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멸의 상상, 공동(共動)의 미래 : 김숭늉, 이은재, 모래인간의 재난 웹툰을 중심으로

        박하림 ( Park Ha Rim ) 영미문학연구회 2018 안과 밖 Vol.0 No.44

        This article attempts to assess the imagination of collapse in Korean culture in the 2010s, specifically focusing on disaster webtoons created by three young artists; Kim Sung Nyung, Lee Eun Jae and Moraeingan. Their works aptly reflect the perceptions and sentiments shared by many youths and the socioeconomic polarization of the present day. Although webtoons portray disaster in a sense of everydayness rather than an unexpected spectacle, it presents this collective crisis as a medium which links youths to society. Furthermore, it enables people to encounter concealed discriminations that eventually cause them to seek for the alternative approaches with regard to relationships and collectivity. There is also a crisis of modern subjectivity. The young male protagonists doubt their capacity to overcome obstacles or blaming their situations on their incompetence rather than actively pursuing their existence and solving the collective emergency. These young males no longer meet the standards of dominant masculinity which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during the modernization in Korea. In addition, guilt, shame, disgust(self-hatred) are the main Affects found in disaster narratives that highlights both the crisis of the subject and the political depression. In this context, becoming a subject of love is only possible by transgressing the border of disaster, but webtoons simultaneously depicts a failure of love and a political movement. Ultimately, webtoons seek a different future based on sympathy and its subsequent action. Sympathy makes the youths realize our ontological ‘weakness’ through the vulnerability of bodies, while disgust and indifference easily restrain our virtuality. Thus, disaster awakens that we are not only ‘infected bodies’ but also ‘weak bodies’ and we inevitably rely on other existences, which is why we must act together.

      • 사진을 통해 재구성한 공간의 개념과 입체화 과정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박하림(주저자) ( Ha Rim Park ),신지윤(공동저자) ( Ji Yoon Shin ),정승영(공동저자) ( Seung Young Ju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4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시각, 제품, 공간, 의상 등의 다양한 디자인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총체적 시각과 방법의 모색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공간 디자인은 회화적 기법과 사진, 영상, 컴퓨터그래픽의 다양한 표현 기법을 응용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공간의 재구성을 통한 표현기법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이동 하는 공간의 동선에 따라 사진을 찍고 이를 동선의 변화와 그에 따른 감정의 기복 상태를 표현하는 꼴라 쥬 작업을 통해 조형적으로 제시한다. 완성된 꼴라주는 일러스트로 다양하게 변환시키고 이를 도면으로 옮기고 모형으로 제작한다. 마지막으로 영상 작업으로 그동안의 표현기법의 과정과 컨셉을 정리한다. 공간을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작가의 주관을 반영하여 스토리를 부여함으로써 공간의 조형요소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공간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It is important to explore the holistic view that takes into account the visual, product, space, and design aspects in the field. This paper discusses techniques that can change the character of the design of a space, with methods that include representation through pictorial photos, videos, computer graphics applications, in order to express a new paradigm of the design process. Space reconstruction can be projected through representation techniques. First, to go to a space and to take pictures of it that are transmitted along a copper wire, and the corresponding changes in the circultion, then the state of feeling and the relief are presented through sculptural collages of the work. The illustration of the finished collage is converted into a variety of moving models that are made into a drawing. To design the space, formative elements of design methodology are presented to reflect the story of the artist`s subjectivity by reconstruction the space.

      • KCI등재

        파국의 기원과 멜랑콜리: 2000년대 한국 문화에 나타난 좀비 서사 연구

        박하림 ( Park Ha Rim ) 한국비교문학회 2017 比較文學 Vol.0 No.71

        이 연구는 2000년대 한국 문화에 나타난 좀비 서사를 사회적ㆍ문화적 문제틀을 통해 탐구함으로써, 특정 시기를 살아가는 인간의 마음에 내재된 종말 의식과 그 발현 양식이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비 아포칼립스는 문명과 인간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 파국적 상상력과 강력하게 조응하면서 나타난 양식으로 특히 국가나 사회와 같은 근대적 사태에 대한 자기파멸적 상(像)이다. 한국의 좀비 서사는 문제적 세계에 대한 파괴충동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내부적 파국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멜랑콜리적 성격을 띠는데, 이는 집합적ㆍ역사적 경험들에 의해 중층 결정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좀비 아포칼립스는 1997년 IMF 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의 본격화에 뒤따른 구조적 변동과 사회적 불안이 서바이벌 세계로 전치되면서 촉발된 것으로 좀비는 생존 주의적 주체형의 비판적 반영이다. 청년으로 표상되는 서사 속 주체 역능의 위축과 미래의 불가능성은 특히 정치적 모순으로 인한 좌절과 관계되며, 이런 맥락에서 문화는 탈정치성의 지표이자 보편 세계로 접속하고자 하는 집합적 열망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현실 사회주의의 퇴조 이래 유일한 보편이 된 자본주의 체제에서 변혁의 에너지는 좀비라는 파열된 기호의 섬뜩함으로 교환되고, 혁명의 좌절과 시장의 냉소는 열정과 분노의 감정자원을 해소되지 못한 우울로 전환시키면서 연대를 불가능한 것으로 만든다. 좀비 아포칼립스는 오늘날 파국의 기원을 전후 근대화 달성을 위한 역사적 도정에서 축적되고 형성된 모순으로 파악하면서, 강력한 국가 이데올로기에 의한 좀비의 항상적 내재화와 공동체적 위기의식, 생존에의 맹목이 분단이라는 역사적 실재로 인해 국민국가의 토대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없는 주권적 불안에서 기인하는 것임을 밝혀낸다. 한편 좀비를 체제의 형식에서 탈각시키고 보편적 잠재태로 재호명하기 위한 서사적 소명은 사랑의 지점을 출현시키는데, 사랑은 욕망과 통감, 애도의 연대를 이끌어내는 윤리적 사건이자 좀비성의 역사적 연쇄로부터 영원성의 순간을 구원하고자 시도한다. 요컨대 좀비 서사는 쇠락하는 시대를 감인해 나가고자 하는 근원적 갈망의 서사적 구현이며 그것이 성찰적으로 구성하고 재현하는 파국의 시원(始原)과 멜랑콜리는 한국 근대를 해석하는 알레고리의 하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manent sense of apocalypse experienced by humanity through the zombie narrative approach specifically in Korean culture during the 2000s. The zombie apocalypse is a born out of coupling pessimistic outlooks of the collective catastrophic imagination of humanity. It reflects the self-destructive image of a modern entity of a state/society. Zombie apocalypse narrative in Korea carries a melancholic nature resulting in internal catastrophe. 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main agent is bound to the historical time of the nation state. This specific narrative composition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levels of interpretation. With the rise of neoliberalism after the 1997 IMF crisis, the structural change and the communal anxiety, the zombies were transposed to a world of survival as a reaction to the disaster. A zombie is a pessimistic reflection of the agent and of a helpless youth in the survival-oriented Korean society. This zombification captures symptoms indicating the loss of imagination of new constructions. For both the survivor and the zombie, the state is a perpetrator of repression. The zombie is a physical body confined to historical and political conventions. The youth attempts to connect to the world through the dream of a cultural revolution, but the energy of passion is exchanged with the zombie―an uncanny body of catastrophe ―in the capitalist system, which remains as the only universal concept since the decline of socialism. The failure of revolution and the cynical market converts passion and fury into depression, making communal solidarity all the more impossible. The immanent sense of ending in the zombie narrative is effectively revealed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the past. Here, the origin of catastrophe is the sovereign anxiety over not being able to acquire the foundation for the nation state due to the division of Korea. This political catastrophe leads to melancholy and materialistic thoughts accumulated amidst the polishing of the nation state and the challenge of successful modernization, thereby removing the distinction between zombie and human. The agent dreams of the restoration of everyday life or sinks deeper into self-destructive depression and eventually meets a tragic death. At the same time, the narrative introduces love as a de-political, universal attempt to free the zombie from social systems, and the zombie becomes a subject of love. The end of the world serves as the paradoxical function of enabling love in the face of adversity. The zombie narrative embraces the age of catastrophe by assigning an endless moment to historical tim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