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HCT116 대장암 세포에서 Akt-p53 신호경로를 통한 커큐민과 EGCG의 apoptosis 효과

        Song-Yi Park(박송이),Sol-Hwa Lee(이솔화),Ock-Jin Park(박옥진),Young-Min Kim(김영민)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1

        식품에서 추출한 파이토케미컬은 여러 암종에서 암세포의 증식억제와 apoptosis를 유도한다. 최근에 이러한 파이토케미컬의 세포 내 신호전달 기작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파이토케미컬의 일종인 커큐민과 EGCG를 HCT116 대장암세포에 처리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억제와 apoptosis 유도 효과를 알아보고, 암세포의 증식에 관여하는 Akt의 활성과 종양 억제유전자인 p53의 신호경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커큐민과 EGCG를 처리했을 때 HCT116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고, 암세포에서 apoptosis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Western blotting을 실시했을 때 Akt의 활성은 감소하였으며 p53의 발현은 증가하였다. 또한 Akt의 저해제인 LY294002를 처리했을 때 암세포의 증식이 더욱 강하게 억제되었으며, p53의 발현은 더욱 강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HCT116 세포에서 커큐민과 EGCG 처리에 의한 암세포의 증식 억제 및 apoptosis는 p53의 발현이 증가함에 따라 유도되며, 이러한 p53의 발현 증가는 Akt 신호경로를 저해함으로써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53 is tumor suppressor gene that regulates apoptosis such as caspase-dependent and p21-mediated signaling pathways. PI3K/Akt is known to be over-activated in cancer cells. Akt activates many survival-related signals such as mTOR and COX-2. Inactivation of Akt would result in non-inhibition of p53 as well as induced apoptosis. In this study, we showed that curcumin and EGCG activate p53 via inhibition of the Akt signaling pathway. Treatments using curcumin and EGCG in different concentrations for 24 hr and 48 hr inhibited proliferation of HCT116 colon cancer cells and increased apoptotic cell death. Also, our data showed that curcumin and EGCG increased the p53 expression and decreased the p-Akt. Treatment of LY294002 (Akt inhibitor) resulted in decreased cell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while LY294002 treated with curcumin or EGCG showed a greater decrease of cell proliferation. In addition, inhibition of Akt induced p53 activation in HCT116 colon cancer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rcumin and EGCG induce apoptosis by inhibiting Akt and increase p53 in HCT116 colon cancer cells.

      • KCI등재

        HT-29 대장암세포에서 Akt 활성 저해에 따른 셀레늄의 세포 증식억제 효과

        Song Yi Park(박송이),In-Seop Kim(김인섭),Se Hee Lee(이세희),Sol Hwa Lee(이솔화),Da Woon Jung(정다운),Ock Jin Park(박옥진),Young Min Kim(김영민)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1

        Akt는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여하며 많은 암종에서 과발현되어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kt의 조절을 통한 셀레늄의 HT-29 세포의 세포증식억제 시너지효과를 확인하였다. 셀레늄을 농도별과 시간별로 처리하였을 때 HT-29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고, apoptosis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셀레늄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Western blotting 및 immunofluorescence를 실시한 결과 Akt의 인산화가 저해되었고 COX-2의 발현도 저해되었다. 또한 Akt 저해제인 LY294002를 처리한 결과, HT-29 대장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LY294002를 셀레늄과 병행처리하였을 때 셀레늄에 의한 세포증식억제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Akt siRNA에 의한 Akt의 불활성화는 non-transfected 세포에 비하여 HT-29 세포의 성장을 더 강하게 억제하였으며, Akt가 불활성화 되었을 때 COX-2의 발현 역시 non-transfected 세포에 비하여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HT-29 세포에서 셀레늄의 세포증식억제 효과는 Akt와 COX-2 신호분자의 조절을 통해 일어나며, Akt 의 저해는 셀레늄의 대장암세포증식 억제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Akt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nd is also over-expressed in several types of cancer cell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selenium in HT-29 colon cancer cells, mediated through effects on Akt and COX-2. Selenium treatment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for different durations inhibited proliferation of HT-29 colon cancer cells and increased apoptotic cell death. Selenium treatment decreased Akt phosphorylation and COX-2 expression. Treatment with LY294002 (an Akt inhibitor) decreased proliferation of HT-29 cells, while a combined treatment with LY294002 and selenium resulted in even further decreases in cell proliferation. Inactivation of Akt by Akt siRNA treatment abolished these inhibitory effects on cell growth. COX-2 expression decreased in Akt transfected cells compared to non-transfected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enium induced both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effects by inhibiting Akt phosphorylation and COX-2 expression. Selenium treatment also appeared to induce synergistic anti-proliferative effects by inhibition of Akt in HT-29 colon cancer cells.

      • KCI등재

        AMP-activated Kinase Regulates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cess in 3T3-L1 Adipocytes Treated with Selenium

        Song Yi Park(박송이),Jin-Taek Hwang(황진택),Yun-Kyoung Lee(이윤경),Young-Min Kim(김영민),Ock Jin Park(박옥진)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4

        셀레늄은 필수미네랄로 항산화작용 등의 체내 주요 작용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다. 만성질환 등의 예방과 치료 등의 바람직한 효능을 기대하여 섭취가 늘고 있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셀레늄은 암의 억제나 혈중포도당조절 및 지방억제 등의 목적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지방세포를 이용한 지방세포분화나 지방세포사멸 촉진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연구되어 있지 않다. 셀레늄의 지방세포조절을 통한 분자기전에 대한 연구는 늘어가고 있는 비만이나 비만관련대사질환의 조절에 학문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셀레늄이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를 중심으로 지방 미분화세포인 3T3-L1 지방세포의 분화억제 및 분화된 세포의 사멸작용의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AMPK는 세포 내 에너지상태의 센서로 작용하는데 실제적으로 운동의 지방대사 촉진기능이 이 단백질에 기인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시상하부에서 AMPK는 호르몬이나 영양소 등의 생리적인 인자들을 통합하고 식욕이나 신체에너지 대사를 총괄하는 물질로 대두되고 있다. 셀레늄을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에 처리하였을 때에 현저한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억제되었고 이미 다 분화된 성숙된 지방세포에 처리하였을 때는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도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AMPK의 활성화 촉진 및 AMPK의 지질인 acetyl-CoA carboxylase의 serine??를 인산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셀레늄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능력은 AMPK의 활성화 합성물질인 AICAR나 포도의 폴리페놀인 레스베라트롤의 능력과 같은 정도의 억제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AMPK의 항 지방축적작용에서의 필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방세포에 AMPK 활성화 물질인 AICAR와 억제물질인 Compound C를 사용하여 AMPK활성화를 측정하여 본 결과 지방세포분화와 지방축적의 억제과정에 있어서 AMPK가 필수적임을 밝혀내었다. Selenium was investigated using human origin preadipocytes to see whether it possesses preventive or therapeutic effects for obesity. Unveiling the potential of selenium in the reduction of adipogenesis can help predict the therapeutic capabilities of selenium in obesity. In the present study,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inhibition of adipogenesis by selenium was explored to unravel the involvement of th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There is emerging evidence that AMPK, a sensor of cellular energy status, is a possible molecular target of controll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on the basis of discovery that AMPK is responsible for the major metabolic responses to exercise, and integration of nutritional and hormonal signals to modulate feeding behavior or energy expenditure in the hypothalamus. Treatment of selenium resulted in inhibition of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cess and induction of mature apoptosis in 3T3-L1 adipocytes. We hypothesized that selenium may exert anti-adipogenic potential though modulating AMPK. We have found that selenium significantly activated AMPK and phosphorylated its substrate acetyl-CoA carboxylase (ACC-serine??) during the inhibitory process of adipocytes. Also, the inhibition process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selenium was comparable to either reveratrol or a synthetic AMPK activator, AICAR (5-aminoimidazole-4-carboxamide-1-β-D-ribofuranoside). To evaluate the involvement of AMPK in anti-lipogensis, we applied AICAR and Compound C, an AMPK inhibitor, to 3T3-L1-adipocytes and found that AMPK is required for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blocking proc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enium has a potential to control adipogenesis and that this effect is mediated by AMPK, an essential kinase for both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of mature adipocyte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레스베라트롤의 HT-29 대장암 세포증식 및 이동성 억제효과

        이솔화(Sol Hwa Lee),박송이(Song Yi Park),김인섭(In-Seop Kim),박옥진(Ock Jin Park),김영민(Young Min Kim) 한국생물공학회 2012 KSBB Journal Vol.27 No.5

        Resveratrol, natural polyphenol in grapes and red wine, is known to have the anti-proliferatory and anti-angiogenic effects in various cancer cells.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sveratrol in HT-29 colon cancer cells. Treatment of resveratrol in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time inhibited proliferation of HT-29 colon cancer cells. We explored the effects of resveratrol on HT-29 colon cancer cell motility using a wound healing assay. In the absence of the resveratrol, the HT-29 cells are migrated along the edges of the wound and showed a large-scale migration, whereas dose- and time-dependent inhibition of cell flattening and spreading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resveratrol. Resveratrol inhibited MMP-9 in a dose- and time-dependent on HT-29 colon cancer cells by Western blotting. In addition, resveratrol increased AMPK activity and decreased COX-2, VASP and VEGF expression. Treatment of compound C inhibited AMPK activity, however, the expression of VASP and COX-2 increased thus, COX-2 and VASP are modulated by AMPK. However treatment of celecoxib could not control AMPK activity but decreased VEGF expression. We suggest that resveratrol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through activation of AMPK and decreased COX-2, VASP and VEGF expression in HT-29 colon cancer cells.

      • KCI등재

        저산소증 상태에서 B16F10 피부암 세포에 EGCG를 처리하였을 때의 apoptosis 효과

        Yoon-Yi Kim(김윤이),In Seop Kim(김인섭),Ock-Jin Park(박옥진),Young-Min Kim(김영민)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2

        파이토케미컬의 일종인 EGCG는 녹차의 카테킨 성분으로, 세포 내 신호 경로 조절을 통하여 항산화,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hypoxia 상태인 B16F10 피부암 세포에서 HIF-1α를 포함한 AMPK의 신호경로를 통하여 EGCG의 apoptosis 유도 효과를 규명하였다. AMPK는 hypoxia, 영양분 결핍, 운동, heat shock 등, 세포 내 ATP의 결핍에 의해서 활성화되며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유도한다. 세포에서 중요한 에너지 센서로서 작용하는 AMPK가 hypoxia 상태의 암세포 내에서는 HIF-1α의 전사 활성을 유도하는데, HIF-1α는 hypoxia 상태에서 산소 결핍에 반응하는 첫 번째 전사 조절인자로서 암세포의 생존을 위한 세포내 산소공급과 혈관신생형성을 조절한다. Hypoxia 상태가 아닌 B16F10 세포에서와 hypoxia 상태에서의 B16F10 세포에서 EGCG에 의한 apoptosis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hypoxia 상태에서 EGCG는 더 강한 apoptosis를 유도하며, 혈관신생형성을 조절할 수 있는 HIF-1α의 전사 활성을 억제시킨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EGCG가 hypoxia 상태의 피부암 세포에서 암의 성장과 신생혈관형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는 향후 식품에 첨가된 파이토케미컬을 이용하여 암을 예방하는 연구에서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EGCG, catechins in green tea, is a kind of phytochemical. Through the regulation of signal pathways, EGCG has been known to show anti-oxidant and anti-tumor effects in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optotic effects of EGCG through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signal pathways, including hypoxia inducible factor-1 alpha (HIF-1α).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B16F10 melanoma cells in a hypoxic state. AMPK is activated by ATP consumption such as nutrient deficiency, exercise, heat shock, etc. The activated AMPK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n energy sensor inhibits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as well as inducing apoptosis. HIF-1α, the primary transcriptional regulator of the response to oxygen depriv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modulating tumor growth and angiogenesis in a hypoxic state. The apoptotic effects of EGCG were studied in B16F10 cells in a hypoxic state. The results show that EGCG inhibits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HIF-1α and induces apoptosi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EGCG may exert inhibitory effects of angiogenesis and control tumor cell growth in hypoxic melanoma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