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ine on Performance, Lipid Metabolic Parameters, and Blood and Ileal Osmolality in Laying Hens

        류명선,박재홍,신기형,나종삼,류경선,Ryu, Myeong-Seon,Park, Jae-Hong,Shin, Ki-Hyeong,Na, Jong-Sam,Ryu, Kyeong-Seon The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2003 韓國家禽學會誌 Vol.30 No.4

        비태인의 산란계 급여가 산란율과 지질 대사, 삼투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8주령 ISA Brown 산란계를 이용하여 42주령까지 두 번의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 산란계 360수를 공시하여 조단백질 16%와 대사에너지 2,800 kcal/kg, methionine 0.33%를 함유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실험사료에 비태인 0, 300, 600, 1200 ppm을 첨가 급여하였다. 8주마다 산란율과 난중, 사료섭취량, 사료 요구율, 난품질을 측정하였으며 간과 계란의 비태인 함량과 복강지방, 혈중 cholesterol, total protein, albumin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2에서 33주령 ISA Brown 산란계 20수를 케이지에 개체수용하여 2주간 사료와 물 섭취량을 측정하였으며 급여한 사료는 실험 1과 같다. 실험 종료후 산란계를 모두 희생시켜 혈청과 회장 내용물의 삼투압, arginine vasotocin(AVT), 간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 초기 8주간은 산란율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산란율이 최고에 달한 이후 비태인 600ppm 이상 급여구에서 산란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난중은 초기 8주간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이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요구율은 비태인 급여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난품질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의 비태인 함량은 비태인의 급여로 대조구보다 증가하였으나 계란의 비태인 함량은 비태인의 급여로 감소하였다. 비태인의 급여는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증가시켰으나 비태인 급여 수준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복강지방 함량은 비태인의 급여로 증가하였으나 간 지방은 감소하였다. 실험 2에서 음수량은 비태인 300과 600ppm 급여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P<0.05) 회장 소화물의 삼투압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간의 수분함량은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AVT는 비태인의 급여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태인의 급여는 산란율을 증가시키고 지질 대사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taine on egg production, lipid metabolism, and osmoregulation in 18-to 42-week-old ISA Brown laying hens. In experiment 1, three hundred and sixty one hens were fed a com-soy basal diet contailing 16% crude protein (CP), 2800 kcal/kg metabolizable energy (ME), 0.33% methionine, and 0, 300, 600, or 1200 mg betaine per kg diet. Egg production, egg weight, feed consumption, feed conversion, and egg quality were measured every eight weeks. Betaine concentration in live and egg were determined along with serum cholesterol, abdominal fat, total serum protein and albumin levels. In experiment 2, twenty thirty-three-week-old laying hens were fed the same diets as those used in experiment 1 in individual cages and the amount of feed and water consumption were measured for two weeks. At the end of experiment 2, all birds were killed to determine blood plasma and ileal osmopressure, arginine vasotocin (AVT), and liver moisture content. In experiment 1, egg production between the treatments during the first eight weeks were not different, whereas the significant increment of egg production were noticed in the birds fed more than 600 ppm betaine after reaching the peak egg production stage (p<0.05). The egg weight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the betaine supplementation for the first 8 weeks (p<0.05). Feed conversion tended to improve by betaine supplement. Egg quality was not enhanced by betaine supplementation. Liver betaine level increased with betaine feeding compared to the control but betaine concentration in eggs decreased with betaine supplementation. Betaine supplementation elevated the level of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eerides compared to the control. Abdominal fat content was increased by betaine supplementation, whereas liver fat content decreased. In experiment 2, water consump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hens fed diets containing 300 and 600 mg betaine/kg (p<0.05) and osmotic pressure of ileal digesta increased with betaine supplement. Liver moisture content was not affected by betaine, but AVT increased in hens fed betaine. The overal result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using betaine as a feed additives in the laying hens beacuse of its positive contribution to improving egg production and other metabolic parameters related to lipid metabolism.

      • KCI등재

        Bacillus amyloliquefaciens SRCM 100731의 반려 동물용 프로바이오틱스 소재로서의 특성 규명 및 배양 조건 최적화

        류명선,양희종,정수지,서지원,하광수,정성엽,정도연,Ryu, Myeong Seon,Yang, Hee-Jong,Jeong, Su-Ji,Seo, Ji Won,Ha, Gwangsu,Jeong, Seong-Yeop,Jeong, Do-Youn 한국미생물학회 2018 미생물학회지 Vol.54 No.4

        본 연구는 전통 발효식품에서 반려동물의 사료 및 보조식품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안전성 확보와 프로바이오틱스 활성 등 기능성을 갖춘Bacillus 속 균주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전국에서 수집한 전통 장류에서 약 300종의 분리주를 확보하였고, Bacillus cereus가 생성하는 구토와 설사 독소 유전자 6종, ${\beta}$형 용혈성, 발암 관련 효소 3종 등을 보유하지 않거나 생성하지 않는 4종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4종의 분리주를 대상으로 항생물질 유전자 보유 여부, 세포 표면 소수성, 항생제 감수성과 당 이용성 등을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 항생물질 생성 유전자 3종을 모두 보유하고, 혈전 용해 및 세포 표면 소수성이 가장 우수한 SRCM 100731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별된 SRCM 100731의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Bacillus amyloliquefaciens로 동정 되었으며, 펫 사료 및 식품 등 산업적 적용을 위하여 균체 성장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SRCM 100731의 배지 성분 선별을 위하여 Plackett-Burman design (PBD)을 사용하였으며, 최적 성장을 위한 배지 성분으로는 molasses와 sodium chloride, potassium chloride가 예측되었다. PBD를 통해 선정된 배지 성분의 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central composite design (CCD)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 7.0% molasses, 1.1% sodium chloride, 0.5% potassium chloride로 예측되었다. 이때 최대 균체량은 12.6625 g/L로 예측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실험 모델의 예측값과 실 측정값이 $12.6625{\pm}0.0658g/L$로 오차 범위내의 결과를 나타내어 실험 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는 실험 모델에 의해 예측된 최적 배지 사용 시 최적화 이전 배지에서의 균체량($1.8273{\pm}0.0214g/L$) 대비 약7배로 균체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B. amyloliquefaciens SRCM 100731의 제품 개발 등 후속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나 본 연구를 통해 산업 적용이 가능한 프로바이오틱스 소재의 발굴 및 산업화 배양 조건이 확립 되었으므로 앞으로 성장하고 있는 반려동물 산업에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creen the strains of Bacillus spp. possessing safety, probiotic activity, and so on, which can be utilized as probiotic resource for using the feed and supplement food of companion animal. About 300 isolates were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sauces, four isolates that did not have or produce the six kinds of B. cereus type vomiting and diarrhea toxin genes, ${\beta}$-hemolytic, and three kinds of carcinogenic enzymes were selected. Antibiotic gene retention, cell surface hydrophobicity, antibiotic sensitivity, and glucose utilization were analyzed for four isolates, and finally SRCM 100731 was selected. SRCM 100731 was nam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SRCM 100731 16S rRNA sequencing analysis, and carried out optimization of cell growth for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pet food and feed. The effects of 14 different components on cell growth were investigated and three significant positive factors, molasses, sodium chloride, and potassium chloride were selected as the main factors based on a Plackett-Burman design. In order to find out optimal concentration on each constituent, we carried out central composite design. The predicted optimized concentrations were 7% molasses, 1.1% sodium chloride, 0.5% potassium chloride. Finally, an overall about 7-fold increase in dry cell weight yield ($12.6625{\pm}0.0658g/L$) was achieved using the optimized medium compared with the non-optimized medium ($1.8273{\pm}0.0214g/L$).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highly utilized in the growing pet industry by establishing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for industrial application as well as screen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SRCM 100731 as probiotic resource for companion animal.

      • KCI등재

        벼 깨씨무늬병 및 잎집썩음병에 항진균 활성을 갖는 길항 미생물의 탐색

        류명선 ( Myeong Seon Ryu ),양희종 ( Hee-jong Yang ),정수지 ( Su-ji Jeong ),서지원 ( Ji-won Seo ),정도연 ( Do-youn Jeong ) 한국균학회 2019 韓國菌學會誌 Vol.47 No.3

        벼의 깨씨무늬병과 잎집썩음병의 원인균인 Cochliobolus miyabeanus와 Sarocladium oryzae에 의해 발병되며, 깨씨무늬병이 이삭에 발생할 경우Curvularia lunata에 의해 이삭마름병이 추가로 발병하게 되고 한국인의 주식인 쌀의 수확량 감소 및 쌀의 품질 저하와 같은 손실을 초래하여 세계적으로 벼 재배 국가에서는 큰 문제로 장기적으로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러한 식물 병원성 곰팡이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순창군 논 토양에서 세포외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siderophore를 생산하는 유용 미생물 5종을 선별하였다. 5종의 선별 미생물은 벼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 3종에 대하여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갖고 있었으며, 특히 JSRB 177 균주는 가장 우수한 활성을 지녀 최종 균주로 선별되었다. 최종 선별된 JSRB 177 균주는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으며, 최종적으로 JSRB 177의 당 이용성 및 효소 생산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생리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포트 시험 및 생산 공정 확립 등 산업화에 연관된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앞선 결과를 토대로 JSRB 177 균주는 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소재로 높은 활용이 기대된다. Brown spot and sheath rot of rice are caused by fungal pathogens such as Curvularia lunata, Cochliobolus miyabeanus, and Sarocladium oryzae, and cause losses such as reduced rice yield and quality, which is an enormous problem with serious long-term effects. To search biological control agents of phytopathogenic fungi, five kinds of useful Bacillus-like isolates which are excellent in extracellular enzyme activity and produce siderophore were selected from paddy soil of Sunchang in Korea. The selected isolates were tested for excellen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hree of the phytopathogenic fungi that frequently occur in rice, and JSRB 177 strain had the most excellent antifungal activity.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JSRB 177 is finally selected as a candidate for biological control and identified to Bacillus subtilis through 16S rRNA sequence analysis. In additi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JSRB 177 confirmed by analysis of carbohydrate fermentation patterns and enzyme production abil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JSRB 177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the rice pathogenic fungi. In the future, further studies related to industrialization such as port test and establishment of mass production process are needed.

      • KCI등재

        가금에서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

        박재홍,류명선,권정택,김상호,상병돈,신원집,류경선,Park, Jae-Hong,Ryu, Myeong-Seon,Gwon, Jeong-Taek,Kim, Sang-Ho,Sang, Byeong-Don 한국가금학회 2003 韓國家禽學會誌 Vol.30 No.4

        본 실험은 stevioside를 추출하고 폐기되는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육계와 산란계에 급여하여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실험 1은 1일령 육계 수컷 로스를 평사로 배치하여 스테비아 부산물 0, 2, 4, 8% 수준으로 급여하였으며,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6수로 총 256수를 공시하였다. 모든 처리구의 사료내 영양소 함량은 스테비아 수준에 관계없이 사육 전기와 후기에 따라 각각 CP 21.5%, ME 3,100kcal/kg와 CP 19%, ME 3,100kcal/kg 수준으로 동일하게 급여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1-3주 동안의 증체량에 있어서는 스테비아 부산물 4%와 8%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4-5주 동안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시테비아 부산물 급여구와 대조구 사이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비아 부산물의 급여가 장내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맹장의 Salmonella, E. coli는 감소하고 Lactobacillus 및 Yeast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스테비아 부산물을 급여하여 생산된 가슴육의 지방산 함량에서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는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산란계 사료에 혼합하여 산란율,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난 품질, 계란의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공시계는 78주령 하이라인 360수로 강제환우 후 5% 산란시기에 도달하였을 때 20주간 사양 실험을 시행하였다. 스테비아 부산물을 산란계 사료에 0, 2, 4 그리고 8% 수준으로 첨가하여 4개 처리구를 두었고,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8수씩 총 360수를 공시하였다. 모든 처리구의 사료영양소 함량은 CP 16%, ME 2,800 kcal/kg으로 동일하게 하였다. 전 실험기간에 산란율은 스테비아 부산물 급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난중과 산란량에 있어서도 차이가 없었으며,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도 스테비아 부산물 급여구와 대조구 사이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비아 부산물의 급여가 계란의 난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난각 강도, 난각 두께, 난백고 및 호유닛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난황의 색도는 스테비아 부산물의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은 수치를 보여 스테비아 4%와 8% 급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계란의 당 전이도 실험에서는 스테비아 부산물을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과 대조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토코페롤의 함량은 스테비아 부산물 2%, 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계란의 지방산 함량은 스테비아 부산물 2%와 4% 급여구가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고, 단가 불포화 지방산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eeding value of stevia by-product (SB) on performance in broiler chicks and laying hens. In experiment 1, a total 256 one day old male broiler chicks were replaced in 0, 2, 4, 7% of SB with four replicates for 5 weeks. All diets were consisted of isocaloric and isonitrogen containing CP 21.5, 19% and ME 3,100 kcal/kg for starting and finishing period, respectively. Weight gain of SB treatments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for the first three weeks, but no difference for the finishing period.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feeding stevia groups for overall period. There were no different total number of intestinal microflora. However, the number of Salmonella and E. coli of cecum seemed to decrease in SB feeding groups. Total Lactobacillus and yeast tended to be higher in those groups than control. The PUFa increased in SB treatments, but was no significance. In experiment 2. stevia by-product(SB) were mixed with iso-caloric and isonitrogeneous method to investigate the feeding value in induced molting hens of 78 weeks old. A total 360 birds were replaced in the four treatments(0, 2, 4, 8% SB) with five replicates. Egg production,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egg were periodically measured for 20 weeks. No difference were found in egg productio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between control and SB treatments for overall period. Egg shell breaking strength, thickness, albumen height and Haugh unit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However, yolk color was significantly high in SB treatments compared to control(P<0.05). Yolk MUFA increased significantly in SB treatments compared to that of control(p<0.05), but PUFA tended to decrease in SB treatm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total sugar in egg yolk between SB treatments and control. Tocopherol of egg yolk 2 and 4% SB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eed the control (p<0.05).

      • KCI등재

        화장품 소재로서 순창 베리류 유래 Sacchromyces cerevisiae FT4-4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

        서지원(Ji won Seo),류명선(Myeong Seon Ryu),양희종(Hee-Jong Yang),정수지(Su-Ji Jeong),정도연(Do-Youn Jeong)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2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효모의 분리를 위하여 순창군 베리류 및 과수원 토양에서 분리주 80종을 1차로 선별하였다. 80종의 분리주를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51.41%, SOD 활성은 62.23%, tyrosinase 저해 활성 64.75%로 가장 우수한 FT4-4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18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Saccharomyces cerevisiae FT4-4로 명명하였으며, API ZYM을 이용하여 세포외 효소 활성을 추가로 측정하였다. 발효 시간에 따른 균체 성장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배양 후 16시간에 최대 균체량인 3.16 g/l와 67.68%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 cerevisiae FT4-4의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세포 독성과 melanoma B16F10 세포 멜라닌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 세포독성은 50 mg/ml 이하의 농도에서 10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으며, 시료 10 mg/ml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은 72.02%로 측정되었다. 향후 FT4-4의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생산 수율을 증가하기 위한 생산조건 확립 이외에도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독성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하나, 본 연구에서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만으로도 충분히 활용할 가치가 있는 소재로 사료된다. Saccharomyces lysate has the well-known function of soothing the skin in various ways: it is an anti-irritant and can treat skin care conditions, such as skin whitening and antioxidative activity. However, data on the safety for use of Saccharomyces lysate in cosmetics and skin care products are still limited. To design a new cosmetic material with antioxidant and skin-whitening effects, 80 yeast strains were isolated from berries grown in Sunchang. Among the isolates, the FT4-4 strain, which exhibited superior biological activities, was selected for further experiments. The FT4-4 strain was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by 18S rRNA gene sequencing analysis. S. cerevisiae FT4-4 showed higher DPPH radical-scavenging (51.41%), superoxide dismutase (62.23%), and tyrosinase inhibition (64.75%) activities. The highest yield of biomass (3.16 g/l) and maximum growth rate of S. cerevisiae FT4-4 were observed within 16 h. Furthermore, the cytotoxicity potential of S. cerevisiae FT4-4 on B16F10 melanoma cells was measured by an MTT assay,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 cerevisiae FT4-4 had a capacity to inhibit melanin up to 72.02% at an initial 10 mg/ml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 cerevisiae FT4-4 could be a promising candidate as a multi-functional material for application in the cosmetic industry, especially because of its antioxidant and skin-whitening effects.

      • KCI등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SRCM115785의 protease 활성증가를 위한 배지 최적화

        양희건(Hee Gun Yang),하광수(Gwangsu Ha),류명선(Myeong Seon Ryu),박세원(Se Won Park),정호진(Ho Jin Jeong),양희종(Hee-Jong Yang),정도연(Do-Youn Jeong)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8

        본 연구에서는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전통발효식품인 막걸리로부터 분리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SRCM115785 균주에 대하여 protease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배지의 최적 농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선정한 11개의 배지 성분 중 각 성분이 protease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위해 Plackett-Burman design (PBD)를 설계하여 통계분석한 결과 glucose, yeast extract, beef extract를 protease 생산 향상을 위한 요인으로 최종 선별하였다. 선별된 3개의 성분에 대해 protease 생산을 위한 각 성분별 최적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central composite design (CCD)분석을 설계하여 protease 최대 생산을 위한 각 배지조성별 농도는 glucose 6.75 g/l, yeast extract 12.42 g/l, beef extract 17.48 g/l로 예측되었다. ANOVA 분석을 통해 실험모델의 적합성을 증명하였고, 설계한 최적배지에서 반복실험을 진행하여 protease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 예측값과 매우 유사한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일반 배지에 비해 137% 환이 증가하였으며, 추가로 정량 분석 결과 기존 25.72 U/ml 대비 59.28 U/ml로 230.47%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protease 생산량 증가를 위한 배지 성분의 최적화를 확립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용 효소로서 protease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optimal medium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ase production was established by the Bacillus strain isolated from Makgeolli, a traditional fermented food,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B. amyloliquefaciens SRCM115785 was selected as the protease producer by productivity analysis and identified by 16S rRNA gene sequencing. Plackett-Burman design (PBD) was introduced to analyze the effect of each component on protease production among the 11 selected medium components. As a result, glucose, yeast extract, and beef extract were finally selected as factors for enhancing protease production.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analysis was designed as a method to determine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each component for protease produc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each medium composition for maximum protease production was predicted to glucose 6.75 g/l, yeast extract 12.42 g/l and beef extract 17.48 g/l. The suitability of the experimental model was proved using ANOVA analysis and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to prove this, the amount of increase was 230.47% compared to the LB medium used as a control. Through this study, the optimization of medium composition for enhancing protease production was established, an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efficient use of protease as an industrial enzyme.

      • KCI등재

        블루베리 효모 발효 분말의 기능성 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으로서 Chlorogenic Acid 분석 및 검증

        정수지(Su-Ji Jeong),양희종(Hee-Jong Yang),류명선(Myeong Seon Ryu),서지원(Ji Won Seo),정도연(Do-Youn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10

        블루베리 효모 발효 분말의 개별 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개발하기 위하여 지표성분 표준화를 위한 chlorogenic acid의 분석법 설정과 분석법에 대한 벨리데이션을 실시하였다. 벨리데이션에 앞서 chlorogenic acid의 분석을 위한 추출 용매의 농도별 수율을 조사한 결과 50% 에탄올로 추출 시 2,040.14 μg/mL로 가장 우수한 수율을 나타내어 추출 용매의 농도를 확립하였다. Chlorogenic acid의 분석은 1% acetic acid가 첨가된 water와 acetonitrile을 이동상으로 하고 Capcellpak-C18(4.6×150 mm, 5 μm) 컬럼을 사용하여 기울기 용리(gradient elut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법에 대한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과 정밀성 및 회수율을 확인하였다. Chlorogenic acid의 검량선은 상관계수(R<SUP>2</SUP>)가 0.9999로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으며,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5.38 μg/mL, 16.32 μg/mL로 나타났다. 시료 농도별 intra-day 및 inter-day 분석에서의 상대표준편차(RSD)는 각각 1.34~2.5%, 0.92~2.17%로 나왔다. 회수율 측정 결과에서는 103.03~103.36%로 나왔으며, RSD는 0.83~1.22%였다. 따라서 HPLC를 이용한 chlorogenic acid의 분석법이 블루베리 효모 발효 분말의 기능성 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 분석의 적합한 시험법임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시험법에 따라 제조 공정별 블루베리 효모 발효 분말 내의 chlorogenic acid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최종 산물인 블루베리 효모 발효 분말의 chlorogenic acid 함량을 세 lot를 3회 분석하였을 때 2,032.66 μg/mL가 나왔으며, RSD 값은 0.58%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확립한 분석법이 블루베리 효모 발효 분말의 개별인 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validated an analytical method for chlorogenic acid in blueberry yeast fermented powder (BYFP) for standardization as a functional health ingredient. Measurements of the yiel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ion solvent for analyzing the level chlorogenic acid before validation showed that the extraction yield was highest at 2,040.14 μg/mL when extracted with 50% ethanol.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method of chlorogenic acid was optimized by HPLC analysis using a Capcellpak-C18 column with a gradient elution of 1% acetic acid in water and acetonitrile. This method was validated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test, and recovery test. The method showed reliable linearity of the calibration curve with a R2 of 0.9999, and the limit of quantitation and the detection limit were 5.38 μg/mL and 16.32 μg/mL, respectively.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from the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according to the chlorogenic acid concentration ranged from 1.34 to 2.5% and 0.92 to 2.17%, respectively. The recovery test ranged from 103.03% to 103.36% with RSD values from 0.83 to 1.22%. Therefore, chlorogenic acid as a marker compound in BYFP was analyzed. The amount of chlorogenic acid in BYFP was approximately 2,032.66 μg/mL after triplicate analysis, and the RSD was 0.58% using the validated meth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thod is very useful for evaluating the marker compounds in BYFP to develop a health functional food material.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