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A분석을 활용한 학습자 관점에서의 대학 모바일러닝 질 제고 방안 탐색: 정보시스템 성공모델 중심으로

        남영옥(Yeong Ok Nam),안준모(Joon Mo An),민형진(Hyoung Jin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최근 IT 기술의 발달은 학습자의 학습 환경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대학에서의 모바일러닝(m-learning) 확산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모바일러닝 품질에 대한 인식 차이를 학습자 관점에서 분석하여 모바일러닝 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있어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Delone & Mclean(2003)의 정보시스템성공모형을 기반으로 임정훈, 임병노, 성은모(2014)의 스마트교육 콘텐츠 일반 품질인증기준을 적용하여 조사문항을 개발한 뒤, 모바일러닝 유경험자가 인식하고 있는 시스템품질, 콘텐츠품질, 교수설계품질, 서비스품질 4개 영역에 대해 학습자가 인식하고 있는 품질수준과 중요도를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로 IPA모형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자는 대학의 모바일러닝 품질에서의 콘텐츠 품질과 시스템 품질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중점적으로 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는 요소이다. 둘째, 학습자는 모바일 특성이 반영된 콘텐츠 설계 및 상호작용 기능에 대한 요구를 가지고 있다. 셋째, 학습자들은 직관적인 화면 인터페이스와 메뉴 구성을 선호한다. 이 연구는 학습자 관점에서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모바일러닝 시스템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has been affecting the learning environment of learners, accelerating the diffusion of mobile learning(m-learning) in the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m-learning system by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the university m-learning quality from the viewpoint of learners. For the study, we first developed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developed by Delone & Mclean(2003) and the general quality certification criteria of Smart Education contents developed by Junghoon Leem, Byungro Lim and Eunmo Sung(2014). And next, we examined the quality level and importance of system quality, content quality, instructional desig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experienced m-learning learners. Finall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IPA model matrix analysis utilizing the collected data. First, the contents quality and system quality are observed to be the highe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learner’s perception in the university m-learning system. This means that these factors should be more considered than the others when introducing or operating the m-learning system. In addition, the impact of those factors should be systematically monitored. Second, it is found that learners have the need for contents design and interaction function reflecting mobile characteristics. Third, the analysis shows that learners prefer intuitive screen interface and menu composition in m-lear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sented a direc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obile learning system reflecting the needs of learners.

      • KCI등재

        대학의 온라인 수업 질 제고 요인에 대한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요구분석

        남영옥(Yeong Ok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이 연구는 대학의 온라인 수업의 질 제고 요인에 대한 대학생들의 요구를 교수역량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역량 요구 요인과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전공계열에 따라 요구 요인과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 수집을 위하여 총 2,19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역량 요인별 중요도와 현재수준에 대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전공에 따라 인문사회계열(818명)과 자연공학계열(1,374명)로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요구 요인과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먼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여 유효요인을 검증한 뒤,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전공계열별 우선 요구 요인을 도출하고 독립표본 T-test로 요인별 유효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인문사회계열의 요구 요인은 내용 전달력(기술), 수업 관심/적극성(태도), 피드백 제공, 학습안내 및 정보 제공, 장비 및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자연공학계열의 요구요인은 내용 전달력(기술), 피드백 제공, 수업 관심/적극성(태도), 학습안내 및 정보 제공, 학습내용 구성 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학의 온라인 수업 질 제고를 위한 정책 수립 시 고려사항과 대학생의 요구요인을 반영한 지원 방향을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eeds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ir priorities of faculty competency by their major field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for higher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undergraduate students in A university who are 818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tudents, 1,374 the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and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are 2,192 students. They responded to the online survey questionnaire on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faculty competency.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needs and priorities of respondents, the four-step analysis method of paired t-test, Borich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independent t-test are use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is found that five needs factors[content delivery ability(technology), interest/activeness in online classes(attitude), feedback, learning guidance and information, ability to use equipment and software] are prior needs for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students.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case, five needs factors[content delivery ability(technology), feedback, interest/activeness in online classes(attitude), learning guidance and information, learning content composition] are identified as prior needs.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의 플립드러닝 수업 질 관리를 위한 인증기준 설계 연구

        유병민(Byeong-Min Yu),남영옥(Yeong-Ok Nam),이화영(Hwa-Young Lee),엄희창(Hee-Chang Eo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대학의 플립드러닝에 대한 양적 확산과 질적 향상 충족을 위한 인증제도 도입에 필요한 플립드러닝 수업의 인증기준 및 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인증기준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타당도 검증과 시범 적용을 통해 수정 및 보완 과정을 거쳐 최종 인증기준을 확정하였다. 결과 3개 영역, 11개 기준, 28개 지표로 개발된 초안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3개 영역, 8개 기준, 20개 인증지표로 구성된 인증기준을 개발하였다. 결론 대학의 플립드러닝 수업 특성을 고려한 인증기준과 지표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플립드러닝의 질 관리를 위하여 수업 인증제도를 도입하고자 하는 대학에 유용한 기초 연구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ertification criteria and indicators for flipped learning classes necessary for the introduction of a certification system of flipped learning in universitie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certification criteria were derived through a literature study and an expert council, and the final certification criteria were confirmed through a process of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through verification of expert validity and pilot application. Results The draft(3 areas, 11 criteria, and 28 indicators) were supplemented, Finally the certification criteria consisting of 3 areas, 8 criteria, and 20 certific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Conclusions It is meaningful in that is certification criteria and indicator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flipped learning in universities. An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basic research data for universities that want to introduce class certification systems for quality management of flipped learning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성 함양 교구 개발 사례

        이병민(Byung-Min Lee),유병민(Byeong-Min Yu),남영옥(Yeong-Ok Nam),유승환(Seung-Hwan You),신혜성(Hye-Seong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공교육과정 속에서의 창의성 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교실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 함양 교구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창의성 함양 교구는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하여 창의적 인성을 배양하고,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을 적용하여 창의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개발된 창의성 함양 교구의 내용 타당도 확보와 검증을 위하여 창의성 교육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3차례 전문가 회의를 거쳤으며, 개발 과정에서 209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교사 연수를 진행하여 만족도와 사용성을 평가하고 개선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창의 성 함양 교구는 문제를 제시하는 토픽 카드, 학습활동을 안내하는 메소드 카드, 수업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가이드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7단계(12모듈)의 과정으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최종 개발된 교구의 현장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생 20명 집단, 중학생 41명 집단을 구성하여 시범수업을 진행하여 성과를 분석하였다. 두 집단 모두 교구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인성에 대해 사전사후 검사와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test분석 결과 초등 집단에서는 문제해결력이, 중등 집단에서는 창의적 인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개발된 창의성 함양 교구가 학생들의 창의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창의성 함양 교구의 적용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수 업 사례와 시나리오 개발이 노력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educational tools for nurturing creativity that can be used in classroom in order to promote creativity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public education and to test their effects after the application. The tools for nurturing creativity are developed to foster creative features by applying storytelling techniques and to raise creative thinking by applying a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 In the developing process, expert meetings are held and a prototype survey is conducted to secure content validity and to assess and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and feasibility of the tools. The finally developed tools consist of topic cards that present problems, method cards that guide learning activity, and guidebooks that provide information on lesson design. The experts group agree the tools are able to be applied to classrooms for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ith courses of maximum seven stages or 12 module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tools for fostering creativity, the tools are put into a pilot test to a group of 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 group of 41 middle school students. We implement a pre-and a post-tests to verify the change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e character of the students. In addition, a survey for student satisfaction is conducted to make sure if those two groups of students have different satisfaction for the tools or not The tests for effectiveness of the tools shows that problem-solving abilities are improved in the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reative character is improved in the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developed educational tools for building creativity have positive effects on nurturing students’ creativity.

      • KCI등재

        계열별 고등학교 진로교육 실태 분석을 통한 농업계 고등학교 진로교육 개선방안

        정연순 ( Yeon Soon Jung ),유병민 ( Byeong Min Yu ),진성미 ( Sung Mi Jin ),남영옥 ( Yeong Ok Nam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0 농촌지도와 개발 Vol.17 No.2

        Agricultural high schools has been changing themselves toward more effective education system to survive in rapidly changing society. Changes occur in new students, in objects of school, and i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dition of career education in agriculture high school. Questionnaires were use to collect data from 894 agricultural high school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areer education in agriculture high school has many problems in its curriculum, its contents, and the public rel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materials and manuals for career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in agricultural high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