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늘의 첨가가 두부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박연주,남영란,전병록,오남순,인만진,Park, Yeon-Joo,Nam, Young-Lan,Jeon, Byung-Rog,Oh, Nam-Soon,In, Man-Jin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3 한국농화학회지 Vol.46 No.4

        마늘이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마늘의 첨가량이 두부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조 대두를 기준으로 마늘을 $5{\sim}20%$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수율, 물성, 및 저장성을 마늘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일반두부와 비교하였다. 두부의 수율은 마늘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다소 감소하였으나 그 영향은 미미하였다. 마늘의 첨가량이 $5{\sim}10%$인 경우 두부의 물성 중 견고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마늘을 20%사용한 두부는 견고성, 부착성, 응집성, 탄성, 씹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제조한 두부를 $15^{\circ}C$로 보관하면서 pH와 총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마늘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두부와 두부 침지액에서 pH 하락과 미생물 생육이 효율적으로 지연되었다. 두부 제조시 마늘의 첨가량은 $5{\sim}10%$가 적당하였다. The effect of garlic addition on quality and shelf-life of soybean curd was investigated. The yield of garlic soybean curd slightly decreased in proportion to amount of garlic added. In the case of texture, hardness of the garlic soybean curd increased when $5{\sim}10%$ garlic was added, whereas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of 20% garlic added. Microbial counts of soybean curd stored in sterilized distilled water as tofu-immersion solution increased, whereas pH decreased during storage at $15^{\sim}C$. During all storage periods, microbial counts of the soybean curds containing garlic were always lower than that of the ordinary soybean curd. These results imply that garlic is a useful additive in suppressing the proliferation of aerobic microorganism and has a potential use in extending the shelf-life of soybean curd. According to yield, textural properties and shelf-life data, the suitable concentration of garlic was around $5{\sim}10%$.

      • KCI등재

        훈육행위로 인한 아동학대사건 판례에 대한 고찰

        박연주(Yeon-Joo Park),한창근(Chang-Keun Ha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1

        본 연구는 아동보호권자들의 훈육행위가 아동의 신체적 자유침해와 관련한 학대행위임을 재판에서는 어떠한 기준에 따라 살펴보고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이들 훈육을 위한 행위였음을 항변하는 학대행위자들에 대한 형량의 기준은 적정한지를 살펴 보완점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부모의 훈육행위가 처벌로 연결된 경우는 사망사건이 대부분이며, 어린이집 종사자들의 훈육행위가 처벌로 연결된 경우는 상해 · 폭행행위 등이 학대행위로 인정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부모의 훈육행위에 대해 처벌로 연계되는 경우는 가벼운 상해 · 폭행의 경우, 형사기소자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근거로 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가족 내 재학대로 나타나 재학대 예방을 위한 가족 내 훈육의 적극적 처벌근거 및 개입을 위한 형사적 제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어린이집 종사자들의 훈육행위와 관련한 판례들에서는 신체의 직접적 체벌은 훈육행위가 아님을 명확히 하고 있으며, 판결문을 통해 이러한 훈육기준으로 사회통념상의 개념을 언급하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정 내 훈육을 이유로 재학대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사적 제재로서의 훈육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가정 내 훈육에 대한 법원의 인식개선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와 더불어 어린이집 종사자들의 경우에는 이들을 위한 훈육행위 지표마련,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상에 훈육관련 명문규정의 필요성 등과 관련한 제언을 실천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understand the extent to which the discipline practices of children’s guardians are mitigating factors when guardians are sentenced in trial; and whether the punishment criteria are appropriate for perpetrators who appeal that their abusive behaviors were to discipline their children. This study found that most of the cases related to discipline practices that ended in the sentencing of a parent were cases that involved the death of a child; however, most cases related to discipline practices that ended in the sentencing of a child care worker were cases that involved minor injuries and assaul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inor injuries and assaults by parents do not get sentenced in trials. The results also explain why child abuse at home is repeated and confirm the importance of active court punishment and penal sanction against child abuse. On the contrary, sentences for child care workers in child abuse cases have confirmed that physical punishment is not considered a disciplinary practice.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the criteria of disciplinary practices at home and setting standards of discipline practices to be considered as part of the penal sanction in the criminal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an index of discipline practices for child care workers and that the Special Act for the Punishment against Child Abuse should adopt regulations against child abuse from discipline practices.

      • SCIEKCI등재
      • KCI등재

        일본 중세 比叡山 天台의 神佛習合 담론과 山王信仰의 수용

        박연주(Park, Yeon Joo)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1 No.-

        This article explores medieval Tendai Buddhist discourse on the amalgamation of kami and buddhas (shinbutsu shugo 神佛習合), particularly as represented in Keiran shuyoshu (渓嵐拾葉集), a fourteenth century encyclopedic Japanese Tendai text, which presents the highest knowledge of medieval Tendai/Taimitsu (台密) scholasticism on Mt. Hiei. The article particularly focuses on Tendai’s incorporation of the Sanno deity, the supreme divinity venerated in the Great Hie Shrine on Mt. Hiei, into the Tendai Buddhist pantheon by the honji suijaku (本地垂迹) scheme, the main “combinatory” logic that associates kami and buddhas. This study begins with delineating a brief history of the traditional Sanno worship on Mt. Hiei and then moves to examining its integration into the Tendai teachings. This historical sketch reveals the crucial influence of medieval Tendai teachings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ami-Buddha discourse based on the honji suijaku structure as the combinatory framework for Kami-Buddha relations. Discussing the details of the honji suijaku scheme-its origins, Tendai’s formulation and development of the theory, and its significance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tradition of “chroniclers” (kike 記家), a unique feature that represents Tendai’s scholastic culture on medieval Mt. Hiei. Specifically, vital contributions of the chroniclers in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discourses on Kami-Buddha relationships are discussed. Keiran shuyoshu (Keiran) is introduced as the pinnacle of high medieval Tendai scholasticism, as well as being the most comprehensive work by a Tendai chronicler, Koshu(光宗). Thus the article proceeds to examine the Kami section (shinmeibu 神明部) in Keiran in particular, where Keiran ’s discussions of kami is concentrated. It illustrates nondual hon (本)- jaku (迹) relationships between Sakyamuni, the most respected buddha in Tendai/Hiei tradition, and Sanno; and consequently examines how these divinities are explained and reinterpreted from Tendai’s esoteric Buddhist perspective. Their view is shown to pivot on the notion of nonduality and the Middle Path. We will see “nonduality” is key to the medieval Tendai discourse on kami and the web of hon-jaku relationships recorded in Keiran. What calls for our special attention is that Keiran ’s in-depth discussions illuminate veneration of the supreme deity of Mt. Hiei, i.e., Sanno, as the embodiment of an all-encompassing Tendai doctrinal teachings, and the principle of nonduality in particular. Moreover, as the manifestation of Sakyamuni, Sanno is interpreted as the true origin of all kami. The rationale for this view is found in Sanno’s salient role as a symbol of the Middle Path in which the three natures of reality are simultaneously encompassed. After all, Sanno is exalted in Keiran as the deity of the nondual Middle Path, all through Keiran ’s explanations of Sanno based on the Tendai doctrine and practice, which is exemplified by the esoteric reading of doctrinal meanings contained in Sanno’s characters themselves. Integrating all these doctrinalized interpretations of Sanno in Keiran, we learn that Sanno in essence represents the embodiment of Tendai teachings. All in all,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cept of Sannō plays the role of a type of medieval Tendais heuristic device in order to demand our comprehension of divinities and ultimate truth, in addition to provoking our own enlightenment. 중세 일본 종교문화상 가장 현저한 특징 중 하나로서 이른바 ‘신불습합 을들 수 있는데, 이는 일본에서 불교도래 이전부터 숭앙되어 오던 다양한 카미(神) 신성들과 佛·菩薩 사이의 일체화를 중심으로 전개되 어간 구래의 카미신앙과 불교 간의 융합적 면모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神-佛의 ‘不二’적 동일성을 이해하는 것에 방점이 찍힌, 사실상 인식론적 담론에 바탕을 두는 것으로서, 이러한 인식론적 틀과 담론의 형성 및 발전에 주체적 역할을 한 것은 중세 일본 히에잔(比叡山) 천태의 학승들이었다. 이들은 무엇보다 히에잔의 전통적인 山王신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본지수적설이라는 용어로 총괄되는, 산왕과 석가불의 습합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적 틀과 담론을 발전시켰다. 이 논문은 특히 중세 천태 학술문화의 총화라고 할 수 있는「케이란 슈요슈」(1318-48)에 수록된 천태 학승들의 신불습합 담론을 살펴본다.「케이란 슈요슈」의 산왕에 관한 기록은 천태가 산왕을 히에잔 엔랴 쿠지의 본존인 석가불과 동일시하며 모든 카미의 본원(本源)으로 신격화하는 담론의 면면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무엇보다 주목되는 점은 산 왕이 천태교학의 핵심적 개념인 不二나 中道의 이상을 현현하는 표상으로 해석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중세 천태의 산왕에 대한 해석을 위시한 신불습합의 논의가 결국 중세 히에잔 천태의 핵심적 가르침을 반영하며, 神과 佛의 하나 됨을 깨닫고 이를 탐구하는 천태 학승들의 노력이 그 자체로 천태교학의 해석적 실천이라는 것을 조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계람습엽집(渓嵐拾葉集)』에 나타난 일본 중세 천태(天台)의 정토관(淨土觀)

        박연주(Park, Yeon-Jo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8

        일본 천태(天台)의 총본산인 히에잔(比叡山) 엔랴쿠지(延暦寺)는 일본의 중세시기를 통틀어 불교를 비롯한 학문과 문화의 중심지였다. 일본 역사상 가장 유명한 승려들을 무수히 배출한 도량인 이곳에서 태동하고 꽃을 피운 것은 비단 천태 고유의 교학이나 의례, 수행뿐이 아니었다. 히에잔 천태사상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거나, 혹은 지나치게 관념적이고 복잡한 천태교관을 비판하면서 점차 독립적으로 발전한 사상들이 일본불교사에 있어 획을 긋는 혁신적인 불교전통들을 이루어갔고, 이를 대표하는 것 중 하나가 일본의 정토종이었다. 일본의 정토종은 히에잔 천태 승려였던 호넨(法然, 1133-1212)으로부터 시작된 것인데, 호넨의 정토사상의 골격을 이루는 아미타 신앙, 서방극락정토사상, 왕생사상, 염불의 수행 등은 일본의 제 종파들이 겸수(兼修)의 대상으로 받아들인 아미타-정토 계열의 경전과 문헌들을 통해 이미 수세기 전부터 전파되어 왔던 내용이었다. 그리고 호넨 이전부터 이러한 정토사상의 내용과 그 실천을 가장 활발히 전수하고 발전시켰던 곳이 바로 중세 지성의 중심이었던 천태의 본거지, 히에잔이었다. 정토종 수행의 핵심인 염불 또한 이미 천태의 수행법 내에 교학과 일치되어 실천되고 있었던 것이었으며 정토종의 독립과 상관없이 천태의 아미타·정토관이 반영된 염불의 수행은 천태 내에서도 계속 중요한 수행 중 하나로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세 천태 정토사상과 수행의 핵심적 내용을 고찰한다. 특히 중세히에잔 천태의 교학, 밀교적 전통, 의례, 수행법, 계율, 더불어 히에잔의 문화유산에 관한 종합적인 기록을 담고 있는 『계람습엽집(渓嵐拾葉集)』을 소개하고, 이 기록이 전하는 천태의 염불수행과 정토관을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중세 일본의 다양한 불교전통 아래 수용·실천되고 있던 염불 수행에 대한 내용을 알아봄과 동시에, 히에잔 천태가 각각 다른 종파나 전통마다 염불을 둘러싼 정토관의 차이를 논하는 한편 천태의 관점과 해석을 우위에 두고 다양한 정토관에 관한 일종의 교판적 평가를 하고 있는 것도 확인한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계람습엽집』에서 당대의 대표적인 종파별 염불수행을 4종으로 구분하고 논한 것을 먼저 살펴보고, 이 중에서 중심이 되는 천태의 염불과 그 교관상의 의미, 그리고 중세 천태의 정토사상의 핵심, 특히 아미타에 관한 교판적 해석을 알아본다. 『계람습엽집』에 나타난 천태의 정토관을 통해 우리는 중세 히에잔 천태의 교관이 심식의 작용에 바탕을 둔 마음으로부터의 이해와 수행을 중시함을 간취할 수 있다. The Tendai (天台) temple complex on Mt. Hiei (比叡山) was the home of various Buddhist traditions and a center for academic study in medieval Japan. A number of innovative and prominent schools in the history of Japanese Buddhism were born or took shape there under the undeniable influence—both positive and negative—of Tendai doctrine and praxis. Among them was Japanese Pure Land Buddhism, which emerged out of the early medieval Tendai culture on Mt. Hiei. The Japanese Pure Land School (淨土宗) was established and developed by Hōnen (法然, 1133-1212), who was originally a Tendai monk on Mt. Hiei. That said, all the major concepts, beliefs, and rituals central to Hōnens Pure Land teachings—among them, the worship of the Buddha Amida, the ideal of the posthumous rebirth in the Pure Land of the West, and the repeated recitation of Amidas name, i.e., nenbutsu (念佛)—were already widespread throughout numerous Buddhist schools and traditions in Japan through Pure Land sutras and Amitābha-related scriptures that had circulated from centuries before. Pure Land teachings and practices were actively being transmitted within the Tendai scholastic and religious circles on Mt. Hiei even before Hōnens time. Nenbutsu practice had also been integrated into Tendai doctrine and ritual, and it continued to hold a central place in medieval Tendai despite the independence of the Pure Land School. The present essay explores the main content of medieval Tendai’s Pure Land thought and practice as recorded in Keiran shūyōshū (渓嵐拾葉集, ca.1318-1348), a Japanese text compiled by the Tendai monk-scholar Kōshū (光宗, 1276-1350) of Mt. Hiei. Often labeled “encyclopedic” because of its all-inclusive content, this multi-volume work deals with a wide variety of questions related to the Tendai tradition on Mt. Hiei. Keiran also contains important discussions about Pure Land teachings and practices supported by medieval Tendai and other Buddhist traditions in medieval Japan. The essay also attempts to demonstrate Tendais prioritization of Tendais view of the Pure Land through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teachings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Buddha Amida. Keirans treatment of central Pure Land concepts and practices highlights the medieval Tendai emphasis on ultimate awakening based on the mental discipline of mind contemplation (kanjin 観心).

      • KCI등재
      • KCI등재
      • 장시간 PC 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위한 눈 건강 관리 서비스

        고수인(Sooin Ko),반소량(So Ryang Ban),이해리(Haeri Lee),배종혁(Jong Hyuck Bae),장미(Mi Jang),박연주(Yeon Joo Park),최용우(Yong Woo Choi),김선일(Seon Il Kim),오창식(Changsic Oh),박녹빈(Nok Bin Park)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본고는 장시간 PC 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눈건강 관리 플랫폼을 제안한다. 이 서비스는 센서디바이스, 리마인더 디바이스 그리고 PC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있다. 사용자는 모니터상단에 센서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눈 피로도를 측정하고 리마인더를 통해 눈 피로도를 즉각적으로 알림 받을 수 있다. PC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주변 실내 환경에 따라 모니터 밝기, 색 도를 최적화 시켜주며 매일 달라지는 눈 피로도에 따라 적정 PC 사용시간과 휴식시간을 제안한다. 또한 센서 디바이스를 활용해 쌍방향 인터랙션이 가능한 눈 운동게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눈 건강 관리의 필요성을 깨닫고 눈 건강 관리법을 제안 받아 지속적인 눈 건강 관리를 가능하도록하여 눈 관련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본 서비스의 목표이다. This study suggests the eye health care platform for long time PC users. This service is composed of a sensor device, reminder device and PC application. Users can attach the sensor to the top of the monitor and measure the degree of users’ eye fatigue in real-time. The reminder device can notify immediately the degree of eye fatigue to users by using LED colors and motions. PC application also let you optimize the brightness of the monitor and screen’s blue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indoor environment. It provides information about a proper time to use PC and rest time, depending on the degree of eye fatigue, which varies every day. Also, by utilizing a sensor device, it provides the interactive eye exercise game. Thus, this platform helps the users to care their eye health continuously.

      • 비산재 혼합 식재 박스를 이용한 수질 인산 제거 기술

        이선일 ( Sun-il Lee ),임상선 ( Sang-sun Lim ),딘비홍 ( Dinh-viet Hung ),이동석 ( Dong-suk Lee ),이광승 ( Kwang-sung Lee ),박래성 ( Re-sung Park ),박연주 ( Yeon-joo Park ),윤광식 ( Kwang-sik Yoon ),최우정 ( Woo-jung Choi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Floating plant system can remove phosphorus (P) from water via plant absorption of P. As fly ash (FA) is a good phosphorus (P) adsorbent, using FA as a medium for the floating plant system may enhance P removal. In this study, the effect of FA mixture on P removal was investigated through an experiment using box planted with rice (Oryza sativa L.). Sand mixed with 0 (code FA0), 25 (FA<sub>25</sub>), and 50% (FA<sub>50</sub>) of FA (w/w) was placed into the box (21 cm × 16 cm × 8 cm) and the box was floated on container (8 L) filled with P-contaminated water (3 mg P L<sup>-1</sup> as KH<sub>2</sub>PO<sub>4</sub>). Totally 24 mg of P was added into the container. On 7 days after treatment, chlorophyl-a concentration was 0.20 mg L<sup>-1</sup> for FA<sub>0</sub>, 0.05 mg L<sup>-1</sup> for FA<sub>25</sub>, and 0.04 mg L<sup>-1</sup> for FA<sub>50</sub>, indicating suppression of algae growth. On the same day, concentration of total P was 3.3, 2.7, and 2.3 mg P L<sup>-1</sup> for FA<sub>0</sub>, FA<sub>25</sub>, and FA<sub>50</sub>,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the suppression of algae growth by FA application is linked with decrease in P concentration. At the end of experiment (20 days after treatment), removal efficiency of P for FA<sub>0</sub> was as high as 84.8% and this was ascribed to rice uptake and P adsorption by sand. In FA treatment, th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to 95.8% for FA<sub>25</sub> and 95.7% for FA<sub>50</sub>.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FA can be used as a plant growth medium in floating plant system for enhanced removal of water P.

      • KCI등재

        마늘의 첨가가 두부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박연주,남영란,전병록,오남순,인만진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3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6 No.4

        마늘이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마늘의 첨가량이 두부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조 대두를 기준으로 마늘을 5-20%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수율, 물성 및 저장성을 마늘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일반두부와 비교하였다. 두부의 수율은 마늘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다소 감소하였으나 그 영향은 미미하였다. 마늘의 첨가량이 5∼10%인 경우 두부의 물성 중 견고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마늘을 20%사용한 두부는 견고성, 부착성, 응집성, 탄성, 씹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제조한 두부를 15℃로 보관하면서 pH와 총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마늘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두부와 두부 침지액에서 pH 하락과 미생물 생육이 효율적으로 지연되었다. 두부 제조시 마늘의 첨가량은 5∼10%가 적당하였다. The effect of garlic addition on quality and shelf-life of soybean curd was investigated. The yield of garlic soybean curd slightly decreased in proportion to amount of garlic added. In the case of texture, hardness of the garlic, soybean curd increased when 5~10% garlic wat added, whereas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of 20% garlic added. Microbial counts of soybean curd stored in sterilized distilled water as tofu-immersion solution increased, whereas pH decreased during storage at 15℃. During all storage periods, microbial counts of the soybean curds containing garlic were always lower than that of the ordinary soybean curd. These results imply that garlic is a useful additive in suppressing the proliferation of aerobic microorganism and has a potential use in extending the shelf-life of soybean curd. According to yield, textural properties and shelf-life data, the suitable concentration of garlic was around 5~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