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함경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남명옥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Researches of academic community on Hamgyong dialect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three important historical periods divided by the “Recovery” and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Due to the special geography of Hamgyong province, the academic community has not carried out systematic researches yet. Therefore, this paper summarizes main outcomes of studies on Hamgyong dialect since 2000 to get a full grasp of status quo, existing problems and future directions of studies in this field. 함경도 방언에 관한 연구는 광복과 한중 수교를 기준으로 대체로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함경도의 지리적 위치 때문에 그에 관한 연구가 늘 활발하게 진행된 것은 아니지만, 큰 범위에서 볼 때 학자들은 서로 다른 주제를 가지고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해왔다. 본고는 그동안에 이루어진 함경도 방언 연구를 토대로 기존에 정리된 것을 종합하고 2000년대 이후에 이루어진 연구들을 보충하여 함경도 방언 연구의 대체적인 흐름과 경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 내용을 시기별, 지역별로 검토하고 연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함경도 방언 연구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함북 육진방언의 평서형 종결어미

        남명옥 한국방언학회 2011 방언학 Vol.0 No.14

        This study aims to analyse lists and usage of declarative endings in the Yookjin dialects of Hambuk and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The endings have features of local dialects as they have had a variety of changes according to ages and areas. Endings of Yookjin dialects have also preserved peculiar forms and developed complicated alternant. The study divided declarative endings in the Yookjin dialects into honorification, usual treatment and disrespectful treatment according to hearer-honorification and examined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ndings. A representative ending of honorification is ‘-guma’. ‘-guma’ is combined with both predicates and substantive, and it is actually pronounced as ‘-kkuma’. When ‘-eup-’ and ‘-seup-’ are placed before ‘-guma’, it is designed to show more respect. Usually, ‘-eupguma(eukkuma)’ follows vowels and ‘-seupkuma (sekkuma)’ follows consonants. ‘eu’ of ‘-eupguma’ is completely associated with a previous vowel or sometimes drops off. When ‘-deo-’ is combined between ‘-eup-’ and ‘guma’ , and between ‘-seup-’ and ‘guma’, forms of ‘-eupdeoguma’ and ‘-seupdeoguma’ appear, which means communication. In addition, ‘-kwai/kai’ are used to be more polite to close acquaintance. Endings of usual treatment include ‘-o, -so’ and ‘-eupde, -seupde’, and ‘-yo’ as a variant of ‘-o’. The forms and usuage of ‘-o’ and ‘-so’ are like those of the standard language. ‘-eupde’ and ‘-seupde’ are forms with a meaning of ‘-deora’ and ‘-eupde’ is used after a vowel and ‘-sepde’ is used after consonants except . Endings of disrespectful treatment include ‘-da’ and ‘-deora’ and their forms and usag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tandard language. 이 연구는 육진방언의 평서형 종결어미의 목록과 용법을 밝히고 그의 통사, 의미적 특성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법 형태 가운데 종결어미는 시대나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겪으면서 지역 방언의 특색을 잘 나타내고 있다. 육진방언의 종결어미 역시 특이한 형태를 많이 보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변이형도 복잡하게 발달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육진방언의 평서형 종결어미를 상대높임법에 따라 존대, 평대, 하대로 나누어 그 목록을 제시하고 이들 어미의 통사적, 의미적 특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존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종결어미로는 ‘-읍구마/습구마’가 있다. 모음 뒤에서는 ‘-읍구마(으꾸마)’가 쓰이고 자음 뒤에서는 ‘-습구마(스꾸마)’가 쓰이는데 ‘-읍구마’의 ‘으’는 앞모음에 완전동화 되면서 때론 탈락하기도 한다. 또한 ‘-읍-’과 ‘구마’ 사이, ‘-습-’과 ‘구마’ 사이에 회상법의 선어말어미 ‘-더-’가 결합되어 ‘-읍더구마’, ‘-습더구마’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그 외에 ‘-읍구마/습구마’보다 좀 더 공손한 표현인 ‘-꽈이(까이)’가 있다. 평대를 나타내는 종결어미에는 ‘-오/소’와 ‘-읍데/습데’가 있으며 그 외에도 ‘-오’의 변종인 ‘-요’가 있다. ‘-오/소’는 그 형태나 쓰임이 표준어와 거의 비슷하다. ‘-읍데/습데’는 ‘-더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말로서 모음 뒤에서는 ‘-읍데’가 쓰이고 ‘ㄹ’을 제외한 자음 뒤에서는 ‘-습데’가 쓰인다. 하대를 나타내는 종결어미에는 ‘-는다/ㄴ다/다’, ‘-더라’가 있는데 이들의 형태와 쓰임은 표준어와 같다.

      • KCI등재

        중국 조선어의 한어기원 한자어에 대한 고찰

        남명옥 한국어의미학회 2011 한국어 의미학 Vol.35 No.-

        This study speculated the acceptance and semantic properties of Sino-Korean derived from Chinese language targeting sino-Korean vocabulary which is not used in North and South Korea and published in 『Contemporary Korean Dictionary』(2009) by Yanbian Publishing. ‘Sino-Korean derived from Chinese language’ indicates sino-Korean newly accepted by Korean language through contemporary Chinese language, not existing Chinese Korean, published in a dictionary and already used as a standard language in China. Sino-Korean vocabulary derived from Chinese language appears in double language us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nd an important heterogeneity sing of Chinese Korean language. In the acceptance process, Sino-Korean derived from Chinese language collides with existing sino-Korean with the same meaning and synonyms coexit, or Sino-Korean derived from Chinese language is used or semantic area of existing sino-Korean changes. Existing sino-Korean has semantic changes due to Chinese language. This study aims to analyse types of semantic changes and the reasons in terms of language, history, society, foreign languages and necessity of new titles.

      • KCI등재
      • 함북 륙진방언의 친족어에 대한 고찰

        남명옥(南明玉)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2 중국조선어문 Vol.178 No.-

        이 론문은 함북 륙진지역에서 사용하는 고유어 친족어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이 지역 친족어의 사용실태를 알아보고, 부분 친족어의 어원을 살펴보고자 한다. 함북 륙진지역은 예로부터 정치-문화의 중심지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변경지역인데다 자연지리적인 조건이 외부와의 접촉을 소원하게 한 까닭으로, 조선어의 여러 방언중에서도 가장 보수적이며 다른 방언에 비해 잔재적인 요소와 이질적인 요소를 많이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 방언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조선어의 방언분화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 산재지역 조선족 학생들의 조선어문능력 약화 원인 및 개선방안 연구

        김영자(金英子),방향옥(方香玉),남명옥(南明玉)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0 중국조선어문 Vol.228 No.-

        소수민족지구에서 이중언어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우리 나라 민족교육 개혁과 발전의 기본요구로서 당과 국가의 민족평등정책의 체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중언어교육의 목적은 소수민족들로 하여금 본 민족의 언어뿐만 아니라 국가 통용언어인 한어도 익히게 함으로써 이중언어를 장악한 문화인으로 되게 하는 것이다. 산재지역의 조선족들은 언어환경으로 인해 한어를 많이 쓰는바 이는 산재지역 조선족학교들이 이중언어교육에서 비교적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게 된 하나의 조건으로 된다. 그런데 요즘 산재지구 조선족 학생들의 조선어문능력이 많이 약화되여가고 있고 조선어문에 대한 중시도도 낮아지고 있다. 본 론문에서는 산재지역 조선족학교 학생들의 조선어문능력이 약화되고 있는 원인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에 대해 검토해보려고 한다.

      • KCI등재

        한국어 가족어휘에 반영된 가족관 변화 연구

        조경순(Jo, Kyung-Sun),남명옥(Nan, Ming-yu),이서희(Lee, Seo-hee)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9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4

        우리나라는 전통사회에서 근대를 거쳐 현대사회로 오며 가족의 구성, 가치, 의미, 태도 등에서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거나 겪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사회와 문화는 언어와 밀접한 영향 관계에 있으므로, 가족의 변화는 한국어에 일정 부분 영향을 주었을 것이고 가족어휘에 반영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예로 가족어휘가 혈연관계가 아닌 사회적 관계를 나타내는 호칭이나 지칭으로 쓰이는 경우, 전통적 가족어휘의 차별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새로운 가족어휘나 호칭어를 사용하며 가족 구성원으로 반려동물을 포함하는 인식이 확산되며 반려동물에게 사람 호칭어를 사용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가족어휘에서 가족의 변화 양상을 찾아보고자 한다. 그런데 가족의 의미나 가치는 한민족의 것이므로, 한국어를 소통 수단으로 삼는 공동체의 가족어휘를 대상으로 연구한다. 구체적으로 남한, 북한, 연변의 언어를 대상으로 가족어휘 현황, 의미, 변화 양상 등을 비교한다. 그리고 한국어 공동체 내에서 전통적 가족어휘 중 일부 집단에서만 사용되거나 사전에 등재되어있을 뿐 잘 쓰이지 않는 것이 있고, 초개인화 시대의 1인 가족과 1자녀 가족 등이 늘어나며 새로운 가족어휘가 생겨나는 현상을 논의한다. Moving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to the modern society, Korea has experienced many changes in the composition, value, meaning, and attitude of family. As the society and culture influence the language, it is predictable that such changes in family probably had some effects on Korean language, which would be reflected in the family lexicon. This thesis aims to seek for changes in family and Korean-style family view in the family lexicon of Korean language. As the meaning and value of family belong to the Korean peopl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family lexicon of communities using Korean language as the means of communication. There are the cases in which the family lexicon is used as title or designation meaning the social relationship instead of the blood relationship. With the criticism on the differentiation of traditional family lexicon, the new family lexicon or titles are used. Due to the spread of perception of including pet animals as family members, the titles for humans are used for pet animals. Concretely, this study compares the current status, meaning, and aspect of change of family lexicon targeting the languages of South Korea, North Korea, and Yanbian. A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 of how the family relationships have been changed in the communities of Korean language, and how the Korean people think of family. Through this discussion, the aspect of change in family lexicon of Korean language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ut of the traditional family lexicon, there are the words that are used only in some groups or the words registered in dictionary that are not used a lot. Second, with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family and single-child family in the super-individualization era, the new family lexicon is gene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