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운영 형태에 대한 인식 비교 -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

        박경진,류춘렬,Park, Kyeong-Jin,Ryu, Chun-Ryol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운영 형태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 이 중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차이가 큰 핵심 변인은 무엇인지 과학영재교육 수혜자의 인식을 토대로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혜자 288명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육 경험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후 응답 결과를 졸업한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대유사체계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유형별 운영형태를 비교한 결과 교육과정 및 교원 운영 관련 변인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수혜자들의 교육경험을 토대로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교육과정 운영 및 교사 전문성 측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 걸쳐 과학영재학교일수록 만족도가 높고 과학고, 일반고로 갈수록 만족도가 낮았다. 셋째, 고등학교 유형별 운영형태에 대한 수혜자들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의 운영 형태에 차이를 보이는 핵심 변인은 교육과정 측면의 교육내용, 교수-학습과정 및 학습 환경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영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form of science academy, science high school, and ordinary high school. We tried to find what kinds of variables differ in operation form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beneficiaries. For this purpose, 288 beneficiaries were surveyed.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they graduated from and then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wer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peration form according to high school using the most similar system desig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curriculum and teacher variables.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curriculum and teacher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education experience of the beneficiary, the satisfaction for science academy was higher, but the satisfaction for science in ordinary high school was lower. Third, the key variables showing the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forms between science academy and science high school were the learning contents,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improvement of gifted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PEO 처리조건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AZ91의 표면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박경진,정명원,이재호,Park, Kyeong-Jin,Jung, Myung-Won,Lee, Jae-Ho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0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17 No.3

        Mg alloys have been used in automobile industry, aerospace, mobile phone and computer parts owing to low density. However, they have a restricted application because of low mechanical and poor corrosion properties. Thus, improved surface treatments are required to produce protective films. Environmental friendly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PEO) was used to produce protective films on magnesium alloys. PEO process is combined electrochemical oxidation with plasma treatment in the aqueous solut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pplied voltage and applied current on the surface morphologies were investigated. Also, the effects of Direct Current(DC) and Pulse Current(PC) were compared. PC and constant current control gave the dense coating on the Mg alloy. The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tests were carried out for the analysis of corrosion properties of specimens. The surface hardness was 5 times higher than that of untreated AZ91D. 마그네슘 합금은 낮은 밀도를 가지는 장점을 이용하여 자동차, 항공, 이동전화, 컴퓨터 등에 많이 쓰이고 있으나 기계적 강도가 낮고 내부식성이 좋지 않아 사용이 제한되었다. 마그네슘 합금 표면에 내식성 산화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환경 친화적인 전해 플라즈마 산화법(PEO)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PEO법은 수용약 중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전기화학적 산화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인가전압과 전휴가 산화피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직류와 펄스전류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펄스전류를 사용하고 정전류법을 사용한 경우에 치밀한 산화막을 얻을 수 있었다, 부식특성 분석을 위하여 양극산화분극방법을 이용하였다. 표면의 강도는 처리전의 AZ9ID에 비하여 5배 이상 증가하였다.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분석에 기초한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박경진 ( Kyeong Jin Park ),정덕호 ( Duk Ho Chung ),하민수 ( Min Su Ha ),이준기 ( Jun Ki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6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일반화가 가능한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례층화표집 방식을 통해 전국의 160개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교사와 학생에게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개방형 설문 결과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과학학습의 목적으로 인지적 영역과 관련된 내재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학생들은 개인적 유용성 영역과 관련된 외재적 가치를 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의 교직경력에 따라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초임교사들은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를 함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경력교사들은 과학지식 이해의 인지적 영역을 주로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선택계열에 따라서도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즉, 인문계열 학생들은 과학을 배운다면 일상생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자연계열 학생들은 과학학습의 목적이 무엇보다도 진로선택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 the purpose of science learning. Participants wer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from one hundred and sixty high schools nationwide, which were selected through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Teachers and students responded on open-ended questionnaires about the purpose of science learn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Our study illustrates three major finding: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intrinsic value related to cognitive domain as the more important purpose of science learning, while students recognized the extrinsic value related to personal usefulness domain as more important. Second, teachers`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aching career. Beginning teachers believed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values were equally important, while experienced teachers believed the cognitive domain about understanding of scientific knowledge was more important than intrinsic values.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purpose of sci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 experienced teachers is greater than the beginning teachers. Finally, students` respons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academic track. Humanity major students recognized that learning science made their everyday-life easier while science major students recognized that learning science should be related to their future care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use as the basic data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of teachers and students related to science.

      • KCI등재

        소외 영재와 일반 과학영재의 학습자 특성 차이 비교: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중심으로

        박경진(Park, Kyeong-Jin),정현철(Jung, Hyun-Chul),류춘렬(Ryu, Chun-Ryol),김범석(Kim, Beom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소외 영재와 일반 과학영재의 학습자 특성에 대한 비교를 통해 소외 영재의 특성에 맞는 교육지원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 및 영재교육 전문가와의 논의를 통해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 변인으로 구성된 자기조절학습 능력 관련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설문지를 활용 하여 전국의 과학영재 1,873명(일반 과학영재 1,625명, 소외 영재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응답 결과를 사회통합대상 여부에 따라 소외 영재, 일반 과학영재로 구분하고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 관련 대부분의 구성 변인에서 소외 영재가 일반 과학영재에 비해 낮은 평균값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소외 영재와 일반 과학영재의 자기조절학습 특성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인지조절 차원의 정교화, 조직화, 계획, 동기 조절 차원의 자아 효능감, 숙달목적 지향성, 행동조절 차원의 학업시간의 관리, 행동 통제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소외 영재는 일반 과학영재에 비해 낮은 학업 성취를 보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학습내용의 이해 정도에 대한 자기보고식 평가와도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소외 영재의 특성에 맞는 교육지원 방안으로 기초학습능력 배양을 위한 브릿지 프로그램 강화, 학습전략 코칭 프로그램, 전문가에 의한 상담프로그램 등이 체계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부족했던 소외 영재와 일반 과학 영재의 학습자 특성에 대한 직접적인 비교를 통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ducational support plan for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DGS) by comparing learner characteristics between DGS and general science gifted students (GG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concern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as developed, consisting of meta-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process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 of the researchers. The questionnaires surveyed 1,873 science gifted students (1,625 GGS and 248 DGS) nationwide.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divided into the DGS and GGS, and then the difference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most of the construct related to self-regulated learning processes, the DGS showed a lower average than the GGS. Second, the comparison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DGS and GG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aboration, organization, planning,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time-management, and action control. There results show that DGS are more likely to achieve lower academic achievement than GGS, which are consistent with the self-reporting evaluations of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basic learning capacity development programs, learning strategy coaching program, and counseling program by experts should be systematically provided as an education support pla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provided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a direct comparison of the learner characteristics of the DGS and GGS.

      • 과학 : 박테리아의 활동에 따른 석탄회에 함유된 중금속 원소의 거동변화 -삼천포 화력발전소를 중심으로-

        박경진 ( Kyeong Jin Park ),조규성 ( Kyu Seong Cho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39 No.2

        이 연구는 삼천포 화력발전소에서 방출되는 석탄회와 해수와의 반응에서 박테리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매립호수의 세 지점을 선정하여 각 지점에서 석탄회(0.4L)와 해수(1.6L)가 혼합된 세 개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 중 하나는 각각 120℃, 2.5기압 하에서 멸균 처리하고 다른 한나는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글루코스를 첨가혔으며, 나머지 하나는 자연생태로 보관하면서 박테리아의 활동에 따른 지화학적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Ca와 Mg는 글루코스를 첨가한 시료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글루코스를 첨가한 시료에서 SO42 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해수 속에 서식할 것으로 판단되는 철환원 또는 황환원 박테리아가 글루코스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황화 광물을 생성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effect that bacteria have in the reaction with the sea water and the fly ash that comes out from the cal-fired power plant in Samcheonpo. For this study, three sites of the ash pond were chosen to collect a sample of fly ash slurry. Three sample that had a mix of fly ash(0.4L) and seawater (1.6L) were collected at each site. First sample were autoclaved (120℃, 2.5atm), second one was inoculated with glucose to stimulated the microbial activity, and the last sample was kept in the natural condition. There is the tendency that the content of the element of heavy metals like Ca, Mg in the fly ash decreases heavily in the ore added with glucose. Also, SO42- decreases in the ore added with glucose. It is because the iron restoration bacteria or the sulfur restoration bacteria in the fly ash forms the sulfurate mineral in the process of consuming glucose.

      • KCI등재

        사회언어학 방면의 한ㆍ중 언어접촉 연구 : 어휘를 중심으로

        박경진(Park, Kyeong-jin) 영남퇴계학연구원 2020 퇴계학논집 Vol.- No.27

        각 나라와 민족 간의 교류접촉은 언어라는 중요한 매체를 떠나서는 야기할 수 없다. 한국과 중국 이 두 나라의 우의는 역사가 매우 유구하며, 두 나라는 수천 년의 긴 시간동안 언어문화의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그중 한국과 중국의 두 언어가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다. 중국의 한자가 한국에 유입되면서 양국은 공통의 문자를 사용했고, 그것은 두 나라언어의 어휘방면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본 논문은 사회언어학을 중점으로 한국어와 중국어가 상호간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제1장은 한자 어의(語義)의 근원으로, 제1절부터 제4절까지 구성되어 있다. 제1절은 한자의 유입시기 및 경로, 현재 한국어에서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의 점유율 등을 연구하고, 중국의 영향을 받아 한국에 유입 된 한자어에 대해 논구하고자 한다. 제2절은 중국에서 유입 된 한국한자어의 유형을 중심으로, 오늘날 한국한자어에서 존재하는 동의이음(同義異音)한자어, 동형동의(同形同義)한자어, 동형이의(同形異義)한자어, 이형동의(異形同義)한자어에 대해 서술하여 중국의 사회문화와 민족문화, 제도문화가 한국어휘에 끼친 영향에 대해 연구한다. 제3절은 동형동의어, 동음동의(同音同義)어, 이형동의어 이 세 유형으로 구분하여 한국의 영향을 받아 중국으로 유입된 한국어휘를 중점으로 서술하며, 제4절은 한국의 역사문화, 제도문화, 민족문화, 음식문화가 중국어휘에 미친 영향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제2장은 고정용어로, 제1절부터 제6절까지 구성되어 있다. 제1절은 중국으로부터 한국에 유입 된 사자성어를 조사하여 사자성어가 어떤 경로를 통해 한국에 들어왔는지, 어느 시대에 중국의 사자성어가 가장 많이 유입되었는지 그래프를 통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제2절은 중국에서 유입 된 사자성어의 유형으로, 동형동의, 이서동의(異序同義), 동형이의, 이형동의로 분류하여 연구한다. 제3절은 지역적 배경과 문화적 환경에서 나타나는 우리민족 고유의 사자성어로, 한국 고유의 사자성어가 중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제4절은 중국에서 유입 된 속담으로, 한중 속담의 유래 및 특징과 중국속담의 영향을 받은 한국 속담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제5절은 중국에서 유입 된 속담유형으로, 형식과 의미가 완전히 상통하는 동형동의 속담과 형식은 다르지만 의미가 상통하는 이형동의 속담 이 두 유형으로 나눠 한국의 문화사상과 결합되어 변천한 중국속담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마지막 제6절은 우리 민족 고유의 특질이 담긴 한국 고유의 속담으로, 한국 속담이 중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연구한다. 본 논문은 언어접촉 연구로서 어휘를 중점으로 한국과 중국의 문화교류접촉을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두 언어가 서로 맞닿을 때에 반드시 상호간의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한ㆍ중 두 언어의 어휘방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과정 및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사회언어학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본 논문은 새로운 시각의 독창성을 확보하는 것에 큰 기여를 하였으며, 지금까지 연구되거나 발표한 서적들을 바탕으로 중국어가 한국어에 미친 영향 외에, 한국어가 중국어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하여, 쌍 방향 연구의 형태유지 및 한쪽 방향의 단조로운 연구로부터 조성되는 편면성과 국한되는 한계성을 피하고자 노력했다. Language is an essential factor on the subject of international relations. China and Korea have maintained a long-lasting relationship of cultural exchange. Furthermore, the influence that each language has upon each other is significant. With the Korean adop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two countries shared a common character base. This thesis explores the interaction and influence the two languages have had upon each other with a focus on the socio-linguistic factor.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explores the source of the Chinese characters and is subdivided into four sections. The first section studies the period and channel in which the Chinese character entered Korea, as well as the pervasiveness it has in the Korean language. The second section explores the Chinese-influenced Korean character in regards to homonyms,Synonyms,Homophone-synonym,synonyms in different forms, and further reconciles the Chinese “social, national, and institutional cultures” with the influence they have had on the Korean language. The third section examines the Korean influence on Chinese language with a focus on Synonyms,Homophone-synonym,synonyms in different forms. The fourth section discusses how the Korean “historical, institutional, national and food cultures” have influenced the Chinese language. The second chapter consists of 6 sections relating to idiom. The first section aims to explore the assimilation of Chinese idioms i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study of the medium of transmission and the chronological timing of the inflow which is illustrated through a graph. The second section analyzes the Chinese idioms introduced i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categorizing them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Synonyms, Metathesis-synonym,Homophone-synonym, synonyms in different forms The third section explores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authentic and unique Korean idioms and studies how it has influenced the Chinese language. The fourth section studies the sour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proverbs and the influence they have had on those of Korean. By comparin synonyms common saying which have a common format and meaning with synonyms in different forms common saying which have differing formats by similar meanings the fifth section discusses how the Korean cultural ideals have evolved with Chinese proverbs. Section six studies the authentic and unique Korean proverbs and how they have influenced China. With a focus on linguistic contact, this paper analyzes the inevitable influence the two languages have upon each other as they interact through time and illustrates the research process and its results. This paper is written fro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and attempts to offer a unique viewpoint. In addition to contributing to the body of literature which deals with the Chinese influence on the Korean language, this paper attempts to overcome the simplistic limitation of a unidirectional analysis by also studying the reciprocal influence of Korean on Chinese.

      • KCI등재

        언론보도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관련 핵심 의제설정 변화 비교

        박경진(Park Kyeong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이 연구의 목적은 언론에서 보도된 뉴스 기사를 분석함으로써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핵심의제 설정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근 20년간(1998~2017년) 보도된 과학영재교육 관련 뉴스 기사 총 628건을 수집한 후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언론에서 설정한 핵심 의제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대체로 언론에서 가장 주목하고 있는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핵심의제는 크게 1) 영재교육을 통한 상급학교 진학, 2) 과학영재들의 의대 진학 문제, 3) 과학영재교육의 확대로 인한 사교육 조장 우려, 4) 과학기술 분야의 인재 양성 필요성, 5) 국제과학올림피아드 관련 이슈 등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특히, 그동안의 영재교육 관련 종합계획이 주로 영재교육의 양적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왔기 때문에 이로 인한 부작용을 우려한 뉴스 기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언론보도 분석을 통해 살펴본 과학영재교육 관련뉴스 기사가 긍정적 측면에 대한 이슈보다는 상대적으로 부정적 측면에 대한 이슈를 중심으로 의제가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news articles over the past 20 years to find out how the media’s core agenda-setting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has changed. For this purpose, I collected a total of 628 news articles related science gifted education from 1998 to 2017, and then using the method of text network analysis, I examined the differences in agenda setting in the medi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lthough the we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five item have appeared to be on the agenda of science gifted education, which is generally the media’s most important topic. 1) Advanced schooling through gifted education, 2) The phenomenon of the scientific gifted entering medical school, 3) Concerns over the deepening of private education due to the expans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4) The necessity of foster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alent, 5) Issues related to the international science olympiad. In particular, since the master plan for gifted education focused mainly on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gifted education, the content of the news articles concerned about the side effect of the gifted education contents was found to take a large part. Unlike previous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news articles related to science gifted education were set up on issues relatively negative aspects rather than positive ones.

      • KCI등재

        대학생들의 영재교육 참여 경험에 따른 영재교육의 이미지에 대한 인식구조 비교

        박경진(Park, Kyeong-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영재교육 경험에 따라 영재교육의 이미지에 대한 인식구조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대학생 282명과 영재교육 경험이 없는 대학생 117명 등 총 39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 여 영재교육의 이미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후 응답 결과를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일수록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해 영재교육의 긍정 이미지를 설명할 때 보다 많은 단어를 사용한 반면, 부정이미지에 대해서는 더 적은 단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영재교육에 대한 긍정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영재교육이 창의성과 지적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교육하여 미래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한다는 것을 긍정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일수록 영재들의 창의성에 중점을 둔 반면, 교육경험이 없는 집단일수록 영재들의 높은 지적 능력을 중심으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 셋째, 영재교육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영재교육이 사교육을 유발하고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일수록 사교육 관련 이슈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의 부정적 이미지를 형성한 반면, 교육경험이 없는 집단일수록 ‘차별’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부정적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structure of the image of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gifted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99 students, including 282 students with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SEG) and 117 students with no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SNG), conducted a survey on the image gifted education and analyzed the response result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esults is as follows. First, SEG used more words to explain the positive image of gifted than SNG, while negative images of gifted education using fewer word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sitive image of gifted education, it was recognized that in common, the gifted education would foster the talent needed for the future society by educating people with high creativity and intellectual abilities. However, the SEG focused on the creativity of the gifted students, while the SNG were shown a positive image based on the high intellectual ability of the gifted student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gative images of gifted education, it was recognized that gifted education commonly causes the private education. However, the SEG had a negative image of gifted education around issues related to private education, while the SNG had formed a negative images of gifted education that centered on the keyword ‘discrimination’.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