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백사이항복(白沙李恒福)의 전쟁경험과 일본 인식

        방기철 ( Ki Cheol B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3 No.-

        이항복은 일본의 침략을 맞아 병조판서를 5차례나 역임하는 등 국난 극복의 전면에서 활약한 일물이다. 그는 일본은 충분한 준비를 한 후 조선을 침략한 것으로 여겼고, 일본의 조선침략은 명을 침략하기 위한 방편으로 여겼다. 때문에 명이 조선을 도와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 과정에서 선조의 명으로의 망명도 주장했다. 한편 그의 이러한 주장은 도승지로서 선조의 뜻을 반영한 것이기도 했다.벽제관전투에서 패한 후 명이 강화를 통해 전쟁을 끝내려 할 때 이항복은 반대의 입장을 분명히 했지만, 곧 명의 강화안을 받아들였다. 조선이 명의 제안을 거절할 수 없다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는 명과일본의 강화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여겼다.이항복은 일본군이 철수한 후에도 소규모 왜란이 일어날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했고, 일본군의 재침을 염려하기도 했다. 때문에 그는 전후에도 지속적으로 국방 강화를 주장했다.전후 일본이 국교재개를 요청해 왔을 때 이항복은 왜구행위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쓰시마에 대한 통상을 허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 일본과의 국교재개도 반대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민생의 안정을 위해서였다. 하지만 국교재개는 조선이 우월한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이항복은 화이론에 입각하여 일본을 이적시하였다. 때문에 일본의 언어와 풍속 등이 조선에 영향을 준 것을 안타까워 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본인의 성품이 강하다는 사실, 군령이 엄하다는 사실 등을 통해 일본의 군사력이 조선보다 우월하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즉 그는 군사적인 부분에 한정된 것이지만 일본을 바라보는 시각에 일정한 변화를 보이기도 했던 것이다.이항복은 쓰시마나 일본을 다녀오지 않았고, 대일외교 전면에서 활약한 경험도 없다. 그가 대일정보를 얻은 경로는 대부분 명 사신의 접대를통한 간접적인 것이었다. 또 다른 경로는 이덕형을 통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가 일본의 조선 침략이 쓰시마에 의해 이루어 진 것으로 여긴점, 쓰시마와 조선을 분리하여 바라본 점, 일본의 군사력이 조선 보다 우월하다는 사실을 인정한 점, 일본과의 국교재개를 반대하지 않은 점등은 이덕형의 대일인식과 거의 일치한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이항복의 대일인식은 이덕형의 일본관에 일정한 영향을 받았거나 상호 영향을주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Japan of Lee Hang-bok, Who served the nation in the front line of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relation to his war experiences. Lee believed that Japan invaded Joseon in order to secure a route to Ming Dynasty to invade it, thus maintaining that Joseon should make a request on relief to Ming and that King Seonjo should defect to Ming. His arguments reflected the intention of King Seonjo, as well. After losing the Byeokjegwanbattle( 碧蹄館戰鬪), Ming tried to end the war through peace negotiations. Although Lee opposed its peace negotiations, he knew that Joseon could not refuse Ming``s proposal and accordingly accepted it. He, however, did not believe that Ming and Japan would reach an agreement on peace. After the war ended, Lee made ongoing arguments to reinforce the national defense out of his concern with the possibilities of Japan invading Joseon again. When Japan requested the diplomatic relations to be resumed between the two nations, he insisted on a trade permit for Tsushima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Japanese pirates. He was also for the idea of resum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to stabilize public welfare. Based on theory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s, Lee regarded Japan as an enemy of Joseon, thus feeling sorry that the Japanese language and customs had influences on Joseon. He, however, showed some changes to his viewpoint of Japan even though they were restricted to the military sector. Lee did not visit Japan or was not active in the front line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it. He obtained information about Japan usually when entertainingenvoys from Ming. Another route is estimated to have been Lee Deok-hyeong(李德馨), Who shared many perceptions of Japan with him including that Japan invaded Joseon via Tsushima, that Tsushima was viewed separate from Joseon, that he recognized Japan``s military force was superior to Joseon, and that he did not oppose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It thus appears that Lee Hang-bok``s perceptions of Japan were influenced by Lee Deok-hyeong``s views of Japan to certain degree or exchanged mutual influences with them.

      • KCI등재후보

        韓國思想(한국사상) 史學(사학) : 李德馨(이덕형)의 전쟁경험과 일본인식

        방기철 ( Ki Cheol B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8 No.-

        李德馨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과 명, 그리고 조선과 일본 간의 외교를 전담한 인물이다. 전쟁 발발 전 일본 사신의 접대를 맡았던 그는 일본의 침략 가능성은 예상하지 못했으며, 華夷論에 근거하여 일본을 夷狄視하였다. 조선을 침략한 일본은 이덕형을 통해 강화협상을 진행시켜 나갔다. 그는 일본의 강화 요청을 거절하였는데, 그 이유는 명의 참전이 이미 결정되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명이 벽제관전투에서 패한 후 강화로 전쟁을 끝내려 할 때는 강화에 반대하지 않았다. 그는 명이 강화를 원하는 만큼 이를 피할 수 없다고 여겼던 것이다. 전후 일본이 국교재개를 요청하자 이덕형은 국교재개를 반대하지 않았다. 그는 전쟁의 주역으로 여긴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사망과, 도쿠 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정권을 장악하고 있는지 여부가 국교재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여겼다. 또 일본 보다 조선이 상위의 입장에서 국교재개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덕형은 히데요시와 함께 쓰시마섬(對馬島)을 전쟁의 주역으로 여겼다. 또 조일관계에서 쓰시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때문에 전후 쓰시마 공격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국교재개에 앞서 쓰시마를 조선의 藩屛으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모습은 조선전기의 조선과 쓰시마의 관계를 복원하려는 것이었다. 전쟁 중 이덕형은 일본군이 강하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대일 정보를 탐색하였다. 전후 일본과의 국교재개에 있어서는 현실적인 외교노선을 택하기도 했다. 이러한 모습은 그의 일본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소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에게 있어 일본은 여전히 믿을 수 없는 존재였고, 조선 보다는 아래에 위치하는 국가였다. 즉 화이론에 입각하여 일본을 이적시한 대일인식 자체에 변화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This study examines Lee Deok-hyeong(李德馨)`s diplomatic activities toward Japan and perspectives he took to look at the country during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Lee Deok-hyeong began his involvement in Joseon`s relations with Japan in 1588 when he entertained the envoys dispatched from Japan as Seonwisa(宣慰使). During the war, he was solely responsible for talks with the Japanese forces. When Japan made a request on peace in the middle of the war, he rejected it because he believed that Ming Dynasty would definitely provide supports to Joseon. However, he had no objection to a peace agreement between Ming and Japan, estimating that Ming would make peace real as long as it wanted peace. Lee Deok-hyeong placed huge importance on Tsushima in the process of Joseon`s resuming its relations with Japan after the war ended. That is, he insisted Joseon should conquer Tsushima by force and put it under its influence before resuming its relations with Japan. At the same time, he also argued that Joseon should accept the trade request of Tsushima because he believed Tsushima should return to the pre-war state of being within the perimeter of Joseon. Regarding Japan as an enemy, Lee Deok-hyeong made it clear that Joseon was superior to Japan in all the aspects. He, however, acknowledged that the Japanese forces were strong through the war. In addition, he chose a realistic diplomatic route in making a peace agreement with Japan and resuming Joseon`s relations with it and tri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Japan by deploying Joseon`s warriors to the camps of Japanese forces. Those changes illustrate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his perspectives of Japan before and after the wa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반침하 방지기술의 현황 및 발전방향

        방기문(Ki Mun Bang) 한국암반공학회 2017 터널과지하공간 Vol.27 No.6

        본 연구는 1990년대부터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폐광산 지역 지반침하방지기술을 정리하고 향후 지반침하방지기술의 발전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지반침하의 개념을 정리하고, 지반침하 조사기술, 안정성 평가기술, 보강기술, 계측기술 등 각각의 적용기술을 설명하였다. 현재의 어려운 사업상황을 극복하고 지반침하방지 기술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하여서는 먼저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을 통합정리 하고, 공공기관과 민간전문사업자가 상호 긴밀히 협력하여야 한다. 그동안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쳐 발전된 기술을 터널굴착, 토목기반시설물 건설, 지하 환경영향 평가 등과 같은 관련 산업분야에 적용하여 사업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좁은 국내시장을 벗어나 그동안 축적된 기술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여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dict the future technology on the prevention and reclamation of mining induced subsidences in Korea. We summarized the technical improvement of ground surveys and investigation, ground stability assessment, ground reinforcement, ground monitoring system and so on.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technology that we try to collect and review all the data that is implemented on the site of mined area in Korea and collaborate all the members of public and private business sectors. We, also, try to expand our business area to related industry such as tunnelling, civil infrastructure, underground environmental assessment etc, and continue to develop oversea’s market.

      • KCI등재

        栗谷 李珥의 대일인식

        方琪喆(Bang Ki-Cheol)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29 No.-

        이 글은 조선 중기 사상계를 대표했던 인물인 栗谷 李珥의 대일인식을 조선과 쓰시마 섬(對馬島)간의 통상에 관한 입장, 대일국방강화론 등을 통해 구명한 것이다. 당시 조선은 일본인의 거듭된 소요사태에도 불구하고 쓰시마와의 통상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율곡은 반대의 뜻을 분명히 하였다. 그 이유는 당시 조선 정부와 백성들이 공식적으로는 쓰시마와의 무역을 통해, 비공식적으로는 왜구의 침입 등으로 이중 부담을 안고 있는 현실을 정확히 파악했기 때문이었다. 그 외 쓰시마가 겉으로는 조선의 藩屛을 자처하고 있지만, 사실 일본의 척후일 것이라는 강한 불신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한 것이었다. 쓰시마에 대한 불신감은 일본의 침입에 대한 염려로 이어졌다. 때문에 율곡은 수군제도의 개혁, 板屋船의 건조 등을 통한 대일국방강화를 적극 주장하였다. 이처럼 그는 일본을 경계하여 국방강화를 주장했지만, 그것은 일본에 대한 무력정벌 등과 같이 군사행동을 뜻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는 단지 왜구가 변방을 어지럽히거나 일본의 침략이 있을 경우 해상에서 이를 격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 이유는 당시의 정치?사회?경제 등에서의 실리적 관점과, 일본은 오랑캐지만 힘이 아닌 덕으로 감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율곡의 대일인식은 기본적으로 華夷論에 근거한 것이었다. 그는 조선의 문화를 중국과 대등한 것으로 여긴 반면, 일본은 섬 오랑캐[島夷]에 불과하다고 夷狄視하였다. 이러한 시각은 당시 율곡과 함께 조선의 사상계를 주도했던 退溪 李滉?南冥 曺植과 동일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의 대일외교정책은 퇴계나 남명 보다 현실적인 것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것은 그의 개방적 학문자세, 중앙과 지방에서의 다양한 정치실무 경험과 외교활동 등이 바탕이 된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ndpoint on the commercial relations between Chosun Dynasty and Tsushima(對馬島) and to look into Yulgok Lee-Yi(栗谷 李珥)’s insistence on strengthening the national defense against Japan. Yulgok was the philosopher representing the thoughts in middle Chosun in order to establish his perception of Japan. Yulgok was clearly opposed to the commercial relations with Tsushima because he realized that Chosun had double burdens not only formally by the trade with Tsushima and but also informally by the infiltration of Japanese pirates(倭寇). Also, he had a strong doubt that Tsushima was the instrument of Japan for invading Chosun though Tsushima offered itself as the feud of Chosun. Meanwhile, Yulgok persisted that Chosun should strength the national defense against Japan by reforming the naval forces and constructing warships (‘Pan-ok-sun’), worrying about the invasion of Japan. Despite his persistence on national defense, Yulgok did not mean to subjugate Japan by force. He merely emphasized strengthening the national defense in order to fight off Japanese pirates appearing by the seaside or Japan invaders on the sea. Yulgok’s perception of Japan was based on the ‘theory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 He considered Chosun’s culture to be equal to that of China, but regarded Japan’s culture as barbarian, saying that Japanese were not more than ‘island savages(島夷)’. However, Yulgok presented practical foreign policies against Japan based on various experiences in political service both in central and local regions and activities in diplomatic responsi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