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산 야생 청둥오리의 카드뮴(Cd)과 납(Pb) 오염

        서슬기(Seul-Gi Seo),신용운(Yong-Un Shin),이두표(Doo-Pyo Lee)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2

        조류는 서식지와 식성이 다양하여, 환경오염의 지표 생물로서 중금속 오염 모니터링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야생 청둥오리를 대상으로 독성원소인 카드뮴(Cd)과 납(Pb)의 조직 축적농도를 파악하고 환경오염 모니터링의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청둥오리에서 카드뮴(Cd) 평균농도는 신장(1.19㎍/g)과 간(0.37㎍/g)에서 높고, 뼈(0.11㎍/g)와 근육(1.17㎍/g)에서 낮게 나타났다. 납(Pb)은 신장(1.01㎍/g)과 뼈(0.6㎍/g)에서 높고, 근육(0.2㎍/g)과 간(0.3㎍/g)에서 낮았다. 본 연구에서 청둥오리의 카드뮴(Cd)과 납(Pb)의 농도는 모두 비오염수준으로 간에서 카드뮴(Cd) 3㎍/g 이하, 신장에서 카드뮴(Cd) 8㎍/g 이하, 간에서 납(Pb) 3㎍/g 이하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rds are used for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monitoring as the indicator of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because of their various habitat and food habit. This study focused on Cd and Pb concentrations and their tissue distributions of wild mallards (Anas platyrhynchos) to provide reference data in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of heavy metals. In wild mallard, mean Cd concentration was high in kidney (1.19㎍/g) and liver (0.37㎍/g), and low in bone (0.11㎍/g) and muscle (1.17㎍/g). The mean concentration of Pb was high in kidney (1.01㎍/g) and bone (0.6㎍/g), and low in muscle (0.2㎍/g) and liver (0.3㎍/g).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Cd and Pb were at background level showing <3㎍/g in liver Cd, <8㎍/g in kidney Cd and <6 ㎍/g in liver Pb.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도서지역 봄철 철새도래 현황

        서슬기(Seul-Gi Seo),이승연(Seung-Yeon Lee),강화연(Hwa-Yeon Kang),권영수(Young-Soo Kwon) 국립공원연구원 2015 국립공원연구지 Vol.6 No.4

        We monitored migration status of birds at islands of 3 seas in Korea(Yellow, South, East), focused on National Parks from April 28th 2015 to April 30th 2015. Research sites are Eocheong-do, Heuksan-do and Hong-do in Yellow sea, Geomun-do and Someamul-do in South sea, Ulleung-do in East sea. Total 83 species and 1,459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Eocheong-do and total 64 species and 682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Hong-do. Total 76 species, 1,073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Heuksan-do and Totla 53 species, 576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Someamul-do. We also observed total 50 species and 1,043 individuals in Geomun-do and total 43 species, 1,531 individuals in Ulleung-do during the spring migratory season of songbird. Bidiversity (H ), Richness (R ) Index and number of species of migratory birds were higher in islands of the Yellow Sea rather than the others. It suggests that islands in the Yellow Sea of Korea play a important role for migratory birds as a stopover site. More information and intensive long-term research have been needed to understand migratory patterns of songbirds in this region. 봄철 철새의 중간기착지로 이용되는 도서지역에서의 철새 도래 현황과 지역적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해안, 남해안, 동해안에서 동시에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 지역은 서해안의 어청도, 흑산도 및 홍도 지역, 남해안의 소매물도, 거문도지역, 동해안의 울릉도 지역이며, 조사 기간은 2015년 4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어청도에서 총 83종 1,459개체, 홍도에서 총 64종 682개체, 흑산도에서 총 76종 1,073개체가 기록되었으며, 소매물도에서 총 53종 576개체, 거문도에서 총 50종 1,043개체, 울릉도에서 총 43종 1,531개체를 확인하였다. 서해안의 어청도에서 종수, 종다양도 및 종 풍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흑산도, 홍도 순이었다. 철새의 봄철 이동에 있어 서해안이 중요한 중간기착지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간기착지는 철새들의 이동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장기 모니터링을 통하여 주요 도서지역 관리 및 서식지 보전에 대한 기초자료 축적이 필요하며, 철새의 이동경로 파악을 위해 가을철에도 도서지역 동시모니터링을 실시해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법적보호종 조류의 납과 카드뮴 축적에 관한 연구

        신용운(Yong-Un Shin),서슬기(Seul-Gi Seo),김화정(Hwa-Jung Kim),이두표(Doo-Pyo Lee)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각기 다른 먹이와 서식지를 가진 기러기목, 매목 및 올빼미목에 속하는 조류 8종 41개체를 대상으로 중금속 원소별 조직분포 경향을 파악하고 종간 중금속 농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납은 신장과 뼈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카드뮴은 신장에서 높고 뼈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기존의 문헌 결과와 유사하였다. 간에서 납의 오염수준은 비오염수준(<6㎍/g)이 39개체, 오염수준(6 ~ 30㎍/g)이 2개체로 나타났다. 간에서 카드뮴의 오염수준은 비오염수준(?3㎍/g)이 38개체, 오염수준(>3㎍/g)이 3개체였다. 그리고 신장에서 카드뮴의 오염수준은 비오염수준(?8 ㎍/g)이 32개체, 오염수준(>8㎍/g)이 9개체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issue distributions of heavy metals (Pb and Cd) and to compare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among species in protected bird species belonging to Anseriformes, Falconiformes and Strigiformes which different food and habitat. Lead(Pb) was high in kidney and bone, and low in liver. Cadmium(Cd) was high in kidney, and low in bone.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Of 41 birds, background Pb level in liver (<6㎍/g) was recorded 39 birds of 41 birds and exposed level (6 ~ 30㎍/g) was 2 birds. Background Cd level in liver (?3㎍/g) was recorded 38 birds and exposed level (>3㎍/g) was 3 birds. Background Cd level in kidney (?8㎍/g) was recorded 32 birds and exposed level (>8㎍/g) was 9 birds.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에서 제비의 도래현황 분석

        이승연(Seung-yeon Lee),서슬기(Seul-Gi Seo),박창욱(Chang-uk Park),조숙영(Sook-Young Cho),박세영(Se-Young Park),빙기창(Gi-Chang Bing),홍길표(Gil Pyo Hong),권영수(Young-Soo Kwon) 국립공원연구원 2013 국립공원연구지 Vol.4 No.1

        본 연구는 소형 산새류의 중간기착지로 이용되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의 위치적·환경적 특성이 제비 (Hirundo rustica)의 모니터링 효율에 미칠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예비적 연구로 2012년 센서스와 가락지부착조사를 통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도래현황 및 도래시기를 분석하였다. 조류 모니터링 결과 제비는 봄철(4~5월)과 가을철(8~9월)에 집중적으로 도래하였으며, 가을철에 비해 봄철에 2배 이상 많은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가락지부착조사 결과 제비는 4월에 전체 포획 개체수의 86.4%가 포획되었으며 가을철에는 3.8%만이 포획되었다. 이로서 제비는 흑산도를 봄·가을철에 이동경로 상의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계절별 도래 개체수의 차이는 이동 전략의 다양성, 두 가지 방법의 조사 결과 차이는 계절별 서식지 이용에서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We monitored migration status and timing of Barn Swallows (Hirundo rustica) in Heuksan-do, which belongs to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nd is a stopover site for migratory passerines. Daily bird census by count and bird banding during spring and autumn migration season were carried out in 2012. Barn Swallows were observed mainly during Apr~May and Aug~Sep, where the number of birds in spring were more than twice than in autumn. Most of swallows were banded in April (86.4%), and only 3.8% of swallows were banded in the autumn season. The monitoring results confirmed that Barn Swallows use Heuksan-do as a stopover site in both spring and autumn migration season, and the difference of monitoring results by the two methods may be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migration strategies and in habitat use between the two seasons.

      • KCI등재후보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지역의 조류 현황

        강화연(Hwa-Yeon Kang),서슬기(Seul-Gi Seo),박세영(Se-Yeong Park),이지용(Ji-Yong Lee),권영수(Young-Soo Kwon) 국립공원연구원 2015 국립공원연구지 Vol.6 No.4

        서해안 육상지역을 통과하는 조류의 이동생태를 파악하기 위해, 2014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지역의 조류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관찰된 조류는 총 14목 30과 88종 23,230개체이며, 평균 조사일당 159.7개체가 관찰되었다. 전체 우점종은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21.1%, 되새 Fringilla montifringilla 18.5%, 박새 Parus major 12.7%,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8.2%,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5.8% 순이었다. 이동시기인 5월과 10월에는 각각 56종, 조사일당 평균 310.5개체로 가장 많은 종과 개체수가 기록되었다. 종과 개체수가 가장 적은 시기는 여름철인 8월로, 기록된 종 수는 24종이며 조사일당 평균 95개체가 관찰되었다. 종풍부도(R ) 지수는 가장 많은 종이 관찰된 5월에 가장 높았으나, 종다양도(H )와 종균등도(E )는 오히려 이동시기에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부 상위 우점종의 개체수가 월등히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부, 문화재청, IUCN 등이 지정한 멸종위기 및 법정보호종은 총 9종이 관찰되었다. From July 2014 to Jun 2015, bird survey was conducted in Hakampo, Taeanhaean National Park. A total of 23,230 and 159.7 per day of birds representing 14 orders, 30 families, 88 species were observed. The most abundant species were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21.1%), the Brambling Fringilla montifringilla (18.5%), the Great Tit Parus major (12.7%), the Vinous-throated Parrotbill Paradoxornis webbianus (8.2%), Yellow-throated Bunting Emberiza elegans (5.8%).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 was the highest in May and October, respectively, as 56 species and 310.5 individual per day were recorded. According to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Cultural Herigage Adinistration of Korea and IUCN Red List, a total of 9 protected species were recorded during the survey.

      • KCI등재후보

        풀쇠개개비(가칭) Acrocephalus schoenobaenus 국내 첫 기록 보고

        김양모(Yang-Mo Kim),박세영(Se-Young Park),박창욱(Chang-uk Park),서슬기(Seul-Gi Seo),이승연(Seung-Yeon Lee),강화연(Hwa-yeon Kang),박종현(Jong-Hyun Park),조숙영(Sook-Young Cho),진경순(Kyoung-Soon Jin),박종길(Jong-Gil Park)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1

        국내에 알려진 Acrocephalus속 조류는 개개비 A. orientalis를 비롯하여 쇠개개비 A. bistrigiceps, 북방쇠개개비 A. agricola, 우수리개개비 A. tangorum 등 총 4종이 있다. 이 중 개개비와 쇠개개비 2종은 여름철새이며, 북방쇠개개비와 우수리개개비는 희귀한 나그네새 또는 길잃은새이다. 2017년 9월 23일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진리습지(N 34° 41′ 7.13″, E 125° 25′ 35.77″)에서 풀쇠개개비(A. schoenobaenus, Sedge Warbler) 1개체를 확인하였고, 이는 국내 첫 기록이다. Four species within genus Acrocephalu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including A. orientalis, A. bistrigiceps, A. agricola and A. tangorum. Two of these species, A. orientalis and A. bistrigiceps, are summer visitors, and A. agricola and A. tangorum are vagrants or passage migrants in Korea. On 23 September 2017, a Sedge Warbler A. schoenobaenus was captured in Heuksan Island, Shinan-gun, Jeollanam Province (N 34° 41′ 7.13″, E 125° 25′ 35.77″).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cord in Korea.

      • KCI등재

        Distribution of the Fairy Pitta (Pitta nympha) in the South Korea: A focus on protected areas

        Gil-Pyo Hong(홍길표),Jae-Hoon Kim(김재훈),Seul-Gi Seo(서슬기),So-Yeon Cho(조소연),Bo-Yeon Hwang(황보연),Jong-Hyun Park(박종현),Seung-Yeon Lee(이승연),Ga-Young Kim(김가영),Wan-Hee Nam(남완희),Ha-Cheol Sung(성하철)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국내 팔색조(Pitta nympha) 분포 현황을 알아보고자 전국 국립공원 등 보호지역 중심으로 총 19개 지역을 조사하였고,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자료를 보강하였다. 전국 19개 지역을 조사한 결과 북한산, 지리산 등 내륙지역 7개 국립공원에서는 팔색조가 확인되지 않았고, 경남 거제, 남해, 해남, 장흥 고흥 등 남해안과 인접한 12개 지역에서 팔색조 서식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 팔색조 출현 위치 정보 82건을 분석한 결과, 전국 8개 광역지자체 모두 팔색조 서식이 확인되었고, 내륙지역(26.8%)보다 해안지역(73.2%)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의 팔색조는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분포하며, 그 보다 적은 개체수가 내륙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distribution of Fairy Pitta (Pitta nympha) in South Korea. A total of 19 study areas, including protected areas such as national and provincial parks in South Korea were surveyed, and additional data obtained from an expert network. According to the results, Fairy Pitta was absent in seven inland national parks, including Mt. Bukhan and Chiri parks. Fairy Pitta inhabited 12 areas near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including Geoje, Namhae, Haenam, Jangheung, Goheung, and Gyeongnam Province. The analysis results of 82 datasets obtained from experts with regard to the locations where Fairy Pitta have been spotted showed that the bird inhabits all the eight metropolitan regions in South Korea, and is more frequently spotted in coastal areas (73.2%) than in inland areas (26.8%).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Fairy Pitta is mainly distributed in Jeju Island and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and is distributed in inland areas at relatively lower nu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