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영재의 성별, 성역할 정체감 및 과잉흥분성간의 관계

        문태형 ( Tai Hyong Mo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재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 및 성역할 정체감과 과잉흥분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영재아동 269명으로 성역할 정체감척도와 과잉흥분성 척도가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X2 검증, MANOVA, 상관분석, 상관계수의 차이검증 및 구조방정식모형의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자아동의 경우, 미분화, 양성성, 남성성, 여성성의 순으로, 그리고 여자아동의 경우 양성성, 미분화, 여성성, 남성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심동적 과잉흥분성은 남자영재아동의, 감각적 과잉흥분성은 여자영재아동의 높게 나타났다. 성역할 정체감별로는 대체로 양성성, 남성성, 여성성, 미분화유형의 순으로 과잉흥분성의 크기가 나타났다. 성별보다는 성역할 정체감이 과잉흥분성과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면, 성별간 및 성역할 정체감 유형간에는 과잉흥분성 하위요인 상관구조가 거의 동질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gifted children`s gender identity and overexcitability. A total of 269 element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 MANOVA, correlational analysis, Fisher`s z-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re used for data analyses. In both male and female gifted children, androgyny and undifferentiated type were more commo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were found on psychomotor and sensual overexcitabilities. Androgynous type has higher scores on five sub-categories of overexcitabilities than masculinity, feminity, and undifferentiated typ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gender identity and five sub-categories of overecitabilities were generally similar between gender and among subtypes of gender identi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착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문태형 ( Tai Hyong Mo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긍정적 착각 및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과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가를 분석하고 또한 이들 변인간 관련성이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306명이며, 연구도구로는 긍정적 착각,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착각 및 자아탄력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회귀분석결과에서는 심리적 안녕감 6개의 하위요인에서 긍정적 미래, 흥미관심의 다양성, 감정조절 및 낙관주의 하위요인들이 유의미한 관계를 보인다. 학년별로는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긍정적 미래, 감정조절 및 낙관주의 하위요인들이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관주의의 제고, 긍정적인 미래지향성 증진과 감정조절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중재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ositive illusion, self-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total of 306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MANOVA,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influ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or``s positive illusion and self-resilien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 Sub-factors of positive illusion and self-resilienc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ix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Especially positive future orientation and emotional control sub-factors of self-resiliency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separate analyses by grade, the same positive future orientation and emotional control sub-factors of self-resiliency were significant facto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r every grade.

      • KCI등재

        자기결정성 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따른 초등 과학, 수학 및 정보 영재아동의 판별분석

        문태형 ( Tai Hyong Mo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 수학, 정보 영재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결정성 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의한 판별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 F-test와 단계별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과학 및 수학영재는 자기결정성 동기의 내재조절과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정보영재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고, 정보영재는 외적 조절에서 과학영재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과학 및 수학영재와 정보영재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판별분석결과에서는 추출된 2개의 판별함수에서 과제난이도 선호와 외적조절이 과목별 영재를 구분하는 예측력을 지녔다. 설명변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1차 판별함수에 의해 세 영재집단은 서로 독립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결론적으로, 과학, 수학, 정보영재간에는 자기결정성 동기의 외적조절(및 내적조절)과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특징적인 차이가 나타나며, 이들 하위변인에 의해 과목별 영재집단은 구분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discriminating gifted children of science, mathematics, & information technology areas usi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 total of 89 elementary school gift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F-test, and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cience and mathematics gifted children showed higher internal regulations and self-efficacy than information technology gifted children, who scored higher than other two gifted groups in external regulation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the structure matrix of correlations between predictors and the extracted two discriminant functions suggested that the most powerful discriminating predictors for three academic groups of gifted children were the external regulation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th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a subfactor of self-efficacy. In conclusion, qualitatively different pattern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among three academic groups of gifted children were found on the sub-variable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discriminated three gifted groups wel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분화 및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의 사회 및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태형 ( Taihyong Mo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자기분화 및 긍정심리자본이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생활의 사회 및 정서적 적응과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347명이며, 연구도구로는 자기분화 척도, 긍정심리자본 및 대학생활적응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긍정심리자본의 네 하위요인은 사회적 적응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희망을 제외한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들은 정서적 적응과도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자기분화의 자기입장 하위요인은 사회적 적응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자기분화의 정서적 반응, 정서적 단절 및 정서적 융합 하위요인들은 사회적 및 정서적 적응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회귀분석결과,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에는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 및 탄력성이 정적인 영향력을, 그리고 자기분화의 정서반응 하위요인이 부적인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정서적 적응에는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이 정적인 영향을, 그리고 자기분화의 정서적 반응, 정서적 단절, 정서적 융합 하위요인들이 부적인 영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university life. A total of 34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re were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b-factors and the self-stance sub-factor of the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university life. But there were th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motional response, emotional severance, and emotional fusion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university life. The influ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university life was significant. The resilience sub-factor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 adaptation. The self-efficacy sub-factor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The emotional response sub-factor of the self-differentiation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The sub-factors of emotional severance, and emotional fusion of the self-differentiation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emotional adapt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university life.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간의 관계 연구

        문태형 ( Tai Hyong Mo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임파워먼트가 조직효과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대구, 경북의 유치원 교사 118명이 최종적인 분석의 대상이며,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임파워먼트 및 조직효과 척도가 사용되었다. 통계분석을 위해서 기술통계치,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임파워먼트 및 유치원의 조직효과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유치원 교사의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의 보상제도, 피드백, 자아존중감 및 기능다양성 하위요인이 유치원 교사의 조직효과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임파워먼트는 유치원 조직효과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or``s teacher efficacy,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total of 118 early childhood educat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e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teacher efficacy,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influenc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the compensation system, feedback, self-esteem and functional diversity sub-factors of empowermen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 In conclusion, early childhood educator’s teacher efficacy and empowerment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지능 및 자기결정성 동기와 자기효능감간의 관계 연구

        문태형 ( Tai Hyong Mo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사회지능 및 자기결정성동기가 자기효능감과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가를 분석하고 또한 이들 변인간 관련성이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230명이며, 연구도구로는 사회지능, 자기결정성동기 및 자아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ANOVA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예비유아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회지능 및 자기결정성동기의 회귀분석결과에서는 자기결정성동기의 유능감 욕구와 자율성 욕구 및 사회지능의 사회적 기술 하위요인들이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기효능감에서는 사회적 기술과 관계성 욕구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년별로 분석한 경우,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모든 학년에서 유능성 욕구가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리고 자율성 욕구, 관계성 욕구 및 사회적 정보처리 능력 등도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경우, 사회적 기술이 모든 학년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성 욕구가 고학년에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liminary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ocial intelligence,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A total of 230 prelimin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influenc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social intelligence and self- determination on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In social self-efficacy, the need for competence and the need for autonomy were significant factors. In social self-efficacy, social skill and the need for relatedness were meaningful factors. In separate analyses by grade, the need for competence appeared as a significant factor across all grades in general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need for autonomy, the need for relatedness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were also significant factors. In social self-efficacy, social skill were a significant factor across all grade and the need for relatedness appeared as a meaningful one in higher grad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미래지향목표 및 기본심리욕구가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문태형 ( Moon Tai Hy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미래지향목표 및 기본심리욕구가 학교행복감과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366명이며, 연구도구로는 미래지향목표,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상관분석 및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미래지향목표 및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들이 다양한 형태로학교행복감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특히 기본심리욕구의 관계성과 유능성은 친구관계, 교사관계, 자기효능감, 환경만족, 학습활동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예비유아교사의 관계성과 유능성의 정도에 의해 학교행복감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지향목표의 지역사회목표가 교사관계, 자기효능감, 학습활동에, 그리고 관계목표가 친구관계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예비유아교사의 미래지향목표와 기본욕구심리의 조절을 통해 학교행복감의 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uture-oriented goal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A total of 36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influ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uture-oriented goal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school happiness was significant. Especially, the community goal sub-factor of the future oriented goals ha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relationship with teacher, self-efficacy, and academic activity sub-factors of school happiness. Relationship sub-factor of the future-oriented goals had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sub-factors of school happiness.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 and competence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relationship with teacher,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 and academic activity sub-factors of school happi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기본심리욕구 및 자기조절전략과 학교행복감간의 관계

        문태형 ( Tai Hyong Mo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기본심리욕구 및 자기조절전략이 학교행복감과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272명이며, 연구도구로는 기본심리욕구, 자기조절전략 및 학교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기본심리욕구 및 자기조절전략의 학교행복감에 대한 회귀분석결과에서는 학교행복감 6개의 하위요인에서 기본심리욕구 및 자기조절전략 하위요인들이 다양한 형태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특히 기본심리욕구의 유능성 하위요인이 학교행복감 교사관계, 자기효능감, 환경만족, 학습활동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학생이 보유하는 유능성에 의해 학교행복감이 상당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전략 중 정서조절과 인지조절전략은 각각 학교행복감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정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기본욕구심리와 자기조절전략의 조절을 통해 학교행복감의 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을 의의로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self-regulatory strategy and school happiness. A total of 27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influ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self-regulatory strategy on school happiness was significant.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elf-regulatory strateg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ix sub-factors of school happiness. Especially, the influence of competence sub-factor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relation with teacher,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 and academic activity sub-factors of school happi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motional regulatory strategy and cognitive regulatory strategy sub-factors of self-regulatory strategy had significant 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ub-factors of school happines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