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소 공급자의 역량요인이 구매기업의 의존 및 거래유지의지에 미치는 영향

        문준연(Moon, Junyean)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2

        연구목적: 중소 공급자가 대규모 구매기업과의 거래 관계에서 구매기업의 거래유지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떤 역량을 개발해야 하며 이러한 역량은 구매기업의 거래유지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논리적으로 답할 수 있도록 개념적 모형을 도출하고 실증조사를 통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급자의 주요 가치창출 활동(기본적 지원역량, 고객운영 지원역량)과 인적 네트워크 및 거래특유투자를 선행요인으로 하고, 구매기업의 의존(혜택기반 의존, 비용기반 의존)을 매개변수로 하여 구매기업의 관계유지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이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31개 중소 공급자에 대한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2010년 말 현재 국내 3개 대기업 중 하나에 납품하고 있는 중소 공급업체의 최고경영자 또는 고위급 관리자가 서베이에 참여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이 사용되었다. 분석 및 연구 결과: 가설 검증 결과 총 8개 가설 중 6개가 지지되고 나머지 2개는 지지되지 않았다. 가설1을 보면, 공급자의 기본적 지원역량은 구매자의 혜택기반 의존에 유의적 영향을 주지만(가설 1A), 비용기반 의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1B). 공급자의 고객운영 지원역량은 구매자의 혜택기반 의존(가설 2A)과 비용기반 의존(가설 2B)에 유의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모두 지지되었다. 이 연구의 종국적 종속변수인 구매자의 관계유지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혜택기반 의존은 유의적 효과를 미치지만(가설 3) 비용기반 의존은 유의적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4). 공급자의 인적 네트워크(가설 5)와 거래특유투자는 모두 구매자의 관계유지의지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6).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중소 공급자는 대기업인 구매기업의 의존을 유발할 수 있고 종국적으로 구매기업 충성도로 이어질 수 있는 역량 개발에 노력해야 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3개 대기업과 거래관계를 가지고 있는 납품업체를 조사대상으로 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 연구는 신뢰와 규범, 기회주의 등 다양한 개념들을 포괄하는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설명력을 비교하고, 각 납품업체의 복수 응답자의 의견을 수집할 필요가 있다. 공헌점: 이 연구는 과거의 다수 연구와 다르게 중소 공급자의 관점에서 공급자-구매자 간 협력관계를 분석하였다. Purpose: Which capabilities should SMEs develop and how do the capabilities affect a buyer's relationship commitment?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s of an SME's value creation activities (core offering capabilities, customeroperations capabilities), personal networking capabilities, and transaction-specific investments, as antecedent factors, on a buyer's relationship commitment. The research also examines the effects of a buyer's dependence (benefit-based dependence, cost-based dependence), as intervening factors, on a buyer's relationship commit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surveys 131 small -and -medium -sized suppliers in order to accomplish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CEOs or high -level managers of the suppliers, who have had business relationships with one of the three large Korean firm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Results/findings: Six of eight hypotheses were supported, whereas two were not. Core offering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nefit-based dependence (H1A), but not on cost-based dependence (H1B). Customer-operations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benefit-based dependence (H2A) and cost-based dependence (H2B). Further, the buyer's relationship commitment, an outcome variable in this study, was influenced by benefit-based dependence (H3), but not by cost-based dependence (H4). Both the supplier's personal networking capabilities (H5) and transaction-specific investments (H6)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buyer's relationship commitment.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Overall,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s have to develop the capabilities that can increase buyer dependence as well as lead to buyer loyalty. We can indicate that this study examined only those suppliers which have had business relationships with three large buyers in Korea. Future work/research: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develop and examine the explanatory power of multiple models employing diverse concepts, such as trust, norms, and opportunism. It also needs to collect opinions from multiple informants of each supplier. Originality/value: Unlike most extant studies, the research analyzes the supplier-buyer cooperative relationships from the perspective of small -and -medium -sized suppliers.

      • KCI등재

        기업이미지와 기업-제품 적합성 및 소비자-기업 동일시가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문준연(Moon, Junyean) 한국상품학회 2008 商品學硏究 Vol.26 No.4

        이 연구는 기업이미지가 당해 기업 소속 제품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주요 설명변수로 기업-제품 적합성과 소비자-기업 동일시를 채택하여 그 영향의 정도와 경로를 분석한다. 관련 분야 연구에 의하면 기업이미지가 기업-제품 적합성을 경유하여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주고, 소비자-기업 동일시를 경유하여 브랜드 감정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한편, 기업이미지가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감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그 과정에서 기업-제품 적합성과 소비자-기업 동일시는 각기 조절작용을 한다는 보고도 있다. 이 연구는 관련 분야 연구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이론적 틀로서 매개효과모형과 조절효과모형을 제안하고 각기 도출된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자료는 서베이를 통하여 수집하였고, 대학생 347명이 응답자로 참여하였다. 소비자에게 인지도가 높은 8개 기업과 기업 당 2개씩의 브랜드가 조사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업이미지는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감정에 유의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기업-제품 적합성은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신뢰간의 관계에서 유의적인 조절변수 작용을 한다. 그러나 기업-제품 적합성은 주요인으로서 유의하지 않았고 매개변수로서도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소비자-기업 동일시는 주요인으로서 그리고 매개변수로서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비자-기업 동일시는 조절변수로서 유의적인 작용을 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가 제시하는 함의를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ompany’s corporate image on consumers' evaluations of product brands. The research examines the fit between a company and its product brands (company-product fit) and consumer-company identification as explanatory variables between the relationships. Literature indicates that corporate image directly influences consumer evaluations of brands affiliated with the company. On the basis of this perspective some studies indicate that company-product fit moderates corporate image’s effect on consumers’brand trust evaluation and consumer-company identification moderates corporate image’s effect on consumers’brand affect evaluation. However, other studies report that corporate image indirectly influences consumer brand evaluations through company-product fit and consumer-company identification. That is, each of company-product fit and consumer-company identification ha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Hypotheses are derived to test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company-product fit and consumer-company identification. Data for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from 347 undergraduate students of a large Korean university through a survey. They were asked to provide their perceptions on two brands for each of 8 large Korean companies. There are three major findings in this research. First, corporate image influence both perceived brand trust and perceived brand affect. Second, company-product fit has a significant role as a moderator between corporate image and brand trust. However, i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as neither a main factor nor as a mediator. Third, consumer-company identification has a significant role as a mediator as well as a main factor. However, i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ffect as a moderator.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희소성과 브랜드 신뢰도, 제품 유형 및 조절초점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영란,문준연,Kim. Younglan,Moon. Junyean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희소성을 공급희소성과 수요희소성으로 구분하여 각기 비희소성에 비하여 소비자 구매의도 증대에 기여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희소성 효과에 있어서 이론적, 실무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조절변수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브랜드 신뢰도(높음/낮음)와 제품 유형(실용재/상징재) 및 조절초점(촉진초점/예방초점)을 조절변수로 도입한다. 본 연구는 연구방법으로서 실험을 사용하고, 실험에 있어서 희소성과 브랜드 신뢰도 및 제품 유형은 조작 변수이며 조절초점은 측정 변수이다. 실험 디자인은 3x2x2 집단간 디자인이 사용되고, 세 가지 조작 변수의 조합에 따라 12가지 광고물이 실험 자극으로서 사용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희소성과 수요희소성은 각기 비희소성 상황에 비하여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증대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신뢰도가 높은 경우 공급희소성이 비희소성에 비하여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지만, 수요희소성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브랜드 신뢰도가 낮은 경우 희소성 효과는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희소성과 조절초점의 상호작용 그리고 희소성과 제품 유형의 상호작용은 소비자 구매의도에 유의적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희소성과 수요희소성이 모두 비희소성 상황에 비하여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희소성 효과와 브랜드 신뢰도의 상호작용효과로 인하여 브랜드 신뢰도가 높은 판매자가 희소성 메시지를 제시할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증대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조사라 는 점과 대학생들에게 주로 사용되는 두 가지 제품을 실험 자극으로 사용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This study analyzes if scarcity(supply scarcity and demand scarcity) increases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s of variables which are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mportant in scarcity effects the study employs brand credibility(high/low), product type(utilitarian/symbolic), and regulatory focus(promotion focus/ prevention focus) as moderating variables. This study uses experiment as a research method, and it manipulates scarcity(supply/demand/no-scarcity), brand credibility(high/low) and product type(utilitarian/symbolic) and measures subjects’ regulatory focus. The experimental design is 3×2×2 between-subjects design, and 12 advertisements are developed by combining three manipulated variable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pply scarcity and demand scarcity increased consumer purchase intention more than no scarcity situation, respectively. Second, when brand credibility was high supply scarcity increased purchase intention more than no scarcity, however, did not show any difference with the demand scarcity. And scarcity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brand credibility was low. Third, interaction between scarcity and product type and that between scarcity and regulatory focu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both supply scarcity and demand scarcity are more effective than no scarcity in increasing consumer purchase intention. However, marketers with high brand credibility can effectively influence consumer purchase intention, because of the interaction of scarcity and brand credibility.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this research employed university students as subjects and two product categories, as experimental stimuli, which are mainly used by students.

      • KCI등재

        메시지 프레이밍과 제품 유형 및 시간적 거리감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찬호 ( Chanho Shin ),문준연 ( Junyean Moon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 소비재에서 메시지 프레이밍의 방향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즉 메시지를 소비자가 제품 구매 시 얻을 수 있는 이익의 영역 또는 비 구매 시 발생되는 손실의 영역으로 제시하는 메시지 방향성이 소비자 태도에 차별적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과거 연구에서 사용되지 않은 제품 유형(신제품/기존제품)과 시간적 거리감(가까운 미래/먼 미래)을 메시지 방향성의 조절변수로 도입하여 주 효과와 함께 상호작용 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메시지 방향성(긍정형/부정형)과 제품 유형(신제품/기존제품) 및 시간적 거리감(가까운 미래/먼 미래)을 조작한다. 세 변수의 조합(2x2x2)에 의하여 8가지 실험 조건이 구성되며, 세 변수 모두 집단간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 효과 요인은 메시지 방향성이고, 메시지 방향성과 제품 유형의 상호작용, 메시지 방향성과 시간적 거리감의 상호작용 또한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제품의 경우 긍정적 메시지가 보다 우호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신제품의 경우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시간적 거리감에 있어서 먼 미래의 경우 긍정적 메시지가 보다 우호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가까운 미래의 경우 효과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메시지 방향성과 제품 유형 및 시간적 거리감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가 마케터에게 제시하는 시사점은 일반적으로 긍정형 메시지 프레이밍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며, 특히 기존제품을 대상으로 메시지를 구성할 때와 현재 구매가 아니라 미래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군을 대상으로 할 때 그렇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강의실에서 수행된 실험을 통한 조사로서 외적 타당성의 제약이 있고, 효과 크기가 다소 작다는 점, 실험 제품으로 한 제품이 사용되었다는 점, 먼 미래로 1년 뒤라는 한 시점만 사용된 점 등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고려하여 향후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effects of message frame direction on consumer attitudes for general consumer product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s if gains-based message and losses-based message have differential influences on consumer attitudes. Also, the study examines effects of product type(new vs existing product) and temporal distance(near future vs distant future) as moderating variables of message framing. The study manipulates message framing direction(positive vs negative direction), product type (new vs existing product) and temporal distance(near future vs distant future) in an experiment. All three factors are treated as between-subjects factors and eight experimental conditions are created by combining the three factors(2x2x2).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in effect of message framing direction and interaction effects of message framing direction by product type and message framing direction by temporal distance are significant in influencing consumer attitudes. Second, a positive message framing as opposed to a negative framing had more favorable influence for an existing product,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a new product. Third, a positive message framing as opposed to a negative framing had more favorable influence for purchasing in the distant futur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purchasing in the near future. Finally, the three way interaction of message framing direction, product type and temporal distance is not significant on consumer attitu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e that in general marketers are recommended to use a positive framing, especially when developing communication messages for existing products and for consumers who will buy in the distant future. The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cluding rather small effect sizes, use of only one product as an experimental stimulus, and use of only one year later as a distant futu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to deal with the limitations.

      • KCI등재
      • KCI등재

        패션 팝업 스토어에 있어서 소비자 특성이 청년층 소비자의 쇼핑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효린(Li, Ling Yun),문준연(Moon, Junyean)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5

        이 연구는 소비자 특성 변수가 패션 팝업 스토어의 쇼핑가치에 대한 소비자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쇼핑가치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소비자 특성 변수로 소비자 혁신성, 쇼핑 즐거움, 패션 관여도, 독특성의 네 가지 변수가 도입된다. 쇼핑가치는 실용적 쇼핑가치와 쾌락적 쇼핑가치로 구분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팝업 스토어방문 경험이 있는 20-3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며, 편의적 표본추출방법에 의하여 선정된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 279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경로분석을 통하여 가설 검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소비자 혁신성, 쇼핑 즐거움, 패션 관여도, 독특성의 네 가지 소비자 특성이 전반적으로 쾌락적 가치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각 특성이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독특성 욕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쾌락적 가치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개인 특성 변수가 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의 순서를 보면 쾌락적 가치의 경우, 패션 관여도가 1순위이고 다음으로 독특성 욕구, 소비자 혁신성, 쇼핑 즐거움의 순이다. 실용적 가치의 경우, 독특성욕구, 패션 관여도, 쇼핑 즐거움, 소비자 혁신성의 순으로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볼 때 패션 관여도와 독특성 욕구가 중요한 개인 특성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실용적 쇼핑 가치와 쾌락적 쇼핑가치는 각기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영향의 정도를 보면 쾌락적 가치가 실용적 가치에 비하여 훨씬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onsumer characteristics factors affected the consumer’s perceived shopping values of a fashion pop-up store and whether the shopping values affected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t the store. The selected consumer characteristics include consumer innovativeness, shopping enjoyment, fashion involvement, and needs for uniqueness. The shopping values are classified as either utilitarian values or hedonic values. The sample frame of the study consists of 20-30 years old consumers having experience of visiting fashion pop-up stores. A convenience sample of 279 Koreans and Chinese consumers responded to a survey questionnaire. Path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ur consumer characteristics factors influenced hedonic shopping values more than utilitarian values, except the needs for uniqueness. Second, fashion involvement was the strongest in affecting hedonic shopping values, needs for uniqueness the next, and consumer innovativeness, and shopping enjoyment in order. Needs for uniqueness was the strongest in affecting utilitarian shopping values, then fashion involvement, shopping enjoyment, and consumer innovativeness in order. We can note that overall, fashion involvement and needs for uniqueness are critical consumer characteristics variables. Third, utilitarian and hedonic shopping values each positively influenced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terms of size hedonic values had much greater impact than utilitarian valu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