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환자에서의 젖산 측정

        서지민,Seo, Ji-Min 대한수의사회 2007 대한수의사회지 Vol.43 No.12

        중환자에서 조직의 저산소증을 확인하고 교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혈중 젖산측정은 30년 이상 인의에서 조직의 산소화를 위한 간접적인 측정방법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수의에서는 최근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비싸지 않은 간이 젖산 측정계로 중환자의 젖산을 연속적으로 모니터하는 것이 수의 응급실 및 전문병원(referral center)에서 상용화되고 있다. 수의 환자에서 혈중 젖산 측정은 질병의 심각도를 결정하고 치료 결정을 조절하는데 유용한 보조 수단이다.

      • 창상성 심근염

        서지민,Seo, Ji-Min 대한수의사회 2009 대한수의사회지 Vol.45 No.6

        심근 손상은 창상 환자에서 심장 기능에 뚜렷한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심각한 창상에 가려져 종종 간과됩니다. 심하지 않은 심근손상에 의한 부정맥은 스스로 치유되기도 하지만 저혈압, 쇠약, 순환부전과 같은 증상을 일으키는 부정맥은 조기에 인지하여 치료하지 않을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될 것 같습니다.

      • 중환자실에서의 Colloid의적절한 이용

        서지민,Seo, Ji-Min 대한수의사회 2008 대한수의사회지 Vol.44 No.2

        혈장과 합성 클로이드의 사용은 환자 관리에 중요하며 소생요법의 기본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각각의 환자를 위한 가장 적절한 클로이드 용액을 선택은 어려울 수 있다. 환자의 내재질환에 대한 병적 과정, 최근 심혈관 상태, 응고계 상태뿐만 아니라 각각의 클로이드 용액에 대한 성질과 부작용을 이해함으로써 개개의 환자를 위한 적절한 수액요법을 적용할 수 있다.

      • KCI등재

        海印寺 法寶殿과 大寂光殿 智拳印 佛像에 관한 고찰

        서지민(Seo, Ji-Mi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4

        이 논문에서는 ‘中和3년(883)에 금칠을 마쳤다’라는 내용이 적힌 조상기가 발견된 해인사 법보전 지권인 불상의 제작시기를 재검토하고, 이 불상과 똑같은 형상을 하고 있는 대적광전의 지권인 불상과의 조합관계에 대해서 화엄교의적인 관점으로 해석하였다. 해인사는 애장왕3년(802)에 창건되며, 9세기 중반 이후에 왕실의 후원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중창되면서 선원주원이라는 중심불전이 光化3년(900)에 완공되었다. 선안주원에는 唐代의 새로운 화엄법신불 도상인 사자를 탄 문수보살상을 주존으로 봉안했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법보전의 지권인 불상은 883년이라는 조성시기나 도상을 볼 때 해인사의 중심불전에 봉안하기 위하여 조성된 것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다음 조상기에서 ‘금칠을 마쳤다’라는 구절이 불상의 조성시기인지 아니면 새로 개금을 했다는 것인지 불분명하다. 법보전 지권인 불상의 양식분석 결과, 계주와 나발 등 머리의 일부가 후대에 변형되었지만, 불신의 균형감이나 양감 등의 전반적인 특징은 물론 지권인을 결하는 손의 형태, 길상좌의 좌법, 대의의 옷주름 표현 등 전형적인 신라하대 불상양식이 간취된다. 따라서 中和3년(883)은 법보전 지권인 불상을 처음 조성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대적광전의 지권인 불상을 법보전의 지권인 불상을 모본으로 제작되었다고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추정의 근거가 되는 목재의 연대측정 결과나 제작방식의 차이는 참고자료일 뿐 절대적인 근거는 아니다. 그리고 두 불상 간의 양식적인 차이도 제작 당시나 개금 과정에서 얼마든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두 불상은 동시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상기에 기록된 발원목적에 따라 불상을 조성한다면 2구를 조성하여 함께 봉안하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적광전의 지권인 불상이 법보전 지권인 불상 보다 후대에 제작되었다면, 법보전의 지권인 불상과 원래 한 쌍을 이루었을 불상을 대신하여 새로 제작되었을 것이다. 신라하대에는 지권인 불상 2구를 함께 조성하는 경우가 많다. 2구의 지권인 불상은 해인사의 ≪묘길상탑지≫에 기록된 ‘華嚴二佛’을 형상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하대에는 비로자나불과 노사나불을 모두 지권인 도상으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법보전의 지권인 불상과 대적광전의 지권인 불상은 각기 비로자나불과 노사나불을 표현한 ‘華嚴二佛’로써 동시에 조성되어 나란히 안치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period of production of Bodhtagri Mudra Buddha Statues in the Haeinsa Temple in Beopbojeon where the statue marker, on which “gilding was completed in the 3rd year of Junghwa (中和, 883)” was written, was found. This study also analyzes relationships between the Bodhtagri Mudra Buddha Statues in Daejeokgwangjeon and Beopbojeon because they look the same in the Hwaeom doctrines. Since it is unclear whether the sentence “gilding was completed” was written on the statue marker below means the period of the statues’ construction or the new gilding,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by analyzing the patterns of the statue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Bodhtagri Mudra Buddha Statues in Beopbojeon, the heads are somewhat changed, but they reflect the patterns of the statues of the Buddha in the last period of Silla generally.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3rd year of Junghwa (883) was not the time when new gilding on the Bodhtagri Mudra Buddha Statues in Beopbojeon was inlaid and worshiped but the time of the first construction of the statues. We can often find two sets of Bodhtagri Mudra Buddha Statues in the last period of Silla as in the Bodhtagri Mudra Buddha Statues in Beopbojeon and Daejeokgwangjeon. It is estimated that those two sets of Bodhtagri Mudra Buddha Statues embody “Two Buddha Statues of Dharmakaya (Kr. Hwaeomibul, 華嚴二佛)” which is thought to refer to Vairocana Buddha and Locana Buddha both in Haeinsa Temple’s Myogilsangtapji. In the last period of Silla, Vairocana Buddha and Locana Buddha were both Dharmakaya Buddha images; therefore, they were expressed as the combination of Bodhtagri Mudra with no iconic division. Accordingly, we can conclude that Bodhtagri Mudra Buddha Statues in Beopbojeon and those in Daejeokgwangjeon must have been built simultaneously and then enshrined in turn as “Hwaeomibul,” expressing Vairocana Buddha and Locana Buddh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