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erulein 유발 급성 췌장염에 대한 nafamostat mesilate의 예방 효과

        이준규 ( Jun Kyu Lee ),박주경 ( Joo Kyoung Park ),이상협 ( Sang Hyub Lee ),윤원재 ( Won Jae Yoon ),류지곤 ( Ji Kon Ryu ),김용태 ( Yong Tae Kim ),정현채 ( Hyun Chae Jung ),윤용범 ( Yong Bum Yoon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4

        목적: 급성 췌장염의 동물 모델에 있어서 여러 가지 단백 분해 효소 억제제들의 예방 효과가 입증되어 있으나 질병 발생 이후에야 약물이 투여되는 실제 임상 상황에서는 단백 분해 효소 억제제들의 급성 췌장염 대한 치료 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본 연구자는 대부분의 동물실험에서 췌장염 유발 전에 투여되었으며, 유발 전과 후에 각각 투여하여 그 결과를 비교한 실험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약물의 투여 시점이 급성췌장염의 예방 혹은 치료 효과에 중요하다는 가설을 세우고 단백 분해 효소 억제제인 nafamostat mesilate (NM)을 췌장염 유도 전후에 각각 생쥐에 투여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방법: 생쥐에서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kinin) 유사 물질인 cerulein을 반복적으로 복강내 투여하여 급성췌장염을 유발시키면서 투여 전후에 각각 NM를 정맥내 주사하고 혈청 아밀라제 및 리파아제, 췌장 조직내 MPO (myeloperoxidase) 활성도, 조직학적 변화 등을 측정하여 각군에 있어서 염증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간 군에 있어서 p38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와 그의 활성형인 phosphor-p38 MAPK, 그리고 IL-6(interleukin-6)의 췌장 조직 내에서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Cerulein의 반복적인 복강내 투여를 통해 급성췌장염이 성공적으로 유발되었다. NM을 췌장염 유발 전에 투여할 경우 예방 효과가 있었던 반면, 유발 후에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그 효과가 확실하지 않았다. 급성췌장염이 발생한 군에서는 p38 MAPK에 비하여 phosphor-p38 MAPK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던 반면, 각 군 간에 있어서 IL-6의 발현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NM을 급성췌장염 발생 이후 치료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그 효과는 확실하지 않으나, 내시경적역행성 담췌관조영술과 같이 급성췌장염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 예방을 위해 미리 투여하는 것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Many protease inhibitors show a protective effect for acute pancreatitis as seen in animal models. In previous studies, the protease inhibitors were administered before induction of pancreatitis, and there are few published reports examining effects when these agents were administered after induction of pancreatitis. The timing of drug administration may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ineffectiveness of prote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Herein, we assessed the protective effect of nafamostat mesilate (NM), a potent protease inhibitor, in a mouse model of cerulean-induced pancreatitis and compared the results of administering the drug before and after the induction of pancreatitis. Methods: Cerulein, a cholecystokinin analogue, was injected into mice intraperitoneally to induce pancreatitis. The mice received intravenous NM administration before and after the induction of pancreatitis. The serum concentration of amylase and lipase was measured, histological changes were measured, and the tissue expression of myeloperoxidase was measured to assess the degree of inflammation. Expression of p38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hospho-p38 MAPK, and IL-6 (interleukin-6) in tissue was evaluated. Results: Acute pancreatitis was induced successfully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erulein. Acute pancreatitis could be prevented when NM was administered before the induction of pancreatits. However, the effect was not guaranteed when given after the induction of pancreatitis. For a group of mice with induced pancreatitis, tissue expression of phospho-p38 MAPK was prominent and there was no marked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IL-6 between groups with or without induced pancreatitits. Conclusions: Although the efficacy of NM for treatment of acute pancreatitis is doubtful, pretreatment with NM for an expected condition like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might be helpful for the prevention of pancreatitis. (Korean J Med 72:340-351, 2007)

      • KCI등재

        숭례문 사례를 통한 육축 문화재의 구조특성 연구

        이성민,이기학,최희수,박주경,최취경,Lee, Sung-Min,Lee, Ki-Hak,Choi, Hee-Soo,Park, Joo-Kyung,Choi, Chui-Kyoung 한국공간구조학회 2011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11 No.4

        우리나라의 석조문화재을 모델링할 때 불연속면을 갖는 구조재의 강성을 어떻게 규명하느냐가 매우 중요하지만 원형보존을 해야 하는 문화재의 특성상 이를 파악하기란 매우 곤란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조사를 이용하여 고유진동수를 측정한 후, 시행착오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고유진동수와 컴퓨터 모델링 해석을 통해 고유진동수를 비교함으로써 불연속면의 강성, 구조재의 탄성계수 등 숭례문 육축 구조를 이루는 재료의 구조적 물성을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육축 문화재에 대한 컴퓨터 모델링 기법을 제시하고 육축구조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적심석의 강성이 육축구조물의 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지는 젓으로 분석되었다. It is hard to predict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discontinuous stone masonry structures with the use of by the static analysis method, because of irregularity of face stones and also due to randomness of backfill materials. Inversely, one can estimate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natural frequencies between measured from the field tests and computed from the analytical model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and confidence of the computational modeling method of ancient stone arch bridges in Korea and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dynam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igidity of spandrel walls and backfill material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natural frequencies of stone arch bridges, which are the critical for the stability of the stone arch structure.

      • KCI등재

        무증상 대장 용종의 선별 검사로서 분변잠혈검사의 유용성

        이상협 ( Sang Huyb Lee ),이경수 ( Kyoung Soo Lee ),이종열 ( Jong Yeul Lee ),지정훈 ( Jeong Hoon Ji ),박주경 ( Joo Kyung Park ),박영수 ( Young Soo Park ),황진혁 ( Jin Hyeok Hwang ),김진욱 ( Jin Wook Kim ),정숙향 ( Sook Hyang Jun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8 No.6

        목적: 최근 분변잠혈검사 양성인 무증상 환자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가 대장암의 선별과 진단을 위해 많이 이용되어 대장암 이외의 대장 용종 진단도 늘고 있다. 그러나 무증상 대장 용종에 대한 선별 검사로서 분변잠혈검사의 임상 유용성과 한계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무증상 대장 용종 환자에서 분변잠혈검사가 양성인 환자의 인구학적인 특성과 용종 특성을 살펴 대장내시경 검사 전 대장 용종의 선별 검사로 분변잠혈검사의 유용성과 한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대장암 조기 검진을 위해 대장내시경 검사 이전에 1회의 분변잠혈검사를 받고 대장내시경 검사 후 용종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분변잠혈검사 결과에 따라 용종 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분변잠혈검사는 대상 환자 288명 중 32명(11,1%)에서 만 양성이었다. 결과가 양성인 환자에서는 133개 용종이, 분변잠혈검사 결과가 음성인 환자에서는 809개 용종이 절제되었다. 분변잠혈검사 결과에 따라 절제된 용종들을 비교하였을 때, 용종 크기(p=0.02)와 위치(p=0.03)에서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단변량 분석에서 환자 나이(p=0.046), 용종 크기(평균 용종의 크기, p=0.04; 가장 큰 용종의 크기, p<0.01)와 용종 개수(p=0.045)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성별(p=1.00), 용종 분포(p=0.94), 용종 조직형(p=0.36)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다변량분석에서는 가장 큰 용종의 크기가 20 mm 이상이면 상대 위험도 4.71로 양성 분변잠혈검사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분변잠혈검사는 크기가 큰 용종(20mm 이상) 이외의 무증상 용종 환자의 선별 검사로서는 그 유용성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대장내시경 검사가 필요한 무증상 용종 환자 선별을 위해 대장내시경 검사 전 분변잠혈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유용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Aims: Detection of asymptomatic benign colon polyp is increasing because colonoscopy is widely used as a screening and diagnostic method. Fecal occult blood test is usually performed for the selection of patients requiring colonoscopy as well as mass screening for colon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fecal occult blood test performed prior to colonoscopy as a screening method of benign colon polyps. Method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polyp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fecal occult blood test results in patients who underwent one-day fecal occult blood test and colonoscopic polypectomies from May 2003 to October 2004, retrospectively. Results: A total of 942 colonoscopic poly­pectomies in 288 patients were evaluated. Fecal occult blood tests were positive only in 32 patients (11.1 %). In univariat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yp size (p=0.02) and location (p=0.03)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ositive fecal occult blood tests. In addition, age of the patient (p=0.046), polyp size (mean, p=0.04; largest, p < 0.01) and the number of polyps (p=0.045)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in multi­variate analysis, only polyp size larger than 20 ㎜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positive fecal occult blood test with estimated odds ratio of 4.71. Conclusions: Fecal occult blood test has limitations as a screening test in asymptomatic patients with colon polyps, except for colon polyps larger than 20 ㎜ in size.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388-394)

      • KCI등재후보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을 일으킨 그람음성간균의 3세대 세팔로스포린 내성률 변화

        방지환,송경호,박주경,박완범,김성한,김홍빈,김남중,오명돈,김의종,이효석,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3

        The third generation cephalosporin is widely used in treatment of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SBP). Resistance to the third generation cephalosporin was associated with poor outcome in patients with SBP. Thus it is necessary to know the changes in resistance rate. We planned to investigate retrospectively on resistance rate of the third generation cephalosporin of gram negative bacteria isolated in patients with SBP, who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98 and 2006. The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guidelines were applied for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A total of 269 consecutive episodes of clinically and microbiologically proven SBP was identified during the study period and 209 cases were caused by gram negative organisms. Among 209 isolates, 22 (10.5%) showed resistance to the third generation cephalosporin. The prevalence of resistance was decreasing during the study period (P=0.01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