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동용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박분희 ( Bun Hee Park ),김누리 ( Noo Ree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0 아동교육 Vol.19 No.4

        본 연구는 아동용 학업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해 기초조사, 면접조사, 내용타당도를 통해 기존의 탄력성의 개념과 학업탄력성의 개념을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아동들의 학업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109개의 문항을 추출하였다. 또한 예비조사, 본조사의 문항분석 과정을 통해 최종 아동용 학업탄력성 척도의 문항은 33개가 추출되었다. 본 조사는 서울, 경기, 전남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 대상으로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자료분석에는 472부가 이용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요인 20개 문항이 도출되었고, 요인명은 부모지지, 교사지지, 학습조절, 계획주도로 확인되었다. 아동용 학업탄력성 척도에서는 ``주요 타인에 대한 도움과 지지``가 탄력성의 중요 구성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척도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 내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여 요인별 단일 차원성을 확인하였으며, 검증모형에 대한 산출결과 역시 적합도의 지수들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학업탄력성의 영역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학업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done pilot-test, and survey in order to develop and validate academic resilien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We extracted 109 items that several statistical procedure are carried out. A survey of 448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Gyeonggi, Gwangju area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that 4 factors 20 items were extracted, and the names of extracted factors were the support of parent, the support of peer, the regulation of learning, the support of teacher.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hild`s academic resilience scale, the reliability test and the validity teat were taken. Foe the reliability, item internal consisitency coefficients were computed. For the validity, Factor analysis and cross-validity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that the scale of empirical data supported the conceptual model of this study and the fit measures of model were all acceptable. In addition generalization of this model was confirmed through cross-validation testing which show that this model was fitted adequately in a cross validation sampl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미취업 청년들을 위한 진로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박분희(Park, B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업 청년들을 위한 진로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요구조사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목적과 내용 등을 추출하고, 전문가 집단의 타당화 절차를 거쳐 프로그램 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남 여성플라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미취업 청년 30명으로서 이 중 15명은 실험집단이며, 나머지는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진로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은 2017년 12월 13일부터 2018년 1월 17 일까지 6주간 진행하였다. 진로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는 사전·사후 검사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진로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진로탄력성과 진로 준비행동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진로 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이 미취업 청년의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적극적 구직활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reer resilence education program for unemployed young people and validate its effects. The goal an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extracted through the related prior study and demand survey analysis, and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validity of the expert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by 30 unemployed young man who are educated in the women s plaza in South Jeolla Province, 15 of whom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the other 15 were assign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 program for promoting career resilience was conducted for six weeks from December 13, 2017 to January 17, 2018. All of the participants’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or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Research shows that the treat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career resili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career resilience of unemployed young man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ading to active job searching.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업 자아개념, 학습동기 간의 관계

        박분희 ( Bun Hee Park ),김누리 ( Noo Ree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2

        본 연구는 아동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회적 변인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의 관계를, 개인의 심리적 변인으로는 학습 상황에서의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은 개인의 사회적 변인과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 어떤 구조적 관계를 이뤄 아동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적으로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교육적 함의도 제시해 줄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초등학생 4∼6학년 528명을 대상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업 자아개념 그리고 학습동기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보다 구체적인 요인들의 인과관계 분석을 위해 효과분해 즉,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는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의 심리적 환경은 학업 자아개념과 학습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학업 자아개념 역시 학습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연구모형으로 설정한 가정의 심리적 환경은 학업 자아개념을 매개로 학습동기에 부분 매개한 모형이 완전 매개 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해 가정에서의 역할과 지원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에 대한 교육적 논의와 시사점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among the children`s perceived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family, academic self-concept and learning motivation.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528 subjects were surveyed be means of paper based questionnaires, in which were participation`s personal information, the children`s perceived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family scale, academic self-concept test, learning motivation test. In order to analysis the cause and effects among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as well as, there were used total effect,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index by Bootstrapping to estimate the specific effects. All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18.0 and AMOS 18.0.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on the cause and effects, the children`s perceived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family was predicted by academic self-concept and learning motivation. And there was significant cause and effects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and learning motivation. Therefore, the model with academic self-concept as mediator,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increasing learning motivation of family`s role and support.

      • KCI등재

        과학영재의 미래목표,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계

        박분희(Park, Bun Hee),김누리(Kim, Noo R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2 영재와 영재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영재들의 동기적 특성들이 학습상황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그 관계모형에서 어떠한 교육적 함의를 찾을 수 있는지 검토해 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전라남도의 과학영재들을 육성하는 M대학교 영재교육원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에게 학습동기 요소 중 미래목표와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및 자기조절학습 검사를 실시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동기가 자기조절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통합적 연구모형을 산정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미래목표,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설명하는 모형은 연구모형보다 수정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내적 미래목표는 숙달접근목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외적미래목표 역시 수행접근과 수행회피목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숙달접근, 수행회피, 수행접근은 자기조절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성취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영재교육에 있어 인지적 측면의 교육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인 학습동기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goals, achievement goal-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at 185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sampled from M university of gifted education center. The survey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future goals inventory, achievement goal-orientation test, and self-regulation test.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a goodness of fit of the adjusted model was evaluated as higher than that of the original model. Second, a intrinsic future goals affected a mastery goals meaningfully. An extrinsic future goals affected a performance-approach goals and performance-evasion goals, too. A mastery goals,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performance-evasion goals affected a self-regulated learning meaningfully.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gifted children's affective domain researches are necessary to continu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영재와 일반아동의 가정환경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비교

        박분희(Park, Bun Hee),최명구(Choi, Myung Goo),김누리(Kim, Noo R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1 영재와 영재교육 Vol.10 No.2

        본 연구는 초등영재와 일반 아동간 가정환경변인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를 비교분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일반 아동 320명과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및 교육청 산하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영재 아동 127명을 선정하여 두 집단별 가정환경 하위변인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 자기조절학습에 어떤 경로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영재들은 일반아동들에 비해 가정환경의 심리환경 변인과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하위요인에 대한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아와 일반아동 모두 가정환경의 심리환경 변인과 자기주도 학습 하위요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영재아의 경우, 가정환경의 지위환경 변인이 자기주도학습 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가정환경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영재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가정환경의 심리환경 변인이 자기조절학습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재아와 일반아동의 가정환경과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지위환경이 심리환경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영재아의 경우 그 설명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볼 때 부모의 지지적인 태도와 관심 등이 자녀의 자기조절학습 능력발달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by comparing their home environ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7 gifted students of the forth, fifth and sixth grades from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nd 320 general students of the forth, fifth and sixth grades in the M city.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the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on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the home environment. The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on all over the self-regulated learning with its subordinated factor. Second,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the home environ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were meaningful correlation in the all group. In particular, status environ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were meaningful correlation in the gifted students group. Thir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on the motivation field. But, they showed lower scores than the general students on the cognitive field and behavior field. Finally, path analysis of home environ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was that status environment of the home environment influenced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psychological environment in the two groups. Thus, this study implies that the close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gifted students are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learning.

      • KCI등재

        개념도를 통한 중등교사의 창의적 역량 탐색

        박분희(Park Bun Hee),김누리(Kim Noo R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중등교사에게 요구되는 창의적 역량에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개념도를 통해 확인하고 도출된 요인들에 대해 중요하게 지각되는 정도를 탐색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13명의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초점면접을 실시하여 중등교사의 창의적역량에 대한 진술문을 산출, 종합, 분류하였고 도출된 자료를 토대로 다차원척도와 위계적 군 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교사 학문적 전문성을 포함한 55개의 교사에게 요구되는 창의적 역량과 관련된 진술문이 도출되었고, 이중 32개가 최종선정되었다. 둘째, 중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구조는 “학문적 전문능력 차원”, “창의적 교수학습 차원”, “관계 및 태도 차원”, “창의적 교사의 신념 차 원”으로 구분됨을 확인되었다. 셋째, 중등교사에게 요구되는 창의적 역량으로 ‘지식에서의 개방성’, ‘태도에서의 개방성’, ‘변화 및 성장 지향성’, ‘ 교사효능감’, ‘교과 전문성’, ‘교수방법의다양성’, ‘지원 및 수용성’의 7개가 도출되었다. 이와 더불어 중등교사들에게 창의적 역량에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secondary school teacher’s creativity competencies using a concept- mapping. We conducted to focus interviews on the 13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is goal and calculated the statements obtained in interviews, comprehensive, and classification and then applied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of creative competencies items 55 items were derived, 32 item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Seco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re creative competence of the teacher category to recognize the “academic expertise level”, the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dimension,” “relationships and attitudes dimension”, “creative teachers of faith dimension”. Third, the creative competencies of the secondary teachers ‘openness in knowledge’, ‘openness in attitudes’, ‘change and growth orientation’, ‘teacher efficacy’, ‘school subject expertise,’ ‘the diversity of teaching methods’, ‘supporting and acception’ was derived. Finally, we examined the importance and executed the creative competenci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 KCI등재

        정서중심치료 기반 복합외상대학생의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박진희(Park, Jin-Hee),박분희(Park, Bun-Hee) 한국교육치료학회 2023 교육치료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복합외상 대학생들이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정서중심치료를 바탕으로 한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천성문 등(2017)의 프로그램 개발모형 6단계를 맞추어 선행연구를 개관하고 복합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통해 요구조사를 실시한 후, 프로그램의 목표와 주제 및 활동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참가자는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하고, 복합외상 심각도 점수가 2.0 이상이면서, 정서조절곤란 점수가 상위 25%인 343명 가운데 처치집단 9명, 대기자 통제집단 9명을 무작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2일간에 걸친 마라톤 집단형태로 진행하였고, 측정은 정서조절곤란, 통제감 및 대인관계 척도를 사전, 사후, 추후에 실사하였으며, 추후에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서조절 프로그램은 복합외상 대학생의 정서조절곤란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조절 프로그램은 복합외상 대학생의 통제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조절 프로그램은 복합외상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by developing an emotion 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Emotion-Focused Therapy so that complex trauma college students can effectively control their emotions. This program opened prior research in line with the six stages of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Chun et al. (2017), conducted depth interviews with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complex trauma and conducted a demand survey through FGI, and organized the program with goals, topics, and activities.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9 treatment groups and 9 waiting control groups.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a marathon group, and the measurement was conducted before, after, and later on the scale of emotional contro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late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motional control program reduced the emotional control difficulty of complex trauma college students and improved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