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김신원(Shin Won Kim),박태석(Tae Seok Park),노희곤(Hee Gon N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도시가 발전하면서 사람들은 삶에 있어 정신적, 문화적 욕구의 충족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 도시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요구는 과거에 비해 더욱 심화되었다. 조경 분야에서 외부 환경의 물리적 요소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외부 공간을 형성하는 주요한 골격은 토지, 식물, 정형적 요소 등이다. 도시생활에서 이용자가 향유하는 공간으로는 주로 자연이 우세한 자연적 공간, 인공적 요소가 가미된 자연적 공간, 인공성이 주가 되는 자연적 공간 등이 있다. 이러한 공간은 사람들이 자연과 접하며 휴식하고 만나고 담소를 나누는 장소가 된다. 외부 공간은 실용적인 기능뿐만이 아니라 시각적인 아름다움도 지녀야 한다. 최근 들어 조경디자인 분야에서 공간을 구성하는데 질 높은 다양한 재료들이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도시공원을 보면 특히 바닥포장과 관련해서는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이 있다. 시대의 흐름 및 도시민의 요구에 부응하여 빠른 시일 내에 도시공원 바닥포장 디자인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고 재료 선정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도시공원의 바닥포장은 이용자의 쾌적성, 안전성, 접근성 등에 영향을 준다.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디자인 개선에 관한 본 연구는 쾌적한 도시공원을 위해 필요로 하는 바닥포장의 조성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선유도, 서울숲, 월드컵공원의 현황을 조사하여 바닥포장과 관련된 문제의 요인과 유형을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공간의 질을 높이기 위해 바닥포장 개선 방안을 연구하여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품질 개선을 도모하며, 향후 도시공원 바닥포장 디자인의 수준을 제고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도시공원 바닥포장에 대해 현황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바람직한 바닥포장 재료 및 색채를 선정하고 적절한 바닥포장 디자인의 변경안을 제시하였다. 도시공원 바닥포장의 디자인 변경이 요구되는 현황을 조사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안을 제시한 본 연구의 내용은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쾌적하고 아름다운 도시공간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s cities continue to develop, people desire to fulfil their mental and cultural desires. So the demand for improving the city environment is more palatable than ever. The `outer-space` physical element in landscape architecture has its own role to play in satisfying this demand. The general frame of `outer-space` is mostly based on land, plants, and formative factors, regardless of size, fixedness, or location. The space for leisure us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is `natural space` including mountains, rivers, and seas. The second is `natural space with added artificial elements` such as parks and terraced land on the rivers, which are created to protect the natural space from probable damage and to make full use of the space as rest areas. The third is `purposeful space` such as squares and parks with environmental and human facilities. They are the spaces made for the purposes of resting, recreation, and/or indicating the border of inside or outside of buildings. The ideal function of the elements of outer space is not only providing beauty, but also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atmosphere of limited space like parks.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al norm, the design period tends to get shorter and shorter, and the recent trend is to use materials with high quality and diversity. However, the design of pavement in city parks has not been remodeled. Great improvements to facility maintenance, repair work, and plant preservation in parks have been made, but the issue of remodelling pavement has hardly been considered. Given that the type of pavement can give comfort or stress to the people visiting park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ark design. This study is to design and create surface pavement for improving the outdoor spatial quality of city parks. The specific goals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design criteria for creating user-responsive outdoor space, based upon the research findings drawn from site survey and analysis focusing on the surface pavement in city parks; and to make specific design recommendations, if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for improving the outdoor spatial quality of city parks. This research study focused on surface pavement in 3 city parks (Seonyu Island, Seoul Forest, World Cup Park) such as overall image, arrangement of pavement, design and pattern, material, and color. With this background, and with survey and analysis, this study will suggest design changes to pavement in order to make the public space of the city park more satisfying and comfortable to its users. Finding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study could be used in the designing of future projects in order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users. The changes in order to meet users` needs and to improve the spatial quality of the city parks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후보

        지역자원의 효과적 활용과 컨텐츠화를 위한 서산시 축제의 특화·발전 방안 연구

        김신원,노희곤,김정주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원 2008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festivals through a case study of local festivals in the city of Seosan, Korea. It also examined ways to develop festival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estivals in Seosan, an economic ripple stemming from the festival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he city, through gradual improvement in various fields. However, some problems were found in event planning, execution and in satisfaction of festivals. To resolve these problems, suggestions to improve festivals were examined.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the performance of local festivals held in different areas up to present. In addition, through analyzing problems, this research suggests factors for festivals to create a higher cultural standard for Seosan citizens. The research also contributes to the culture of festivals in all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