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텐션임베딩과 다채널 CNN 기반 반시민성 검출 알고리즘

        박윤정,이세영,금희조,Park, Youn-Jung,Lee, Se-Young,Keum, Hee-Jo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12

        온라인 포털 플랫폼은 뉴스 기사와 온라인 댓글을 제공하고 있으나, 온라인 댓글의 익명성은 반시민적 표현을 증가시켜 사회적 문제점으로 간주되고 있다. 댓글의 반시민성 검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국외와 달리, 국내에서는 비시민성을 세분화한 한국어 데이터셋이 구현되지 않아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댓글의 반시민성에 대한 라벨링을 총 13가지 항목으로 시행하였으며 반시민적 표현으로 요약하였다. 또한 어텐션 알고리즘을 이중으로 적용하여 임베딩 벡터를 추출하였고 이후 2-d CNN으로 반시민성 항목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무례한 호칭 및 공격적 어조 등의 반시민성 검출에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민주적 담론을 저해하는 반시민적 댓글들을 탐지함으로써 건전한 온라인 댓글 문화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경험이 있는 일반 및 특수교사 의견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대상학생 고교학점제 운영 방안 탐색

        박윤정(Park, Youn Jung),강은영(Kang, Eunyoung),서효정(Seo, Hyojeong),박경옥(Park, Kyoungock)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을 포함한 고교학점제의 시행에 필요한 방향성 및 기준, 적용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고교학점제를 실제 운영해 본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고교학점제에 대해 살펴보고, 실제적인 방안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고교학점제를 운영해 본 4명의 일반교사와 6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초점 집단 면접(FGI)을 실시하고, 3단계 코딩 과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결과로는 첫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포함한 고교학점제 운영 관련 준비가 미흡하여 의도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고 현장에서 겪고 있는 혼란과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행·재정적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포함한 고교학점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역동적인 교육과정 편성·운영, 학생의 개인별 특성의 반영, 실행 주체인 교사 관련 쟁점 해결, 학급 편성의 개념 변화에 따른 방안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025학년도부터 전면 시행될 고교학점제를 위해 특수교육대상학생을 고려한 운영 방안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concepts underpining the directions, standards, and operation plan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with 4 general teachers and 6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step coding process. Resul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unexpected problems arose due to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he need to prepar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to minimize the confusion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field was observed. To stabilize the credit syste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t was necessary to find ways to realize dynamic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reflec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resolve issues with the teachers, who are the main actors of implementation; and make changes to the concept of classroom organiza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operation plans consider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will be fully implemented starting from 2025 school year,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 KCI등재

        국내 장애학생의 IEP 참여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를 위한 문항 개발 연구

        박윤정 ( Youn Jung Park ),서효정 ( Hyojeong Se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2

        장애학생의 IEP 협의과정 참여가 증거에 기반한 교육의 실제로 미국에서는 학계 및 교육현장에서 그간 꾸준히 주목을 받아왔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관심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당 교육의 실제가 국내 특수교육현장에서 다소 생소한 점을 고려하여 현장교사 및 장애학생의 인식 및 현장의 실태를 살펴보기에 앞서 이를 위한 설문조사의 문항을 개발하는 기초 조사를 함에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선행연구를 근거로 개발한 설문도구 문항을 대상으로 첫째, 국내 특수교육의 실정을 반영하고 있는지, 둘째, 향후 교육현장의 방향정립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셋째, 실제 장애학생이 설문 응답에 참여가 가능한지에 중점을 두고 특수교사 및 장애학생 각각 15인과 특수교육과 교수 5인을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 검증연구를 실시하였다. 크게 위의 3가지 영역별 내용 타당도 인덱스(CVI)를 산출하고, 평균 CVI값 .6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인 문항은 주요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보고, 그 이하인 경우는 문항의 타당도가 낮은 것으로 보고 제외 혹은 수정하였다. 이 밖에 각 문항별 전문가 의견을 내용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 및 조언 사항을 반영하여, 보다 국내 현장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설문지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후속 연구를 위한 논의 및 제언을 제공하였다. Although the student participation in IEP meetings is one of the evidence-based practices in U.S. to improve student outcomes, student involvement in IEP meetings in Korea has been largely unexplored. Given that student participation in IEP meetings is a promising but unestablished practice in the current Korean special educ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urvey items designed to examin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IEP meetings. The survey items were initially generated by reviewing U. S. studies and modifying items to make them appropriate in the Korean context. Then surveys were distributed to 20 professionals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15 special educators across the grade levels and 5 professors) to identify the content validity of survey items. We further examined the content validity by calculating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of each item based on the degree to which (a) the item reflects the current special education context, (b) the item is informative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special education practices, and (c) the students answer each item appropriately. Items with high CVI values (>.60) were retained, while items with low CVIs were omitted or revised based on researchers`` mutual agreement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cale-up study that uses refined items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초등 사회과 수업 전문성에 대한 예비 특수교사의 인식

        박윤정(Park Youn-jung),서효정(Seo Hyo-jeo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좋은 사회과 수업을 실현하기 위해 초등 예비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함이다. 2개 대학 특수교육과에 개설된 초등사회 교과목을 수강한 총 37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초등 사회과 단원 중심 학생 맞춤형 수업 설계에 중점을 두고 강좌를 운영하였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사회과 수업에 관한 기본적인 인식(관심도, 중요도)과 강좌 수강 이전과 이후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인식 변화를 살펴보고, 본 강좌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등 예비특수교사들은 사회과 수업에 대한 관심이 높은 편이었고, 수업의 중요성을 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사회과 수업 설계 및 실행에 중요한 좋은 수업의 요소로는 교육내용의 선정, 교육과정 구성, 교수·학습방법이 1∼3순위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과 수업 전문성(지식 및 이해, 수업기획, 수업실행, 전문성 제고 노력)에 대한 사전-사후 긍정적 인식의 변화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강좌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높았으며 동료 예비교사 및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만족도 또한 높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삶 중심의 배움을 강조한 사회과 교육의 실현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쟁점 및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in order to realize good instructions in social studie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 total of 37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elementary social studies courses offered in the special education departments of two universities learned with an emphasis on instructional design focused on elementary social studies units. The basic perceptions (interest, importance) of social studie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changes in perceptions of teaching expertise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 and satisfaction with this cours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firs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more interested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 and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t more. In addition, the selection of content, curriculum composi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ranked 1st to 3rd as the key elements of good instructions i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Second, the positive changes in perceptions of teaching expertise for social studies before and after the course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was high,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interaction with colleagues and instructors was also high. Based on the main findings, several issues to be considered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emphasizing life-orient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future, as well a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

        박윤정(Youn-jung Park)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활용하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을 분석함으로써 교육목표로 강조하고 있는 지식과 인지과정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에서 명사와 동사를 중심으로 사회과 전체 학교급 총 64개의 성취기준을 차원별 단일 분석 및 이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식 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의 비중이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높았고,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사실적 지식’의 비중은 감소하였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모든 학교급에서 ‘이해하기’와 ‘적용하기’에 편중되어 있었고, 인지과정을 나타내는 서술 동사의 사용이 제한적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식 및 인지과정의 이차원적 분석에서는 개념적 지식의 이해하기, 절차적 지식의 적용하기, 사실적 지식의 이해하기 연결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상호 결합의 비중이 고르지 않았다. 지식 및 인지과정 차원에서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의 특징과 개선을 위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emphasized as educational goals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in term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goals. In term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a single analysis and two-dimension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a total of 64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ntire school level in social studies, focusing on nouns and verbs. First, in terms of knowledge, the proportion of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highest in all school levels, and the proportion of ‘factual knowledge’ decreased as the school level increased. Seco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biased on 'understanding' and 'applying' at all school levels, and the use of verbs representing cognitive processes was limited. Third, in the two-dimensional analysi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the proportion of ‘understanding conceptual knowledge’, ‘application of procedur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factual knowledge’ was high, and overall the proportion of mutual linking was uneven. In term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교수적 수정과 보편적 교수·학습 설계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비교 분석

        박윤정(Park, Youn Jung),강은영(Kang Eun Yo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수적 수정과 보편적 교수․학습 설계에 대한 선행연구의 경향을 종합적․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 통합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학계와 현장에의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분석대상연구 선정을 위한 포함 및 배제 기준에 따라 교수적 수정 연구 62편, 보편적 교수 · 학습 설계연구 36편을 최종 선정하여, 새로운 분석틀로 Cooper와 동료들(2004)이 제안한 4가지 차원별 분석 기준을 활용해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적 수정과 보편적 교수 · 학습 설계 각 주제에 해당하는 연구의 연도별 동향과, 분석 기준에 해당하는 (1) 규범적, (2) 구조적, (3) 구성적, (4) 기술적 차원별 연구동향, 그리고 두 가지 종합 기준에 따른 연도별 동향에 있어 나타난 공통성과 차별성을 중심으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론: 각 접근이 철학적 패러다임, 접근방식, 실제적 적용과 관련하여 다른 양상이 나타나기도 하였지만, 공통적으로 다양한 학생이 지닌 교육적 요구에 맞추어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적 지원을 극대화한다는 공통점에 근거하여 연속체적 이해가 요구되며, 각 차원별로 보다 다양한 후속 연구 및 활발한 현장 적용이 요구되는 점 등 시사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s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view of Korean studies that addressed instructional adaptations (IA) and universal designs for teaching and learning (UDL)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identified in this study, a total of 98 studies (Instructional Adaptations: 62, Universal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 36) were included and analyzed based on a new analytic frame consisting of (1) normative, (2) structural, (3) constituentive, and (4) technical dimensions suggested by Cooper et al. (2004). Results: Findings on the research trends by years and the analytic frame of these two main topics were provided. Conclusion: Based on the major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n successful curriculum integration for diverse students including the students disabilities were addressed as follows: (a) diversification efforts to extend research and practice on each dimension, (b) collaborations based on the shared responsibilities among educational professionals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nd outcom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 need for understanding the continuum based on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universal designs for teaching and learning as a new paradigm.

      • KCI등재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연구에서 살펴본 개념, 접근법, 교사 전문성 고찰

        박윤정(Park Youn Jung),서효정(Seo Hyojeong),강은영(Kang Eunyou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개념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을 두었다. 총 66편의 선행연구를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적 정의, 접근법의 특징(학습자 특성, 내용 구성 및 전개, 교수·학습 방법, 절차), 교사 전문성(교사 역량, 교사교육)에 주안점을 두고 분석틀에 의거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교육과정 실행 주체인 교사의 실천적 행위에 의미를 두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정의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의 주요 특징으로 ①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실제적 학습의 구현, ② 성취기준, 내용영역/요소, 역량, 기능, 주제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방식, ③ 교과서/학습자료, 수업모형,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 ④ 출발점으로 성취기준과의 유기적 관련성, 내용 및 방법의 재구성 절차 실행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 전문성으로는 교육과정 문해력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역량의 강화, 교사교육 내용 및 운영 방식의 다양화,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연구문제별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에서의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increase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previous domestic studies related to curriculum reconstruction. A total of 66 studi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analytic framework, which focused on conceptual definition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pproach (learners’ characteristics, content composition and developm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ocedures), and teacher expertise.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urriculum reconstruction was defined based on the teachers’ practical actions, who take the main roles when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Second, the main feature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were (a) the realization of learn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b) achievement standards, content area/element, competency, function, and subject-centered curriculum reconstruction methods, (c) the use of textbook/learning materials, instructional models, project learning, and (d)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s close relation with achievement standards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procedure in contents and methods. Third, as for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t wa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mpetencies for curriculum literacy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to diversify the contents and operation methods of teacher education, and to build a system to support teachers.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each research question, the implications of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사의 IEP 수립 및 운영 실제와 지원요구

        박윤정 ( Park Youn-jung ),서효정 ( Seo Hyo-jeo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3

        본 연구는 개별화교육계획(IEP) 수립 및 운영의 주체인 ‘특수교사’에 초점을 맞추어 교사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IEP 수립 및 실행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 성찰을 통한 실태와 지원요구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에서 근무하는 현장 특수교사 8명이 초등과 중등 두 집단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FGI)에 참여하였다. 면담 자료 전사 신뢰도 확인 후, 연구자가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IEP 수립 및 운영 실제와 지원요구로 다음의 5가지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IEP 관련 최소한의 법적절차 준수, 2)교사의 IEP 관련 전문성 부족, 3)학교 구조 및 교육제도 개선 지원요구, 4)예비 및 현직 교사교육 강화 지원요구, 5)시스템 및 메뉴얼 구축 지원요구. 도출된 주제를 바탕으로 향후 보다 성공적인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을 위한 발전 방안을 예비 및 현장 특수교사 지원을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책무성과 시스템적인 지원체계 강화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고, 연구가 지닌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향후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regarding IEP practices and their support needs, focusing special educators as the main subject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EPs. A total of 8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Seoul and Gyunggi province areas participat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of focus group interviews (FGIs). After confirming the reliability of interview transcripts, researchers conducted content analyses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for the qualitative analyses, the following five themes emerged: (a) the minimum compliance with legal proceedings on IEP practices, (b) lack of professional expertise in IEP practices, (c) support needs on improving school structures and educational system, (d) support needs on strengthening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nd (e) support needs on establishing systems and manuals.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roving the systematic support system and accountability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pre- and in-service teachers.

      • KCI등재

        사상체질과 의복가치관의 연구

        박윤정(Youn Jung Park),정옥임(Ok Im Jung) 한국복식학회 1996 服飾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Sasang constitution of the disposition side and clothing value in grownup women in order to apply Sasang constitution theory to the marketing strategy in clothing industry. The study is based on a questionnaire about Sasang constitution and clothing value. the questionnarie was answered by 519 wom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2 to September 30, 1994 and analyzed by cluste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OVA and factor analysis using S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women were classfied in to 3 clusters by cluster analysis : So-Yanung-In(少陽人)type (30.8%), Tae-Em-In(太陰人)type(40.7%), So-Em-In(少陰人)type(28.5%). 2. Correlations between So-Yaung-In type and each of clothing values showed all significant and specially, social value showed high correlation(0.57163). 3. In Tae-Em-In type, all correlations showed significant and social value(0.59072)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of all correlations. 4. In So-Em-In type, there was no correlation in political value and the order of clothing values showing high correlation was theoretical(0.57920), social(0.57161), economic(0.56956) and religious value(0.54026). 5. The aesthetic value among and constitution types showed the lowest correlation of all correlation. By means of the about study results, we may know that all women belong to three types think social value of the more important value than any other in clothing value. This is because grown-up women in korean prefer yet clothing of the harmonic and simillar type to this of the individual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