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리모형을 활용한 과학영재양성사업의 성과분석: 제2차 과학영재발굴 ․ 육성종합계획(’13~’17)을 중심으로

        류춘렬(Chun-Ryol Ryu),박경진(Kyeong-Jin Park,정현철(Hyun-Chul Jung 한국영재학회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science-gifted education program and to draw up measures to improve performance management for efficient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To this end, a logic model of input, activity, output, and outcome was construct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science-gifted education program. Despite various basic and basic research and pilot programs, various new programs presented in the ‘2nd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were not implemented due to budget cuts and freezing. Nevertheless, it is believed that reliability of the distinction of gifted students, diversity of programs, and improvement of the range of beneficiaries have been made. Also, the degree of satisfaction among the recipients of science-gifted education were shown to be high and that this satisfaction contributes to the science and technology sector's choice of career path. For efficient performance management of science-gifted education programs, disaggregation and diversifica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are requir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measure performance in a short period of time, a long-term performance management plan should be prepared, and performance anagement should focus on improving linkages between programs and quality of programs. 본 연구는 과학영재양성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효율적 ․효과적 추진을 위한 성과관리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투입, 활동, 산출, 결과에 이르는 논리모형을 구축하여 과학영재양성사업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2차 과학영재발굴 ‧ 육성종합계획에서 제시된 다양한 신규사업은 다양한 기초 ‧ 기반연구 및 시범운영 사업에도 불구하고 예산의 축소 ‧ 동결의 영향으로 추진이 부진하였다. 그렇지만 과학영재 선발방식의 신뢰성 제고기반 마련,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수혜사각지대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또한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수준이며, 과학영재들의 과학기술분야 진로선택에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과학영재양성사업의 효율적인 성과관리를 위해 성과지표의 세분화 및 다양화가 요구된다. 과학영재양성사업은 특성상 단기적인 성과측정이 어렵기에 장기적인 성과관리 계획이 마련되어야 하며, 프로그램 간 연계성 및 프로그램별 자체 역량강화에 중점을 둔 성과관리가 요구된다.

      • KCI등재

        과학영재 학생창의연구(R&E) 사업의 정책집행 분석

        류춘렬(Chun-Ryol Ryu),박경진(Kyeong-Jin Park),정현철(Hyun-Chul Jung) 한국영재학회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과학고‧영재학교 학생창의연구(R&E) 사업을 중심으로 R&E 담당교원의 운영 인식을 통해 R&E 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책적 개선방안을 찾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의 불일치 관점에서 R&E 정책집행과정과 현장 정책행위자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R&E 사업은 정책의 비일관성, 정책 어그러짐의 관점에서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의 불일치를 보이고 있으며, 학교에 자율성을 부여하고 나서도 여전히 통제중심의 정책설계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더불어 R&E 담당교원의 인식조사 결과 과중한 업무부담, 전문가 섭외의 어려움, 장기적 계획 수립의 어려움, 과도한 성과 지향적 운영, 예산의 늦은 지급, 지도교사의 인센티브 부재, 그리고 첨단장비 활용·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부재 등의 문제들은 R&E 사업의 운영을 어렵게 만드는 핵심적인 원인이며, R&E 정책목표의 효과적인 달성을 저해하는 현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grasp, with R&E program of science high school and the gifted school as the center, drawbacks of R&E program through R&E teachers’ operational awarenesses, and to search for the measures of improvement in terms of policy. To that end, in this study analyzed implementation processes of R&E policies, and awarenesses of policy actor in the field in terms of disjunctions between policy goal and policy instrument. As a result, there exist disjunctions in R&E program, of which are inconsistency and policy-slippage. And although schools are granted autonomy, still regulative policy design is tend to be maintained. In addition, according to results of the research on R&E teachers’ awareness,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roblems which are the main causes making the operation of R&E program even more difficult; heavy work burden, troubles of casting experts, difficulties of establishing long-term plans, excessive result-oriented operations, delay of budget provisions, absence of incentives for the guidance teachers, shortage of professional manpower for management and application of advanced equipment, etc. These innumerable problems act as onsite factors that disrupt effective accomplishment of R&E policy goal.

      • KCI등재
      • KCI등재

        과학영재교육기관 관리자의 정책인식분석: 정책집행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류춘렬(Chun-Ryol Ryu),박경진(Kyeong-Jin Park),김범석(Beom-Seok Kim),정현철(Hyun-Chul Jung)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4

        이 연구는 과학영재교육기관 관리자의 정책인식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책집행의 상향적 접근 방법을 통해 관리자의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정책집행 이론에 근거하여 관리자 정책인식을 결정하는 요인을 정책목표 요인, 집행기관 요인, 집행관리 요인, 정책환경 요인, 그리고 정책성과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총 35명의 과학영재교육기관 관리자들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후속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과학영재교육기관 관리자들의 정책인식 분석 결과, 과학영재교육기관 관리자들은 정책목표가 모호하고 일관성이 부족하며, 과학영재 선발과정과 교육과정의 자율성 확대가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영재교육기관의 평가·관리측면에서는 타당성 제고와 평가자의 전문성 확보가 시급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책환경과 관련해서는 전반적으로 안 좋아지고 있지만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책추진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며 시급히 개선해야 할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과학영재교육 정책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대안을 정책집행의 상향적 관점에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olicy perception of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ion administrators and to derive improvement plans. In order to analyze the administrators’ perceptions, policy implementation theory was used as a foundation, and the factors that determined administrators’ policy perception comprised the policy target, executive agency management, environment, and performance factors. A total of 35 administrato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hich was then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the administrators of science-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recognized that policy goals are ambiguous and lack consistency.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 science-gifted selection process should be improved, and autonomy in the curriculum should be expanded. In addition, managers realized the need to provide appropriate, high quality evaluation and management, and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evaluators. Finally, administrators found that the policy environment was lagging, and that the government needed a strong initiative to improve it.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research-based alternatives to improve policy outcomes for science-gifted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운영 형태에 대한 인식 비교 -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

        박경진,류춘렬,Park, Kyeong-Jin,Ryu, Chun-Ryol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운영 형태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 이 중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차이가 큰 핵심 변인은 무엇인지 과학영재교육 수혜자의 인식을 토대로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혜자 288명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육 경험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후 응답 결과를 졸업한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대유사체계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유형별 운영형태를 비교한 결과 교육과정 및 교원 운영 관련 변인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수혜자들의 교육경험을 토대로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교육과정 운영 및 교사 전문성 측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 걸쳐 과학영재학교일수록 만족도가 높고 과학고, 일반고로 갈수록 만족도가 낮았다. 셋째, 고등학교 유형별 운영형태에 대한 수혜자들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의 운영 형태에 차이를 보이는 핵심 변인은 교육과정 측면의 교육내용, 교수-학습과정 및 학습 환경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영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form of science academy, science high school, and ordinary high school. We tried to find what kinds of variables differ in operation form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beneficiaries. For this purpose, 288 beneficiaries were surveyed.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they graduated from and then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wer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peration form according to high school using the most similar system desig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curriculum and teacher variables.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curriculum and teacher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education experience of the beneficiary, the satisfaction for science academy was higher, but the satisfaction for science in ordinary high school was lower. Third, the key variables showing the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forms between science academy and science high school were the learning contents,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improvement of gifted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연구보고서 분석을 통한 R&E 프로그램의 지도형태에 따른 특성 비교

        정현철(Hyun-Chul Jung),류춘렬(Chun-Ryol Ryu),박경진(Kyeong-Jin Park) 한국영재학회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2

        R&E 활동 후 학생들이 작성한 연구보고서는 자신들의 연구 결과를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작성한 산출물로서 연구 과정 전반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산출물이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작성한 연구보고서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R&E 지도형태에 따라 어떤 특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 및 연구 세미나를 통해 보고서 분석을 위한 평가 기준을 설정한 후 최근 2년 동안 작성된 연구보고서 403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분석 결과를 R&E 지도형태에 따라 교사 지도형, 교수 자문형, 교수 지도형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 지도형 연구는 학생들의 지식수준, 흥미를 고려한 주제 설정을 통해 연구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연구 수행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학습 과정 중심’의 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었다. 한편, 교수 지도형 연구는 비록 학생 수준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최신의 연구주제를 설정하였지만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적절한 연구 설계를 통해 연구결과에 대한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구 결과 중심’의 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연구보고서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해 R&E 프로그램의 지도형태에 따라 어떤 특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research reports written by students after Research and Education (R&E) activities are an important product that can confirm the whole research process as a result of systematic and logical production of their research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R&E according to the coaching types through the analysis of research report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evaluation criteria for analyzing research repor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seminars. 403 research reports of the last two yea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valuation criteria.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coaching types of R&E, and then different groups were compared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eacher-led researches were conducted mainly on ‘learning process-centered’ research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research for students who lacked experience through the selection of topics considering students’ knowledge level and interests.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rofessor-led researches have selected the latest research topics that are difficult to comprehend at the student level, but the research results have been mainly centered on the academic value of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proper study desig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aching types of R&E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 research report.

      • KCI등재

        소외 영재와 일반 과학영재의 학습자 특성 차이 비교: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중심으로

        박경진(Park, Kyeong-Jin),정현철(Jung, Hyun-Chul),류춘렬(Ryu, Chun-Ryol),김범석(Kim, Beom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소외 영재와 일반 과학영재의 학습자 특성에 대한 비교를 통해 소외 영재의 특성에 맞는 교육지원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 및 영재교육 전문가와의 논의를 통해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 변인으로 구성된 자기조절학습 능력 관련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설문지를 활용 하여 전국의 과학영재 1,873명(일반 과학영재 1,625명, 소외 영재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응답 결과를 사회통합대상 여부에 따라 소외 영재, 일반 과학영재로 구분하고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 관련 대부분의 구성 변인에서 소외 영재가 일반 과학영재에 비해 낮은 평균값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소외 영재와 일반 과학영재의 자기조절학습 특성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인지조절 차원의 정교화, 조직화, 계획, 동기 조절 차원의 자아 효능감, 숙달목적 지향성, 행동조절 차원의 학업시간의 관리, 행동 통제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소외 영재는 일반 과학영재에 비해 낮은 학업 성취를 보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학습내용의 이해 정도에 대한 자기보고식 평가와도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소외 영재의 특성에 맞는 교육지원 방안으로 기초학습능력 배양을 위한 브릿지 프로그램 강화, 학습전략 코칭 프로그램, 전문가에 의한 상담프로그램 등이 체계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부족했던 소외 영재와 일반 과학 영재의 학습자 특성에 대한 직접적인 비교를 통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ducational support plan for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DGS) by comparing learner characteristics between DGS and general science gifted students (GG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concern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as developed, consisting of meta-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process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 of the researchers. The questionnaires surveyed 1,873 science gifted students (1,625 GGS and 248 DGS) nationwide.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divided into the DGS and GGS, and then the difference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most of the construct related to self-regulated learning processes, the DGS showed a lower average than the GGS. Second, the comparison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DGS and GG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aboration, organization, planning,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time-management, and action control. There results show that DGS are more likely to achieve lower academic achievement than GGS, which are consistent with the self-reporting evaluations of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basic learning capacity development programs, learning strategy coaching program, and counseling program by experts should be systematically provided as an education support pla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provided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a direct comparison of the learner characteristics of the DGS and GGS.

      • KCI등재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수행과정 및 운영환경 분석: 지도자와 학생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정현철 ( Hyun Chul Jung ),채유정 ( Yoo Jung Chae ),류춘렬 ( Chun Ryol Ryu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8

        본 연구는 과학고 및 영재고 학생 및 지도자들의 Research and Education (R&E)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총 1,466명의 학생과 310명의 지도자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지 는 크게 R&E 수행과정에 대한 학생과 지도자의 인식 (주제선정 단계, 주제 관련 사전지식 학습 단계, 연구 설계와 문제해결 및 수행 단계, 평가 및 발표 단계)과 R&E 수행환경에 대한 인식(충분한 연구기간 및 시간 확보, 지도자와 학생의 자유롭고 충분한 만남, 연구 기반 시설과 설비를 충분히 갖춘 학습 환경)에 관한 질문들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R&E 연구수행의 전 단계 중 초반부에 해당하는 주제선정 단계와 주제관련 지식학습 단계에서 지도자와 학생의 인식차가 가 장 크게 나타났으며, 그 외의 수행과정 및 환경 요인 에서도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논의에서 R&E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and mentors`` perceptions of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s in science high schools and science academies. The sample included 1,466 science high school/science academy students and 310 mentors. They filled out the survey, which consisted of the perceptions of R&E performance procedures (Selecting a topic, Learning topic-related knowledge, Designing and performing the research study, and Evaluating and presenting results), and R&E environment (Research period, meeting opportunities with mentor/subject, learning/experimental environment).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ces existed in the perceptions of R&E performance procedures and R&E environment, especially on selecting topics and learning topic-related knowledge stages. At the end of the paper, suggestions were included for improving R&E.

      • KCI등재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운영실태 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안 : R&E 운영담당자 면담사례를 중심으로

        정현철,류춘렬,채유정 韓國英才學會 2012 영재교육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R&E programs in gifted high schools/science high school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better program. The sample included 21 R&E coordinators in the gifted high schools and science high schools. They filled out the survey, asking about the R&E program; then, the researchers interviewed the coordinators based on the answers of the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 guidelines and related materials were not enough to use. 2) At the planning step, students and the mentors received were provided a little information, such as ethical issues, students' information, the roles of mentors/ students, mentor's research interest areas and products, etc. 3) At the research step, 80% of the schools had the monitoring process but the details were not written and saved. 4) At the evaluation step, the rubric of the product evaluation existed; the rubric of performance process were established by half of the schools. 5) At the closing step, 100% of the schools had the final product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mentors were saved by 2/3 and 1/3 of the schools, respectively.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included for the better R&E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의 운영지원현황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R&E 운영단계를 준비-계획-실행-평가-종료 5단계로 구분하여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졌다. 총 18개 과학고와 3개 영재학교 R&E 운영담당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2010년 12월, 전수조사를 목적으로 각 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R&E 운영담당자 21명(100%)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준비단계에서 학생의 R&E 수행지침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운영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자료도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계획 단계에서 지도자를 대상으로 윤리적인 문제, 참고자료, 학생배경 특성 등에 관한 안내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학생들에게 지도자의 의무와 역할, 연구정보 및 업적 등에 대한 정보제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세 번째, R&E 실행단계에서는 80%의 학교가 수행 점검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세부적인 점검내용에 대한 기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네 번째, 평가단계에서 산출결과의 평가기준은 모든 학교가 갖추고 있었으나, 수행 과정에 대한 평가기준은 약 절반의 학교만 가지고 있었고, 평가비율에 발표내용과 결과보고서 비율이 높게 나타나 평가가 ‘결과’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종료단계에 결과자료집은 100% 보관되고 있었으나 평가결과는 2/3 학교가, 그리고 지도교수 정보는 약 1/3의 학교만이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관찰 내용 및 면담자료도 비교적 잘 보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R&E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운영개선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