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선택과 집중`의 종언: 포스트클러스터 지역산업정책의 논거와 방향

        남기범 ( Kee-bom Nahm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4

        지난 20여 년간 지역경제성장과 산업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분야에서 클러스터정책이 진행되었다. 클러스터정책은 지역의 산업진흥과 혁신역량강화에 어느 정도 기여했지만, 모든 지역에 동일한 처방의 적용, 선택과 집중이라는 특화산업 중심의 지역산업정책으로 인한 산업고착화와 지역회복력 쇠퇴, 업종중심의 산업정책의 문제 등을 노정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산업의 융합화와 이에 따른 산업공간의 변화를 고찰하고, 산업지역의 혁신과 거버넌스의 변화의 추세를 분석한다. 기존의 지역특화 산업정책의 문제를 비판하고 지역산업의 발전을 위한 포스트 클러스터정책을, 장소기반의 스마트전문화 전략과 지역의 융복합 산업정책 중심으로 전환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During the last two decades, industrial cluster policies for promoting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have been flourishing all over the world. Even though cluster policies have partly contributed to regional industrial growth and innovation capabilities, they have long been blamed for regional industrial lock-ins and declining regional industrial resilience because of applying homeogenous cluster policies and regional specialized strategic industrial promotion policies for various localities, which are based on so-called `selection and concentration` principle. This paper suggests post-cluster policy focused on placed-based smart specialization and regional business platform strategies.

      • KCI등재

        청계천로변 전문상가의 신 산업집적체형성과 사회적 자본의 특성

        남기범(Kee Bom Nahm) 한국경제지리학회 200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4 No.2

        This paper introduces a new type of industrial cluste developed at the CBD of Seoul. Conventionally, clusters are said to be consisted of hi-tech, often IT activities, manufacturing industries or artisan craft industries with increasing vertical integration and performance usually supported by venture capitals and favorable business infrastructure, not to mention governments`, be it central or local, incentive plans. The study area, Cheonggyechon region has long been a traditional CBD frame of Seoul, Korea, being troubled by deterioration, traffic jams,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as most inner cities experience. Recently, this region has transformed to the most dynamic and productive area not by IT industries but by apparel and fashion activities. The study of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and key characteristics for this kind of industrial cluster can give us insight both for the transition of inner city and for the cluster theory. This paper firstly briefly profiles the growth of the Cheonggyechon region over the past decade. It then shows the current spatial and business structure of the new industrial cluster, focusing on the fact that transactions costs are reduced, the creation and flow of information improves, and the local institutions are prone to be most responsive to the new cluster`s specialized needs. The third section presents the key components of the customized production-distribution-shopping cluster development process, emphasizing the localized networking, social capital, spontaneous institutionalization of associational economic climate, and cultural economy based on place-specific inertia. The paper concludes with some comments about the prospects and perils of the new industrial cluster of Seou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창조도시 논의의 비판적 성찰과 과제

        남기범 ( Kee Bom Nah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1

        최근 도시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대안으로 문화와 예술, 문화산업 등을 활용한 창조도시정책이 강조되고 있다. 관용을 기반으로 기술과 창조적 인재를 유입해 다양성과 역동성을 창출한다는 논리는 많은 도시와 지역에서 각광받았고 지금도 많은 곳에서 창조도시를 기반으로 하는 정책을 수립중이다. 하지만 창조도시의 논의는 20세기 후반 제인 제이콥스(Jacobs)의 이래 계속되어온 인문적 전통복원을 통한 창조도시의 추진방향과도 다르며, 실제로 후기 산업사회의 도시경제, 사회, 공간의 특성과는 괴리가 있게 진행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창조도시의 논의의 인문학적 배경과 플로리다 중심의 창조도시논의 문제점을 도시정책의 차원, 도시경제성장의 이론적 차원, 창조성의 창출논의의 차원으로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창조도시정책 방향전환의 과제를 제시한다. Urban policies for urban development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has recently focused on the creative city thesis based on culture, art, and cultural industries. The rationale for creating diversity and dynamics through upgrading technology and attracting talent stemming from tolerance, has been adopted by numerous urban regional planners in the world. These policies and strategies are, however, have widely been digressed from the very creative city thesis based on humanistic renaissance of urban areas since Jane Jacobs. Furthermore, on-going creative city-making policies seem to not to be able to reflect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urban economy, society, and space of Post-Fordist cities. This paper reappraise the creative city thesis and analyze the ‘Florida style’ creative city policies in terms of humanistic backgrounds, theories of urban economic growth, and emergence of creativity. Lastly, it suggests the new directions for Korean creative city policies.

      • KCI등재

        문화 R&D의 창조적 협력 구조 연구

        남기범(Nahm, Kee-Bom)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4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4

        최근 도래한 스마트환경과 창조경제는 문화콘텐츠에 있어서 사용자 중심의 환경을 실현시켰다. 이에 문화기술의 융합적이고 창조적인 콘텐츠의 필요성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콘텐츠 산업의 경우 취약한 스마트 생태계와 기술수준의 미약성과 민간부분의 영세성으로 인해, 문화기술에 대한 성과는 낮은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알아본 협력구조연구를 시행하였는데, 문화 R&D(게임중심)에 대한 전문가들의 FGI조사와 언어네트워크 연구를 통해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단어연결망 분석을 통한 주제들의 관계성에서는 문화 ‘R&D’, ‘협력’, ‘필요’, ‘게임’, ‘거버넌스’, ‘융합’, ‘인문’, ‘CT’등 주요 단어들의 의미와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조사결과를 통해 5가지 전략방안(S.M.A.R.T)을 도출하였다. 첫째, 지속가능한 문화발전(Sustain ability), 둘째로 다양한 활용(Multi-Use), 셋째로 유기적인 조직화(Asso ciation), 넷째로 시장회복가능성 증진(Resiliency), 마지막으로 인재육성을 통한 창의적인 자산확충(Tech & Talent) 등을 결과로 제시한다. The recent advent of the smart environment and the creative economy have realized user-centric environment on the cultural content issues. The need for convergence of cultural technology & creative content is increasing. However, due to the vulnerable smart ecosystem with the low skill level of domestic content industry & the private sector, it is true that the low performance of cultural technology and related fields. We perform the study on the cooperation structure study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FGI survey and language network research for the culture R&D (game-centric) field to obtain the significant results.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through the word network analysis is very meaningful. For example, level of co-relation among ‘culture R&D’, ‘cooperation’, ‘need’, ‘game’, ‘governance’, ‘convergence’, ‘humanities’ and ‘CT’ is very high. Findings derived through the use of five strategies(SMART). First, sustainable cultural development(Sustainability), Second, the leverage(Multi-Use), organic organization (Association), as the third and fourth as likely to promote the market recovery, (Resiliency),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rough creative asset expansion (Tech & Talent) has been propo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

        창조경제정책논의와 지역발전

        남기범 ( Kee Bom Nahm ),송정은 ( Jung Eun Song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4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7 No.4

        이 글에서는 박근혜정부의 창조경제정책의 문제점과 지역발전에의 함의점을 고찰했다. 정부의 과학기술 기반의창조산업정책은, 창조경제에서 ICT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창업을 촉진하고 ICT 기반의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협력적선순환 지식·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하지만 IT산업이 취약한 지역의 생태계에서의 배제는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며, 나아가 지역격차의 확대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 둘째, 창조경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창도도시 논의는저성장시대로 접어들면서 창조산업의 선도적 역할이 축소되었으며, 나아가, 도시규모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동해, 경제성장에 따른 급속한 공간적, 사회적 불균형을 가지고 있는 아시아지역의 도시공간체계 개선의 대안이 되기는 어렵다. 셋째, 기존의 테크노파크(TP), 기술혁신센터(TIC), 지역연구센터(RRC) 등의 모형을 답습한 창조경제혁신센터 모형은 기술 고착화의 위험성과 지역의 발전이 지체되고 현재의 상태에 안주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연관 다양성’의부족으로 인한 근본 문제도 있다. 창조경제의 원래의 의미를 회복하고, 창조경제의 구축이 아니라 창조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며, 지역의 발전을 위해 대기업에 의존하는 벤처창업중심이 아니라, 대학-기업-기방정부가 협력하여 학연·산·관이 공식,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성과와 인력자원, 교육·훈련기능이 기업으로상시적으로 교호하고 지식이 수직, 수평적으로 교환되는 제도가 지역에 정착됨으로서, 혁신네트워크가 누적인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학습지역으로 발전하는 정책이 요구된다. This paper criticized the recent Korean ‘creative economy policies’ focused on regional developmentalimplications. Even though the policies targeted to promote ICT new startups and build virtuouscircle of ICT industrial ecosystem in Korea as a whole, the outside regions of the Seoul-Busan industrialaxis where the bases of ICT industries are very weak would suffer from systematic exclusion in ICT investmentsand deepening regional disparities. Second, ICT-centered policies would selectively affect oroperate commensurate with the size of regions in this low-growth, after-financial crisis age. Third, thepossibilities of regional insularity and lock-in in these low levels of ‘related variety’ regions would worsen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Lastly, the policies should be reoriented to fortify region-based creativeeconomic ecosystem based upon triple helix learning region.

      • KCI등재

        近者悅遠者來

        남기범(Kee-Bom Nahm),송정은(Jung Eun S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이 공동체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문화예술의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관점, 젠트리피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화예술은 지역의 상징성과 매력의 원천이며, 주민의 창의성, 정체성, 소속감 등을 불어넣지만, 대형 문화시설이나 이벤트성 문화행사는 지역에 배태되지 못하고 사회-공간적 불균형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문화예술은 또한 지역재생의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주민과 예술가들을 구축하는 젠트리피케이션의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창조도시의 논의도 도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만병통치약으로 변질되고, 정치인의 구호와 계획가의 로망으로 남게 되었다. 문화예술의 발전이 주민의 참여와 소속감을 바탕으로 한 사회·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동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 먼저 지역역량을 강화하여 문화예술을 창작, 소비하는 선순환구조가 만들어지고(近者悅), 사회·경제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遠者來)는 점에서 새로운 방향성이 필요하다 This paper critically assesses the regional socio-economic impacts of art & culture. It firstly deals both with the intrinsic values and instrumental benefits of art & culture, as well as ambivalent characteristics, such as triggering gentrification process. Even though it contributes to regional attractiveness, residents’ creativity, identity, and belongings, cultural facilities and events often lead to gentrification. It is utilized as tools for urban regeneration, however, often expels tenants, artists, and small merchants. The creative city thesis also has been spoiled and prescribed as a panacea for rapid regional industrial and employment growth, only resulted in political slogan and planners’ romanticity. In order to drive socio-economic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based on stakeholders’ active participations, local virtuous circles of crea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art & culture firstly constructed(make happy those who are near), and later economic impacts will follow(those who are far will come, Confucian Analects Book XIII)

      • KCI등재

        朝鮮後期 茶母의 類型과 役割

        남기범(Kee-Bom Nahm),정은희(Eunhee Jung) 한국차학회 2012 한국차학회지 Vol.18 No.1

        Tea-maids (chamo) were professional technicians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Their main roles included brewing and serving tea, but they gradually worked as banquet service women, medical technicians, and detectiv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al roles of tea-maids both in private and public places, as tea sommelier, surgeons treating women patients, keepers of traditional musics and dances, and as front line legislative executors, utilizing documents, poems, and pictures. First, the social roles of tea-maids were maintained under the Confucian social order in the late Chosun society. Second, their jobs were open only to women of low status, which reflected the fetters of old conventions for women in a feudal system. Third, tea-maids were professional women who exceeded stereotypes. The functions and roles of Chamo illustrate the practical and useful contributions of contemporary tea culture and tea lovers.

      • KCI등재

        Industrial Networks and Evolution of the International Quaternary Place System

        남기범(Kee Bom Nahm) 한국지역학회 1995 지역연구 Vol.11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ature of spatial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of corporate control within an international system of decision-making centers. It introduces a simplified model of the global evolution of quaternary places. Linked to the national quaternary place model, the proposed model is useful for examinations involving real world situations associated with international corporations. This five stage model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large corporations, industrial network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suggests the dispersion of international quaternary places along with the diversification of corporate control linkages among quaternary centers. A case study for 1974-1991 uses information statistics to identify the current stage of the international quaternary system. The result is in general agreement with major elements of the stage model. This theoretical concept and empirical research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quaternary place theory to the global scale in particular, and to the development of location analysis in gene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