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전신성 홍반성 낭창 환자에서 Natural Killer 세포와 Natural Killer T 세포의 분포와 기능에 관한 연구

        김현리 ( Hyun Lee Kim ),김성균 ( Seong Gyun Kim ),김연수 ( Yon Su Kim ),이동섭 ( Dong Sup Lee ),정경천 ( Kyeong Cheon Jung ),정종훈 ( Jong Hoon Chung ),안규리 ( Curie Ahn ),한진석 ( Jin Suk Han ),김성권 ( Suhng Gwon Kim ),이정상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2

        목적 : T 세포 중 표지자인 NK1.1 단백을 표현하는 T 세포를 NKT 세포라고 한다. 이 NKT 세포의 기능에 대하여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최근 들어서 생체 내에서 면역학적 반응을 조절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고 알려지고,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전신성 홍반성 낭창 (SLE)의 발병에 관여하는 NKT 세포의 면역조절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말초 혈액 내 NK, NKT 세포의 분포와 외부자극에 대한 NKT 세포들의 기능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 SLE 환자 22명과 정상 대조군 18명을 대상으로 NK 표지자 (CD56, CD94)와 T 세포 표지자 (CD3)를 이용한 유세포 분석을 통해 NK와 NKT 세포의 말초혈액 내 분포를 확인하고 이를 질환의 임상지표와 비교하였다. SLE 환자와 정상 대조군의 NKT 세포 기능은 PMA와 ionomycin 자극에 대한 NKT 세포 내의 cytokine (IL-4, IFN-γ)의 발현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 SLE 환자와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말초혈액 내 NK 세포와 NKT 세포의 수적변화를 비교하였을 때 SLE 환자의 말초혈액 내 NK 세포 (CD3-/CD56+ 4.93±1.30%; CD3-/CD94+ 4.03±1.00%)는 정상 대조군 (CD3-/CD56+ 11.28±1.77%; CD3-/CD94+; 8.15±1.40%)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으며 p<0.01), NKT 세포 또한 SLE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CD3+/CD56+; 1.79±0.42 vs 5.04±0.44%: CD3+/CD94+; 1.21±0.27 vs 4.39±0.45%, p<0.01). NK 세포의 수적변화와 SLE 환자의 임상상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을 때 항 ds-DNA 항체가의 증가, ESR의 증가와 C4의 감소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나 (p<0.05), 신질환의 활동성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말초 혈액을 분리, 자극한 후 NK 및 NKT 세포 내 IL-4, IFN-γ를 측정하였을 때, 발현정도는 SLE 환자(n=6)와 정상 대조군(n=6)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SLE 환자에서 면역조절 세포의 일부인 NKT 세포의 수적인 감소는 NKT 세포가 SLE 병인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감소된 NKT 세포의 기능은 정상으로 유지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SLE 환자에서 NKT 세포의 기능적 결함보다는 NKT 세포의 단순한 수의 감소에 의한 면역조절능의 감소가 SLE의 병의 발병및 경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is one of chronic autoimmune diseases of which the central pathophysiologic derangement has not been yet established. Recent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immune-regulatory cells might affect the development of autoimmune diseases such as SLE and RA. NKT cells were reported to be strong candidate for regulatory cells to regulate immune responses in vivo. To elucidate the roles of immune regulatory cells in the pathogenesis of SLE, we investigated the fractional distribution and functional status of NK and NKT cells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of SLE patients and healthy volunteers. Methods : Twenty-two SLE patients and 18 agematched healthy volunte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r NK and NKT cells fraction in PBMCs of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were performed by flow cytometric analysis. In addition, to explore the functional status of these cells in SLE patients, we stimulated PBMCs using phorbol ester and ionomycin and measured cytoplasmic IL-4 and IFN-γ by flow cytometry. Results : The number (percentage) of NK cells was lower in SLE patients (CD3- CD56+ :4.93±1.30%, CD3-CD94+:4.03±1.00%) than in controls (11.28±1.77%, 8.15±1.40%; p<0.01, respectively). Peripheral NK cell number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tidsDNA Ab levels (r=0.431, p<0.05) and ESR (r=-0.475, p,0.05). However, the percentage of these cells was not correlated with renal activity or corticosteroid doses. SLE patients showed, compared with controls, significantly decreased numbers of NKT cells (CD3+CD56+ :1.79±0.42% vs 5.04±0.44%, CD3+CD94+ :1.21±0.27% vs 4.39±0.45%; p<0.01, respectively). The cytoplasmic expression of IL-4 and IFN-γ in NK and NKT cells of SLE patients stimulated using phorbol ester and ionomycin were almost sililar to those of normal controls, suggesting the NKT cells from SLE patients are functionally intact.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decreased numbers of immune regulatory cells were associated with the immune dysregulation of SLE patients. The cellular replacement of NKT cells may be one of useful therapeutic approaches for autoimmune diseases such as SLE.

      • SCOPUSKCI등재

        실험적 항기저막 사구체신염에 재조합 Uteroglobin 투여가 미치는 영향

        김연수(Yon Su Kim),김현리(Hyun Lee Kim),이상구(Sang Goo Lee),양승희(Seung Hee Yang),김유영(You Young Kim),이세한(Sei Han Lee),정남현(Nam Hyun Chung),정현주(Hyun Joo Chung),김성균(Sung Kyun Kim)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4

        목 적 : 면역복합체 침착으로 인한 사구체신염은 우리나라 말기신부전의 중요한 원인이다. 최근 면역조절기능을 가진 uteroglobin(UG)을 유전적으로 결핍시킨 동물모델에서 인체의 IgA 신염과 같은 사구체신염의 발생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생쥐에서 항기저막 사구체신염(aGBMGN)을 발생시키고 인체 재조합 UG를 이용하여 신염의 발생에 UG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신염 억제기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토끼에서 생산한 Anti-GBM Ab 4.5 ㎎을 8주령의 생쥐(C57BL/6)에 정맥주사하여 aGBM-GN을 유발시킨 후, UG를 투여한 치료군, 질환대조군, 정상대조군에서 신염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생쥐의 메산지움세포를 LPS로 자극한 후 UG에 의한 세포증식의 저해정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신염 유도 후 7일째 치료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요단백량/creatinine 값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질환대조군에 비해서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UG의 효과는 사구 체신염이 유도된 14일째까지 유지되었으며, 21일째에는 치료군과 질환대조군에서의 요단백/creatinine 값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조직학적으로 신염이 유도된 7일째, 질환대조군에서는 메산지움세포의 증식과 사구체의 50% 이상에서 세포성 반월상이 관찰되었으나, 치료군은 정상대조군과 유사한 조직학적 소견을 보였다. 생쥐 메산지움세포를 LPS로 자극한 후 UG를 투여 하였을 경우 LPS에 의한 세포 증식효과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결 론: 실험적으로 유도된 항기저막 사구체신염에 인체 재조합 UG를 투여함으로써 항기저막 사구체신염의 발생을 억제하였으며, 그 기전으로 메산지움세포 활성화 억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신질환 진행 고위험군 집단의 유전자치료에도 이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Glomerulonephritis(GN) is characterized by cognate immune responses against self or non-self antigen. It is suggested that the crescentic GN is a manifestation of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akin to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Uteroglobin(UG) is a steroid-dependent, immunomodulatory, and cytokine-like protein. It was reported that UG prevented fibronectin(Fn) deposition in the glomeruli of normal mice to form Fn-UG heterodimers that competed with Fn self-aggregation. We hypothesized that UG would prevent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 GN induced by anti-glomerular basement membrane globulin(anti-GBM Ab) in mice through immunomodulatory properties. GN was induc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4.5㎎ rabbit anti-GBM Ab to mice(C57BL/6). Renal injury was evaluated at 7, 14, and 21 days thereafter. UG-treated mice(n=10) were received for 3 days(0.5 ㎎/mouse/day) beginning 1 hour after anti-GBM Ab injection. Also, disease-control mice(n=10) were received PBS for 3 days after anti-GBM Ab. Proteinuria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mice treated with UG when compared with the disease-control mice after 7 and 14 days of anti-GBM Ab injection. The amount of proteinuria was similar between UG treated and normal control mice. The mesangial matrix expansion and cellular crescent were markedly attenuated by the injection of UG. The proliferative responses of mesangial cells(C57BL/6) to LPS were blunted with the addition of UG in dose-dependent manner. In this study, we revealed the preventive effects of UG in the experimental model of glomerulonephritis. This result in turn could provide the basis for the treatment of human disease such as chronic glomerulonephritis.

      • KCI등재
      • KCI등재

        신 피막하 출혈을 동반한 임신성 급성 지방간 1예

        김현리 ( Hyun Lee Kim ),안치용 ( Chi Yong Ahn ),류봉관 ( Bong Kwan Ryu ),정종훈 ( Jong Hoon Chung ) 대한신장학회 201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9 No.6

        Purpose: Wunderlich syndrome is a spontaneous rupture of the kidney. It is a rare but potentially life-threatening event. The causes are tumor, vascular disease, infection and preeclampsia. Subcapsular hepatic and renal hematoma are rare complications of pregnancy associated with preeclampsia or HELLP (hemolysis, elevated liver enzymes, and low platelets) syndrome. Acute fatty liver of pregnancy (AFLP) is rare, but is a fatal complication of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The clinical picture consists of liver failure with coagulopathy, encephalopathy and hypoglycemia. Early recognization of the disorder, rapid termination of pregnancy, and intensive supportive care have improved the prognosis. AFLP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HELLP syndrome. AFLP is usually not associated with renal subcapusular hemorrhage. In this report, we describe a 36-year-old nullipara with twin male fetus at 35 weeks of gestation who had developed renal subcapsular hemorrhage in AFLP.

      • SCOPUSKCI등재

        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원인과 급성 신부전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김세중(Se Joong Kim),김성균(Seong Gyun Kim),오윤규(Yoon Kyu Oh),김현리(Hyun Lee Kim),김연수(Yon Su Kim),안규리(Cu Rie Ahn),한진석(Jin Suk Han),박선양(Seon Yang Park),김성권(Shung Gwon Kim),김병국(Byoung Kook Kim),이정상(Jung Sang Lee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3

        배 경 : 조혈모세포 이식(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CT) 후 합병증으로 패혈증(sepsis), 이식편대숙주반응(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정맥폐색성 질환(venoocclusive disease; VOD), 약물에 의한 부작용(drug induced nephrotoxicity; DT), 급성 신부전(acute renal failure; ARF) 등이 있다. HCT 후 발생하는 ARF는 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서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HCT 후 ARF의 발생빈도, 위험인자를 살펴보고, ARF의 발생이 HCT 후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85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HCT를 받은 환자 163명 중 분석이 가능하였던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HCT 후 ARF는 총 107명의 환자 중 52명(48.6%)에서 발생하였다. VOD, sepsis, GVHD 중 VOD가 ARF의 위험도를 4.4(1.13-17.2)배 증가시켰다(p<0.05). ARF의 원인은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cyclosporin 신독성이 전 기간에 걸쳐 ARF의 주된 원인이었다. ARF 발생군에서 전체 생존율은 60%였으며, ARF 비발생군(NARF)에서는 73%로, ARF 발생군에서 생존율이 낮았다(p<0.05). ARF 발생군을 최고 혈청 크레아티닌 3.0 ㎎/dL을 기준으로 경증과 중증 ARF로 나누어, NARF 군, 경증 ARF 발생군, 중증 ARF 발생군을 비교하였을 때, 중증 ARF 발생군에서 생존율이 낮았다(p<0.01). 결 론 : HCT 후 VOD, sepsis, GVHD 등이 ARF의 위험도를 증가시켰으나, ARF의 주된 원인은 cyclosporin 신독성이었다. ARF는 중증인 경우 HCT를 받은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인자였다. Background : Common complications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HCT) include sepsis, graft versus host disease(GVHD), veno-occlusive disease(VOD), drug-induced nephrotoxicity, and acute renal failure(ARF). Prior studies report that the presence of ARF affects prognosis. However, we are unaware of such reports on the incidence of ARF after HCT in Koreans, and whether or not the development of ARF is related to prognosis.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ARF after HCT and its relation to prognosis. Methods : 163 patients received HC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ince 1985, of which, 107 were available for review. Results : ARF after HCT developed in 52 patients (48.6%). In the three clinical causes, VOD, sepsis, and GVHD, risk factor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RF was preexisting VOD. Logistic regression confirmed this association(odds ratio 4.4). The causes of ARF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iods it developed, and cyclosporin nephrotoxicity was the main cause through the whole period after HCT. The overall survival was worse in the ARF group(60 vs 73 %; p<0.05). ARF group was split into two groups : patients whose peak serum creatinine levels were below 3.0 ㎎/dL(mild ARF group) and those who were above 3.0 ㎎/dL(severe ARF group). Severe ARF group had worse survival than mild ARF group and patients without ARF(p<0.01). Conclusion : VOD, sepsis, GVHD after HCT increase the risk of the deveolopment of ARF, but cyclosprin nephrotoxicity is the main cause of ARF. Severe ARF is a factor influencing the prognosis of patients who received HCT.

      • SCOPUSKCI등재

        성인의 원발성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 FSGS ) 의 예후 및 예후 인자

        김연수(Yon Su Kim),안규리(Cu Rie Ahn),한진석(Jin Suk Han),김성권(Shung Gwon Kim),이정상(Jung Sang Lee),김성균(Seong Gyun Kim),김현리(Hyun Lee Kim),황영환(Young Hwan Hwang),이상구(Sang Goo Lee),이정은(Jung Eun Lee),오윤규(Yun Kyu Oh)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4

        배 경: 성인에서 FSGS는 그 발생율이 증가하고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치료로 예후가 향상됨이 제시되면서 질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성인 FSGS의 임상상과 예후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FSGS의 임상상을 살펴보고 예후에 관계하는 임상 인자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1985년부터 1999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조직검사로 확진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차적 원인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조직검사 당시의 임상상을 분석하였고, 10주 이상 추적 관찰된 환자를 대상으로 신기능 악화여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는 총 92명이였으며, 이 중 47명(51%)이 신증후군(NS) 범주에 속하였다. 남녀비는 1.7 : 1이였으며 조직검사시 신기능 저하가 51%에서 관찰되었고 고혈압은 45%에서 나타났다. NS군과 신증후군 이하의 단백뇨군(non-NS)간에 고혈압유무, 신기능 저하 등의 초기 임상상의 차이는 없었다. 이들 중, 10주 이상 추적 관찰된 환자는 88명이였고, 관찰 기간은 37.1개월(2.5-185)이였다. 관찰 기간동안 14명에서 신기능이 악화되었다. 신기능 악화군과 유지군간에 조직 진단시 임상상의 차이는 없었으며, 신기능 악화 여부에 대한 독립적 예후 인자는 단백 뇨량의 정도와 조직 검사시의 신기능, 스테로이드 치료 여부였다. 전체적으로 5년 신기능 유지율은 80%로 나타났다. NS군에서 스테로이드 치료를 한 환자는 77%(34/44명)이였으며 그 중 1명(3%)에서 신기능 악화소견을 보였다. NS군에서 스테로이드 치료를 하지 않은 10명 중 6명(60%)의 신기능이 악화되었다. 결 론 : 위의 결과에서 밝혀진 성인 FSGS 환자의 예후 인자에 대한 적극적인 조절이 필요하며 향후 스테로이드 치료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N/A

      • SCOPUSKCI등재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염의 발병 양상 단일 임상 기관 연구

        안규리(Cu Rie Ahn),한진석(Jin Suk Han),김성권(Suhng Gwon Kim),이정상(Jung Sang Lee),오윤규(Yoon Kyu Oh),김현리(Hyun Lee Kim),정우경(Woo Kyung Chung),오국환(Kwook Whan Oh),양재석(Jae Suk Yang),김세중(Se Jung Kim),이경이(Kyung Ey Lee) 대한신장학회 200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0 No.4

        Peritonitis remains the leading cause of the patient dropout in CAPD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In Korea, 71% of CAPD patients dropout is caused by peritonitis. To elucidate an adequate guideline for treating peritonitis in our country, we analyzed clinical and bacteriologic profiles of peritonitis(1995. l. 1- 1999. 12 31). Two hundred and twenty eight episodes of peritonitis were developed in 127/247 patients.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was 0.41/patient-year in general, which was decreased to 0.24/patient-year in 1999. The incidence of causative organisms were as follows: 82(36.0%) by Gram positive organisms, 38 (16.2%) by gram negative organisms, 16 cases(7.0%) by mixed organsisms, and 5 cases(2.2%) by fungus. During study period,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by gram positive organsism was decreased while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by gram negative organism was not changed. Recurrent infection/relapse was noted in 58 patients(45%). Peritonitis were eradicated only in 66% of the cases by initial antibiotics(cefazolin+aminoglycoside); and another 17% responded by second line antibiotics. Peritoneal catheters were removed in 38 episodes(16.7%). Patients with exit infection were more frequent in removal of catheter. Risk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in 146 patients, who were newly started CAPD. There were 60 initial episodes of peritonitis(mean duration of follow up was 16.7 patient months). Sixty-five percent were free of peritonitis at the end of first year, 54% at the end of second year and 45% at the end of third year (Kaplan-Meier). Factors such as age, sex, underlying DM, were not risk factor for CAPD peritonitis. In conclusion, we observed that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decreased every year. It was revealed however that only 66% of peritonitis can be successfully treated by first line antibiotics. Second line antibiotics such as ceftazidime may need to be introduced in early phase of CAPD peritonitis. Up to one third of patients had recurrent infection/relapse, which raised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Continuing education as well as better exit care is needed to improve technical survival of CAPD patients in Korea.

      • SCOPUSKCI등재

        Uteroglobin Exon 1 의 5` Untranslated Region ( UTR ) 의 유전자 다형성이 IgA 신병증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

        오윤규(Yoon Kyu Oh),권도윤(Do Yoon Kwon),정수환(Shou Huan Zheng),오국환(Kook Hwan Oh),김현리(Hyun Lee Kim),김강석(Kang Seock Kim),김연수(Yon Su Kim),안규리(Cu Rie Ahn),한진석(Jin Suk Han),김성권(Suhng Gwon Kim),이정상(Jung Sang Lee) 대한신장학회 200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0 No.1

        Uteroglobin(UG)은 항염증작용과 면역조절작용을 갖는 단백질로써 인체의 여러 상피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이다. Zheng 등은 UG를 없엔 유전자 조작 생쥐에서 인체의 IgA 신병증과 유사한 사구체신염이 발생함을 보고하였다(Nature Med. 1999, 5:1018). UG 유전자의 exon 1의 5' untranslated region(UTR)은 다양한 전사인자(transcriptional factor)에 대한 결합부위를 가지고 있어 유전자 다형성이 UG의 발현에 이상을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연자들은 Ugexon 1의 5' UTR부위 중 38번째 핵산의 유전자 다형성(adenine(A) 또는 guanine(G))이 단백질 발현에 영향을 미쳐 IgA 신병증의 진행에 관여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IgA신병증으로 진단받고 5년 이상 경과된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말초혈액에서 DNA를 추출하여 single strand conformational polymorphism(SSCP), DNA sequencing, 중합연쇄반응(PCR)을 시행한 후 제한효소처리를 시행하여 유전자 다형성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를 신질환의 진행여부, 혈청내 IgA 신병증으로 진단받고 5년 이상 경과된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말초혈액에서 DNA를 추출하여 single strand conformational polymorphism(SSCP), DNA sequencing, 중합연쇄반응(PCR)을 시행한 후 제한효소처리를 시행하여 유전자 다형성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를 신질환의 진행여부, 혈청내 IgA-fibronectin(FN) 복합체의 양 등과 비교하였다. 60명의 대조군에서 일반인의 유전자 다형성 빈도를 조사하여 환자들의 빈도와 비교하였다. IgA 신병증 환자의 경우 5' UTR의 38번째 핵산이 AA인 경우가 17명 (28%), AG인 경우가 26명(43%)이었으며 GG인 경우가 17명(28%)으로 정상재조군의 13명(22%), 36명(60%), 11명(18%)과 비교하여 유전자 다형성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60명의 IgA 신병증 환자를 86.5개월(60-170; median, range)간 추적관찰 하였을 때 혈청 creatinine(Cr)이 2.0mg/ dL 이상으로 증가하거나 기저값의 2배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는 19명이었다. 이를 유전자 아형으로 구분하여 보면 AA형 17명 중 8명에서, AG형 26명 중 10명에서, GG형 17명 중 1명에서 신질환의 진행이 관찰되어 AA형일 경우 신질환의 진행 위험성이 GG형에 비하여 7.6배였으며(p=0.0307) AG형일경우 GG형에 비해 5.4배의(p=0.06) 위험성을 가지고 있었다. UG 유전자 아형에 따른 단백뇨 정도, 고혈압 여부, 혈청 IgA 농도, IgA-FN 복합체 농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조직 검사시 혈청 Cr값은 AA형 1.5mg/dL, AG형 1.3mg/dL, GG형 1.0mg/dL로 AA, AG형이 GG형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p=0.03). 신질환이 진행한 환자와 정상 신기능을 가진 환자 사이에 나이와 추적관찰기간은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연자들은 IgA 신병증의 진행에 UG exon 1 5' UTR의 유전자 다형성이 깊이 관계하며 이는 항염증 및 면역억제기능을 가진 UG의 단백질 발현 차이에서 기인하였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Uteroglobin(UG) is an anti-inflammatory/immunomodulatory protein secreted by the epithelial cells of vertebrates. Targeted disruption of UG rendered mouse glomerulonephritis resembling IgA nephro- pathy(IgAN). Sequence analysis on exon 1 of UG showed several putative binding sites for transcription factors, and genetic polymorphisms in this site might influence the expression level of UG as a competitive protein. We speculated that 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t the 38th nucleotide from the transcription initiation site of UG exon 1 would impact the progression of IgAN. PCR-RFLP was instituted to determine the genetic polymorphism in 60 patients with IgAN. Other measures like SSCP and direct sequencing were also adopted for the verification of polymorphic sites. Seventeen patients with IgAN(28%) were homozygous for adenine at position 38(38AA), 26 patients(43%) were heterozyg- ous(38AG), and 17 patients(28%) were homozygous for the polymorphism(38GG), which was similar to the pattern obtained from the 60 normal controls. The amount of daily proteinuria, presence of hyper- tension, the level of IgA, and the amount of IgA-fibronectin(FN) complexes was similar between the genotypes. Serum IgA-FN level did not influence the progression of disease. However, 8 out of 17 patients (47%) with the AA genotype had progressive disease(PD), 10 of 26 patients(38%) with the AG genotype had PD, and only 1 of 17 patients<6%) with GG homozygocity had PD after 94±30.1 months of follow-up(mean±S.D.). The odds ratio for the progression of renal disease in patients with the AA genotype was 14.93(p=0.0355) and in patients with AG genotype was 12.94(p=0.0496) compared with patients have the GG genotype. Moreover, serum creatinine at the time of kidney biopsy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A and AG genotypes than in patients with the GG genotype(1.5±0.69: 1.3±0.53: 1.0±0.3lmg/dL; AA: AG: GG; p=0.0137 AA vs. GG; p=0.0269 AG vs. GG). Our results suggest that polymorphism at the 5 UTR region of UG exon 1 is an important marker for the progression of IgAN

      • SCOPUSKCI등재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 1 ( MCP-1 ) 조절부위에 따른 유전자다형성이 MCP-1 발현 및 낭창성 신염에 미치는 영향

        오윤규(Yoon Kyu Oh),한진석(Jin Suk Han),안규리(Cu Rie Ahn),이정은(Joung Eun Lee),김연수(Yon Su Kim),김성권(Suhng Gwon Kim),이정상(Jung Sang Lee),김현리(Hyun Lee Kim),양승희(Seung Hee Yang),오지은(Ji Eun Oh),윤형진(Hyung Jin Yoon)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1

        목 적 : MCP - 1 조절부위에 대한 유전자다형성이 MCP - 1 발현과 낭창성 신염의 발병, 진행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전신성 홍반성 낭창(SLE) 환자 49명, 대조군 46명에서 유전자다형성을 결정 후, 각 유전자형에 따라 luciferase assay로 단백질 발현정도를 비교하였다. 정상 대조군 6명의 유전자형에 따라 말초혈액 단핵세포를 자극 후 배양 상청액의 MCP - 1 농도를 측정하였고 SLE 89명, 정상 대조군 21명의 혈중 MCP - 1 농도를 측정, 유전자형에 따라 신 침범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SLE 환자에서 MCP- 1 조절부위(-2518 position :A- >G) 유전자다형성은 환자군(n=49)에서 각각 AA 10명(20%), GA 21명(42%), GG 18명(38%)으로 정상대조군(n=46)의 9명(20%), 27명(58%), 46명(22%)과 차이가 없었다. 말초혈액 단핵세포를 자극 후 배양 상청액의 MCP- 1 농도는 AA군이 현저히 증가되었다(p=0.01). 293 T 세포에 AA와 GG 유전자 이입 후 luciferase assay 시행시 GG 유전자 단백발현이 AA의 39%로 단백발현 감소(p=0.014), TNF-α를 처리 후 AA 유전자와 GG군의 construct 모두에서 activity가 증가되었고 특히 AA 유전자 단백발현이 GG 보다 3배 이상 증가되었다. SLE 환자군의 혈중 MCP- 1 농도는 418.17±935.30 pg/mL로 정상 대조군(127.78±114.53 pg/mL)에 비해 높았으나(p=0.047), 환자군의 혈중 MCP- 1 농도와 요단백량의 연관성은 없었다. 낭창성 신염으로 진단된 환자와 다른 대조군들 사이의 혈중 MCP- 1 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AA homozygote군의 낭창성 신염 환자들에서 혈중 MCP- 1 농도가 신염이 없는 AA군에 비해 증가되었다(p=0.014). 결 론 : MCP - 1 유전자다형성이 단백발현의 차이를 낳고 낭창성 신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신질환 진행의 예측과 함께 적절한 치료방침을 세우는데 유전자다형성이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한다. Background :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MCP-1)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gression of lupus nephritis.(LN) The genetic polymorphism in the regulatory region would influence clinical manifestations by controlling serum levels of MCP-1. Methods : We determined the genotypes of the MCP-1 gene, the secretion of MCP-1 by pheripheral blood monocytes (PBMCs) and transcription activity according to polymorphism on ELISA and luciferase assay. We also correlated serum MCP-1 level with proteinuria according to the genotypes to evaluate the clinical implication of genetic polymorphism in LN. Results : 10 patients with SLE (20%) were AA homozygous, 21(42%) GA heterozygous, and 18(38%) GG homozygous, which w as similar with normal controls[AA 9(20%), GA 27(58%), GG 46(22%)](n=46). By in-vitro stimulation of PBMCs using Phytohemagglutinin, differential expression of MCP-1 appeared according to the genotypes at -2518 position; PBMCs from AA homozygotes 22.37±0.07 ng/ mL, GA 6.98±0.72 ng/ mL, GG 5.48±0.22 ng/ mL. In the luciferase assay, the gene construct with G at -2518 site showed decreased activity to 39% of that showed by A gene construct . In addition, After cells were treated with TNF-α (10 ng/mL), the transcription activity of A gene construct w as approximately 3 fold greater than that of G gene construct. Levels of serum MCP-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SLE (n=89) than normal controls (n=21)(418.17±935.30 pg/mL vs. 127.78±114.53 pg/mL, respectively; p<0.05). In contra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MCP-1 levels between patients with LN, patients without LN and normal controls. Also, correlation between serum MCP-1 levels and proteinuria was not found(r=0.191, p>0.05). But, in patients with LN, levels of serum MCP-1 were significant higher in patients with AA genotype than those of GA genotyes and GG genotypes (p<0.01). Conclusion : MCP-1 gene polymorphism at regulatory region may be a considerable marker for LN and may modulate the level of protein expression. Our study could make it possible to screen high risk individuals, thus help us to develop a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molecular findings in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임상간호사의 개인적 안녕에 대한 경로모형

        이윤정(Lee, Yoonjeong),김현리(Kim, Hyunli) 한국간호과학회 2019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9 No.3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motional expressivity,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ivity, job autonomy,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labor on clinical nurses’ individual well-being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for its improvement.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207 nurses recruited from a general hospital in Korea.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rising measures of emotional expressivity, emotional intelligence, positive affectivity, negative affectivity, job autonomy, supervisor support, coworker support, deep acting, surface acting,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2.0 and AMOS 22.0. Results: The final model was a good fit for the data based on the model fit indices. In the path analysis, surface acting, negative affectivity,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emotional exhaustion, explaining 29.0% of the variance. Deep acting, emotional exhaustion, positive affec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explaining 43.0% of the variance. Conclusion: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clinical nurses’ individual well-being should focus on surface acting, deep acting, affectivity,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e data to manage emotional labor and improve clinical nurses’ individu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