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페놀화합물 함량 비교

        박병재,권순미,박종인,장광진,박철호,Park Byoung-Jae,Kwon Soon Mi,Park Jong In,Chang Kwang Jin,Park Cheol Ho 한국작물학회 2005 한국작물학회지 Vol.50 No.suppl1

        본 연구는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페놀성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고 분석, 평가한으로써 생리활성 연구의 기초 자료와 건강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도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1. 총 페놀의 함량은 타타리메밀 종자가 단메밀 종자보다 약 2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중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단메밀이 약 $50\%$, 타타리메밀이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메밀쌀이 메밀껍질보다 높았으나, 단메밀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메밀껍질 더 높았다. 3. 단메밀의 rutin함량은 메밀껍질(25.2 mg/100g)>껍질을 벗기지 않은 종자(19.8 mg/100 g)>메밀쌀(12.8 mg/100 g)의 순으로 높았으나, 타타리메밀은 메밀쌀(2042.1mg/100g)>껍질을 벗기지 않은 종자(1375.8 mg/100g)>메밀껍질(138.7 mg/100 g)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물체 부위별 rutin의 함량은 단메밀이 메밀싹>잎>줄기>종자의 순이고, 타타리메밀은 잎enli메밀싹>종자>줄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부위에서 타타리메밀이 단메밀보다 높은 rutin함량을 나타냈다. 4. 단메밀과 타타리메밀 종자의 flavanols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잎, 줄기, 싹나물부위의 함량은 타타리메밀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두 종의 flavonols의 함량도 단메밀보다 타타리메밀에서 월등히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식물체 부위별 flavanols의 함량은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메밀싹>잎>줄기>종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든 부위에서 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gallate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메밀싹은 두 종 모두 Epicatechingallate의 함량이 종자의 약 $30\~40$배, 잎, 줄기보다 약 $15\~20$배가량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otal contents of phenol and flavonoid in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new kind of functional food with buckwheat materials. Total content of phenol and flavonoid in seeds of tartary buckwheat were higher than that of common buckwheat. It showed same tendency in groats and hulls. Total content of phenol and flavonoid in groats showed higher than hulls in tartary buckwheat while those of hulls was a little higher than groats in common buckwheat seed. Rutin content in common buckwheat was higher in odor of the hulls (25.2 mg/100 g)>dehulled seed(19.8 mg/100 g)>groats (12.8mg/100 g). But tartary buckwheat was higher in oder of the groats(2042.1 mg/100 g)>dehulled seed (1375.8 mg/100 g)>hulls(138.7 mg/100 g). Flavanol content in dehulled seeds of the tartary and common buckwheat did not show the difference. However, flavanol contents in leaf, stem and spouts of tartary buckwheat were respectively higher than in those of common. Among the flavanols, catechin content was highest in all plant parts of their buckwheat and also was higher in odor of epicatechin>epicatechingallate. However, epicatechingallate content in sprouts of both buckwheat species was about 30-40 times higher than seeds.

      • 에너지 과소비의 실태와 정책 대응 방안

        박병재,Park, Byeong-Jae 대한석유협회 1992 석유와 에너지 Vol.1992 No.5

        이 자료들은 지난 5월 8일 한국개발연구원에서 열린 에너지절약 정책협의회에서 발표된 논문을 옮긴 것이다. <편집자 주>

      • 자동차산업에서 보는 석유의 특별소비세

        박병재,Park, Byeong-Jae 대한석유협회 1981 석유와 에너지 Vol.1981 No.12

        1.서론 2.자동차산업의 육성의의 가. 산업연관효과 나. 내수시장의 잠재력 다. 생산기술의 축적 라. 수출전략산업 3.석유와 자동차산업 가. 자동차연료 나. 자동차석유소비 4.자동차산업과 석유의 특별소비세 가.특별소비세의 효율 나. 석유류의 가격체계 다. 석유류 특별소비세의 담세비중 라. 석유류 특별소비세와 그 영향 5.결론

      • 60 Hz 자기장이 예쁜꼬마선충의 생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병재,장혜진,김희성,강희은,심례림,최유미,김윤명,김남,김윤원,Park, Byeong-Jae,Jang, Hye-Jin,Kim, Hui-Seong,Gang, Hui-Eun,Sim, Rye-Rim,Choe, Yu-Mi,Kim, Yun-Myeong,Kim, Nam,Kim, Yun-Won 한국전자파학회 2010 전자파기술 Vol.21 No.5

        60 Hz 자기장에서 예쁜꼬마선충(C. elegans)의 발생 및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기장 노출 조건은 $0{\sim}500\;{\mu}T$이며, 실험 온도는 선충의 일반적 배양 온도 범위($2 1.2{\pm}0.6^{\circ}C$)에서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노출은 선충의 배양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C. elegas 야생형 N2 및 스트레스에 민감한 hsf-1와 crt-1 등의 돌연변이체들에서 실험에 사용한 노출 조건에 따른 생식력의 차이는 없었다. 여러 세대에 걸쳐 자기장에 노출한 경우에도 자기장에 의한 생식력의 변화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C. elegans는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길이 약 1 mm) 유도전류가 적게 발생하여, 자기장($-500\;{\mu}T$)에 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사려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쓴메밀(Fagopyrum tataricum) 유전자원의 루틴 함량 비교

        박병재(Byoung Jae Park),박종인(Jong In Park),장광진(Kwang Jin Chang),박철호(Cheol Ho Park) 한국자원식물학회 2005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8 No.2

        아시아 지역에서 수집한 야생 쓴메밀의 종자 및 식물체 내의 루틴함량을 조사하였다. 쓴메밀은 종자 및 식물 전체부위에서 숙근메밀이나 단메밀보다 높은 루틴 함량을 나타냈다. 특히, 꽃은 숙근메밀의 2.2배, 단메밀의 9.5배, 줄기는 각각 3.1배와 24.9배, 종자는 3.2와 65배나 높았다. 3종에 대한 식물체 부위별 루틴함량은 모두 꽃>잎>종자>줄기>뿌리의 순으로 높았다. 종피색에 따른 루틴함량은 암회색>검은색>갈색, 회갈색 순의 경향을 나타냈으며, 종자의 형태는 Slender>Notched>Round 순으로 루틴함량이 높았다. 재배종은 야생종에 비해 루틴함량이 잎은 1.3배, 줄기가 1.4배, 종자가 1.2배의 높은 경향을 보였다. 부탄지역 수집품종은 잎, 줄기, 종자의 루틴함량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슬로베니아 및 파키스탄지역 수집품종은 잎, 줄기에서, 인도 및 네팔지역 수집품종은 종자에서 가장 낮은 루틴함량의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to compared a rutin content in seed and plant of tartary buckwheat(Fagopyrum tataricum) to collect in the world. Rutin content in seed and plant parts of tartary buckwheat is higher than F. esculentum and F. cymosum. Rutin contents in plant parts of 3 species was higher with order of flower> leaf> seed> stem> root and that of tartary buckwheat was higher about 3.2 times in flower and about 3.1 times in stem and about 65 times in seed of F. esculentum. Compared to rutin contents for seed color and shape of tartary buckwheat 50 lines, seed color was higher with order of dark gray>black>brown and seed shape was higher with order of Slender> Notched> Round. Rutin content in plant parts of cultivated lines was higher than wild lines. Compared to rutin contents in plant parts of tartary buckwheat collected at the different region, Bhutan line had much higher than other lines. Rutin contents were lower than in the leaf and stem of Pakistan line and in the seed of India line.

      • 64 Volume CT에서 흉부와 복부 및 골반 검사 시 환자의 피폭선량 감소에 대한 연구

        박병재(Byeong Jae Park),김영덕(Yeong Deok Kim),정창기(Chang Gi Jeong),이종호(Jong Ho Lee)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5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7 No.1

        목적 : 본 연구는 흉부와 복부 및 골반 검사 시 기존의 흉부검사 후 복부 및 골반검사를 했을 때 보다 흉부와 복부 및 골반검사를 함께 하였을 경우 환자의 피폭선량이 얼마나 감소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월부터 2014년 6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한 흉부와 복부 및 골반검사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의 성별분포는 남자는 28명, 여자는 13명 이었고, 평균나이는 62.7세였다. a군(흉부검사 후 복부 및 골반검사를 했을 경우) 41명, b군(흉부와 복부 및 골반검사를 함께 하였을 경우) 41명으로 분류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GE Light Speed VCT 64 System을 사용하였다. 후향적으로 a군과 b군의 선량의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각 환자군의 영상의 선량 평가는 장비 콘솔에서 제공하는 총 Dose Length Product (이하 DLP, 단위 mGyㆍcm)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a군의 평균 DLP는 535.92 mGyㆍcm, b군의 평균 DLP는 415.82 mGyㆍcm로 나타났다. 평균 감소율은 22.36%였다. 결론 : 64 Volume CT에서 흉부와 복부 및 골반검사를 함께 할 경우 각각 할 경우 보다 총 선량을 22.36% 저감시킬 수 있어 환자의 피폭선량 관리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which we can reduce the dose of radiation. Retrospective Comparison of Radiation dose at the 64 Volume CT. We compared CT dose index Chest examinations finished and Abdomen - Pelvic examinations between Chest and Abdomen - Pelvic examinations at the same time. Materials and Methods : 41 patients who admitted to hwasun CNUH during January 2013 to June 2014 and underwent CT Chest and Abdomen - Pelvic examination, were studied. Of these patients, 28 were men 13 were women. The average of ages was 62.7 years old. Group a (Chest examinations finished and Abdomen - Pelvic examinations, N = 41), group b( Chest and Abdomen - Pelvic examinations at the same time, N = 41), were classified as. GE Light Speed VCT 64 System was used. All patients performed the retrospective. Group a and group b which obtained on console, which provides total Dose Length Product (hereinafter DLP, the unit mGyㆍcm). Result : Group a average DLP value were 535.92 mGyㆍcm and group b were 415.82 mGyㆍcm. The mean average decreased rate 22.36 percent. Conclusion : The use of Chest and Abdomen - Pelvic examinations at the same time on the exposure dose reduction.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정적 및 동적 스트레칭에 의한 근관절기능, 근육표면온도 및 근신경전도율에 관한 비교 연구

        박병재 ( Park Byoung-jae ),김정훈 ( Kim Jung-hoon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2

        이 연구는 남자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준비운동의 한 요소로 적용되는 정적스트레칭(Static Stretching, SS) 및 동적스트레칭(Dynamic Stretching, DS)이 근관절기능, 근육표면온도(Muscle Temperature, Tm) 및 근신경전도율(Muscle Fiber Conduction Velocity, MFCV)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슬관절과 고관절의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은 SS와 DS적용 이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여 주었다. 수직점프(Vertical Jump, VJ)는 처치와 시기 간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주효과 검증결과 사전과 사후의 유의한 차이 즉, SS보다는 DS가 VJ의 높이를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드스텝(Side Step, S. Step)의 경우 상호작용효과는 없었으나, SS 및 DS를 실시한 이후에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된 2가지 부위의 Tm 역시 상호작용효과는 없었으며, 시기 효과 즉 SS 및 DS가 적용된 이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여주었다. MFCV도 상호작용효과는 발견되지 못하였으나, 시기 효과 즉 DS를 적용한 이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여주었으며, SS보다는 DS가 MFCV를 효과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했을 때 이 연구에서 적용된 SS는 민첩성 측면에서 부정적 효과를 유도하지 못하지만, MFCV 측면에서는 SS 보다는 DS가 효율적인 준비운동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피험자의 생리학적인 조건에서 적용되는 준비운동은 활동적인 근수축을 수행하기 위하여 SS보다는 DS가 효과적인 방법으로 권장된다.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static stretching (SS) and dynamic stretching (DS), which were typically applied as part of the warm-up exercise, on muscle function, muscle temperature (Tm) and muscle fiber conduction velocity (MFCV) among eight male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the range of motion (ROM) of the knee and hip join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fter SS and DS. Vertical jump (VJ) reveal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ime and treatment, the main effect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and DS showed higher VJ height than SS. Side Step (S. Step) had no interaction effect, but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after SS and DS. Tm measured also had no interaction effect bu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fter SS and DS. The interaction effect of MFCV was not found,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ment after DS (p<.05), and DS increased MFCV more effectively than SS. In conclusion, the SS applied in this study did not lead to negative effects in terms of muscle function, but in terms of MFCV, DS is considered to be a more efficient warm-up routine than SS. Therefore, DS is considered to be a more effective way to prepare for active muscle contraction after warming 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