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70년대 한국학의 형성과 조동일의 국문학 연구

        박연희(Yeonhee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3 외국문학연구 Vol.- No.89

        조동일은 1960년대 말부터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연속성이라는 문제의식 아래 한국문학의 전통을 주체적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계급의식과 민중의식의 성장을 심화시켜 현실참여문학의 가능성을 타진했다. 이 글은 조동일의 문학사적 문제의식과 방법론적 구상이 마련된 시기의 체제, 제도의 역사성을 파악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동일이 본격적으로 논문을 발표한 계명대 동서문화연구소의 기관지 『동서문화』, 그에 대한 결과물인 『서사민요연구』의 성격을 추적해 1960,70년대 조동일의 초기 국문학 연구가 지닌 역사적 위상을 재론하고자 했다. 지금까지 조동일의 연구는 『청맥』과 『창작과비평』에 실린 민족문학론, 『한국문학통사』의 문학사론, 1990년대 이후 저작의 동아시아론 등을 중심으로 시대구분, 민중의식, 근대비판정신에 대한 공과를 밝히며 진척되었다. 조동일의 초기국문학 연구는 국내에 한국학 연구가 조성되는 과정과 흐름에서 1960년대 정치적, 역사적, 학술적 경험을 살펴야 한다. 1960년대 미국 지역학의 보편학문으로서 한국학이 형성될 때 외부(세계)와 내부(자국)의 관계에서 조건과 목적은 상이했다. 외부적으로는 현지 학자와 단체에 대한 지원을 통해 일국적인 가치와 의미를 넘어 서구 중심의 보편적인 인문학의 성격을 검토, 승인하는 과정이 긴요했고, 내부적으로는 외부의 영향과 무관한 시대적인 산물로서 민족적 전통을 발견, 역사화하는 문제에 직면해야 했다. From the late 1960s, Jo Dong-il reconstructed the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subjectively under the consciousness of the continuit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deepened the growth of class consciousness and public consciousness,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reality-participating literature. ‘Local literature’ was rediscovered in an attempt to elevate Korean literature to a global level while simultaneously overcoming Western centrism and ethnocentrism.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was the beginning of an ambitious plan to recapture the universality of local literature, i.e. national literature on the premise of universal/special hierarchy. Under this critical mind, he recalls his early research as a sub-literature and discusses the need for local literature research through this. In order to examine the theory and practice of Jo Dong-il, who tried to specialize in local literature as a sub-category of world literature, the first task was to analyze the research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route of US aid as conditions for the boom of Korean Studies research in the 1960s.

      • KCI등재

        종군 시문학의 (불)가능성 : 양명문과 김종문의 전후 시집을 중심으로

        박연희(Park, Yeonhee)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이 글은 한국전쟁기 국방부 정훈국 소속 작가들의 시 텍스트가 종군(從軍) 미디어를 거쳐 이후 개인 시집에 재수록 및 개작되는 과정을 해명한다. 이를 토대로 종군의 자기 서사(self-narrative)가 현대 시문학사의 형성에 끼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했다. 즉, 시인들의 종군활동이 전후 시문학사와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현대시의 규범, 범주, 내러티브가 본격적으로 확립되는 데 하나의 유력한 기원으로 작용했음을 입증하고자 했다. 정훈국 기관지에 발표된 문학을 전후 시집에 미수록, 재수록하며 만들어낸 문학사적 내러티브는 70년대 이후 본격화된 시문학사 서술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한다. 김종문이 재수록된 시가 없는 것에 비해 양명문은 1955년에 펴낸 시집 『화성인』에 종군매체의 시 3편을 재수록한다. 더욱이 양명문의 재수록 시는 독특한 개작과정이 있었는데 양명문 특유의 고향의 심미적 심상이 선전시의 효용성 속에서 고착화된 측면이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양명문의 사례는 종군(또는 정훈)이 월남문학을 가능케 한 하나의 기원으로 재맥락화된 선례로서 주목된다. 종군의 자기 서사를 현대 시문학사 형성의 중요한 계기로 삼아 김종문은 모더니즘 문학을 옹호하는 방식으로 군인 시인으로서 모호했던 정훈이라는 이념체계를 탈맥락화하고 양명문은 월남민의 정체성을 전유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고향의 노스탤지어의 심미성을 강화했다. This article explains the process in which the text of poems by writers from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s Troop Infomation and Education during the Korean War is later measured and adapted into private poetry books through military media. Based on this, the influence of self-narrative on the formation of contemporary poetic history was examined empirically. In other words, the poet’s military activities were not cut off from the post-war history of poetry, but rather served as a strong source of establishing the norms, categories, and narratives of modern poetry in earnest. Literature history narratives, which were created by writing and rewriting literature published in the Troop Infomation and Education’s organization, exerts considerable influence on poetic history narratives that have begun in earnest since the 1970s. While Kim Jong-moon does not have any poems, Yang Myung-moon rewrites three poems from the military media in his 1955 collection of poems, Hwasin. Moreover, the more Yang Myung-moon was measured, the more unique the process of revising the city, and the aesthetic image of Yang Myung-moon’s hometown is fixed in the utility of propaganda poetry. The case of Yang Myung-moon is notable as a precedent that was re-contextured to the origin of Writer who defected to South Korea. Kim Jong-moon decontextured the ideological system of Troop Infomation and Education, which was ambiguous as a military poet, by advocating modernist literature. Yang Myung-moon selectively strengthen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is hometown’s Nostalgia to preserve the identity of the Writer who defected to South Korea.

      • KCI등재

        홍윤숙의 원체험과 전쟁, 피난, 평화 이미지 -『여사 시집』(1962)과 시극 「에덴, 그 후의 도시」(1967) 중심으로-

        박연희 ( Park Yeonhee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3 사이 Vol.34 No.-

        이 글은 홍윤숙의 해방기 시에 드러난 현실 인식의 특징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여사 시집』(1962)을 전후로 하여 한국전쟁의 원체험을 재독할 수 있는 전후 세계의 형상을 분석해 한국 전후 시문학사에서 홍윤숙의 독자적인 면모를 고찰한 것이다. 특히 시극 「에덴, 그 후의 도시」는 전후시에 반복되었던 나무 이미지와 전후 세대의 단절되고 불안한 심리를 전면화하고 있어 이에 주목해 문학사적으로 평가되온 그의 지성적인 면모를 살폈다. 한국전쟁 세대가 전후 사회의 새로운 일상과 급변하는 현실정치에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추적하는 일은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시극 「에덴, 그 후의 도시」는 홍윤숙의 전후문학에서 주목된다. 이는 산업화 시기에 경제적 성공을 맹목적으로 추구해온 ‘남자’의 파멸의식을 다루되, 그의 소유욕과 정신착란을 에덴 신화의 원죄에 비유해 고통의 정체를 상징적으로 밝힌 텍스트이다. 남자는 시극의 중요한 무대 배경인 ‘에덴 그 후의 병든 나무’처럼 고립된 방에서 자기 붕괴에 이르는 타락과 파멸의 시간을 겪는다. 남자는 끊임없이 평화를 갈구하지만, 홍윤숙은 이를 회복 불가능한 것으로 처리하며 그러한 원인으로 식민지와 세계대전, 한국전쟁 등을 거쳐온 생애―홍윤숙이 경험한 자기 세대의 모순―을 적시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로는 홍윤숙의 해방기 문학은 이별, 즉 분리와 단절의 시적장면에서 그리움, 불안의 감정이 고조될 때마다 이를 새로운 혁명의 순간으로 형상화한 반면에, 전후문학에서는 생존 방식으로서 피난, 탈주가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상태를 반복한다. 한국전쟁기 잔류 경험과 1·4 후퇴의 역사적 트라우마 속에서 그의 전후문학은 죽음을 극복하기 위한 이동 서사를 등장시키지만 번번히 단절, 지연, 차단되는 것으로 끝난다. 이는 냉철한 지성과 감정의 절제라는 홍윤숙의 문학사적 위상을 제대로 재평가할 부분이다. 홍윤숙 문학에 고유한 지성은 복합적인 전쟁 경험으로 재맥락화될 때 현실을 겨냥한 전후 문학으로 재독할 수 있는 역사적 가능성을 지닌다. 그는 한국전쟁 이후 억압되어 있던 역사적 전망과 비로소 마주하게 된 상황에서 미완의 평화를 구현할 시적 이념과 표상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Hong Yun-sook’s unique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ostwar poetry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her perception of reality in her poem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analyzing the shape of the postwar world in which the original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can be reread around Collection of Yeosa’s Poems(『여사 시집』, 1962). In particular, 「Eden, the City Afterwards」 foregrounds the image of trees that was repeated in postwar poetry and the disconnected and anxious psychology of the postwar generation, and we examine his intellectual side, which has been evaluated in literary history. It is important to trace how the Korean War generation responded to the new everyday life and rapidly changing realpolitik of postwar society. As we have seen, Hong Yun-sook’s literature of the liberation period is characterized by a poetic scene of separation and disconnection, in which emotions of nostalgia and anxiety are heightened and transformed into a new moment of revolution. Postwar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reiterates the structural impossibility of evacuation and escape as a mode of survival. Amidst the historical trauma of residency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1.4 retreat, his postwar literature presents a narrative of migration to overcome death, but it is repeatedly interrupted, delayed, and blocked. Rather, it is this postwar awareness that will allow us to properly reevaluate Hong Yun-sook’s status in literary history as a writer of sober intellect and emotional restraint. The intellect inherent in Hong’s literature, when recontextualized with the complex experience of war, has the historical potential to be re-read as postwar literature aimed at reality. It was only when he was confronted with the historical outlook that had been suppressed after the Korean War that he discovered the poetic ideology and representation that would embody the unfinished peace.

      • KCI등재

        작은 ‘한국전쟁’들-복원의 (불)가능성 -강성현, 『작은 ‘한국전쟁’들:평화를 위한 비주얼 히스토리』(2021)-

        박연희 ( Park Yeonhee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1 사이 Vol.31 No.-

        이 글은 강성현의 『작은 ‘한국전쟁’들-평화를 위한 비주얼 히스토리』에 대한 서평으로, 한국전쟁사의 출처가 되는 미군 사진부대 사진의 시각사를 되짚으면서 한국전쟁의 역사가 (재)가공되는 과정을 논의한 글이다. 더 중요하게는, “영웅신화를 탄생시킨 전투사 이면의 사각을 들여다보고, 전쟁사에서 거의 누락된 존재들의 목소리를 복원”(7쪽)한다는 저자의 문제의식이 과연 역사적 타자의 재발견을 가능하게 하는지를 확인했다. 강성현의 책은 미국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 소장된 미군 사진부대의 한국전쟁 스틸사진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다. 한국전쟁 사진 대부분이 미군 사진부대의 사진병에 의해 생산된 것을 상기해 볼 때 해당 사진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탐구는 긴요하다. 이는 문화냉전(Cultural Cold War)의 개념을 매개로 아시아의 탈식민화 과정에 결정적으로 작용한 한국전쟁의 냉전구조와 그 실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특히 미국의 전투, 외교, 공보, 민사 정책에 따라 만들어진 한국 이미지가 한국전쟁사에 반영된 내면화 과정을 지적하고 해명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보면, 미군의 사진에 내재하는 생산 주체의 시각/사각의 구조적 관점을 쟁점화하고 한국전쟁을 매개로 하여 환기되는 사진이미지를 재해석한다. 이 책의 성과는 냉전 이미지를 보편화한 한국전쟁사의 내러티브와 시각사 전체를 비판적으로 논구하고, 혼종적인 역사 데이터를 재조명하여 민간인 희생자를 위한 이른바 평화론적 한국전쟁사의 가능성을 성실하게 보여준 데 있다. 이후 한반도 평화학의 후속연구가 냉전문화 연구를 통해 학제적으로 활발해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article is a book review of Kang Sung-hyun’s “Korean War”s-Visual History for Peace, and aims to discuss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War while reflecting on the visual history of the U.S. military photo unit. This book focuses on still photographs of the Korean War of the U.S. military photography unit housed in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Recalling that most of the photos of the Korean War were produced by photographic bottles of the U.S. military photography unit, historical and sociological exploration of the photos is essential. The achievement of this book is to critically study the narrative and visual history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War, which made the image of the Cold War universal, and to faithfully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so-called peaceful Korean War history for civilian victims. After that, it is thought that the follow-up research of peace studies on the Korean Peninsula could become more interdisciplinary through the study of cold war culture.

      • KCI등재

        추적 유지 성능 개선을 위한 전투기 레이다 추적 파형 운용기법

        박연희(Yeonhee Park) 한국전자파학회 202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2 No.3

        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다는 빔 기민성을 이용해 탐색 빔과 추적 빔을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빔 조향에 따른 스캔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스캔손실은 Field-of-view(FOV)내에 운용자가 관심이 있는 표적이 비교적 근거리에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레이다 보어사이트 대비 큰 각도에 위치하면 표적이 소실될 수 있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추적 중인 표적에 대한 추적 유지성능을 표적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가질 수 있도록 표적의 각도 위치에 따른 스캔 손실을 보상한 추적 빔 운용 방식을 정리하고, 스캔 손실 보상을 목적으로 증가된 dwell time이 레이다 frame time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레이다 시스템 측면에서 탐지성능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존의 표적의 거리만을 고려한 파형 운용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표적의 각도 위치를 함께 고려한 파형 운용 방식을 제안하였다. An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radar is able to radiate the search beam and track beam more independently than a mechanically scanned array radar. However, as the scan angle increases, the detection performance degrades; as a result, the track-on target could be lost due to scan loss. To overcome the degradation of the tracking performance for off-boresight targets, the effective track-beam operation strategy is proposed to compensate for the scan loss by increasing the dwell time. Because this strategy increases the frame time, which affects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radar system, the detection and track maintenance performance are analyzed systematically.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이 직무만족과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

        박연희 ( Yeonhee Park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사회복지사 또는 의료 및 보건분야 종사자의 전문적 능력과 직무성과, 직무수행, 직무동기 등과 관련된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전문적 능력과 직무성과, 서비스 질과 관련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이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복지 관련 기관의 우수한 서비스제공과 운영에 대한 바람직한 지표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사회복지사 202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이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의 업무와 업무능률 향상을 위해 사회복지 관련 기관 및 행정기관에서는 실제 사회복지 현장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현상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과 요령, 관련 이론적인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사례관리 및 시스템의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This research on the professional competence, job performance, job performance, and job motivation of social worker or medical and health workers has been conducted, but research related to professional ability, job performance, and service quality is hard to find.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recognize the impact of a social worker’s professional abilities o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service and to present desirable indicators on the excellent service provision and operation of social service-related institu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202 domestic social workers were surveyed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Professional skills of social workers affect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service. Accordingly, for social welfare workers to improve their work and work efficiency, a set of social welfare-related institution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is urgently needed to implement case management and systems to provide a set of phenomena occurring at the actual social welfare site, methods and techniques and relevant theoretical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