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산지별 감초추출물의 추출 조건별 항균활성

        배정윤 ( Jeong Yun Bae ),장하나 ( Ha Na Jang ),하지훈 ( Ji Hoon Ha ),박종호 ( Jong Ho Park ),박진오 ( Jino Park ),박수남 ( Soo Nam Par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추출조건에서 원산지별 감초(한국은 제천감초, 우즈베키스탄산, 중국산) 추출물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원산지별 감초추출물의 추출조건은 추출용매(30% EtOH, 85% EtOH), 온도(40oC,60oC), 시간(6 h, 12 h)을 조절하여 총 8군으로 설정하였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disc diffusion assay, broth macrodilution assay 및 kill time curve assay에 의해 평가 되었다. 각각의 조건별 추출물들에 대하여 disc diffusion assay에 의해 각 원산지별 항균활성을 확인한 후,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인 추출 조건을 선정하였다. 한국산 감초추 출물(85% EtOH, 40oC, 12 h)이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P. acnes에 대하여 2.5 mg/disc에서 19 mm을 저해하였다.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는 액체 희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원산지별 감초추출물의 MIC와 MBC는 한국산 감초추출물에서 각각 156 μg/ml과 1,250 μg/ml로 우즈베키스탄 감초추출물(625 μg/ml과 2,500 μg/ml)과중국산 감초추출물(625 μg/ml과 5,000 μg/ml)보다 가장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다양한 추출조건에서 추출한 원산지별 감초추출물 중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최적의 조건과 원산지가 F군(85% EtOH, 40oC, 12 h)에서 추출한 한국산 감초임을 확인 했다. 이는 현재 사용되는 합성 방부제를 대신할 천연방부제인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Glycyrrhiza uralensis and Glycyrrhiza glabra extracts, with their countries of origin as Korea (Jecheon), Uzbekistan and China, were prepared under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There were 8 extraction conditions which the licorice were subjected to, and all conditions had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temperatures and times. Antimicrobial activity on skin flora was evaluated comparatively by a disc diffusion assay, broth macrodilution assay, and kill time curve assay. Based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ir extract confirmed by disc diffusion assay, we establishe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The Korean licorice extract (85% ethanol, 40oC, 12 h) showed the best activity amongst the samples examined. In particular, it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was the highes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s (MBC) of the licorice extracts revealed that the Korean licorice (156 μg/ml and 1,250 μg/ml) had bett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that of the Uzbekistani licorice (625 μg/ml and 2,500 μg/ml) and the Chinese licorice (625 μg/ml and 5,000 μg/ml). Taken together, it was shown that Korean licorice extracted in group F (85% ethanol, 40oC, 12 h) ha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mongst the licorices from the other countries of origin.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are 85% ethanol, 40oC, 12 h, and that licorice has a potential application as a natural preservative in cosmetics products, thereby replacing synthetic preservatives.

      • KCI등재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균 활성 비교 및 천연방부제로써의 효능 연구

        김혜진 ( Hye Jin Kim ),배정윤 ( Jeong Yun Bae ),장하나 ( Ha Na Jang ),박수남 ( Soo Nam Par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3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1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lycyrrhiza uralensis and Glycyrrhiza glabra extracts with various countries of origin. Three samples of licorice with various origins (Korea, China, and Uzbekistan)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ix skin microflora. The bioassay applied for determining the antimicrobial effects included the disc diffusion assa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challenge test. The ethyl acetate fractions of G. uralensis and G. glabra extracts showed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wo gram-positive (Bacillus subtilis, Propionibacterium acnes) and two gram-negative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bacteria. These samples had much more intensive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synthetic preservatives on B. subtilis, P. acnes, and P. aeruginosa, especially. Korean licorice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mongst the samples tested. In view of the observed inhibitory features of these G. uralensis and G. glabra extracts, it is suggested that they could be used as natural antiseptics against bacterial contamination in cosmetics and foods, instead of the common synthetic preservatives currently employed.

      • KCI등재

        감초 성분의 항균활성, 정량 및 방부력에 관한 연구

        김혜진 ( Hye Jin Kim ),장하나 ( Ha Na Jang ),배정윤 ( Jeong Yun Bae ),하지훈 ( Ji Hoon Ha ),박수남 ( Soo Nam Par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에서는 감초성분인 glycyrrhizin, liquiritin, liquiritigenin, isoliquiritigeni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에서 항균활성 성분인 isoliquiritigenin과 liquiritigenin을 정량하여 비교평가하였다. 또한 challenge test를 통하여 가장 뛰어난 항균활성을 나타낸 isoliquiritigenin과 합성 방부제인 메틸 파라벤과의 방부력을 비교하였다. 감초 성분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 Liquiritigenin과 isoliquiritigenin이 B. subtilis, P. acnes, E. coli, P. aeruginosa에 대해 저해활성을 보였다. 특히 감초성분 중 큰 항균활성을 나타낸 isoliquiritigenin과 합성 방부제로 사용되는 메틸 파라벤과 프로필 파라벤의 최소저해농도를 비교한 결과 isoliquiritigenin이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HPLC를 통해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 isoliquiritigenin과 liquiritigenin을 정량한 결과, 이들의 함량은 한국산 감초가 중국산 감초와 우즈베키스탄산 감초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산 감초가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데 isoliquiritigenin, liquiritigenin 함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Isoliquiritigenin의 B. subtilis, P. acnes, E. coli, P. aeruginosa에 대한 challenge test를 통해 메틸 파라벤 보다 isoliquiritigenin이 뛰어난 방부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로부터 감초 성분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고, 원산지별 감초(한국, 중국, 우즈베키스탄) 중 한국 감초가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데 isoliquiritigenin과 liquiritigenin 함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감초 성분 중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isoliquiritigenin은 파라벤류를 대체 할 수 있는 천연 보존제로써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corice’s active ingredients. Four samples of licorice ingredients (glycyrrhizin, liquiritin, liquiritigenin, and isoliquiritigenin)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ix skin microorganisms. The bioassay applied for determining the antimicrobial effects employed a disc diffusion assay,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the challenge test. The ingredient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Especially, isoliquiritigenin has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wo Gram-positive (Bacillus subtilis, Propionobacterium acnes) and two Gramnegative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bacteria. These samples had much high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synthetic preservatives. Our results reveal that liquiritigenin and isoliquiritigenin could be useful compounds for the development of antibacterial agents for the preservation of cosmetics and foods. The two flavonoids, liquiritigenin and isoliquiritigenin, sourced from Korea, China, Uzbekistan, were quantified using HPLC.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Korean licorice has two flavonoids (liquiritigenin, isoliquiritigenin) in much higher quantities than was observed in the licorice obtained from the two other countries. Thus, isoliquiritigenin and Korean licorice extract represent new candidates for antimicrobial agents.

      • KCI등재후보

        한국산 감초 추출물 함유 크림의 안정성 평가

        김혜진 ( Hye Jin Kim ),장하나 ( Ha Na Jang ),배정윤 ( Jeong Yun Bae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크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감초추출물의 0.20%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크림에 대하여 12주 동안 온도별 저장 조건(4 ℃, 25 ℃, 37 ℃, 45 ℃)과 태양광선(2013년 3월 ∼ 5월, 3월 평균온도 : 5.10 ℃, 4 ∼ 5월 평균온도 : 14.10 ℃) 노출조건하에서 2주 간격으로 pH, 흡광도 및 점도 변화와 1주 간격으로 색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온도별 저장 조건에서 감초 추출물을 함유한 시료 크림의 pH 변화는 0.44로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군 크림(0.66)보다 pH 변화 값이 작았다. 태양광선하에서는 pH 변화는 대조군과 시료군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온도별 저장조건에서 대조 크림의 점도는 평균 2,483 cPs 감소하였고 시료 크림은 평균 2,893 cPs 감소하였다. 시료 크림이 대조크림보다 평균 410 cP 감소를 나타내었다. 감초출물이 크림 점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감초 추출물 에탄올 용액의 태양광선하에서 276 nm에서의 흡광도는 30.00% 감소하였다. 반면에 감초추출물 함유 크림의 경우는 동일 조건에서 흡광도가 12.02% 감소하였다. 감초추출물이 크림 속에서 비교적 안정함을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에서 대조 크림에서는 색차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시료 크림은 색차가 조금 증가하였으나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한국산 감초 추출물 함유 크림 제형은 비교적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제품에 응용 시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발휘할 수 있도록 보완 연구가 이루어 진다면 화장품에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stability of a cream containing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50% ethanol extracts from Glycyrrhiza uralensis (G. uralensis) cultured in Korea was investigated. pH, absorbance, viscosity and color difference of the cream containing 0.20%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aforementioned G. uralensis extracts were measured under 4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4 ℃ 25 ℃ 37 ℃ and 45 ℃) and under the sun light at 2 week intervals for 12 weeks. pH changes of a control cream without the extracts and the sample cream containing 0.20% ethyl acetate fraction of G. uralensis extracts were 0.66 and 0.44,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pH differences between the sample and the control under the sun. Viscosities of the control cream and the sample cream decreased by 2,483 cPs and 2,893 cPs respectively. So, the sample cream showed a bigger decline (410 cP) in viscosity than the control cream.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G. uralensis extracts did not affect the stability of the cream. Absorbance of ethanol solution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decreased 30.00% at 276 nm under the sun. On the other hand, the absorbance of the sample cream containing the ethyl acetate fraction decreased 12.02%. The stability of the G. uralensis extracts was better in cream formulation than in ethanol solution. The total color differences of all creams increased slightly during the study period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results appeared to indicate the color stability of the cream containing 0.20% ethyl acetate fraction of G. uralensis extracts.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y is need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to the manufacturers who are seeking for the application of the G. uralensis extracts to improve the anti-oxidant and stability of cosmetic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