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국내 역사공원의 지정 및 조성 경향 분석

        길지혜,박희성,박재민,Gil, Ji-Hye,Park, Hee-Soung,Park, Jae-Mi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2

        2005년 도시공원법 개정 이후 국내에는 역사유산의 보전은 물론 도시민의 휴식과 교육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역사공원이 등장하였다. 이제는 역사공원의 운영 실태를 통해 국내 역사공원의 특성을 알고 그에 따른 제도적 보완을 모색할 때이다. 본 연구는 주요 국가의 역사공원 제도의 특성과 국내 역사공원의 지정 및 조성 경향을 분석하여 역사공원의 기능과 역할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하되, 역사공원 현황과 조성 과정을 관계 공무원과 전문가에게 전화 및 이메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역사자원은 주로 조선시대 유적에 집중되어 있지만 인물, 사건, 장소 등의 유산도 포함되며 근대기 유산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역사공원은 기존도시와 신도시, 대도시와 지방도시 사이에 차이가 있으며 지방도시는 최근 경제 활성화와 정체성 강화를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역사공원을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공원의 종류를 역사공원으로 변경한 경우, 기존 기능과 일부 상충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국내 역사공원은 역사유산공원, 역사기념공원, 역사주제공원과 역사적공원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세부적 유형분류는 향후 역사유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전략적 토대가 되며 역사공원의 구체적인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After the revision of the Urban Park Act in 2005, historical parks emerged in Korea to promote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heritage while also offering recreation and education to ordinary citizens. It is now tim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historical parks by examining their current operational conditions, and seek appropriate institutional improvements.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parks in various countries, as well as the trends in the designation and development of domestic historical park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function and role of historical parks, and seeks a direction for future action. Through its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historical parks through cooperation with relevant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despite historical resources being concentrated in sites dating to the Joseon Dynasty, they also include heritage pertaining to persons, events, and places. There is also a trend toward increasing the focus on modern heritage. Historical parks show differences across existing cities and new towns, as well as between major cities and provincial cities. Provincial cities showed a recent trend of using historical parks as important resources for strengthening their economics and solidifying their identities. Also,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designated category for a park is changed to a historical park. In such cases, there may be a problem where certain functions of the park run into conflict. Domestic historical park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heritage parks, memorial parks, historical theme parks, and historic parks. Such detailed classification schemes may serve as the strategic foundation for later conservation and usage of historical heritage, as well as a standard for suggesting concrete direction in the operation of historical parks.

      • 도시공원 유형별 수목의 탄소흡수량 분석

        이태균(Tae-gyun Lee),박재민(Jae-min Par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3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7 No.1

        탄소중립 시대 수목은 도시의 유일한 탄소흡수원으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관련한 다양한 연구 및 국가적 인증제 도입 등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도시공원에서 얼마나 많은 탄소를 저장하고 흡수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 도시공원 유형별(근린공원, 소공원, 어린이공원)로 탄소흡수량의 평균값과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목 개체별 탄소흡수량은 I-Tree Eco를 활용하여 개체목 단위로 산출하였고, 유형 별 각 5개소를 대상으로 탄소흡수량을 분석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SPSS를 이용하여 도시공원의 유형별 탄소흡수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상관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식재 밀도 및 식재 규격이 탄소흡수량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 유형별 평균적 탄소흡수량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탄소 저감설계 및 도시공원 관련 탄소중립 정책 기준 지표의 기초 자료로 의의를 가진다. The importance of urban trees as the sole carbon sink in the era of carbon neutrality has been highlighted, and various studies and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s are being discuss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amount of carbon stored and absorbed by urban park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verage amount of carbon absorp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for representative types of urban parks (neighborhood parks, small parks, and childrens parks). The carbon absorption amount per tree was calculated using I-Tree Eco at the individual tree level, and the carbon absorption amount was analyzed for five parks of each type to obtain the average value. In addition, SPSS was used to perform correlation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the amount of carbon absorption by urban park typ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carbon absorption amount in urban parks were found to be green coverage rate, tree species, and planting density.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basic data on the average carbon absorption amount by urban park type, which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carbon reduction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carbon neutrality policy standards related to urban parks.

      • KCI우수등재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모색을 위한 일상적 도시정원 가꾸기 유형 특성 연구 - 성남시 수진2동을 중심으로 -

        박재민,최정권,박은영,Park, Jae-min,Choi, Jung-Kwon,Park, Eun-Yeong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3

        열악한 도시환경에서 주민이 일상적으로 가꾸어온 정원은 과연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을까? 본 연구는 일상적 도시정원을 살핌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수진2동을 대상으로, 정원 조성 유형, 특성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연구는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일부 조성 이유와 목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수진2동의 도시정원은 협소한 공간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평지형보다는 입체형 정원이 주로 나타났다. 정원 조성 위치에 따라 6가지(건물 앞, 옥상, 현관지붕, 계단, 벽면, 마당)로 구분되었으며, 이중 공간 확보가 용이한 옥상 정원이 가장 많았고, 주로 생산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지역 내 건축적 특징으로 인해 계단 정원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는데, 주로 심미적 목적을 위해 조성되었다. 건물 앞 정원은 입구성, 시선차폐, 불법주차방지 등 다기능으로 사용하였다. 그 외, 단독주택에서는 적극적으로 조성한 수준 높은 정원이 확인되었고, 반면 다가구 주택에서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해지며, 계단정원이 감소하고 벽면녹화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수진2동 도시정원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현재 진행하고 있는 성남시 도시재생사업에서 철거와 신축만이 아니라 그 속에 살아가고 있는 주민의 삶 속에 담겨진 지혜를 발견하여 이용하는 것 또한 중요함을 말하고자 하였다. 특히 도시 공간 내에서 정원을 가꾼다는 것은 단지 개인의 취미를 넘어 도시의 공공성과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도시재생 사업과 일상적 도시정원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What are the roles and functions of urban gardening created by citizens in Sujin 2-dong, Seongnam-si? This study has looked into urban gardening in everyday life in a bid to find possible solution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The paper has examined the types,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gardens in Sujin 2-dong, where the urban restoration project is in progress. This study has conducted primarily on-site inspections and interview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Most urban gardens in Sujin 2-dong have a vertical structure rather than a regular ground-based one due to lack of land. Six major locations of building a garden include the front of a building, rooftop, top of a gate, stairs, wall, and yard. Rooftop gardens are most common and are built mostly for production purposes. Due to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is village, there are relatively many stair gardens built mostly for aesthetic purposes. The garden in front of a building has served multiple functions, including formation of entry, privacy protection, and prevention of unauthorized parking. Other than those, detached houses have quality urban gardens built with greater effort and care, while multi-household houses have seen a decrease of stair gardens and an increase of vertical gardens due to their comparatively limited space. By utilizing this research, we hope to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ocal's wisdom and voice for a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as well as keep these findings in mind during the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be useful as primary research for urban gardening in everyday life and alternative ways of urban regeneration.

      • KCI우수등재

        토픽모델링과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내 조경 분야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조경학회지를 대상으로 -

        박재민,김용환,성종상,이상석,Park, Jae-Min,Kim, Yong Hwan,Sung, Jong-Sang,Lee, Sang-Seok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2

        For the past half century, the Journal of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has been leading the landscape architecture research and industry inclusively. In this study, abstracts of 1,802 artic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is paper, a total of 27 types of subjects were identified. Health and healing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psychology, garden and aesthetic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modernity, place and placenness, microclimate, tourism and social equity also have been continued as important research area in this journal. Modernity, community and urban regeneration is hot topics and ecological landscape related topics were cold topics.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by subject, the variability of the research subjects appeared after the 2000s. In Network analysis, it shows that 'Park' is a representative keyword that can symbolize the journal, and 'landscape' is also important a leading area of the journal. Looking at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network, it can be seen that the journal conducts research on 'utilizing', 'using', and creating 'park', 'landscape', and 'spa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grasped the overall research trend of the journal by using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of text mining.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조경학회지는 국내 조경학 연구를 주도하며, 조경 전 분야의 다양한 영역의 주제를 포용적으로 수용하며 발전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게재된 1,802편의 논문 초록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토픽모델링을 이용하여 연구 주제 유형을 구분하고, 시계열적 연구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키워드 사이의 관계성과 군집 특성을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27개 유형의 주제를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주제의 시계열적 변동성은 적었지만, 근대성, 커뮤니티, 도시재생 등은 새롭게 성장하는 핫토픽이었고 생태조경 관련 주제들은 감소하는 콜드토픽으로 나타났다. 주제별 차이는 있었지만 2000년대 이후 연구 주제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학회지의 상징적 키워드는 '공원'으로 나타났으며, '경관' 또한 학회지가 선도하는 주요한 영역임을 확인하였다. 연결망과 출현빈도를 토대로 보면, 학회지는 '공원'과 '경관', '공간'을 대상으로 '활용', '이용' '조성' 관련 연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의 토픽모델링과 연결망 분석을 이용하여, 학회지의 총체적 연구 경향성을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유비쿼터스 기준점 설계 연구

        박재민,오윤석,강진아,김병국,Park, Jae-Min,Oh, Yoon-Seuk,Kang, Jin-A,Kim, Byung-Guk 한국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3

        현재 우리나라에는 전국에 약 21,000점의 측량용 국가기준점이 표석 형태로 매설되어 있으며, 대부분이 시통을 위해 산 정상에 매설되어 있어 일반인들의 사용과 접근이 어렵다. 최근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되어 감에 따라 위치정보 및 위치정보 기반의 정보를 일반인들에게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FID 태그와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기준점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인텔리전트 기준점을 실용화하여 실제로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에 대해 고려하여 보았으며, 실제 테스트를 통해 사용 가능성을 검증해보았다. There are 21,000 National Surveying Control Points (NSCP) made of stone for precise surveying nationwide. NSCPs that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are usually buried at the top of a mountain for view points that cannot be used by the public. Recently, according to the growing ubiquitous computing generation, location-based information has become very important and a service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the public is needed. In this research, a new type of reference point for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s proposed. It is an Intelligent Reference Point (IRP) equipped with RFID tags and a two-dimensional bar-code system. The IRP system is composed of an electronic tag component, a tag identification component, and an IRP service component. We designed the IRP receiver identifying RFID tag and two-dimensional barcode was designed using a PDA, digital camera, and an RFID receiver. Also designed was IRP input data and input information. Furthermore, the operation software was developed in a PDA for identifying IRP and using IRP the service, and the IRP positioning method was developed using a GIS spatial analysis.

      • KCI등재

        근대 문화유산의 평가 기준과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박재민,성종상,Park, Jae-Min,Sung, Jong-Sang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1

        본 연구는 지역주민, 향토사학자들이 찾아낸 근대 문화유산을 1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최근 근대 문화유산을 보전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등록문화재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나, 정부와 전문가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곳에 숨겨진 지역 문화유산의 발굴을 위해서는 지역에 기반한 현황조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기준은 서술적으로 기술되어 있어 다소 모호하고, 일부 가치만을 반영하고 있어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 80년대 이후 서구 유럽에서도 유사한 논의가 전개되었으며, 평가기준에 있어 초기 건축적, 미학적 가치만이 아닌 사회문화적, 학술적 가치와 최근에는 경제적 가치를 중요한 평가가치로 제시하며 발전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양에서 시계열적으로 확장되어온 문화유산의 선정가치를 참조하여, 보전 가치와 관련한 역사적, 미학적, 사회 문화적, 학술적 가치, 활용 가치와 관련한 교육적, 경제적 가치로 구분하여 재구성하여 제안하였다. 다만 선정된 가치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음에 따라, 쌍대비교(paired comparison)를 이용하여 상대적 중요도와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으로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었던 역사적 가치는 여전히 가장 주요한 선정 기준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과거 중요한 가치였던 미학적 가치는 새롭게 등장한 사회 문화적 가치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개별 시설의 아름다움보다는 근대문화유산의 사회, 환경적 관계를 보다 중요시함을 알 수 있었다. 활용가치의 경우, 보전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현재 건축적 가치와 미학적 가치 중심으로 평가되어 사라지고 있는 근대 문화유산에 대해 다각화된 가치를 선정 기준으로 반영함으로써, 지역민 스스로도 지역 내 근대 문화유산을 비교적 쉽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aim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value criteria that citizen evaluate themselves it when they found modern heritages in their town. To understand the changing of value criteria for the cultural heritage, we have to begin from early 20 century that were, however, diversified after 80's. As a result, early they evaluated with the architectural and aesthetic value mainly, after they evaluated with the social-cultural value and academical value, and nowadays they try to include the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So this study rearranged and divided that value with the preservation and using value. The preservation value include the historical value, aesthetic value, social-cultural value and academical value, and the using value include the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The criteria, however, don't have the equal importance, This study try to redefine relative importance score with paired comparison. As a result, Historical value is proved that most important criteria, but aesthetic value got the score lower than social-cultural value, and similar with academical values. And in using values,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got the low score. It means that if some researcher insist about the importance of economical value, it should evaluate lower than preservation values. This study insist that we have to include diversified values and that values have relatives score. Actually, now we mostly evaluate with the architecture and aesthetic values about modern heritage, so we are losing a lot of modern heritage. If we include the diversified values, social-cultural, academical and educational value, we can conserve our important modern heritage and revitalizing town with tourism of historical heritage.

      • KCI등재

        한국산 얼록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자치어의 골격발달

        박재민,한지형,윤성민,한경호,Park, Jae Min,Han, Ji Hyeong,Yun, Seong Min,Han, Kyeong Ho 한국수산과학회 201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0 No.4

        We observed the osteological development in larvae and juveniles of Korean spotted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bred in the laboratory in April 2014. Immediately after hatching, the prelarvae, which were about 4.27 mm long, showed ossification of the premaxillary bones in the upper jaw and the dentary and articular bones in the lower jaw. At 7.11 mm, the larvae showed complete fusion of the post-cleithra and ossification of the scapulae with the appearance of one hole. At 8.65 mm, the larvae showed ossification of seven ribs from the third abdominal vertebra and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neural spine and hemal spine. The number of caudal fin rays increased to 19. At 11.9 mm, the juveniles showed ossification of three procurrent rays on the side of the parhypural bone as well as ossification of two procurrent rays on the side of the epural bone, indicating the complete ossification of all spicules.

      • KCI등재

        시인식에서 반사상의 영향에 관한 인간공학적 연구

        박재민,임기용,이상도,Park, Jae-Min,Im, Gi-Yong,Lee, Sang-Do 대한인간공학회 2000 大韓人間工學會誌 Vol.19 No.3

        Men perceive and react around him through the five senses. Also men give rise to the human sensibility and maintain his emotion. This study doesn't limit working environment to VDT environment, but considers the universal working environment acquiring information by eyesight stimulation. In case of forming an abnormal veiling reflection we consider the form ; a vertical(25%, 50%, 75%)and a horizontal(25%, 50%, 75%). The results from the subjective evaluation are analyzed by SD(Semantic Differentical methodology)of 5 point scale for visibility and nuisance when an abnormal veiling reflection forms on target.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objective evaluation are suggested by measuring and analyzing EEG of bio-signal for visual sensi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apply to basic data which create a guideline of a visual operation. In particular, it can be designed as an illumination environment concerning an ergonomic factor on visual operations, mental stress such as a visual inspection operation, visual information search operation, etc. As a result, we can expect to reduce the visual nuisance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and the uplift of the competitive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