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Patterns of Interaction in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Classroom

        Hi Jean Kim(김희진) 언어과학회 2003 언어과학연구 Vol.25 No.-

        This study addresses the painful process ESL teachers face when making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to communicative language classroom Based on multiple observations, interviews and students` dialogue journals in two CLT-based ESL courses at University of Pennsylvania, it shows the real constraints of two ESL teachers who try to create a student-centered and interactive learning. It is found that even the ideal pair work organization does not produce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one course. On the other hand, the other course, which consists only of whole-group discussion in which the teacher is present, is found to have exceptionally successful student-centered interaction. In this case, it is through the dialogue journals that the teacher teaches the skills required for students in student-centered class; how to express disagreement, how to act as a leader, how to participate. These findings reveal that an individual teacher`s devotion can overcome the negative aspects of other factors such as group size, students` cultural background and sex, in executing communicative theories in the classroom.

      • KCI등재

        The Negotiated Input and Communication Strategy Approach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Kim Hi-Jean(김희진) 신영어영문학회 2003 신영어영문학 Vol.26 No.-

        본 연구는 제 2 외국어 또는 외국어로서의 영어학 교수법의 최근 방법론인 의사소통 접근법 (Communicative Approach)에 있어서 중심개념인 상호협상적 의사소통(Negotiated Interaction)을 고찰 하는데 목적을 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사중심의 언어투입(Input) 연구와 보다 학생 중심의 의사소통 전략(Communication Strategy) 연구로 분리 되어 추구되어온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가능성 및 장점들을 고찰한다. Long과 Levinson의 지적처럼 통합적인 접근법을 발전시켜 미래에 좀더 체계적인 방법 틀(Framework)을 구축해야 하는 영어교수법의 당면 과제를 향해 나아가는 소고라고 하겠다. 본 연구는 먼저 개별적으로 추구되어온 두 가지 접근방식을 보다 비판적으로 요약, 비판하면서 이 두 이론의 상호 공통영역 및 유사한 개념들을 지적하였다. University of Pennsylvania의 ESL 프로그램을 관찰 하면서 발견한 교실 담화를 근거로 위의 두 가지 방식의 연구들은 서로 다른 접근법을 수용할 필요와 당위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 하였다. 두 접근방식의 연계는 먼저 ESL 연구자들로 하여금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졌던 비 모국어화자(Non Native Speaker)와 비 모국어화자(Non Native Speaker)들 사이의 대화가 의사소통전략에서 지니는 공헌도 및 중요성을 재평가 할 수 있게 해 줄 수 있었다. 영어 모국어교사보다 다른 학생들과 부딪히면서 학생들은 오히려 더 많은 의사소통 문제와 대면하고 그것을 다양한 확인요청, 반복구사, 도움요청, 말 바꾸기, 우회표현, 설명하기 등의 소통 전략(Communication Strategies)을 구사 하였고 이는 단순한 영어 투입뿐 아니라 의사소통 전략까지를 다 적용 시킬 때 파악 할 수 있는 결과였다. 또한 이러한 두 방식의 접목은 언어적인 요소 뿐 아니라 비언어적 요소(Non-verbal Moves)까지 포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틀을 구축하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주었다.

      • KCI등재

        스마트 러닝을 혼합한 이러닝 영어 교육의 성취도 및 실재감 분석

        김희진(Kim, Hi Je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대학 정규 영어 과목에 다양한 스마트 앱을 활용한 과제 교수-학습 방안을 접목한 뒤, 학업 성취도,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실재감(교수자, 튜터, 동료 실재감), 상호작용, 그리고 실재감과 상호작용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스마트 러닝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온라인대학에서 실험적으로 시도 하는 이번 연구는 동계계절학기(12∼1월)의 영어 수업 수강생중 지원자 50명을 스마트 앱(카카오톡, 네이버 밴드)을 활용하는 실험반과 기존의 이러닝(LMS) 환경의 통제반으로 편성하였다. 수업 절차는 실험반은 교수자/튜터가 본 강의에서 배운 어휘 (연어)를 응용하여 만든 문제를 앱을 통해 총 3주에 걸쳐 7차례 출제하고, 학습자들이 같은 앱을 활용하여 답안을 제출하게 하였다. 분석 도구는 성취도는 사전 및 사후 평가지를, 실재감과 상호작용은 사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도는 실험반과 통제반 간에 사후 평균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독립표본 t-검정). 하지만 각 집단별로 사전-사후 평가를 비교한 결과 학습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대응표본 t-검정). 둘째, 실재감의 3개 영역 중 동료실재감에서 실험반이 통제반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은 두 집단이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끝으로, 실재감과 상호 작용 간 상관분석 결과, 실험반이 학습자-교수자의 상호작용과 교수자 실재감 간에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findings regarding learners’ achievement, perceived social presence, interaction, and correlation between presence and interaction after applying blended smart learning using applications (KakaoTalk and Band) as a tool for a college-level English clas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and post-tests and post-survey from fifty students who enrolled in English class at an online university. After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using apps and control group using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participants of each group were given seven sets of vocabulary quizzes via apps and LMS for three week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chievement, students’ perceptions of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on. Firstly, both students using apps and LMS had high scores in tests.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 levels of peer presence than control group. Thirdly, students perceived actively interacting in class using apps. Finally, the interaction in mobile online courses had a positive effect on building a successful presence. These research findings support that a smart teaching/learning model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urrent e-learning has significant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cyber universities.

      • KCI등재

        수량근접사에 대한 코퍼스적 접근

        김희진 ( Hi Jea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1 외국어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scalar approximator(수량근접사)"로 기능하고 유사 동의어로 인지되는 roughly와 approximately 두 단어를 주제로 한다. 두 단어가 실제 영미권 원어민들의 사용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고, 이러한 차이점이 한국 영어교육자료에서도 적절하게 반영되어있는지에 대해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이 두 단어가 원어민들의 실제적 자료로 구축된 영미의 균형코퍼스(BNC, Brown Corpus)에서의 의미, 연어, 문법적 연어 및 사용(usage)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며, 또한 이러한 차이가 한국의 영어교과서, 한국의 영한사전 등의 교육 자료에서 어떻게 집적되어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원어민과 같은 유창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한국 영어 교육 자료가 보다 진정성(authenticity)을 반영해야 한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Given the assertion of a group of researchers (Biber & Reppen 2002, O`Keeffe, McCarthy & Carter 2007), this study investigates to see if there is any discrepancy in usages of near synonyms roughly and approximately between authentic data and English teaching materials. Within the corpus-based approach, we analyze the target words in terms of frequency, collocation and colligation patterns by exploiting a representative sample of BNC and Brown Corpus. Based on the result, usages of target words in bilingual dictionaries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 corpus is compared with that of real data. This discrepancy suggests that English dictionaries and textbooks should be modified to better reflect the dynamism of the English language features in order to aid students in acquiring native-like fluency.

      • KCI등재

        사이버대학 영어 수업에서 스마트 앱을 활용한 혼합 교수,학습 방안 설계와 효과성 비교

        김희진 ( Hi Jean Kim ),허광 ( Kwang Hur )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16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19 No.1

        Building on the extensive studies of the benefits of smartphone applications in English educa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ree types of smartphone apps, KakaoTalk, Naver Band, and Socrative, in e-learning environments. We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each smartphone app on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in the vocabulary learning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Fifty students enrolled in an e-learning clas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ne for each app, and were given seven sets of vocabulary quizzes via their respective apps for three wee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group that used Band showed the highest improvement in their vocabulary performance, followed by Socrative and KakaoTalk. All three groups showed positive satisfaction, interest, and attitude towards blended learning (e-learning+smart learning) using the apps. With regards to affective domains, i.e., students’ satisfaction, the highest result was found in the Socrative group, followed by KakaoTalk and Band. Another affective domain, students’ interest, showed a different result. KakaoTalk showed the highest result, followed by Socrative and Band. These outcomes reflec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se three different medium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mart learning design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ne-way” e-learning has significant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future cyber high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 수업운영 방식 연구

        김희진(Kim, Hi Jean),이현구(Lee, Hyun Gu)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11 영어교과교육 Vol.10 No.2

        E-earning systems are considered to resolve the issues of time, space and cost of education. These e-learning advantage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onsite learning environments even at university levels. However,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n how blended learning can be incorporated effectively into offline universities. In this study, we have compared two models of blended learning for Business English course throughout two semesters.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it was concluded that stu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hen offline and online classes were operated in a biweekly manner than conducting both offline and online classes in the same week.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students are liberated from time and place constraints which reveals the advantage of online classes. Such online learning enables them to maximize the use of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thus saving time and energy in commuting. Furthermore, this study reveals that both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triggered higher student intrinsic motivation and autonomy in contrast to offline-only classes. Moreover, this study identified hindrance factors in terms of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personality, and learners’ motiv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ffline university’s demographic information can explain some of the hindrance factors. As the ultimate goal of traditional blended learning is to incorporate online and onsite learning to maximize the students’ onsite learn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offline university’s hindrance factors at implementing blended learning to guarantee the efficacy of the blended mode, as the current study suggests.

      • KCI등재후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함양을 위한 사이버대학 교수학습설계:e-PBL 기반 "직무영어"를 중심으로

        김희진 ( Hi Jea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4 외국어교육연구 Vol.28 No.2

        최근 21세기 교육패러다임은 창의적인 학습자 중심의 수업방안을 요구 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이버대학의 콘텐츠에서도 획일화된 강의중심적 학습방안을 극복하고, 학습자 스스로 지식활동을 주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창의적인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의 영어 과목 중 핵심과목의 하나인 ‘직무영어’에 e-PBL(Problem-Based Learning)을 접목하여 콘텐츠를 개발한 사례를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세계의 문제해결과 학습자 중심 학습방안에 초점을 둔 e-PBL 교수학습모형을 사이버대학 ‘직무영어’과목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탐색하고, 이 전략의 실천을 통해 주체적인 문제해결능력과 능동적 학습을 함양하는 이러닝 영어 교수학습 설계방안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학습모형의 개발은 사이버대학의 수업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러닝의 한계로 지적된 획일화된 수동적 학습, 몰입의 어려움 등을 극복하는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ducation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demands innovative and creativ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In this context, the contents of courses in cyber universities should be different from traditional lectureoriented and teacher-led classes. Instead, the course content should endeavor to cultivate creative and autonomous learners with problem solving skills.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e-PBL(Problem-Based Learning) to Business English course offered at cyber universities and proposes futureoriented Business English teaching model. This model aims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cyber universitie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e-PBL as an alternative pedagogy in the E-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

        코퍼스 기반 사전을 활용한 어휘 수업의 중학생 영어 어휘 학습에 대한 효과

        안인숙 ( An In-sook ),김희진 ( Kim Hi Jean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17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22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corpus-based dictiona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by comparing the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using a corpus-based dictionary and a non corpus-based dictionary. A total of 72 first graders from a private middle school in Ulsan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wo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included 24 students who were taught using a corpus-based monolingual dictionary,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LDOCE 5, 2009, DVD-ROM).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of 24 students were taught using a non corpus-based bilingual dictionary (Doosan Dong-a Prime English-Korean dictionary, 2008) from NAVER (Internet online) dictionary. The control group of twenty-four students engaged in a teacher-centered vocabulary learning without a dictionary. The vocabulary learning was based on three synonyms: say/tell, big/large, and catch/hold. Each group had a total of twelve lessons for a period of six weeks during the regular English classes. By analyzing the date from pre- and post-tests, it was found that,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test results between the three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regarding the post-test results. Post-hoc analysis revealed that the first experimental group’s test score was higher than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Moreover, as for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results, two experimenta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post-test with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exhibiting a greater increas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rning of synonyms using dictionaries can be effective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corpus-based monolingual dictionary being more beneficial.

      • KCI등재

        게임화 기반 K-MOOC 강좌가 성인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성보미 ( Sung Bo-mi ),김희진 ( Kim Hi Jea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2 외국어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대규모 온라인 강좌인 K-MOOC에서 게임화 설계 요소가 융합된 강좌를 대상으로 게임화 설계요소 전체 및 개별 하위요소(스토리텔링, 포인트, 미션, 캐릭터, 레벨)가 각각 성인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인 몰입 및 흥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 및 절차는 K-MOOC의 묶음강좌로 개설된 4개 과목 가운데 ‘컨벤션 영어필기’ 수강생 18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온라인 대규모 강좌의 게임화 설계요소 전체는 학습자의 몰입과 흥미도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단일회귀분석). 둘째, 온라인 대규모 강좌의 게임화 설계요소의 하위요소 가운데 스토리텔링, 포인트, 미션 순으로 몰입과 흥미도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에 캐릭터와 레벨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다중회귀분석). 본 연구 결과를 통해 K-MOOC와 같은 대규모 온라인 강좌에서 게임화 기반 수업이 일반 성인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등 정의적 효과를 높이면서 수업 지속 및 강좌 이수율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이러한 게임화를 융합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연구들이 K-MOOC뿐만 아니라 다른 대규모 개방형 원격 강좌에서도 효과적인 교수·수업 방안 설계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individual elements of gamification affect affective domains (immersion, interest) of students taking classes offered on K-MOOC (Korea Massive Open Online Course).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game elements for the clas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80 adult learners who attended lectures on ‘Convention English Writing’. Gamification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storytelling, points, missions, characters, and leve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amification design elements of online large-scale lectures had a positive effect on immersion and interest (single regression analysis). Second, storytelling, points, and missions among five component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characters and levels were no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positive characteristics of each gamification element can increase sensation of immersion and interest on various large-scale online platforms. K-MOOC was established to expand lifelong learning opportunities by making free higher education available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however, the average completion rate of courses taken by general adult learners has remained at 10.6% ever since then. In conclusion,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K-MOOC course design, and suggest that gamification is a potential solution for dealing with the low completion rate of K-MOOC. In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results can be generalized or not on different large-scale online platforms, and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s using objective data through additional research.

      • KCI등재

        오프라인 대학교 영어교육에 최적화된 블렌디드 러닝 교수모형 연구

        김정태 ( Jung Tae Kim ),김희진 ( Hi Jean Kim )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12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오프라인대학교의 영어교육 현장에 최적화된 블렌디드 러닝 교수모형 개발의 이론적 고려와 실제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복습형, 예습형, 격주제 교수모형을 개발하여 2개 대학교에 적용하였다. 이 세 개의 블렌디드 러닝 교수모형은 한국 대학교 영어교육 상황에 최적화된 모형으로서 SLA 및 CALL 이론을 기반한 개발 원리(Doughty와 Long, 2003; Cameron, 2005), 선행 교수모형들(Bonk & Graham, 2006; Cha & Kim, 2011; Romeo & Hubbard, 2010; Yun & Lee, 2010; Yoon, 2011), 블렌디드 러닝의 요소에 따른 블렌디드 선정 기준(TESOL, 2009; Lee & Lee, 2007) 등의 이론적 기반과 경험적 실제에 기반하여 개발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온라인 예습형 모형이 온라인 복습형 모형보다 참가자의 영어능력 향상이 퀴즈를 통해 더 컸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예습형 모형에 대한 만족도가 복습형 모형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격주제 모형에 대한 참가자의 만족도는 온라인 예습과 오프라인 학습을 매주 수행하는 기존 모형보다 매우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모형은 특히 강좌 참가자의 구성이 장거리 통학자가 다수이거나 취업을 앞둔 고학년인 경우 매우 유용함을 보여주었으며, 온라인의 특성인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함으로써 비용 및 시간 절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 세 교수 모형에서 공통적으로 참가자들은 온라인 예습과 오프라인 퀴즈를 통한 자기주도성 증진과 반복학습의 효과를 통한 강좌 만족도 향상과 더불어 영어능력 향상을 기대하였다. 블렌디드 러닝 교수모형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활동들 가운데 참가자들은 주요어휘 및 문장연습 활동과 역할극, 마이스토리 쓰기 등의 활동을 통하여 상호작용성의 증진의 효과를 기대하여 학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Doughty와 Long(2003)의 방법론적 원리 기준에 따라 교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법과 활동을 학습 활동으로 설계할 때 매우 유용하게 교수활동 선택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blended instructional learning model optimized for English teaching at off-line universities. In the study,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re extracted to develop instructional models based on Doughty and Long`s (2003) methodological principles for CALL. The three blended instructional models were developed to teach college level English and applied to two Korean off-line universities: a) on-line previewing and off-line instruction and b) off-line instruction and on-line reviewing for one university, and c) biweekly on-line and off-line instructions for another university. The findings show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first two models preferred the model of on-line previewing and off-line instruc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ffects of quizzes, roleplay, key word/sentence, and my story activ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last model preferred the biweekly model because of time and cost saving. Finally, an optimized blend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for off-line English teaching was proposed with the result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It was a model of weekly on-line previewing and off-line instruction with quizzes and the previous activities. To facilitate interaction and feedback among the instructor and students, multimedia technologies were adopted into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