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청각장애교육 연구의 학사적 고찰(2): 1980년대에서 90년대 중반까지

        김병하 ( Byung Ha Kim ),박경란 ( Kyung Ran Park ),곽정란 ( Jeong Ran Kwa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2

        1980년대에서 199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청각장애교육 연구의 학사적(學史的) 논의를 통해 다음의 세 갈래에 걸쳐 주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로, 이 기간 동안의 저술로는 「표준수화사전」(1982, 편찬위원장: 정택영)이 우리나라에서 처음 편찬되고, 90년대 초반에 한국청각장애자복지회(당시회장: 김완)에서 의료·교육·복지를 아울러 「청각장애편람」(1992)을 펴낸 것을 주요성과로 들 수 있다. 역서로는 80년대 초중반에 「토털커뮤니케이션」(김병하, 1984)이 번역·소개되고 그 후 국가수준 교육과정 기준(1989)에서 TC 접근이 공식 도입되어 주목할 만하다. 둘째로, 이 기간 동안에 청각장애교육 분야 박사학위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면서 개인의 연구역량이 제고됨은 물론, 청각장애교육 전공분야가 학부와 대학원에서 확실히 자리를 잡아 가기 시작했다. 끝으로, 이 시기 청각장애교육 연구의 학풍적 성향을 보면, 여전히 청각장애아의 의사소통 기능면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인 반면에, 학교교육의 핵심과제인 교과교육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소홀한 면이 있었다. 또, 연구 방법 면에서 기술적(記述的) 분석과 계량적 기법에 주로 의존한 나머지 종단적·질적 방법론에 의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퍽 빈약했다. This study drew following three main conclusions through discussing scholastic history of edu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from the 1980s to the middle of the 1990s in Korea. First, “KKoorreeaann sign language dictionary dictionary” (1982) was compiled for the first time in writing area, and it can be given by a main outcome that the ““HHaannddbbooookk of the hearing impairment impairment”(1992) (was published encompassing medical care, education, and welfare by Korean Society for the Hearing Impaired in an early stage in 1990s. Translated books such as “TToottaall communication communication”(1984) (are introduced, and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C approach applied formally by national standard of curriculum(1989). Second, the study capacity of the individual was improved by continuously publishing doctoral dissertation in the area of education for the hearing impairment. Also the speciality of this field has begun to be placed surely by a university and a graduate school. Finally, when seeing academic tendency of education research for the hearing impairment in this time, most of researchers showed intensive interest to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hereas subject matter which is an essential task in education was neglected excessively. Also, in methodology of research, researchers depended more on a descriptive analysis and a quantitative technique, but longitudinal and qualitative study was relatively weak.

      • KCI등재

        한국 청각장애교육 연구의 학사적(學史的) 고찰: 1970년대 말까지

        김병하 ( Byung Ha Kim ),박경란 ( Kyung Ran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각장애교육 연구의 학사적(學史的) 논의를 위해 19세기 말 농교육의 도입과 성립(1909) 이후부터 1950년대 말까지를 태동기로 묶어 보고, 1960년대를 성립기로, 이어 1970년대를 전개기로 설정하여 시대 구분하였다. 19세기 말에 유길준은 「서유견문」(1895)의 ‘아인원’(啞人院)에서 구미의 농교육을 우리나라에 문헌상으로 처음 소개하였으며, 이익민은 Hall이 주선하여 1908년에 중국 계음학교(啓音學校)에서 시화법(視話法; visual speech)을 익혀와 이듬해 평양에서 농교육을 시작하였다. 일제치하에 조선총독부 제생원의 ‘조선맹아자통계요람’(朝鮮盲啞者統計要覽, 1922, 1928)에서는 당시 농아자 실태와 사회의학적 정보를 최초로 제공해 주었다. 광복 후에 윤백원(1946)은 ‘한글지문자’를 창안하여 청각장애학생들의 의사소통에 도움을 주었다. 1950년대 중반에 이기수는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Gallaudet 대학에서 농교육 석사학위를 받고 농교사자격증까지 취득하여 주목을 끌었다. 60년대에 접어들며 대학에 특수교육과가 설치되고 농교육 전공이 개설되었으나, 초기에는 교육연구보다 청각학적, 보건의학적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다만 특수교육개론서에 ‘농과 난청아교육’이 부분적으로 다루어졌고, 현장교사들에 의해 구어지도와 청능훈련의 효과에 대해 극소수의 제한적인 연구가 행해졌다. 그러나 70년대에 접어들며 청각학적 연구외에도 농교육의 역사, 교사교육, 통합교육, 문어능력 등에 걸쳐 다양한 주제의 교육연구가 행해졌다. 특히, 70년대 후반에는 청각장애아의 심리적 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에도 관심을 보여 연구의 지평을 넓혀 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사적인 관점에서 볼 때, 1970년대 말까지는 그 이후에 행해진 연구 성과에 비해 우리나라 청각장애교육 연구의 ‘초창기’(草創期)로 규정할 수밖에 없다. This paper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scholastic history of edu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in Korea. For that, we made three periodic divisions of edu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in Korea. From introduction & formation (1909) to the end of 1950s were regarded as a embryonic stage, 1960s was regarded as time of coming into existence, and after 1970s was set as a developmental period. Yu Kil-Chun introduced European and American education of the hearing impaired to our country for the first time on the document of AINWON(one of deaf asylum, 啞人院) in “Seo Yu Kyun Mun(西遊見聞, 1895)”by the late 19th century, and Yi Ik Min has learned visual speech at Chinese Gaeum(啓音) School for the deaf in 1908 with Hall’s help and has begun edu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in Pyeong Yang in the next year. Then a statistical survey of Korean blind & deaf was reported by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濟生院), and it provided the reality of the deaf-mute and social medical information for the first time under the rule of Japan imperialism. After Korea gained independence, ‘Hangul finger spelling’was made by Yoon Baek Won and it promoted communication skills of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Rhee Ki Su earned a master degree of edu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from Gallaudet university for the first time as Korean in the middle of 1950s.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college from 1960s at Korea Social Work College, and then teacher edu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was established by four years college level, but the early stage of researches for the hearing impaired focused more on audiology and health & medicine than an educational and psychology aspects. After deaf and hard of hearing children were dealt with i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Rhee, Tae Young, 1963) partially, a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oral speech & auditory training were performed by teachers at the field. However, after 70s, various educational researches were performed such as history, teacher education, inclusive education and the literacy ability of the hearing impaired. In particular, researchers have begun to show the interest to a study about psychological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in the late 70s. But when judging from a viewpoint of scholastic history, we have no choice but to prescribe 1970s as beginning period of the educational study for the hearing impaired in our country compared with the outcomes of studies performed after the end of 1970s.

      • KCI등재

        농문화와 농학: 그 현상과 과제

        김병하 ( Byung Ha Kim ),박경란 ( Kyung Ran Park ),이정옥 ( Jung Ok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이 연구는 장애학(disability studies)의 입장에서 농문화와 농학(Deaf studies)의 현상과 과제를 밝히기 위해 다음 세 측면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첫째는 장애학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왜 ‘농학’이 별개로 존재하는가? 둘째는 공학과 의료기술의 개가(凱歌)라 할 수 있는 인공와우이식수술(cochlearimplatation)의 발전과 보급이 왜 농의 정체성 위기를 야기하는가? 셋째는 우리나라에서 농문화와 농학의 현상과 그 정립과제는 무엇인가? 농학의 입장에 의하면 농(deafness)은 결코 장애가 아니다. 농문화의 정체성정립과 더불어 농학에서는 특히 다음 세 측면을 강조한다. 즉, 첫째는 농 프라이드를 앞세워 농(deafness)을 결함으로 보지 않고 또 다른 이상세계로서 소위 Deaf-topia를 지향한다. 둘째로 농인의 고유한 언어권으로서 수어(sign language)를 언어학 내지는 언어사회학적인 측면에서 독자적인 자질과 세력을 지니는 언어로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농인 스스로의 능동적이고 품위 있는 참여에 의한 정치적 세력화로서‘Empowerment’를 강조한다. 최근 기술공학적·의료적 혁신에 힘입어 청각장애영유아에 대한 인공와우이식수술의 급속한 파급은 농문화와 농세계를 향해 심각한 정체성 위기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농학의 입장에서 볼 때 인공와우이식수술은 이 지구상에서 농의 존재를 제거하려는 일종의 신식민주의(neocolonialism)로 인식되고 있다. 이 신식민주의적 파고는 메인스트리밍, 인공와우이식수술, 유전인자의 인위적 수정 등 세 갈래로 엉켜 몰아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농학’은 농과 농신분(deafhood)에 대한 정당한 인식론과 존재론을 정립하기 위해 청세계(hearing-world)를 향한 탈식민주의(decolonialism)운동으로서 농 집산주의(collectivism)를 제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농문화와 농학의 정립은 아직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품위 있는 농문화의 정립을 위해 무엇보다 농인계 내부로부터 소위 ‘Deaf Pride’를 당당히 제기하는 각종 문화 활동이 다양하게 축적되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특수교육으로서 농교육은 그 일차적 책임을 절감해야 한다. 농세계(Deaf-World)스스로의 긍정적 자기표현과 더불어 청세계(Hearing-World)의 농인에 대한 공감적이해와 똘레랑스 역시 중요하다. 나아가 정부 차원에서 농문화 정립을 위한 적극적지원과 대학에서 농학에 대한 학제적(學際的)관심이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ree points regarding the issues: (1) Why deaf studies should exist as a special meaningful part of disability studies? (2) Why cochlear implants threaten the identity of deaf people? (3) What is the issues and challenges to construct the deaf culture and deaf studies in South Korea? The deaf culture has formed its own discourses under the Deaf studies before the discourses of disability studies were established. Deaf studies emphasizes the empowerment of the deaf people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a new social movement. Currently, the cochlear impantation threatens the identity of Deaf pride. In this viewpoints, the future of Deaf studies depends on how the ontology of the deafness and the status of the deafhood will be embodied in our society in order to create the collectivism of deaf culture in a positive meaning. This year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education for the deaf in our country, however the identity of the deaf education is not yet clear, and the same goes for the deaf culture and Deaf studies. The reality of the Korean deaf culture is very poor and the level of supports and interests from hearing people are also very low. The primarily effort to build the identity of the deaf culture should be made by the deaf themselves, while the understanding and supports from the hearing people are also very important.

      • KCI등재

        교육본질 복원으로서의 특수교육론 정립

        김병하 ( Kyung Ran Park ),박경란 ( Byung H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4

        본 연구는 교육본질 복원으로서의 특수교육론 정립을 탐색하기 위해 세 갈래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로 교육본질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특수교육의 본말전도(本末顚倒)를 문제 삼는다. 오늘의 특수교육은 드러난 장애(disabilities)의 특수성에 지나치게 관심을 쏟은 나머지 사람을 놓쳐,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지말(用)을 근본(體)으로 착각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 둘째로, 교육본질 복원의 전범(典範)으로 동아시아의 전통 속에 우러난 유학의 「중용」(中庸)과 불학의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 주목하여, 이것이 특수교육 본질 복원에 함의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셋째는 교육본질 복원에 의한 한국특수교육론의 정립과제를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특수교육 담론은 수입학문의 성격이 강할뿐더러, 대부분 번역(때로는 2중 번역)에 의존하고 있어 그 담론이 탈맥락적이고 환원주의적인 면이 강하다. 한국특수교육론이 자기 정체성을 정립하기 위해 동아시아 역사에서 면면히 이어져 온 교육본질 복원에 천착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세계 특수교육의 보편성과 적극 소통할 수 있는 길을 열어가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 우리의 사고체계가 다른 사람들에게 이해 가능하도록 지속적으로 발언해야 한다. This paper discussed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or establishing a special education discourses as restoration of educational essentiality. First, we discussed the tail wagging the dog of special education at the perspective of restoration of educational essentiality. Today, special education has focused more on the exposed ‘ddiissaabbiilliittiieess’ than on ‘ppeerrssoonn’ as humanity. As a result, a branch(用) is mistaken as the root(體). Second, we paid attention to ‘ZhongYong(中庸)’ in confucianism and Mahayana sutra(大乘起信論) in Buddhism which are well imprinted on East Asia tradition as exemplary model of restoration of educational essentiality, then we discussed their implications for restoration of special education essentiality. Third, we discussed a task of establishing Korean special education discourses by restoration of educational essentiality. The discourses on Korean special education has greater tendency to import studies and most of the discourses of Korean special education depend on translation(sometimes translated double). For establishing Korean special education theory,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restoration of educational essentiality which has been inherited from the history of East Asia. Therefore, we have to open the way to communicate actively with the universality of the world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청각장애 영,유아의 어휘발달에 대한 종단연구 -초어 출현 이후의 표현어휘 발달-

        서영란 ( Yeong Ran Seo ),박경란 ( Kyoung Ran Park ),김병하 ( Byung H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4

        본 연구는 만 3세 이전에 청각장애를 발견한 8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초어 출현이후부터 6개월 단위로 아동의 연령 증가에 따른 표현 어휘수의 증가와 품사에 따른 변화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어 출현 시기에 있어서는 아동에 따라 현저하게 차이가 있었으나,명사를 중심으로 어휘가 발달하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동사와 형용사가 출현되었으며, 어느 정도의 내용어가 표현된 이후에 문법형태소가 출현되었다. 또한, 아동에 따라 시기적 차이는 있었으나, 특정 시기에 어휘수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일반아동의 어휘발달 양상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휘가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를 크게 두 가지 패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초어의 출현과 동시에 어휘가 급격히 증가하는 형태와 초어출현 후 6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어휘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형태로 구분되었다. This study shows the increase number of expressive word by increasing age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the patterns of changes in part of speech. 8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ho were found before chronological age 3 were involved in this study, and vocabulary data was collected every 6 months since the appearance of the proto-word. As a result, in the period of the appearance of the proto-word, they respectively show a marked difference. As they develop their vocabularies based on nouns, they gradually start using verbs and adjectives, and then utilizing grammatical morpheme after expressing some amounts of the content words. Furthermore, their vocabularies were increased dramatically in a specific period, however period of the dramatic increase differed among children. Through these results, we can expect that the patterns of vocabulary development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are similar to those of the hearing children. The period of the rapid increase in vocabularies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wo patterns: one is the pattern of the rapid increase of vocabularies immediately with the appearance of the proto-word, and the other that of rapid increase of the vocabularies between 6 months and 12 months after the appearance of the proto-word.

      • KCI등재

        유길준(兪吉濬)『서유견문(西遊見聞)』의 한국 특수교육사적 함의

        김병하,박경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구한말 우리나라 대표적인 개화사상가인 구당(矩堂) 유길준(兪吉濬;1856 ~ 1914)의 「서유견문」(西遊見聞, 1895)이 갖는 한국 특수교육사적 함의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세 갈래로 나누어 설정했다. 첫째는, 우리나라 개화사(開化史)의 입장에서 본 「서유견문」의 사상적 위상과 이 저술의 서지학적(書誌學的) 가치를 논했다. 둘째는, 「서유견문」제17편에 나타난 구미의 근대 특수교육에 대한 보고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논평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거시적인 측면에서 유길준의 「서유견문」이 함의하는 한국 특수교육(학)의 정체성 정립을 탐색하였다. 특히, 유길준의‘실상개화’(實狀開化)론과 개화에 임하는 태도에서 그가 강조한‘개화의 주인’은 우리나라의 주체적 역사성에 입각한 개화를 강조한 것으로서, 한국 특수교육(학) 정체성 정립을 위해 우리에게 중요한 시사를 제공해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