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브리드 수업에서 중등 예비교사의 참여방식 선택과 학습경험 탐색

        변현정(Byun, Hyunjung),유숙영(Ryu, Sook-Young),서윤경(Seo, Youn-Ky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하이브리드 수업이 위드 코로나 시대에 대안적 수업방식이자 뉴노멀로 자리잡을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력을 갖추어야 하는 중등 예비교사들이 새로운 수업방식을 경험할 수 있도록, 중등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하이브리드 수업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학습자의 수업 참여방식 선택과 학습경험이 어떠한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서울 소재 A대학의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로, 4주간 진행된 하이브리드 수업에 참여한 후, 설문조사(19명)에 참여하였다. 또한 대면, 원격, 혼합(대면과 원격)방식으로 수업에 참여한 학생 각 1명씩 3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교차분석을, 인터뷰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하이브리드 수업에서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 선호도는 수업 참여방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학습자는 수업 선호도에 따라 실제로 수업 참여방식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수업방식에 대한 선호의 이유를 살펴보았을 때, 대면수업의 경우 수업 참여 시 집중도를, 원격수업의 경우 수업 참여의 효율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업 참여방식에 따른 수업에의 소속감이나 참여기회의 공정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소속감이나 참여기회 공정성은 수업 참여방식에 따른 차이 없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2) 하이브리드 수업의 장점에 관하여, 다수의 학생들이 ‘수업 참여방식에 대한 학습자의 선택권 부여’를 꼽았다. 하이브리드 수업의 개선점과 관련하여, 원활한 하이브리드 수업진행과 상호작용을 위해 적절한 테크놀로지 환경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3) 하이브리드 수업경험이 예비교사에게 주는 의미와 관련하여, 하이브리드 수업과 교육실습 경험이 연결되면서 미래의 교실에서 교사로서 어떤 수업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상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됨을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하이브리드 수업은 학습자에게 수업 참여방식에 대한 학습자 선택권을 하는 학습자 중심 수업이다. 하이브리드 수업에 적합한 수업전략이 적용될 때, 학습자는 수업에서 긍정적 학습경험을 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수업은 예비교사가 미래 환경변화에 따른 대응과 준비에 필요한 수업방식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수업을 미래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방식의 뉴노멀로서 예비교사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수업 현장에 적용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choice of participation mode and learning experience in a hybrid class.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After 4 week hybrid classes, 19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ree students in individual interview were performed. The individual interviewees were each from the three groups of participation mode; the face-to-face, the online, and the mixed one. To analyze data, crossover analysis for survey and content analysis for the interview were performed. Results: 1)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preference of participation mode affected to actual participation in a hybrid class. Participants preferred face-to-face to online class because they were able to concentrate better on the lesson. Those who chose online were more concerned with convenience over efficiency. In addition, sense of belonging and perception of equal particip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modes. 2) Most student regarded that the hybrid class’ strongest point was the flexibility of giving the students the freedom to choose the preferred method of class attendance and participation. Student felt that more technological improvement should be made to better suit hybrid class sessions to be in sync with in-class sessions. 3) The hybrid class experience enabled them to imagine the possible future classes and teachers’ role in the new environments. Discussion an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at 1) Hybrid class moved to the student-centered instruction providing them a wider choice of class participation. 2) Instructional design and creating the classroom climate to better suit hybrid classroom are required. 3) The more improvement and support in undergraduate academic structure, technology, and classroom environments should be made for hybrid class. 4) The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new learning methods should be offered in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o develop their ability to response to the chang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addressed. As a new norm for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Hybrid classes need to be considered as a strong candidate as the future of educational method.

      • KCI등재

        비구조화된 과제에서 질문기법의 활용이 대학생의 문제해결과 메타인지전략의 전이에 미치는 영향

        변현정(Byun, Hyungjung),서윤경(Seo, Yunkyung),최효선(Choi, Hyo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비구조화된 문제해결과제 수행 시 메타인지전략을 촉진하는 질문기법의 활용이 대학생의 문제해결과 메타인지전략의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과제 수행 시 메타인지전략으로써 활용한 질문기법이 전이되는지, 그것이 문제해결과제 수행의 향상과 메타인지인식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2명이 팀으로 나누어 세 번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과제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과제는 출발점 과제로 질문기법을 제공하지 않고, 자유롭게 문제해결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과제는 학습 과제로 메타인지전략의 질문기법을 제공하였다. 세 번째 과제는 전이과제로 팀별 자 유주제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질문기법을 제공하지 않고 자발적 전이가 일어나는 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과제에서 학생들은 질문기법을 충실히 사용하였으며, 이는 전이과제 수행에서 전이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전이된 메타 인지전략(질문기법)은 비구조화된 과제 수행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과제에서 질문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메타인지인식이 전 반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수설계의 시사점으로 비구조화된 과제 수행 시 질문기법의 전이와 메타인지 전이를 위해 초보학습자의 경우, 단계에 따라 중요성을 놓치고 간과하는 부분에 있어 교수자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fer effect of meta-cognitive strategies i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mong undergraduates.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are the question prompts as meta-cognitive strategies transferred? Second, does the transferred question prompts as metacognitive strategies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Third, whether the us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metacognitive awareness? Thirty two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team base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tasks for three times; entry, learning and transfer tasks. As a result, students acquired question prompts as a meta-cognitive strategy and transferred to the third task which performed after the treatment. Students took into consideration of essential questions in problem solving process because the transfer of meta-cognitive strategies influenced on the performance of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positively. In addition, the awareness of metacognition has been improved after performing three tasks and using question prompts in the second task as a metacognitive strategy. As an i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 teacher’s appropriate interruption is suggested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considering novice learner’s week steps.

      • KCI등재

        온라인 플립러닝 학습경험이 예비교사의 과제가치와 학습효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변현정 ( Hyunjung Byun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온라인 플립러닝 수업 전ㆍ중ㆍ후 학습경험이 온라인 플립러닝에 대한 과제가치와 학습효과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온라인 플립러닝 수업에 10주간 참여한 예비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플립러닝 수업 전ㆍ중ㆍ후 학습경험에 따른 과제가치와 학습효과 인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양적자료는 다중회귀분석을, 질적자료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플립러닝의 수업 전ㆍ중ㆍ후 학습경험 중, 수업 중(in-class) 학습경험만이 과제가치와 학습효과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학습자들은 온라인 플립러닝 수업 전ㆍ중ㆍ후에 따라 과제가치와 학습효과를 다르게 인식하고 있으며, 수업 중(in-class)을 통해서만 과제가치와 학습효과를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온라인 플립러닝에서 과제가치와 같은 학습동기 촉진을 위하여 수업 전ㆍ중ㆍ후 단계에 따른 차별화된 설계 전략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online flipped learning experiences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ask value and learning effect.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task value and learning effects for fifty one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online flipped learning classes for ten weeks. F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quantitative data and content analysis for qualitative data were perform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only in-class learning experience among online flipped learning class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ask value and learning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perceive task value and learning effect differently pre-in-post class stages in online flipped learning, and recognize task value and learning effect only through in-clas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 differentiated strategy according to the pre-in-post class stages to promote learning motivation such as task value in online flipped learning.

      • KCI등재

        형성평가 설계전략 탐색

        변현정(Hyunjung B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이 연구는 학습으로서의 형성평가가 교실 수업에서 교수·학습과 통합되어 실행되기 위해서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형성평가 설계전략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형성평가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형성평가가 교실 수업에서 실행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 ‘학습문화 조성, 학습목표 설정, 수행과제 설계, 평가기준 개발, 학습자 참여, 학습자 수준 고려, 피드백 내용구성, 피드백 제공, 수업 개선’의 아홉 가지 설계요소와 22개의 설계전략을 제안하였다. 또한 설계전략의 실행과정을 도식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결과에 대한 평가(AOL)에서 더 나아가 학습을 위한(AFL) 그리고 학습으로서의(AAL) 평가로 실행될 수 있도록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형성평가 설계전략을제안함으로써, 형성평가가 교실 수업에서 교수학습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학습의 과정을 촉진하는 본질적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ormative assessment design strategies that instructors should consider in order to implement formative assessment as learning integrated with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on formative assessment at home and abroad were examin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nine design factors and 22 design strategie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formative assessment to be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were proposed: creating a learning culture, setting learning goals, designing performance tasks,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engaging learners, considering learner levels, organizing feedback content, providing feedback, and improving lessons. A diagram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design strategies were presented. By proposing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design strategy for formative assessment that can be implemented from assessment of results (AOL) to assessment for learning (AFL) and assessment as learning (AAL),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fulfillment of the essential function of formative assessment in the classroom, which is closely linked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and facilitates the process of learning.

      • KCI등재

        어린이 ICT 리터러시에 대한 미디어 담론의 비판적 검토

        변현정(Hyunjung Byu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91 No.-

        이 연구는 ‘어린이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정보통신기술) 리터러시(literacy)’에 대한 〈동아일보〉, 〈한겨레〉 두 일간지의 기사 분석을 통해 2003년부터 2014년까지의 담론적 지형 변화를 살펴보고 있다. 그동안 어린이 ICT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관련 공교육 과정 및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교육’이라는 틀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이러한 제한적이고 협소한 시각에서 벗어나 어린이라는 ‘대상/주체’와 ICT로 대표되는 ‘기술/테크놀로지’, 그리고 리터러시라는 ‘교육/실천’을 둘러싼 기술적, 정치 · 경제적, 전 지구적, 사회문화적 맥락들이 어떻게 함께 교차하고 있는지를 미디어 담론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어린이 ICT 리터러시와 그 주변 맥락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개괄적이고 탐색적인 연구로서 통시적인 접근을 하였으며, 그 과정 속에 발견되는 다양한 맥락들을 교육과정 논의의 연속선상에서도 생각해 볼 수 있게 하였다. 분석틀은 벨(Bell)의 뉴스 텍스트 담론 구조 모델과 반 다이크(van Dijk)가 제안한 신문의 비판적 담론 분석의 초점 등을 활용하여 의제(주제, 내용), 레퍼런스(관련 이슈, 인물, 자료), 논조(논평, 방향성)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담론이 어린이 ICT 리터러시에 대해 어떠한 공통분모를 가지며 그를 둘러싼 맥락들은 무엇인지, 그리고 차이점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아일보〉는 어린이 ICT 리터러시에 대해 뚜렷하게 정의하지 않고, 주로 외부적 계기에 따른 경제적이고 생산적인 차원의 역량으로 기술하였으며, 〈한겨레〉는 디지털 시대의 민주주의, 시민성과 관련된 필수 역량으로 이를 인식하고,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 및 학계의 논의를 반영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동아일보〉는 주로 디지털의 위험에 대해 분리와 규제를 강조하는 보호주의적 입장과 디지털 시대의 경쟁력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적 입장을, 〈한겨레〉는 디지털의 위험과 기회를 인지하고 그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중립적인 입장과 어린이들을 민주사회의 비판적이고 성찰적이며 임파워먼트를 가진 시민 주체로 성장시키고자 하는 참여 민주주의적 입장을 강조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ing discourse from 2003 to 2014 through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wo daily newspapers Dong-A Ilbo and Hankyoreh on the topic of childr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literacy.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children’s ICT literacy has mainly focused on the issue of related public education courses and curricula. In addition to this widely-discussed topic, this article suggests that we should consider how the technical, political, economic, glob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tersects one another in discussing the children’s use of digital media technology in everyday life. In particular, to grasp the overall contexts of children’s ICT literacy, this research draws upon a diachronic approach rather than synchronic one. Referring to the Bell’s news text discourse analysis model and van Dijk’s suggestion for CDA on newspaper, the frame of analysis consists of three elements: agenda(theme and content), reference(referred issue, figure, and materials), and tone of the press(remark, value orientation). Based on this frame, what common denominators, contexts, and differences are manifesting in the media discourse about children’s ICT literacy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Dong-A Ilbo does not make a clear definition of ICT literacy, but recognizes it as the competency for the economic growth and productivity depending on the flow of external factors. In the meantime, Hankyoreh evaluates it as an essential and fundamental capacity that connects to democracy and citizenship in the digital age and consistently emphasizes that ICT literacy education has to be based on the participation from multiple actors with the societal and academic discussion. Furthermore, Dong-A Ilbo takes its stance as the separate-protectionist from the peril of the digital and also as the neo-liberalist who emphasizes both the individual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for the uncertain future. On the other hand, Hankyoreh emphasizes foremost to maintain a neutral attitude and keep balance between risk and opportunity of the digital. Besides, it draws attention to a participatory democratic standpoint that premises children to become the critical, reflective, and empowered subjects of civic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국가인적자원개발의 전개맥락

        나일주(Rha Ilju),변현정(BYUN Hyunjun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7 평생학습사회 Vol.3 No.2

        In knowledge society where creation of knowledge is regarded as the core of nation's wealth and competitiveness, the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have started to use the term 'human resources' in their ministries or departments as a part of making an efforts to develop human resources. Although many nations share the word 'human resources,' the way of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it is diverse depending on their situations. The government in Korea has shown the interest 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national level, by promoting the Minister of Education to the Deputy Minister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and by the President taking the seat of the head in Committee for National Human Resources. Although innovative efforts for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ve been found since 2000,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is efforts recently begun. Korea achieved dramatic economic growth for last 50 years. The reason of this growth was found in education for developing human resourc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ceptually the social context of implementing process in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NHRD). This study consists of four part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policy development process of NHRD, institutional development process of NHRD, and future directions for NHRD. The research method is focused on documents and literature review. The main points of each part are as follows. First, human capital theory, edu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performance technology, and competency theory were reviewed. Three theories, except edu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were originally used to expla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personal or corporate level. However, all four theories were expanded to interpre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rom personal or corporate level to the national level. Second, the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Korea was supported by educational policy to supply labors to meet the industrial needs for last 50 years. As the national industry was developed from labor oriented light industry, capital intensive heavy industry, technology intensive high tech industry to knowledge based industry, educational policies were also changed from literacy education, skill or technology focused education, the quantitative growth of higher education to qualitative higher education accordingly. Third, NHRD became the important issue in Korea and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in NHRD has got down to business since 2000. The human resources law and polices were established, the special committee was organized and the president became the head of the committee. Finally, the future directions for NHRD were suggested considering the needs of the present and future times. Firtst, NHRD policies should focus on developing human resources fitting for global standards. Second, the investment in research organizations 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be considered. Third, the government need to minimize the intervention and to focus on marketization.

      • KCI등재

        코퍼스를 활용한 해사영어 어휘 분석

        장세은(Jhang, Se-Eun),변현정(Byun, Hyun-Jung) 새한영어영문학회 2011 새한영어영문학 Vol.53 No.4

        This paper is a corpus-based study of Maritime English. Maritime English is an area of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ESP) requiring special attention. Although grammar is important, vocabulary is the key difference among varieties of Eng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ome vocabulary features of Maritime English extracted from the Maritime English Corpus (MECO) of Hong and Jhang (2010), referenced against the LOB or the BNC. This corpus-based lexical analysis has been made by compiling both a word-list of high frequencies in the MECO and a keyword-list referenced against the LOB with a WordSmith Tools 5.0 program. We also use a Perl program to extract noun compounds, to set up vocabulary lists, and to suggest how many words should be learned by beginning students (80% cumulative frequency rate) and by advanced students (90% cumulative frequency rate). We explore the distribution of parts of speech as content versus function words and point 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ritime English and General English.

      • KCI등재
      • KCI등재

        교수의 소속 대학에 대한 인식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보금 ( Bo Keum Choi ),유현숙 ( Hyunsook Yu ),변현정 ( Hyunjung Byu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낮은 상호작용 빈도를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교수자료를 활용하여 소속 대학에 대한 인식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 배경 특성에 따라 소속 대학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수 개인 및 대학 기관의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 소속 대학에 대한 인식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 2014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교수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다변량 분산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설립유형, 소재지, 대학규모, ACE 사업 및 교육역량강화 사업 참여 여부에 따라 소속 학생에 대한 인식, 연구 활동 지원, 교육 활동 지원, 학습 지원의 질, 학부·과 교육과정 개선 노력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수 개인 및 대학 특성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여전히 학습 지원의 질, 학부·과 교육과정 개선 노력, 소속 학생에 대한 인식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기관은 대학 교육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물질적·행정적 지원을 제공해야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교육적 노력을 교수들이 인식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정부 정책 및 지원 사업이 대학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기관 차원의 성과 뿐 만 아니라 학생 및 교수를 포함하는 대학 교육 과정(process)에 미치는 영향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faculty perception of belonging college/department according to college characteristics and their influence on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South Korea. This was accomplished by the sequence of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2014 National Assessment of Faculty Engagement in Teaching. The results from MANOVA suggest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ulty perception of belonging college/department according to college control, location, size, and participation in ACE (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and PEUC (the project enhancing the universities competency).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college-level factors, faculty perception such as the quality of learning support, the effort to improve curriculum, and positive recognition on attending students had influences on frequency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Th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 for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not only to support student learning but also to strengthen faculty recognition of it. This effort could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nduce faculty to do more interaction with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