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민 직선 1 · 2기 서울시 교육감 선거 결과 분석

        백평구(Baek Pyoung Gu),이희수(Lee Hee Su)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1 韓國敎育論壇 Vol.10 No.1

        이 연구는 두 차례의 주민 직선 서울시 교육감 선거 결과를 지역 교육정책에서의 집단의사결정 맥락에 입각하여 분석할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 교육 양극화 개념에 의한 서울시 교육감 선거 결과 분석을 위해 집단 수준의 동질성-이질성 접근(Esteban & Ray, 1994)을 적용하였다. 투표 지지율 격차 및 카이 통계량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강남 대 비강남의 대립적 구도를 포함해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용산구 대 관악구, 노원구, 마포구, 동작구 등의 대립적 지지성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서울시 교육에 관한 지역적 분리를 나타내며 자치구들이 지니는 특성을 의사결정 맥락을 고려해 선택과 참여로 범주화하여 논의하였다. 참여에서는 교육감 선거 투표율, 선택에서는 소득계층분포, 주거환경 대 교육환경 만족도, 서울시 인문계고등학교 지원경쟁률,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액 등을 통해 교육 양극화 개념 적용에 있어 지역적 분리와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began from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group decision making perspective in local education policy on elections for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 Seoul 2008/2010. Group-level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approach(Esteban & Ray, 1994) of polarization conceptualization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on the results of both elections. Oppositive support orientation was revealed between two ward groups: Seocho-gu, Gangnam-gu, Songpa-gu, Yongsan-gu versus Gwanak-gu, Nowon-gu, Mapo-gu, Dongjak-gu by percentage of the votes for the top two candidates and chai statics. This difference implies the local educational segregation in Seoul, accordingly, w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ard which revealed the considerable voters' supports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decision making. Criteria were categorized into choice and participation. Voters' turnout in participation, income level,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al environment, competition rates for academic high schools, monthly average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in choice were considered. Finally this indicates that local segregation is relevant to understand educational polar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내부 마케팅 실행요인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윤리적 조직문화 특성의 매개 효과

        백평구(Pyoung-Gu Baek),이세우(Se-Woo Lee)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nd mediating effect of ethical business cultures on internal marketing factor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ata obtained from 153 employees working in ‘A’ public corporation were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irstly, employee construct of CSR has a positive impact on all constructs of internal marketing factors. Secondly, all constructs of CSR have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individual(OCBI). Thirdly, mission and value driven, long-term perspective, and process integrity among five characteristics of ethical business cultures act as a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constructs of CSR and internal marketing factors, and OCBI respectively. Fourthly, stakeholder balance as one of characteristics of ethical business cultures act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aforementioned relationships except society and environment construct of CSR. Fifthly, leadership effectiveness as one of characteristics of ethical business cultures act as a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constructs of CSR and internal marketing factors, while it acts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except employee construct and OCBI. These results imply that HRD professionals in organizations can specify effective interventions of ethical business cultures as to linking HRD wit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내부 마케팅 실행요인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윤리적 조직문화 특성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A공단 임직원 153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구성 요인 가운데 직원은 내부 마케팅 실행요인 하위 요인 전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임직원의 인식은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윤리적 조직문화 특성으로써 미션-가치 주도, 장기적 관점, 프로세스 윤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내부 마케팅 실행요인 및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구성 요인 모두에 대해 매개효과를 발휘하였다. 넷째, 윤리적 조직문화 특성으로써 이해관계자 균형의 경우,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가운데 사회와 환경을 제외하고 각각 내부 마케팅 실행 요인 및 개인 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윤리적 조직문화 특성으로 리더십 효과성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내부 마케팅 실행요인에 미치는 세 가지 형태의 영향 관계 모두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며,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직원을 제외한 사회와 환경, 그리고 정부와 고객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인적자원개발의 관계 설정에 있어 조직 내 인적자원개발 기능이 윤리적 조직문화 특성을 통해 적절한 인적자원개발 개입 방안을 구체화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학술지 ‘여성연구’의 연구동향 탐색

        백평구(Pyounggu Baek),김남희(Namhee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10 No.3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여성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발간 학술지 「여성연구」의 2004년부터 2020년까지의 총 273편의 게재 논문을 토픽모델링을 활용해 분석하였 다. 학술지 「여성연구」의 게재 논문에 대한 토픽모델링을 통해 포괄적이고 학제적인 여성연구 전반 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의도와 동시에 현장 실천에 비견할 여성의 삶에 대한 실체적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되는 여성정책의 입장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논란이 되고 있는 여성정책의 위치를 제대로 정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고려하면서 데이터 수집-키워드 전처리-분석의 흐름에 따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만족도, 성인지, 일가정양립, 경력단절, 여성관리자, 일가정, 가정폭력, 스트레스 등이 빈도 기준 으로 주요한 키워드로 확인되었으며, 상대적 중요도를 고려한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값을 통해 주요 키워드로서 젠더, 성별, 사회적기업, 교육 등을 추가로 식 별하였다. 둘째, 토픽모델링 결과 7개로 추출된 토픽별로 두드러진 키워드를 폭력과 억압(토픽1), 성차별과 경력개발(토픽2), 성인지와 삶에 대한 만족(토픽3), 경력단절과 리더십(토픽4), 정책과 제 도(입법)(토픽5), 임금격차, 노동시간, 생활시간(이상 토픽6), 스트레스와 갈등(토픽7) 등으로 정리 해볼 수 있었다. 이러한 토픽들은 여성학 전반의 주요 영역과 함께 여성정책의 주요 아젠다를 적절 히 반영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trends of women s studies in Korea, we analyzed published articles in Women s Studies by Korean Women s Development Institute from 2004 to 2020 using topic modeling method. The findings from data collection-pre analysis of keywords-flow of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frequency, satisfaction, gender sensitiveness, work-family balance, domestic violence, and stress were the major keywords. When considering TF-IDF(Term Frequency- Inverse Document Frequency), gender, sex, social entrepreneurs, and corporations were the main keywords. Second, seven topics extracted from the data include violence and oppression(Topic 1), gender discrimination and career development(Topic 2), gender-sensitivity and life satisfaction (Topic 3), career interruptions and leadership(Topic 4), policy and regulations(legal legislation)(Topic 5), pay gap, working hours, lifetime (Topic 6), and stress and conflict(topic 7). These topics reflect the main areas of women’s studies and policy agenda for wom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 KCI등재

        좋음과 옳음의 윤리 이론으로 본 개인과 조직의 관계와 인적자원개발의 결과에 대한 고찰

        백평구(Pyounggu Baek) 한국기업교육학회 202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3 No.3

        이 논문의 목적은 현대 윤리학의 양대 흐름으로 평가받는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윤리학의 주요 이론들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인적자원개발 가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개인과 조직의 관계, 그리고 인적자원개발의 결과를 설명하는 일의 의미, 학습, 성과를 해석함으로써, 인적자원개발의 학문적 토대로서 윤리의 의미를 심화시키는 데에 있다. 좋음의 윤리학으로서 공리주의에서는 개인 간 차이를 고려하기 어렵고 조직성과 극대화를 지향하며 개인은 조직 시스템의 요소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인적자원개발의 결과는 조직성과 개선으로 수렴된다. 옳음의 윤리학으로서 자유주의적 평등주의에서 개인은 윤리적 행위자라고 할 수 있으며, 조직은 사회적 형평성을 추구하고 제도화한다. 개인과 조직은 심리적 또는 사회적 계약 관계이며 인적자원개발의 결과로서 개인의 일의 의미와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조직의 구축 둘 모두를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자유지상주의에서 개인은 권리와 자율성의 수호를 지향하며 이에 따라 조직은 개인에 대한 관리통제를 최소화할 것을 요구받는다. 조직은 단지 개인을 위해 존재하는 삶의 양식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인적자원개발의 결과로는 개인 차원의 일의 의미, 학습, 성과 모두를 추구한다. 다시 좋음의 윤리학으로서 공동체주의에서 개인은 문화적으로 구성된 맥락적 존재이며, 조직은 개인의 존재 의미를 만들어내는 서사를 제공한다. 개인과 조직은 조화와 공존의 관계를 추구하며 인적자원개발의 결과는 조직의 영향을 받아 개인이 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면서도 결국 조직성과 개선으로 수렴될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고 보인다. 마지막으로 비판적 일터 학습의 촉진, 민주적 공동체로서의 일터 인식, 자유지상주의 윤리 이론의 시대적 정체성과의 정합 가능성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epen the meaning of ethics as the one of theoretical founda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To this end, the major theories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 ethics, which are evaluated as two major streams of modern ethics is reviewed. As an ethics of ‘the good’, utilitarianism is difficult to consider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and aims to maximiz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individual can be regarded as an element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The result of HRD converges to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liberal egalitarianism as an ethics of ‘the right’, individuals can be said to be ethical actors, and organizations seek and institutionalize social equity. An individual and an organization are a psychological or social ‘contract’ relationship, and as a result of HRD, it can be seen that they aim for both the meaning of individual work and the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that fulfills social responsibilities. In libertarianism, individuals aim for the protection of rights and autonomy, and accordingly, organizations are required to minimize management control over individuals. Organizations can only be considered as a way of lifestyle that exists for individuals. It pursues the all of three outcomes of HRD (i.e., meaning of work, learning, and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Again, in communitarianism as an ethics of ‘the good’, the individual is a culturally constructed contextual being, and the organization provides a narrative that creates the meaning of the individual’s existence.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pursue a relationship of harmony and coexistence, and the result of HRD can be viewed as something that can be determined by the individual under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 but it seems to include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Finall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presented focusing on the promotion of critical workplace learning, the workplace as a democratic community, and the coherence of the libertarian ethical theory with the contemporary identity.

      • KCI등재후보

        사회책임경영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실천의 의미

        백평구(Pyoung-Gu Baek)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지수에 편입된 국내 16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성 경영의 실천 사례들을 분석하여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사회책임경영의 맥락 속에서 인적자원개발 정책과 실천의 모습을 탐색하여 사회책임경영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개입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6개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보고서를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로 설정한 사회책임경영의 맥락에서 인적자원개발 실천의 공간 확대, 인적자원의 의미 변화, 권한 위임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인적자원개발 실천 공간의 확대는 조직 내부와 외부의 다양한 이해관계자 관점의 인적자원개발 수용과 관련된다. 둘째, 인적자원의 의미 변화는 조직 맥락에 한정된 종전의 인적자원의 의미를 넘어섬으로써 인적자원개발과 평생교육의 새로운 결합이 예상된다. 셋째, 일터에서의 권한 위임의 실천을 통해 개인의 정체성과 일의 의미 발견이라는 인적자원개발 고유의 가치가 더욱 정교화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Corporate Sustainability(CS) management practices of 16 Korean corporations in DJSI(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World(2011/12)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HRD policies and programs in the context of Socially Responsible Management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HRD interventions. In the present study, socially responsible management annual reports of 16 corporations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In terms of the research questions such as spatial enlargement, changing meaning of human resources, and empowerment, HRD practices in the context of socially responsible management were analyzed and reached th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enlargement of HRD practices rendered the acceptance of consider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stakeholder approach in HRD. Second, the changing meaning of human resources got over the organization bound HRD practices and anticipated the nexus in HRD and lifelong education. Third, empowerment practices in the workplace refined the value priorities of HRD which covered employee self-identity and meaning of work.

      • KCI등재

        일터 맥락의 웰빙 : 속성, 선행요인, 결과, 경험적 준거, 개념의 사용 탐색

        백평구(Pyounggu Baek) 한국성인교육학회 2020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3 No.4

        이 연구에서는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 검색을 통해 식별한 86편의 국내학술지 논문으로부터 일터 맥락의 웰빙 개념을 탐색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개념의 속성 측면에서 행복을 측정하기 위한 웰빙 개념의 도입, 측정된 웰빙이 시사하는 관리 대상으로서의 웰빙 개념, 일상용어인 행복을 대체하는 구체적이고 특수한 삶의 영역에 초점을 둔 웰빙 개념의 세분화를 고려할 수 있다. 둘째, 선행요인 측면에서 웰빙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대표 키워드로는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 감정노동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결과 측면에서 웰빙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또는 예측하고자 하는 주요 결과로 몰입, 직무성과, 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 이직의도 등이 드러났다. 넷째, 경험적 준거 측면에서는 학술적으로도, 대중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주관적 웰빙과 심리적 웰빙 개념을 통한 웰빙의 측정이 가장 빈번하게 시도되었다. 다음으로, 정신적 웰빙, 직업적 웰빙, 정서적 웰빙을 다룬 논문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학습과 관련된 웰빙 개념의 사용 측면에서, 일터 맥락에서 식별된 웰빙 개념과 연결된 주제로 학습지향성, 학습조직 구축, 무형식학습, 학습민첩성, 교육훈련특성이 확인되었다. 분석의 틀을 구성하는 웰빙 개념의 속성, 선행요인과 결과, 경험적 준거, 일터 학습과 관련된 개념의 사용에 따라 분석 결과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일터 맥락의 웰빙 개념에 대한 접근은 조직과 개인의 관계 내지 역학관계(dynamics)를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concept of well-being in the workplace context was explored from 86 paper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identified through KCI(Korea Citation Index) in the current study. First, the concept analysis results in the view of attributes include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well-being to measure happiness, the concept of well-being as a management object implied by the measured well-being, and a well-being concept that focuses on a specific life area that replaces the everyday term happiness. Second, in terms of antecedents, positive psychology (capital),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labor were identified as representative keywords for factors that influence well-being. Third, in terms of consequences, commitment,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novation (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revealed as the main results that can be expected or predicted from well-being. Fourth, in terms of empirical criteria, measurement of well-being through the concept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idely known both academically and publicly, was most frequently attempted. Next, papers dealing with mental well-being, professional well-being, and emotional well-being were identified. Fifth, in terms of the use of well-being concept related to learning, learning orientation, building a learning organization, informal learning, learning agility, and educational and train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s topics linked to the well-being concepts identified in the workplace context.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The approach to the concept of well-being in the workplace context will need to more actively consider the relationship or dynamics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individual.

      • KCI등재

        Q모집단으로부터 Q표본 구성 과정에 대한 분석: 학술지 주관성 연구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1996∼2014)

        백평구 ( Pyoung Gu Baek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5 주관성연구 Vol.- No.30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화 가능성, 신뢰도와 타당도 문제에 대한 Q연구자의 대응 유형과 의미를 구체화하는 데에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 문제와 관련된 이론의 개입 정도, 그리고 연구 수행과정에서 연구자 주도의 수준을 기준으로 다섯 개의 유형을 설정하고, 한국주관성연구학회의 학술지 주관성 연구의 1996년 창간호부터 가장 최근인 2014년 12월 발간 29호까지 총 221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비구조화 Q표본이 구조화 Q표본에 비해 더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는 Q표본 도출 과정에서 이론의 개입 정도 보다는 타인의 관점 반영이 주관성 연구를 통해 논문을 게재한 Q연구자의 주요 관심사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Q방법론은 범주화의 시점, 인터뷰의 유형과 적용 등에 있어서 질적 연구의 전통과는 다른 고유한 연구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Q방법론의 이론과의 차이로는 이론적으로 강조된 것에 비해 신뢰도 확보 절차에 대한 노력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타인의 관점으로는 전문가 집단에 의한 동료 검토가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Q표본 도출 방법 중 주체별 체계적 표집과 단순 무작위 표집의 활용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Q방법론 연구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활용, 그리고 Q모집단에서 Q표본을 도출하는 과정에 한정해 타당도라는 표현의 대안 모색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how Q researchers handle the issue of generalizabi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ir own Q research and its meaning. For the purpose, the author considered the five types based on the degree of theoretical dependency and researcher autonomy. Total of 221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from 1996 to 2014 were analyzed in the curren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t first, unstructured Q sampling was used more than structured one. This implies the Q researchers` main interests were researcher autonomy (i.e. considering other person`s opinion) rather than theoretical dependency on the transition from Q population to Q sample. Next, Q methodology adopts the authentic research procedures in that it differs from the tradition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concerning the starting point of developing categories, the types of interview and its applications. The gap between theoretical guidelines of Q methodology and Q methodological research papers lie in performing actions for acquiring the reliability doing Q methodology. The way considering the other person`s opinion was mainly with peer review. Systematic sampling and simple random sampling were relatively less used in constructing final Q sample. Based upon findings, the author suggests the application of Q methodological research guidelines ensuring effective doing Q research and the adoption of alternative term as to validity on the transition from Q population to Q samp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