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조업 한계기업의 정상기업 전환에 대한 실증분석 : 기업의 R&D 활동과 정부 지원효과를 중심으로

        백철우,정민우,이현익,이윤빈,노민선,손병호,Baek, Chulwoo,Jeong, Min Woo,Lee, Hyonik,Lee, Yoon Been,Noh, Meansun,Son, Byoungho 기술경영경제학회 2021 기술혁신연구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 관점에서 창업기업 여부, 연구전담조직 보유,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혜 등의 특성이 한계기업의 정상기업 전환에 유의하게 기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계기업 중 창업기업에게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지원하면, High-tech 산업을 중심으로 정상기업으로의 전환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계기업의 연구전담조직의 보유여부가 정상기업으로의 전환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 이는 연구전담조직이 체계적인 R&D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기반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상기 분석결과는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위주의 기존 산업정책에서 정상기업으로의 전환 가능성이 높은 한계기업에 대한 선별적인 R&D 지원정책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함과 동시에 한계기업의 정상기업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략성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such as a start-up company, possessing a research organization, and benefiting from government R&D program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conversion of marginal companies to normal companies,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result shows supporting government R&D programs to start-up companies that have become a marginal company positively contributes to the transition to a normal company, centering on the high-tech industr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organization of marginal companies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transition to a normal company. These results imply that a paradigm shift from the existing industrial policy focusing on restructuring of marginal companies to a selective support policy for marginal companies with a high possibility of transition to normal companies is strongly needed.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trategic use of government R&D programs to support the transition of a marginal company to a normal company.

      • KCI등재

        지역대학 중심의 산학협력 파급효과 분석 - LINC 사업의 비R&D부문 성과를 중심으로 -

        백철우(Chulwoo Baek),이기종(Ki-jong Lee),노민선(Meansun Noh) 한국지방행정학회 2016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13 No.1

        This study examines the performance of LINC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non-R&D area. To this e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Information Service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To evaluate overall performance, we calculated the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based composite index consisting of 8 subindexes. The results show that LINC progam contributed to the partnership between academy and industry especially in local universities. The eval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ight subindexes was also conducted. LINC constributed to transform the education system more friendly to the partneship between academy and industry through capstone design and field training. Moreover, LINC stimulated the universities to increase the number of foundation classes but failed to influence the startups initiated by professors. Last, LINC program partly contributed to the link between the universities and local companies while its effect was indifferent to location.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장 저해효과 분석 연구

        백철우 ( Chulwoo Baek ),장민수 ( Minsoo Chang ),이정동 ( Jeong-dong Lee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0 질서경제저널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으로 인해 중소기업이 고의적으로 성장을 지체하는 현상이 존재하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규모감소확률, 규모성장률의 두 가지 관점에서 문지방효과(threshold effect)를 분석하였으며, 자료는 한신평의 외감기업 전수자료와 통계청의 광공업 통계총조사를 모두 이용하였다. 외감기업 전수자료는 자료의 높은 신뢰성에도 불구하고 성장지향적 기업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반면, 광공업통계는 종업원 5인 이상 사업체 전수의 정보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다공장 기업을 분석에서 제외함으로써 성장지향적 기업을 배제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두 자료는 서로 보완적으로 문지방 효과의 존재를 보여줄 수 있다. 규모감소확률과 규모증가율의 관점에서 실증분석을 시행한 결과 종업원 250명∼299명 사이에서 문지방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중소기업이 대기업으로 성장 시 발생하는 부담이 정상적인 성장을 고의적으로 지체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중소기업 지원액의 대다수는 중기업보다는 소기업에게 지원되고 있으며, 대기업에 대한 규제도 자산규모가 최소 1,000억 원이 넘었을 때 시행된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distinction between LSEs and SMEs on firm growth. Previous literatures strongly insisted that distinction between SMEs and LSEs on the basis of 300 employees and consequent discriminatory supports have the threshold effect on the growth of SMEs. However, relevant discussion was usually based on case studies or questionnaire, which means threshold effect on firm growth had never been proved by empirical analysis. Therefore we verified the threshold effect from two perspectives-the possibility to decrease the size and the growth rate. Moreover, two databases were used-the database of the statutory audit firms from Korea Information Service and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Census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former is the most suitable database in that it contains firm level data and is very credible. But, it may include information of firms which are more eager to grow.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latter is the most comprehensive database in the available databases, it contains the establishment level data. Therefore, the data of multi-plant firms which are more eager to grow should be eliminated in the analysi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wo databases are complimentary to each other. The regression analysis with two databases showed that there was no abnormal growth pattern in the vicinity of firms with less than 300 employees. Possible explanations are as follows. Policy supports for SMEs were mainly targeted on SSEs (Small sized enterprises) rather than MSEs (Medium sized enterprises) and the regulations on LSEs were applied only when the equity exceeded 100 billion won. Therefore, the burden from the growth of SMEs grow to LSEs is not significant enough to retard normal growth intentional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시아 국가의 제조업이 고용률의 하방경직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백철우(Baek, Chulwoo) 한국아시아학회 2017 아시아연구 Vol.20 No.2

        제조업의 부가가치 대비 고용창출 효과가 서비스업에 비해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기존 연구는 제조업의 고용안정성에 대해서 혼재된 실증결과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경제성장 단계 및 경기변동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N, World Bank, TED로부터 38개 아시아 국가에 대한 패널자료를 구축하여 제조업이 고용의 안정성, 즉 하방경직성(downward rigidity)에 대한 기여도가 경제성장단계와 경기변동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저소득 국가보다는 소득 2만불 이상의 중진국에서 제조업이 고용률의 하방경직성 제고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위기 상황 하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2만불 이상의 국가의 제조업은 우수한 인력 및 기술력에 기반한 시장우위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고용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는 한편 수출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제조업이 글로벌 수요 둔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경제위기 기간에는 제조업이 고용률의 하방경직성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While the criticism th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generates less employment than in the service industry has been raised, previous studies have presented mixed empirical results on the employment stability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mplying that its effect can differ by economic growth stage and economic fluctu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ribution of manufacturing sector to the employment stability or downward rigidity according to economic growth stage and economic fluctuation, so I constructed the panel data consisting of 38 Asian countries from the UN, World Bank and TED databa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manufacturing sector contributed to the employment stability of Asian countries with gross national income per capita more than 20 thousand dollars but this effect did not appear under the economic crisi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 country above $ 20,000 can contribute to employment stability by enjoying market advantage based on excellent manpower and technology. However, since Asian manufacturing industries, which are highly dependent on exports, are sensitive to global demand slowdown, so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not contributing to the downward rigidity of the employment rate.

      • KCI등재

        중소 · 중견기업 우수연구소 선정평가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민선(Meansun Noh),백철우(Chulwoo Baek),손병호(Byoungho So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2 기술혁신학회지 Vol.15 No.4

        기업부설연구소는 그동안 기술경쟁력 확보 등을 통해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해 왔다. 본 연구는 R&D역량이 우수한 중소 · 중견기업 연구소를 발굴하여 육성하기 위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가장 큰 목적은 중소 · 중견기업 우수연구소를 선정하기 위한 논리를 수립하고, 이에 대한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수연구소를 선정하기 위해 논리모형에 기반한 평가지표 체계를 제시하고, Pilot Test를 통해 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평가지표는 우수연구소에 대한 R&D지원을 위한 참고자료로 유익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특히 기업의 입장에서는 해당기업의 R&D역량에 대한 자가진단을 위한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수연구소 선정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 선정결과를 활용한 차별화된 정책적 지원방안을 함께 제시하고자 하였다. Corporate Laboratories have been a key driver of Korea"s economic growth through attaining technology competitiveness. The study is focused on selecting outstanding small and medium corporate laboratories with high R&D capability and fostering the selected laboratories. The main topics of this study are to establish logics regarding the selection process and to propose the implementation schemes of the process. For the selection of outstanding laboratories, this study presents a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logic model and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of following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a Pilot test. The evaluation indicator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in practical use as a reference for support policies of outstanding laboratories’ R&D activities. For corporations, these indicators can be used to examine their R&D capability. This study also suggests differentiated policy support measures using the finding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selection process.

      • KCI등재

        경쟁과 기술혁신의 관계

        정호진(Hojin Jung),백철우(Chulwoo Baek),정의영(Euy-Young Jung),이정동(Jeong-Dong Le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오랜 기간 논쟁의 대상이 되어 온 경쟁과 혁신의 관계를 첨단산업과 비첨단산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경쟁과 혁신의 관계는 부정적 상관관계와 긍정적 상관관계 간의 대립적 양상에서 역-U자형 상관관계로 이론적 발전을 거듭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레벨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체제의 관점에서 서로 상반된 기술기회와 전유성을 갖고 있는 첨단산업과 비첨단산업을 대상으로 경쟁과 혁신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각각의 산업군에 대해 1차식과 2차식 모형으로 선형성과 비선형성을 검정한 결과 2차식 모형에서 첨단산업은 경쟁과 혁신의 관계가 U자형으로 나타났다. 첨단산업에서 경쟁과 혁신의 관계가 U자형으로 나타난 원인은 한국의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기술수준 격차로 인해 초기 경쟁의 상태가 Levelled 산업일 확률이 높다는 Aghion et al.(2005)의 가정과 달리 경쟁의 초기 상태에서 Unlevelled 산업이 나타나고, 그로 인해 슘페터 효과가 먼저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비첨단 산업은 1차식 모형에서 경쟁이 증가할수록 혁신이 감소하는 슘페터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bout a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and innovation has been a long controversy deb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and innovation also has been developed academically from a opposition condition between the positive effect and the negative effect to the inverted U shap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and inno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igh technology industries and low technology industries by converting from firm-level data to industry-level data. The reason why we watch high technology industries and low technology industries is that they are directly-opposed technology opportunity and technology appropriability in terms of technology regime. After analyzing the linearity and non-linearity of each industry constellation as a linear equation and a quadratic equation, there is a U shap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and innovation at the quadratic equation in the high technology industries. The reason is that a assumption of Aghion et al. (2005) which explains there is higher probability of turning up the levelled industry at the initial condition of competition is different from this study because South Korea’s condition of initial competition is showing unlevelled industry because of technology gap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Therefore, Schumpeter effect happen first at the initial condition of competition. In addition to this resul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and innovation in low technology industry group that supporting Schumpeter hypothesis.

      • KCI등재

        영역조절모형(RAM)을 활용한 신약개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분석

        엄익천(Ik-Cheon, Um),백철우(Chulwoo, Baek),홍세호(Seho, Ho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6 기술혁신학회지 Vol.19 No.4

        신약개발은 국민의 건강권과 직결되며 국가 차원의 제약산업 육성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동안 신약개발 분야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신약개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효율성 분석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R&D 분야는 연구개발시차, 일출효과(spill-over effect) 등으로 인해 투입과 산출의 일정한 방향성과 등비율적인 증감을 가정하는 CCR 모형이 적합하지 않다. 또한 가변규모수익을 가정하는 BCC 모형도 여유분(slack)으로 인해 의사결정단위 간의 명확한 우선순위 도출이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최근에는 R&D 분야의 특수성을 고려해서 자료포락분석 모형 중 영역조절모형(Range Adjusted Measure: RAM)을 활용한 분석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RAM 모형은 가변규모수익 가정 하에 투입지향이나 산출지향처럼 방향성에 대한 사전적인 가정 없이 비효율성을 최대한 제거하는 방향으로 효율성을 측정하므로 R&D 분야의 효율성 분석에 적합하다. 특히 RAM 모형은 매우 강건한 단조성으로 인해 의사결정단위 간 명확한 순위 구분도 용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의 RAM 모형과 토빗 회귀분석이 결합된 2단계 접근법(two-stage approach)을 활용해서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신약개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고 주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Drug Development is very important for promoting public health and pharmaceutical industry. There has been many studies on the efficiency of drug development,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drug development R&D performed by government. Since CCR model assumes unidirectional influence of input and output, it is not appropriate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R&D due to the time-lag and spill-over effect. Also, BBC model which assumes variable returns to scale has difficulty in deriving priorities between decision making units. Recently, Range Adjusted Measure (RAM) model has been suggested in R&D efficiency analysis. RAM model measures the efficincy by eliminating inefficiencies under variable returns to scale assumption, and its strong monotonicity enables to provide clear priorities between decision making uni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iciency of national R&D programs for drug development using the two-step approach, including RAM model and Tobit regression analysis, and discussed major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중소기업 병역대체복무제도의 효과성 분석

        노민선(Meansun Noh),조호수(Hosoo Cho),백철우(Chulwoo Baek) 한국혁신학회 2018 한국혁신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중소기업 병역대체복무제도의 경제적 효과를 계량경제모형을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제도의 존속 여부에 대한 정책 판단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시경제적 관점에서 병역대체복무제도가 중소기업의 매출증가에 얼마나 기여하였는지를 분석하였으며, 거시경제적 관점에서 산업생산, 고용창출, 경제성장에 미친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중소기업 병역대체복무제도를 통한 미시경제적 효과로 대체복무요원 1인당 매출액 증가 기여도는 전문연구요원이 459백만원, 산업기능요원이 259백만원으로 각각 나타났다. 거시경제적 효과로 전문연구요원제도는 4,393명의 고용유발효과와 GDP의 0.03%에 달하는 부가가치 창출효과를 나타냈으며, 산업기능요원제도는 30,629명에 달하는 고용유발효과와 GDP의 0.19%에 달하는 부가가치 창출효과를 유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conomic effect of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by using a econometric methodology. To this end, we analyze whether the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sales from the perspective of microeconomic effect, and to the increase of industrial production, job creation and economic growth from the perspective of macroeconomic effect. In the microeconomic effect analysis,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methodology was used to control the sample selection bias caused by the process of appointing beneficiary. In the macroeconomic effect analysis, various inducement coefficients of inter-industry relation table were used.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tribution of the increase in sales per technical research personnel was 459 million won and that per skilled industrial personnel was 259 million won as a microeconomic effect. Moreover, technical research personnel caused 4,393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and 0.03% of GDP creation effect, and skilled industrial personnel did 30,629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and 0.19% of GDP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