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디자인 및 개발 프로젝트의 가치평가와 투자결정

        박기환(Kee Hwan Park),정무권(Moo Kwon Jung),김세권(Sae Kwon Kim) 한국경영학회 2008 經營學硏究 Vol.37 No.6

        We value design and development (D & D) projects by applying option analysis and draw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 & D strategies of the mobile phone producers in Korea. Assuming that the value follows a mixed jump-diffusion process, we show that the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the D & D project and the development cost are the two key variables to the valuation. In a market where the future outcomes are more unpredictable, our model implies that an aggressive strategy returns more because it keeps more options (i.e., models in the development process) in the pipeline against the future uncertain states of the world.

      • KCI등재

        연구논문 : 주식시장 이례현상(Anomaly)과 볼록성(Convexity) 효과

        박기환 ( Kee Hwan Park ),김세권 ( Sae Kwon Kim ) 한국재무관리학회 2011 財務管理硏究 Vol.28 No.3

        우리는 이 논문에서 주식시장 이례현상을 설명하는 일반균형 모형을 구축하고 한국 주식시장을 표본으로 하여 그 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우리 모형의 두드러진 특징은 주식의 옵션가치를 비위험기업 특성과 연계하여 주식시장의 이례현상을 설명하는 것이다. 일반균형 모형은 수익률 발생과정이 jump-diffusion 과정을 따른다고 가정한다. 이 가정하에서 우리는 주식의 볼록성과 변동성이 클수록 그 기대수익률이 높다는 관계식을 도출한다. 우리는 실증적으로 기업규모가 작고 BM비율이 높을수록 주식의 볼록성과 변동성이 크며 또한 수익률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특히 위험조정수익률에 대한 Fama-MacBeth 유형의 횡단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주식의 볼록성(옵션가치) 효과는 규모효과를 통계적 유의성에서 그리고 BM효과를 경제적 유의성에서 각각 압도함을 발견하였다. 우리의 연구는 기존문헌과는 달리 주식시장 이례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적 단초를 제공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In this paper, we build a general equilibrium model which explains for the stock market anomaly and empirically test the model using the Korean stock market data. The thing which strikingly distinguishes our model from other studies is that we seek to explain for the anomaly by relating the option value of a firm to the non-risk characteristics of the firm such as the firm size and BM ratio. We assume in this paper that the return dynamics for the firm value follows a jump-diffusion process. Under the assumption, we derive the relationship that the expected return on equity increases as the equity convexity and the return volatility become greater. Empirically we find that the convexity and the volatility are greater for the firm of a small size and high BM ratio. We conduct the Fama-French type of cross-section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isk-adjusted return on equity, and report that the convexity effect overwhelms the size effect in terms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BM effect in terms of the economic significance. We think that our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that it offers a theoretical explanation for the stock market anomaly.

      • KCI등재

        사회불안의 이해와 치료

        박기환(Kee Hwan Park)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4

        사회불안은 많은 사람들이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현상으로, 다른 사람들의 평가를 의식하며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많은 연구들은 사회불안이 높을 때 주의 편향과 해석 편향을 포함하는 정보처리 편향이 심해진다는 것을 일관되게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사회적 상황에서 과도하게 자신의 불안상태에 주의를 기울이고, 타인의 부정적 반응 단서를 과민하게 지각하며, 자신의 행동과 타인의 반응을 부정적으로 해석할 뿐만 아니라 그 상황에서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측면을 보지 못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불안 상황이 지나간 후에도 부정적으로 반추하는 사후처리과정 및 어떻게 하든 불안을 감추려고 하는 안전행동과 더불어 사회불안을 영속화시키는 주요 기제로 이해되고 있다. 진화심리학적으로 볼 때 사회불안은 타인과의 경쟁에서 느끼는 열등감과 낮은 자존감으로부터 나타나는 불안이자 복종행동이라고 여겨지며, 지배자가 아닌 종속자의 위치에 있을 때는 정상적이고 적응적인 과정일 수 있지만, 특정 맥락에서 부적응적으로 기능하는 것일 수 있다. 사회불안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재까지 인지행동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지행동치료는 사회불안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해석을 교정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그러나 사회불안의 주요 특징으로서 부정적 자기개념과 낮은 자존감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편향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뿐만 아니라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긍정적인 편향을 강화해주면서 좀 더 수용적이고 자비로운 눈으로 자신의 한 부분으로서의 사회불안을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Social anxiety is a phenomenon experienced in social situations, and is characterized b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y other people. Many studies consistently show that information processing biases, including attention bias and interpretation bias, increased when social anxiety was high. In other words, social anxiety is characterized by one overly attending to their anxiety symptoms, and perceiving the negative cues of others’ behaviors, as well as not only negatively interpreting their response and others’ responses but also ignoring neutral or positive aspects in social situations. These characteristics are known to be major mechanisms for perpetuating social anxiety, along with post-event processing and safety behaviors. In evolutionary psychology, social anxiety may be a form of competitive anxiety and submissive behavior from a lower social rank. Therefore, when one is in a subordinate position, these may be normal and adaptive behaviors that come to function maladaptively in certain contexts. Until now, cognitive behavior therapy is known to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treat social anxiety. Cognitive behavior therapy aims to correct the interpretations associated wit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owever, for treating negative self-concept and low self-esteem (core features of social anxiety), it is necessary to help socially anxious persons increase positive biases and accept their anxiety with a compassionate mind, in addition to decreasing negative biases.

      • SCOPUSKCI등재

        자기력을 이용한 비접촉 6자유도 미소위치결정 기구의 개발-설계, 모델링 및 제어-

        최기봉,박기환,김수현,곽윤근,Choi, Kee-Bong,Park, Kyi-Hwan,Kim, Soo-Hyun,Kwak, Yoon-Keun 대한기계학회 1996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0 No.4

        A magnetically levitated micro-positioner is implemented to avoid mechanical friction and increase precision. Since magnetic levitation system is inherently unstable, most concern is focused on a magnetic circuit design to increase the system dynamic stability. For this, the proposed levitation system is constructed by using an antagonistic structure which permits a simple design and robust stability. From the dynamic equations of motion, it is verified that the proposed magnetically levitated system is decoupled in 6 degree-of-freedom motion.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in terms of time response and accuracy.

      • KCI등재

        인지행동치료 후 약물 중단 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최영희,박기환,김한석,하오령,Choi, Young Hee,Park, Kee Hwan,Kim, Han Seok,Ha, Oh Ryeo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0 생물정신의학 Vol.7 No.2

        Objective : The authors experienced tha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CBT) could replace medication for controlling panic attacks and anticipatory anxiety sympto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finding out predicting factors of discontinuation of medication after CBT for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Method : A hundred forty-eight patients who met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for at least 3 months had completed 12 weekly sessions of Panic Control Therapy(PCT ; Barlow et al). Eighty-one patients who could discontinue medication and sixty-seven patients who could not discontinue medication were measured with several scales as the pre- and post-treatment aassessment. The scales wer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Clinical Global Impression(CGI), Spielberger State Anxiety Inventory(STAI-state), Anxiety Sensitivity Index(ASI), Body Sensation Questionnaire (BSQ), Panic Belief Questionnaire(PBQ), Agoraphobic Cognition Questionnaire(ACQ), Fear Questionnaire(FQ), Toronto Alexithymia Scale(TAS). Results : At the pre-treatment assessment, the scores of BDI, CGI, STAI-state, ACQ, BSQ were higher in the patients who could discontinue medication than in the patients who could not discontinue medication(t=-2.68, t=-4.88, t=-3.07, t=-3.68, t=-3.35, p<0.01). Conclusion :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ho were less depressed, less anxious, less agoraphobic and who had less negative cognitions for the bodily sensation and who had higher scores in the therapist's assessment could discontinue their medications.

      • KCI등재

        충동성과 음주문제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과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연주(Park Yun-Ju),박기환(Park Kee-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에서는 충동성과 음주문제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과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와 그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2016년 3월 초부터 2016년 4월 말까지 약 2개월에 걸쳐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UPPS-P), 한국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검사(Alcohol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 AUDIT-K), 수용 행동 질문지(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16: AAQ-16), 고통 감내력 척도(Distress Tolerance Scale: DTS)를 실시하였고, 458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충동성은 경험적 회피, 음주문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고통 감내력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충동성과 음주문제와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과 경험적 회피는 각각 매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이중매개의 효과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음주문제에 충동성, 고통 감내력, 경험적 회피가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and its proc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ity and drinking problem.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492 university students from Seoul and Gyeonggi-do. In order to assess each variable, UPPS-P, AUDIT-K, DTS, AAQ-16 we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mpulsivi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rinking problem and experiential avoidance, but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tress tolerance. Second,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ity and drinking proble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distress tolerance, experiential avoidance, and impulsivity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drinking problem.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영화와 글쓰기를 활용한 자기자비 처치가 상태자기자비 및 정서에 미치는 효과

        박일(Il Park),박기환(Kee Hwa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발표불안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발표불안을 경험했던 상황을 회상함으로 인해 증가되었던 부정정서와 감소되었던 상태자기자비 및 긍정정서를 변화시키는데 있어서 ‘영화 및 자기자비 글쓰기 처치’, ‘영화처치’, ‘무처치’ 중 어떠한 개입이 더 효과적인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각 처치조건에 변화를 가져온 요인이 무엇인지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발표불안 수준이 높은 대학생을 선별하여 ‘영화 및 자기자비 글쓰기 처치 집단’, ‘영화처치 집단’, ‘무처치 집단’에 각 28명씩 무선할당 하였고, 각 집단 별로 발표불안을 경험했던 상황을 회상하기 전과 후 그리고 각 처치조건에 맞는 개입이 들어간 이후의 상태자기자비 및 정서(행복감, 슬픔, 분노감, 불안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혼합설계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화 및 자기자비 글쓰기 처치 집단’이 ‘무처치 집단’에 비해 처치 후 상태자기자비가 더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화 및 자기자비 글쓰기 처치 에 변화를 가져 온 요인은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요인을 제외한 영화치료 요인과 자기자비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화처치’에 변화를 가져 온 요인은 마음챙김을 제외한 자기자비 요인, 영화치료 요인, 주의분산 및 이완 요인으로 나타났고, ‘무처치 집단’에 변화를 가져 온 요인은 주의분산 및 이완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and compared effects of self-compassion treatment using movie and writing , movie treatment , and no-treatment to lower increased negative affects and increment decreased state self-compassion and positive affect arisen from recalling situations which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speech anxiety for college students with speech anxiety.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change factors of each treatment condition. College students with high speech anxiety level were asked to reflect and write about a negative situation related to speech anxiety they had experienced and that had made them feel negative about themselves. After writing about the even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hree conditions: self-compassion treatment using movie and writing(n=28) or movie treatment(n=28) or no-treatment(n=28) . Their state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reactions(happiness, sadness, anger, and anxiety) were measured before recall, after recall, and after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compassion treatment using movie and writing presented more significant increase in state self-compassion than no-treatment after treatment. Second, change factors of self-compassion treatment using movie and writing were self-compassion factors, cinematherapy factors without relationship factor(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and, change factors of movie treatment were self-compassion factors without mindfulness factor, cinematherapy factors, and distraction and relaxation factors. Third, change factors of no-treatment were distraction and relaxation factors.

      • KCI등재

        우울한 사람들의 과일반화 기억 : 우울 전 외상경험 유무, 우울의 부정적 기분과 기능적 결함에 따른 차이

        이민재(Minjae Lee),박기환(Kee-Hwa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과일반화 기억은 우울과 외상 경험자들에게서 발견되는 기억 특징으로, 우울장애를 포함한 심리장애의 취약성 요인이 되며 일상생활에서 문제 해결 능력이나 사회기술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 집단과 우울 전 외상경험 집단이 과일반화 기억에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우울 증상의 부정적 기분과 기능적 결함 수준에 따라 과일반화 기억에서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1월 3일부터 2018년 4월 6일까지 만 18세 이상의 성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실험을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대학생 571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우울 역학 척도(K-CESD-R)과 외상 체크리스트를 시행하였다. 설문지 응답 후 실험 참여에 동의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통제 집단, 우울 집단, 우울 전 외상 집단을 구성하였다. 총 120명이 실험 참여를 위해 방문하였으며, 실험 시기에는 K-WAIS-IV의 숫자 소검사(DS)와 자서전적 기억 검사(AMT)를 수행하였다. 총 96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 집단에 비해 우울 집단과 우울 전 외상경험 집단이 긍정 단어, 중립 단어, 부정 단어 자극에서 과일반화된 자서전적 기억을 보고했다. 그러나 우울 집단과 우울 전 외상경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높은 부정적 기분 집단이 낮은 부정적 기분 집단에 비해 긍정 단어와 부정 단어 자극에서 과일반화된 자서전적 기억을 보고하였고, 높은 기능적 결함 집단은 낮은 기능적 결함 집단에 비해 모든 단어 자극에서 과일반화된 자서전적 기억을 나타냈다. Overgeneral memory(OGM) is known as a trait marker in depression, also well-seracehd in trauma. OGM is a vulnerability factor for psychological disorder, including depression, and related to poor problem-solving and social skil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OGM in a sample of depressed populations with or without history of trauma, and negative mood(NM) and functional impairment(FI). To confirm it, 571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reponsed the set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where K-CESD-R(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 and the Check List of Trauma event. Overall, 120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phase, and completed DS(digit span) in K-WAIS-IV and AMT(Autobiographical Memory Task). Three groups were constructed by the symptoms: Control group, Depressed group, Trauma before depression group. 96 participants’ reponses were analyzed. Following results were reported. Depressed group and Trauma before depression group represented significant OGM in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cue words compared to Control group. High NM group represented significant OGM in positive and negative cue words compared to low NM group. High FI group represented significant OGM in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cue words, compared to low FI group.

      • KCI등재

        위험회피기질과 강박증상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권지혜(Ji Hye Kwon),박기환(Kee Hwa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위험회피기질과 강박증상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가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9월 한달 동안 대학생 남녀 474명을 대상으로 기질 및 성격 검사(TCI),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 Padua 강박척도-위싱턴 주립대학 개정판(PI-WSUR) 척도를 실시한 후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회피기질과 강박 증상 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회피기질과 강박증상 간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temperament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and how perfectionism mediated those factors. For this purpose, 474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MPS), and Padua Inventory- 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vision(PI-WSUR) in September 2014.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fectionis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temperament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Seco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temperament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분노 억제의 관계 : 자기비하와 이차적 분노사고의 매개효과

        정다운(Dawoon Jeong),박기환(Kee-Hwa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분노 억제 관계를 자기비하와 이차적 분노사고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대학생 36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다차원 완벽주의 척도(HMPS), 한국판 일반적 태도 및 신념 척도(GABS-K), 이차적 분노사고 척도,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를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비하, 이차적 분노사고, 분노 억제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분노 억제 관계를 자기비하와 이차적 분노사고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자기비하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이차적 분노사고를 단순 매개하여 분노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차적 분노사고의 하위요인으로는 무력감 사고만이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분노 억제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타인비난/보복사고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비하와 관련된 비합리적 신념이 높아지고, 역기능적 자동적 사고가 유발되어 분노를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self-downing and secondary anger-thoughts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in for college students. Methods 36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MPS), General Attitude and Belief Scale-Korean version(GABS-K), Secondary Anger-Thoughts Scal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STAXI-K). Result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downing, secondary anger-thoughts, and anger-in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in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self-downing and secondary anger-thoughts. And secondary anger-thoughts direct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in. In additional mediation analysis, helplessness thoughts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ion variable, but others/revenge thoughts was not. Conclusions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