 10), 11일 (PCD 11)의 태자에서도 유전자 발현이 계속 음성으로 관찰되었으나, 성 분화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임신 제 $12{\sim}14$일 (PCD $12{\sim}14$)의 태자에서 유전자 발현이 다시 관찰되었다. 결 론: Dazla 유전자는 난소 내 난자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난자 특이 유전자 (oocyte specific factor)로서 Dazla 유전자가 난소 내 난포 생성과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 조기 폐경 환자에서의 연관성 등을 확인한다면 임상적으로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Hormonal Regulation of Dazla Expression in the Follicle Development of Mouse Ovary

        서창석,지병철,구승엽,김용범,박교훈,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Suh, Chang-Suk,Ji, Byung-Chul,Ku, Seoung-Yup,Park, Kyo-Hoon,Kim, Youn-Beom,Kim, Seok-Hyun,Choi, Young-Min,Kim, Jung-Gu,Moon, Shin-Yong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0 No.4

        목 적:본 연구에서는 생쥐 난소 주기에 따른Dazla 유전자의 발현 조절 양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생후 27일된 암컷 미성숙 생쥐 (total 33EA; each 3 EA)로 부터 Pregnant Mare Serum Globulin (PMSG) 투여전, PMSG 투여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후 난소 조직과 hCG 투여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후 난소 조직을 획득하였다. 암컷 성숙 생쥐 난소와 (n=3) 수컷 성숙 생쥐 (n=3)로부터 고환 조직을 획득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획득된 조직에서 Dazla mRNA 의 발현 여부를 RT-PCR과 in situ hybridization (ISH)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호르몬 투여 시기에 따른 Dazla 유전자의 발현 강도를 ISH 방법으로 비교하여 정상 난소주기에서 PMSG와 PMSG+hCG 에 의한 Dazla 유전자의 발현 조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결 과: 미성숙 생쥐, 성숙 생쥐 난소 내 난자 모두에서Dazla 유전자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성숙 생쥐 고환 내 정자에서도 Dazla 유전자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미성숙 및 성숙 생쥐의 난포에서는 난포의 성장에 따라 Dazla 유전자의 발현 강도가 강하게 관찰되었다. 미성숙 생쥐에 투여된 PMSG와 PMSG+hCG에 의한 유전자의 발현 강도는 난포의 크기가 같을 경우 호르몬 투여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결 론: Dazla 유전자는 난소내 난자에서 특이하게 발현되며, 난포의 크기에 따라 난자에서의 dazla유전자 발현의 강도도 증가한다. 그러나 PMSG와 PMSG+hCG에 의하여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난소의 배란주기에 따른 유전자의 발현 양상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불임환자에서 질식초음파검사를 이용한 자궁내막 형태 및 두께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서창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이진용,Suh, Chang-Suk,Kim, Seok-Hyun,Choi, Young-Min,Kim, Jung-Gu,Moon, Shin-Yong,Lee, Jin-Yong 대한생식의학회 199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5 No.2

        The objectiv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he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 analysis of endometrial pattern and thickness could predict the stage of menstrual cycle. Endometrial pattern and thickness were observed in those patients receiving infertility work up from April, 1994 to July, 1998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group was 185 patients with normal regular menstrual cycles. Among them, 44 patients received endometrial biopsy, and the date of endometrium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endometrial pattern and thickness. The observed endometrial pattern was presence or absence of central cavity echogenicity, triple line sign, endometrial hypoechogenicity, ring sign, endometrial hyperechogenicity and posterior acoustic sonic enhanc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entral cavity echogenicity was seen throughout menstrual cycle. Triple line sign was observed in 81.1% of patients during early secretory phase. However, in mid to late secretory phase, triple line sign was appeared in only 6.8%. The percentage of positive endometrial hypoechogenicity was highest in early secretory phase. In contrast to hypoechogenicity, positive endometrial hyperechogenicty was highest in mid to late secretory phase. Ring sign was observed in 73.5% of the patients during early secretory phase with peak incidence.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 was seen in 72.7% of the patients during late secretory phas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being a secretory phase if the patients showed hyperechogenic endometrium, were 84.2%, 83.3%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being a secretory phase if the patients showed posterior acoustic enhancement were 93.8%, 58.3% respectively. Endometrial thickness was not correlated with endometrial dating. In conclusion,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al delineation of the endometrial pattern might be useful tool in predicting endometrial status during normal menstrual cycle. But, endometrial thickness could not predict the endometrial dating.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치료 후 전혈세포에서의 Osteoproteoerin (OPG), Soluble Receptor Activator for Nuclear Factor κB Ligand (sRANKL) 생산의 변화와 골밀도 변화 사이의 관계

        이동옥 ( Dong Ock Lee ),김훈 ( Hoon Kim ),채수진 ( Soo Jin Chae ),서창석 ( Chang Suk Suh ),김석현 ( Seok Hyun Kim ),최영민 ( Young Min Choi ),문신용 ( Shin Yong Moon ),김정구 ( Jung Gu Kim ) 대한폐경학회 2007 대한폐경학회지 Vol.13 No.2

        연구목적: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치료 후 전혈세포에서의 OPG, sRANKL 생산의 변화과 골밀도 변화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폐경여성 224명에서 LPS로 자극한 전혈세포에서 OPG, sRANKL 생산, 혈청 OST, CTX, PTH, 칼슘, 인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요추와 근위부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이중 주기적 에스트로겐-프로제스토젠 치료가 118명에서 시행되었다. 결과: 전혈세포에서 OPG 생산은 연령과 양성 상관관계가 있었고 저골량을 가진 여성에서 정상 여성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sRANKL 생산과 sRANKL/OPG 비는 연령과 음성 상관 관계를 보였고 골밀도 상태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혈세포에서의 OPG와, sRANKL 생산 및 그 비는 혈청 OST, CTX, PTH 칼슘, 인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호르몬 치료 6개월 후 전혈세포에서의 OPG 생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sRANKL 생산과 sRANKL/OPG 비는 변화하지 않았다. 호르몬 치료 1년후 대퇴골경부 에서의 골밀도 변화는 호르몬 치료 전 전혈세포에서의 OPG와 sRANKL 생산과 음성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sRANKL/OPG 비는 양성 상관관계를 보였다. 호르몬 치료 6개월후 전혈세포에서의 OPG와 sRANKL 생산 변화는 호르몬치료 1년후 골밀도의 변화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호르몬 치료 후 전혈세포에서의 OPG, sRANKL 생산 및 그 비의 변화는 골밀도 변화와 관련이 없으나 치료전 전혈세포에서 OPG, sRANKL 생산은 호르몬치료 1년후 대퇴골경부에서의 골밀도의 변화을 반영할 수 있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 production of osteoprotegerin (OPG), and soluble receptor activator for nuclear factor κB lignad (sRANKL) by whole blood cells (WBCs) and changes in bone mineral density (BMD) after hormone therapy (HT)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production of OPG, and sRANKL by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WBCs blood cells, serum levels of osteocalcin (OST), type I C-telopeptide breakdown products (Crosslaps; CTX), parathyroid hormone (PTH), calcium, and phosphorus were measured in 224 postmenopausal Korean women. The BMD at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was also determined. One hundred and eighteen postmenopausal women took sequential estrogen-progestogen therapy. Results: The production of OPG by WBCs correlated positively with age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ith low bone mass than in normal women. The production of sRANKL and sRANKL/OPG correlated negatively with age and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state of BMD. These OPG and RANKL production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with serum levels of OST, CTX, PTH, calcium, and phosphorus. After 6 months of HT, the production of OPG by WBCs increased significantly, but no change in the production of sRANKL, and sRANKL/OPG ratio was noted. The 1-year change in BMD of femoral neck correlated negatively with the basal production of OPG by WBCs and positively with basal sRANKL/OPG ratio. Changes in the production of OPG and sRANKL after 6 months of HT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1-year change in BMD. Conclusion: After HT, changes in the production of OPG, and sRANKL by WBCs did not correlate with changes of BMD, but basal production of OPG by WBCs and sRANKL/OPG ratio correlated with changes in BMD of femoral neck after HT.

      • KCI등재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고 있는 폐경여성에서 혈청 인슐린유사 성장인자의 변화양상과 골밀도의 변화양상사이의 연관성

        김석현(Seok Hyun Kim),최영민(Young Min Choi),서창석(Chang Suk Suh),김정구(Jung Gu Kim),신찬수(Chan Soo Shi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

        목적: 폐경여성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이 혈청 IGF에 미치는 영향과 치료후 혈청 IGF의 변화양상이 골밀도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Premarin 단독요법, 또는 premarin-MPA 병합요법을 시행받고 있는 폐경 여성에서 치료전, 치료후 3, 6, 12개월에 방사면역법으로 혈청 IGF-I, IGF-II 농도를 측정하고 요추, 대퇴 근위부의 골밀도를 치료전, 치료후 12개월에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DEXA)로 측정하여 혈청 IGF-I, IGF-II 농도의 변화양상과 치료후 1년에서의 골밀도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이들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Paired t-test, student's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test, Pearson's coefficient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호르몬대체요법을 시행한 후 요추 및 대퇴 근위부에서 골밀도 증가가 있었으나 투여방법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Premarin-MPA 투여군에서만 치료후 3, 6, 12개월에 혈청 IGF-I 농도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혈청 IGF-II 농도의 경우에는 premarin 단독투여군, premarin-MPA 투여군 모두에서 치료후 6, 12개월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청 IGF의 변화율은 호르몬 반응성 여부 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전 및 치료후 혈청 IGF-II의 변화양상과 치료후 1년간 골밀도 변화양상사이에 연관성이 없었으나 치료후 제 6개월에서는 혈청 IGF-I의 변화양상과 Ward's triangle에서의 골밀도 변화양상사이에서 유의한 음성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호르몬대체요법은 혈청 IGF에 영향을 미치며 혈청 IGF-I의 변화양상으로 Ward's triangle에서의 골밀도 변화양상을 예측할 가능성이 있다. Purposes: To evaluate the effect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HRT) on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s(IGFs) levels and to investigate if changes in serum IGFs reflect changes in BMD after HRT in postmenopausal women. Material & methods: IGF-I and IGF-II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after Bio-spin P-10 seperation in sera obtained every 3 months from postmenopausal women who was taking premarin alone (premarin group; n=17) or premarin-medroxyprogesterone acetate(MPA group; n=42) for 1 year. Also, bone mineral density(BMD) were determined before and 1 year after HRT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All statistics were performed by Paired t-test, student's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test, Pearson's coefficient. Results: HRT increased BMD of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in both premarin group and MPA group, but any difference in degreee of increase in BMD was not noted between premarin group and MPA group. Compared with pretreatment levels, serum IGF-I levels decreased at 3, 6 and 12 months after therapy only in latter group whereas serum IGF-II levels increased at 6 and 12 months after HRT in both groups. Changes in serum IGF-I and IGF-II levels during therapy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y the bone response to HRT. Changes in serum IGF-II levels after HRT did not correlated with the 1 year changes in BMD at any skeletal sites studied, but changes in serum IGF-I levels from pretreatment to 6 months after HR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ange in BMD of Ward's triangle. Conclusion: HRT influences serum IGF levels in postmenopausal women and changes in serum IGF-I levels may predict the changes in BMD of Ward's triangle after HRT.

      • KCI등재

        인간 자궁내막에서 apoptosis와 bcl-2 및 bax 유전자의 발현에 관한 연구

        서창석(Chang Suk Suh),문신용(Shin Yong Moon)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1

        목적 : 본 연구는 정상 월경주기의 자궁내막에서 apoptosis의 발생과 변화 양상을 관찰하고, apoptosis를 조절하는 bcl-2와 bax 유전자들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여, 정상 월경주기의 자궁내막에서 apoptosis와 관련된 이들 유전자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자궁 또는 난소의 양성 질환으로 적출된 자궁의 내막 조직을 채취한 후 Noyes 기준에 의거하여 초기(n=13) 및 후기 증식기(n=14), 초기(n=15) 및 후기 분비기(n=15)의 4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에서 TUNEL법으로 apoptosis의 발생 정도를 비교하였고, Northern blot을 시행하여 bcl-2와 bax 유전자의 발현 강도를 비교하였으며, bcl-2 단백질과 bax 단백질의 발현 위치 및 강도를 면역화학염색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 자궁내막에서 관찰된 apoptosis 지수(index)는 증식기에 비하여 분비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 <0.05), 특히 후기 분비기에 최고치를 보였다. Bcl-2 유전자는 후기 증식기에서 최고치를 보이다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8.5kb transcript의 경우 후기 분비기에서 다른 시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유전자 발현 양상을 보였다(p <0.05). 그러나 bax mRNA의 발현은 후기 분비기에서 최고치를 보였으며, 후기 분비기는 다른 시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발현을 보였다(p <0.05). Bcl-2 와 bax mRNA의 발현비는 bcl-2 5.5kb transcript/bax mRNA 및 bcl-2 7.5kb transcript/bax mRNA 모두 초기 및 후기 증식기에서 초기 및 후기 분비기에 비하여 발현비가 유의하게 높았다(p <0.05). 자궁내막 선의 상피세포에서 관찰된 bcl-2 단백질은 초기 및 후기 증식기에서 초기 및 후기 분비기에 비하여 면역반응이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bax 단백질은 bcl-2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정상 월경주기에서 bcl-2 유전자의 발현이 상대적으로 우세한 증식기에는 apoptosis의 발생이 감소하고, bax 유전자의 발현이 상대적으로 우세한 분비기에는 apoptosis의 발생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정상 월경주기에서 자궁내막의 탈락 조절에 관여하는 일부 기전 중 bcl-2 및 bax 유전자의 상호 조절 기능이 관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To understand the regulatory mechanism of apoptosis by pro- and anti-apoptotic genes in the cyclic human endometrium. Methods: Each case of endometrial status was classified by Noyes criteria, and grouped into early proliferative(n=13), late proliferative(n=14), early secretory(n=15), and late secretory phases(n=15). Expression of bcl-2, and bax were assessed by Northern blot and immunohistochemistry in relation to apoptotic index by TUNEL. Results: Apoptotic index showed increasing tendency as progressing to the late secretory phase, which phas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poptotic index compared to the other phases(p <0.05). The intensity of bcl-2 8.5kb transcript by Northern blot was highest in the late proliferative phase significantly(p <0.05), decreasing to nadir in the late secretory phase. In contrast to bcl-2 expression, bax mRNA expression was highest in the late secretory phase significantly(p <0.05). Both the relative ratio of bcl-2 8.5kb transcript and bcl-2 5.5kb trascript to bax showed that the ratio was higher in the early, and late proliferative phase, but, reversed in the late secretory phase. Both the immunoreactivity of bcl-2 and bax proteins could be detected in the basal, functional, and stromal layers of endometrium. The immunoreactivity of bcl-2 protein was more prominent in the proliferative phase, however, bax protein was more prominent in the secretory phas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poptosis could be regulated by the relative dominance of bcl-2 or bax expression in the human endometrium. Thus, bcl-2 and bax expressions might be one of the possible mechanism in the regulation of normal menstru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시 치료 제제에 따른 유방 치밀도의 변화

        이동윤 ( Dong Yun Lee ),김상돈 ( Sang Don Kim ),최영식 ( Young Sik Choi ),지병철 ( Byung Chul Jee ),구승엽 ( Seung Yup Ku ),서창석 ( Chang Suk Suh ),최영민 ( Young Min Choi ),김정구 ( Jung Gu Kim ),문신용 ( Shin Yong Moon ),김석현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3

        목적 : 본 연구는 한국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과 연관된 유방 치밀도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 받은 폐경 여성 294명을 대상으로 치료 제제에 따라 매일 tibolone 2.5 mg을 투여 받은 군(n=119), conjugated equine estrogen(CEE) 0.625 mg/medroxyprogesterone(MPA) 2.5 mg으로 지속적 병합요법을 시행 받은 군(n=93), CEE 0.625 mg으로 단독요법을 시행 받은 군(n=40) 및 raloxifene 30 mg을 투여 받은 군(n=42)으로 대변하였으며,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 받지 않은 폐경 여성 36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대상 여성에서 유방촬영술(mammography)을 호르몬 치료 시작 전과 치료 1년 후에 각각 시행한 후 유방 치밀도(breast density)의 변화를 후향적으로 각 군에서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 대상 여성의 연령, 분만력, 폐경 연령, 폐경 후 기간, 체중, 신장 및 체질량지수(BMI)는 각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호르몬 대체요법 1년 후 유방촬영술에서 관찰된 유방 치밀도의 증가는 지속적 병합요법군에서 25.8%(24/93)로서 tibolonerns의 11.8%(14/119), raloxifene군의 2.4%(1/42)에 비하여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 본 연구 결과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 받은 폐경 여성에서 관찰된 유방 치밀도의 변화는 치료 제제에 따라 상이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progestogen을 이용한 지속적 병합요법이 유방 치밀도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mammographic changes in breast density that were associated with hormone replacement therapy(HRT)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aterials and Methods : In this retrospective study, 294 postmenopausal women were classified as the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regimen of HRT; a daily treatment of tibolone 2.5 mg(n=119), conjugated equine estrogen(CEE) 0.625 mg/medroxyprogeserone(MPA) 2.5 mg(n=93), CEE 0.625 mg only(n=40) or raloxifene 60 mg(n=42), and they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f postmenopausal non-HRT users(n=36). Mammography was performed at baseline and after 1 year of treatment, and the incidence of changes in mammographic density was evaluated and compared among the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arity, age at menopause, years after menopause, weight, height, and body mass index(BMI) among the groups. The risk of an increase in mammographic density after 1 year of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EE/MPA group(24/93, 25.8%), compared with tibolone(14/119, 11.8%) and raloxifene(1/42, 2.4%) group(p<0.05).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anges in mammographic breast density related to postmenopausal HRT were dependent on the regimen of HRT. The continuous administration of progestogen as a component of the combined HRT seems to affect the breast density significantly.

      • KCI등재

        한국 폐경여성에서 osteoprotegerin (OPG)-receptor activator of NF-kB Ligand (RANKL) 유전자 다형성과 호르몬치료 후 골밀도 변화 사이의 연관성

        김정구 ( Jung Gu Kim ),구승엽 ( Seung Yup Ku ),지병철 ( Byung Chul Jee ),서창석 ( Chang Suk Suh ),김석현 ( Seok Hyun Kim ),최영민 ( Young Min Choi ),문신용 ( Shin Yong Mo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6

        목적: 한국 폐경여성에서 OPG와 RANKL 유전자 다형성양상과 호르몬치료 후 골밀도 및 순환계내 OPG, sRANKL 농도 변화사이에 연관성이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주기적 호르몬치료를 1년간 받은 자연폐경여성 236명에서 PCR-RFLP, 염시서열분석으로 OPG T245G, G1181C 다형성양상과 RANKL rs2277438 A/G 다형성양상을 분석하고 혈청 OPG, sRANKL, BAP, OST, CTX, calcitonin, PTH, 칼슘, 인 농도를 효소면역법, 면역측정법, 원자흡광법으로, 요추 및 대퇴 근위부에서의 골밀도를 DXA로 측정하였다. 결과: OPG와 RANKL 유전자형 및 이들의 복합 유전자형에 따른 호르몬 치료를 1년간 시행한 후의 골밀도 변화율에는 차이가 없었고 호르몬치료 반응군에서의 이러한 유전자형의 분포양상은 비반응군 (골밀도가 3% 이상 치료 전보다 감소된 경우)에서의 분포와 차이가 없었다. RANKL 유전자 다형성의 GG 유전자형에서 호르몬치료 후 혈청 sRANKL이 변화율아 AA, AG 유전자형의 변화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5). 그러나 다른 OPG 유전자다형성의 단일 또는 복합 유전자형에 따른 OPG를 포함한 다른 골대사인자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한국 폐경여성에서 OPG T245G, G1181C 다형성과 RANKL rs2277438 A/G 다형성은 호르몬 치료 후 골밀도 변화양상과 연관성이 없으나 이 중 RANKL다형성은 순환계에서의 sRANKL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polymorphisms in osteoprotegerin (OPG)-receptor activator of NF-kB ligand (RANKL) gene to changes in circulating OPG and soluble RANKL (sRANKL) levels and in bone mineral density (BMD) after hormone therapy (HT)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Methods: The OPG T245G, and G1181C polymorphisms and RANKL rs2277438 A/G polymorphism were analyz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sim (PCR-RFLP) or direct DNA sequencing in 236 postmenopausal Korean women receiving sequential HT for 1 year. Serum OPG, sRANKL, bone alkaline phosphatase, CrossLaps (CTX), osteocalcin, clacitonin, parathyroid hormone, calicum, and phophorus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mmunoassay and atomic absorptiometry respectively. BMD at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was determin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Results: The annual percent changes of BMD were not associated with single or combined genotypes of OPG and RANKL gene polymorphisms, and the distributions of these genotyp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HT-responders and HT-nonresponders (women who lose more than 3% of bone mass per year). After HT of 6 months, change in serum sRANKL leve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G genotype than in other genotype of RANKL gene polymorphism. No differences in the 6 month changes of other bone turnover markers including circulating OPG levels after HT were noted across single OPG genotype and combined genotypes of OPG and RANKL polymorphisms. Conclusions: The OPG T245G, and G1181C polymorphisms, and RANKL polymorphism did not associate with change in BMD after HT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and RANKL polymorphism affects change in circulating sRANKL levels after HT.

      • KCI등재

        체외수정시술을 위한 과배란유도시 혈중 및 난포액 내 인히빈 농도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문신용(Shin Yong Moon),김석현(Seok Hyun Kim),이재훈(Jae Hoon Lee),서창석(Chang Suk Suh)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11

        N/A Inhibin is a glycoprotein usually produced by granulosa cell of ovary and is known as regulator of FSH secretion. Inhibin is consisted of two heterodimeric subunit of a,B . There are two distinct molecular forms of the B subunit that exist (BA and BB) and when combined with an a subunit, form inhibin A, and inhibin B, respectively. Ovarian reserve describes women's reproductive potential, which usually decreased according to chronological age. Because useful markers claimed for the prediction of ovarian response during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for IVF-ET have not been always successful, new biomarker has been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in serum and ovarian follicular inhibin A concentration during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for IVF-ET program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inhibin A as a prognostic marker fo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outcomes. From Jan 1996 to Dec 1996, 48 patients who underwent IVF-ET were included. In each patient, the Day 3 FSH, LH, E2q were measured in the first month of cycle before commencing GnRH agonist administration, In the stimulation period after pituitary down regulation, blood samples for inhibin A were collected at the day 3, day 7, day of hCG injection, day of oocytes aspiration, and day of embryo transfer. Ovarian follicular inhibin A was collected at the day of oocyte aspiration. Inhibin A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test kit for inhibin A (INHIBIN-EASIA (code 40.134.00), Belgium Medgenix). The changes in serum inhibin A, E2 concentration during IVF-ET program showed increasing pattern throughout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periods. If the cut-off value of day 3 serum inhibin A determined to 0.28 U/m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80.0%, 75.0% respectively in predicting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being more than five. If the cut-off value of peak serum E determined to 1316 pg/m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89.0%, 100.0% respectively in predicting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being more than five. In conclusion, measurement of serum inhibin A concentration on the day of starting stimulation (day 3) could be used as a useful marker for predicting the ovarian response in IVF-ET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