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교 정치사상으로서의 공의론(共義論)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1 신종교연구 Vol.24 No.-

        본고는 통일교 정치사상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공의론에 대한 연구의 일단이다. 통일교는 미래 사회에 대한 이데올로기로서 공생공영공의주의를 말하고 있으며 이는 포괄적으로 통일교의 정치사상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통일교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는 공생공영공의주의 각각의 공생론(共生論)과 공영론(共榮論) 그리고 공의론(共義論)에 근거한다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공생주의와 공영주의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공의주의를 정치사상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간에 이루어진 공의주의를 보다 심화시킬 수 있는 공의론을 피력하고자 한다. 나아가 오늘의 사회가 해결해야할 현실문제의 토대 곧 정치사상적 토대의 일단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이는 또한 통일교가 해결해야 할 현실문제 중 하나인 정치참여를 위한 정치윤리적 태도를 살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공의의 함의를 공의(公義)와 정의에 비추어 살피고 통일사상요강에서 언급되고 있는 공의에 관한 철학적 논의를 정리하고자 한다. 나아가 통일교 정치사상으로서의 공의론을 롤즈와 롤즈 이후의 정의에 관한 논의에 비추어 통일교의 공의론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와 같은 시도로 얻어진 통일교 정치사상으로서의 공의론은 롤즈 이래 논의되어온 자유와 평등의 문제를 정치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현대 철학적 야심과 일치한다. 공의론은 롤즈의 자유주의적 평등주의와는 달리 자유주의적 가정공동체주의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 theory of Co-righteousness based on Unificationism`s political thought. Unificationism suggests principles of Co-living, Co-prosperity and Co-righteousness as a ideology for future`s society. These three principles are Unificationism`s political thought. Therefore, the principles are grounded on a theory of Co-living, a theory of Co-prosperity and a theory of Co-righteousness respectively. Among these three principles, this study will discuss a theory of Co-righteousness in-depth which is foundation of Co-living and Co-prosperity. Furthermore, this study will critically examine political thought as a solution for practical problem of today`s society. This is also rethinking about an attitude of political ethics for Unificationism`s political participation. First of all, this paper looks into philosophical discussion about Co-righteousness in Unification Thought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In addition, Unificationism`s Co-righteousness will be explained in view of John Rawls` justice and subsequent thinkers` justice. The Co-righteousness as Unificationism`s political thought goes along with the ambition of current philosophy since Rawls for solving problems of freedom and equality politically. The Co-righteousness is a liberal family communitarianism different from Rawls` liberal eqalitarianism.

      • KCI등재

        새교회의 한국사회 이식과정과 그 의미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3 신종교연구 Vol.28 No.-

        종교적 대안으로서의 신종교는 대개의 경우 창시자와 그 종교적 비전에 따른다. 새교회도 마찬가지다. 새교회는 스베덴보리라고 하는 영적 선각자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새교회의 한국사회 이식과정과 그 의미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베덴보리를 알아야 하며 그를 추종해 만들어진 새교회를 살펴야 할 것이다. 또한 한 종교가 태생지를 떠나 다른 사회에 이식될 때는 한 종교의 선교적 열망에 기초하는 것이 분명하나 이식된 사회의 역사 사회적 맥락도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에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되는 이해의 방법이다. 특히 신종교가 이식될 때 그리고 발전할 때의 그 사회의 역사 사회적 맥락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한국사회에는 새교회가 이식되기 전 스베덴보리의 신학사상이 먼저 들어왔다. 스베덴보리의 신학사상이 신비주의 곧 하나님의 직접체험을 말하는 것이고 그렇게 하려면 하나님의 거주역이라고 할 수 있는 영계를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스베덴보리는 『천국과 지옥』을 통해 직접 체험의 결과를 증거 했고 한국의 기독교 신비주의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기독교 신비주의가 기초하고 있는 천국과 영계에 대한 확신과 메시아 재림의 소명은 새교회를 탄생시킨 스베덴보리의 신학사상에 맞닿아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라면 스베덴보리의 신학사상의 유입이 곧 새교회의 한국사회 이식은 아니라는 점이다. 한국의 새교회 이식의 본격적인 시기는 해방 후이며 이식 이후 한국의 새교회는 종파 유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새교회의 한국사회 이식에서 나타나는 의미는 스베덴보리의 신학사상이 한국에 유입되어 한국의 기독교 신비주의 운동에 사상적 기여를 한 것과는 다른 면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해방이라고 종말의 지연과 해방 후 한국 기독교회의 억압적 이단 사냥으로 인한 핍박으로 한국의 새교회는 여타 한국의 외래 기독교계 신종교처럼 그 발전의 동인과 명맥의 유지를 위한 기초를 놓을 수조차 힘들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새교회가 한국사회에 이식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의미를 찾기는 힘들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도 엄연히 살아 있는 한국의 새교회는 그 교세와는 별도로 존재 자체의 의미는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오늘도 한국의 새교회에서는 찬송과 성문서의 출판 그리고 그에 기초한 설교와 예배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New religion as a religious alternative often follows it founder and his religious vision. It is also the case of New Church. New Church has its root at a spiritual pioneer Emanuel Swedenborg. Therefore, in order to find the process of New Church Dissemination in Korean Society and its significance, we must first understand Emanuel Swedenborg and look at New Church founded after him. Also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is an important background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Before New Church came to Korea, Swedenborg`s religious ideology was delivered first. Swedenborg`s religious ideology was mysticism, in other words, a direct experience of God. He asserted that we must find the spiritual realm in which God dwells to achieve it. He gave a testimony of his direct experience through Heaven and Hell, which is considered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mysticism in Korean Christianity. We can see that the belief in kingdom of God and spiritual world on which Korean mysticism in Christianity is based is linked with Swedenborg`s religious ideology which gave a birth to New Church, and the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Nevertheless, the official spread of Korean New Church was after the liberation, and after the spread, Korean New Church has not overcome being merely one religious sect.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New Church in Korean society should be found in another aspect other than the ideological contribution of Swedenborg`s religious ideology. Prosecuted under the repressive hunting of heresy in Korean society after liberation, New Church could not even constitute the base required for survival and development equally with other foreign Christian churches in Korea. Despite, Korean New Church continues its thread with dignity even now, and the survival itself has a great significance separate from expansion. Publication of prayers and holy scriptures, and sermons and chapels go on in Korean New Church even today.

      • KCI등재

        한국 신종교 창교자의 위격 - 통일교의 참부모론과 금강대도의 건곤부모론을 중심으로 -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05 신종교연구 Vol.13 No.-

        The founders of religion hold important meaning in religion; this is especially true for a new religion. The founder of a religion not only creates ideals or rituals for the religion, but also becomes the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a religious community. Thus, the founder of a new religion has a powerful position that can influence the fate of religion. Research on the position of the founders of new religions can help to understand the basics of new religion and to bolster its stature. Therefore, a comparison of Unification Church`s True Parents and Kumkangdaedo`s Heaven-and-Earth Parents (乾坤父母) will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Unification Church and Kumkangdaedo that can be considered as new religions in Korea. Like Christianity, Unification Church presupposes the absolute, only God. However, any religions, which presuppose monotheism or supremacy, value human communication with the only God or supremacy, value human communication with the only God or supreme being. Such mediator, who mediates communications, is a true god and messiah to human beings, as well as a true person to God. For this reason, Unification Church`s True Parents can be True Parent God and True Parent Messiah at the same time. The position of True Parents in Unification Church is not the same as that of God, but it can be substituted for True Parent God; it is True Parents as Messiah. If we look at Kumkangdaedo`s Heaven-and-Earth Parents within the framework of Unification Church`s True Parents, Kumkangdaedo`s Heaven-and-Earth Parents can be explained as the Supreme Being Heaven-and-Earth Parents and as the Savior Heaven-and-Earth Parents; it can be considered as the divine nature and the human nature,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Kumkangdaedo`s Heaven-and-Earth Parents also talks about the incarnation of the Supreme Being Heaven-and-Earth Parents, in the case with Oriental religion, and about the Savior Heaven-and-Earth Parents. With such a framework, a similarity can be found between Unification Church`s True Parents and Kumkangdaedo`s Heaven-and Earth Parents. Looking from the perspective of divine nature, either as the only God or the supreme being, the divine nature is structured as parents. Whether they are created or naturally produced, both creatures and nature exist as pairs of the male and female principles, based on the very inductive inference. In other words, the divine nature as a Parent provides a clue that can basically solve an issue of liberating women, which will ultimately pursue a liberation of human existence. Furthermore, an emphasis on the divine mother nature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care and restoration of the environment and life. Unification Church`s True Parents is agreeable with Kumkangdaedo`s Heaven-and-Earth Parents, which is beyond the concept of Confucianism, emphasizing an importance of family and parents. Kumkangdaedo`s Heaven-and-Earth Parents is considered to be the global ethical paradigm of Later Heaven Gae-Byuk (後天開闢)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Unification Church`s True Parents theory, the human nature of the founder has a position of True Parent Messiah. If a Hebrew word, messiah, means a savior, Unification Church`s True Parents means the human nature born spiritually with the calling of savior. In this sense, the human nature of Kunkangdaedo`s Heaven-and-Earth Parents are considered to be an incarnated human nature of Man-go-dae-sung, a Great Maitreya (彌勒大佛), and Tae-geuk-moo-geuk-hyun-hwa-chun-jon. The common messages can be found between Unification Church`s True Parent Messiah and Kunkangdaedo`s Savior Heaven-and-Earth Parent Unification Church`s True Parent Messiah tries to establish a society seeking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by realizing the ideal of true family through the clearing of original sin of sex crime. Kunakangdaedo also tries to seek an ideal society of Unity (大同) world and Yongwha(龍華) worl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morality in this confusing time

      • KCI등재

        신정론 유형으로 본 한국의 신종교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신정론(Theodicy)이란 이 세상에 현존하는 악과 그에 따른 고통 그리고 불의에 대한 하나님의 의를 설명하는 신학적 성찰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유 없이 당하는 고통과 그 고통을 당하는 의인들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다. 이러한 신정론은 오늘날에도 만연하고 있는 고통과 소위 고통 받는 인간 곧 의인 때문에 범종교적인 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의인의 고통에 대한 신학적 이해는 어떤 종교든 관심하는 것이고 신종교 또한 같은 맥락에서 그에 대한 신학적 답변을 요청받고 있다. 한국 신종교의 신정론은 그 태생적 이유 때문에 대개의 경우 종말론적 신정론을 갖고 있다. 한국의 신종교도 기성종교(established religion)에 대한 종파(sect)의 성격을 갖고 태어났으며, 종파로서의 성격 중 가장 분명한 것은 종말론적 시대경륜론dispensation)을 갖고 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신종교의 시원으로 볼수 있는 동학(천도교)부터 그 사상적 특징 중 하나가 개벽사상 혹은 지상천국사상인 점을 보면 분명하다. 한국의 신종교는 내세에서의 복락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한국 신종교의 관심은 현세에서의 구원에 있다. 따라서 내세에 관한 교리가 없거나 미약하며 현세에서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교리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신정론 유형으로 본 한국 신종교는 대개의 경우 세월의 흐름에 따른 종말의 지연은 종말론적 신정론의 유형변화를 운명적으로 겪게 되었다. 이는 가치의 문제가 아니고 정체성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종파로서의 신종교가 발전하여 기성종교가 되지 말라는 법도 없기 때문이다. 다만 유형의 변화에 따라 정체성도 변화한다면 태생적 조건은 한계가 될 것이며 그러한 한국 신종교의 유형변화는 자신의 종말론적 역동성을 잃게 하며 그로 인해 한국사회에서 무시되고 결국은 도외시될 것이다.신정론이 종교문화를 형성하는 이데올로기라면 한국 신종교의 신정론 유형변화는 한국의 신종교가 형성해온 종교문화의 지형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신정론 유형변화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모색하지 않는 한국의 신종교는 생존을 가름하는 일도 일어날 수 있음을 성찰해야 할 것이다. Theodicy is a theological reflection on God`s justice explaining the reality of evil and its accompanying pain. Especially, Why do righteous people suffer from pain without any reason? How can they be consoled? Where is righteous God? Christian theology responds to these questions in the name of theodicy as well known. However, theological discussion about the pervasive pain is not only Christian problem but also all religions` problem. That is,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ighteous people`s pain is the matter of concern to all religions including new religions. The pain of modern society results from social structure more than personal immorality. Theodicy can be politics of praxis to overcome the reality of pain and evil. Therefore, the politics of theodicy is a theological dialectic of the reality of sin and evil, and the participation in salvation today. The politics of theodicy is an active participation in God`s future against the reality of sin and evil. Consequently, it will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meaning and the type of theodicy in sociology of religion and the politics of theodicy of Korean new religions. Generally, new Korean religions inherently have eschatological theodicy. However, as the time goes by, the delay of the end of the world causes the change of theodicy type. This is not the problem of virtue but identity. A sect of religion may become an established religion later. But if the change of theodicy type causes the change of identity, it is possible to loose the eschatological activity of new religion. It could result in disregard in Korean society. If theodicy is an ideology establishing religious culture, the change of theodicy type will make change in the culture of new Korean religions. Therefore, appropriate reaction of new Korean religion is necessary for their survival.

      • KCI등재

        통일교의 신정론(Theodicy)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종교의 시작은 죄로 인한 악의 현실과 그에 따른 이유 없이 당하는 고통의 문제 때문인지도 모른다. 아니 인간은 그들이 마주하는 악의 현실과 그에 따른 이유 없이 당하는 고통 때문에 종교를 찾았을 것이다. 완전하게 선하고 전능한 신이 있다면 이 세상에 왜 악이 현존하며 그로 인해 이유 없이 당하는 고통은 끊임이 없는가? 익히 알고 있듯이 기독교는 그러한 문제에 대해 신정론(神正論, Theodicy)으로 답하고 있다. 기독교의 신종교라고 할 수 있는 통일교 또한 그와 같은 문제에 전통 기독교와는 다른 답을 하고 있다. 물론 통일교도 하나님을 전지전능의 존재라고 말하고 있으나 전통의 기독교처럼 악을 선의 결핍이라든가 비존재로 말하지 않는다. 나아가 악의 현실에서 오는 고통을 하나님의 시련이라고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통일교 신정론은 전통적 기독교의 신정론에 대한 재해석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현대 기독교 신정론의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부응한다. 통일교의 신정론은 전통 기독교의 신정론과 다르다. 통일교도 전통 기독교와 같이 하나님의 힘이 전지전능함을 믿는다. 그러나 하나님의 힘이 행사되는 양태는 다르다. 하나님의 힘은 스스로 창조한 원리 곧 창조의 원리에 의한다. 이는 하나님의 완전성을 스스로의 원리를 무너뜨리는 것으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완전이란 원리의 초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원리에 내재하는 하나님의 속성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통일교의 신정론이 종교의 비종교화를 위한 단초가 되며 그러한 신정론에 의한 통일교의 신앙은 지금 여기서 악과 불의의 소멸을 위한 수행으로 점철되며 참가정을 이루고 그를 흔들리지 않는 토대로 하나님의 궁극적 평화를 성취하고자 하는 삶으로 인도한다. 신정론의 정치학은 하나님을 대신한 자유의지의 인간이 하나님의 창조목적의 완성을 위해 지금 여기서 악의 현실을 마주하고 극복하는 실천을 감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정론의 정치학은 죄와 악의 현실에 대한 신적 변증이 아니라 오늘의 구원에 참여하는 것이며 개별을 넘어 공동체와 사회에서 넘쳐나는 죄와 악의 현실을 타파하는 책임적 자아가 되어 하나님의 미래에 동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Religion may begin with the reality of evil owing to sin and its accompanying pain without reason. That is why everyone may have a religion. If God is omniscient and omnipotent, why does evil exist and agony of life perpetuate? Christianity responds with the Theodicy as well known. In another interpretation of the newly recognized Unificationism, a different perspective answers in response. The Unificationism also coincides with God, being omniscient and omnipotent but redefines and states that the evil is the state of absence of good and nondescript in existence. In addition it denies the agony and suffering as the product of the God`s will. Consequently, the Unificationism presents another perspective in its interpretation of the Theodicy and complies with the modern Christianity`s evolving paradigm. The Unificationism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hristianity. Although the Unificationism also believes in the God of Almighty, His exercise of power takes different dimensions. The power is the principle of the creation. The complete God is not about making or breaking the principle, but rather it resides within the principle. The Unificationism believes to take affirmative ground to establish a family and contribute to the elimination of the evil and unjust. According to the Theodicy,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human with free will to fulfill and complete the purpose of the God for His creations as they face the realities with evil and unjust and overcome those by taking appropriate and righteous actions. Therefore, the Theodicy encourages taking responsibilities and actions to fight the evil and the unjust and taking part in the future with God.

      • KCI등재
      • KCI등재

        세계화 시대의 신종교 세계화 시대의 통일교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1 신종교연구 Vol.25 No.-

        Religious discourse on globalization is as follows. What is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on religion? What kind of change does religion undergo in a globalizing world? What kind of role does religion play in this situation? How can religion overcome crisis of identity with expansion of homogenization? Is the future of religion positive or negative? Globalization influences Korean religion in two ways. On the one hand, there is an external approach. What kind of influence can Korean religion have in a globalizing world? On the other hand, it is internal attitude. How can Korean religion ask the problem of identity in this situation? In this paper, internal attitude of Unificationism will usually be discussed. In a globalizing world, Unificationism have its own identity such as cosmopolitan globalization through the international blessing wedding, religious globalization through global religious organization and political globalization through the revolution of UN. However, globalization of Unificationism is resisted by localization. Therefore, globalization of Unificationism needs to be changed through glocalism which seek to balance between ``global`` and ``local``. This glocalism can be the identity of Unificationism that claims to advocate ``give and take``. This way will be a foundation stone for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

        통일교의 하느님 말하기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06 신종교연구 Vol.14 No.-

        Unification theology talks about God`s image and nature. In this aspect, it surpasses other theology by dealing not only God`s nature but also His structure. That is because conventional theologies do not deal with God`s structure. Unification theology`s `God-talk` holds value because it gives answers of faith and theology regarding the problems this age bears. By confessing God, Unification church deals not just God but all that is connected to him; His people, world and universe. In other words, confessing about the creator of this world, God, deals within the deepest relationship between every entity in this world. What understands the God`s creation, humanity, world and universe, as one grand organism in web-like relationship is Unification theology. For Unification theology teaches that God`s is God of relationship and that He exists between relationships. `Giving and Receiving relationship` is His relationship and it means God fulfills His way by interacting with humanity. This thesis attempts to discover how the theology that talks God of relationship renews God. In conclusion, Unification church`s `God-talk` reveals God simultaneously as true mother and true parents. Because the reality of today presents us problems that cannot be solved by the conventional meaning of God. In other words, as the result of conventional theology`s failure of explaining the whole image and nature of God, humanity now bears critical problems with little hope of overcoming it. Therefore, Unification church will introduce solution to today`s urgent matters by revealing God both as True parents and True mother. Because critical problems this humanity faces today are also God`s problems. For example, one of the most urgent matters we face today is the reality of human life. Destruction of environment, nature and, furthermore, life threatens God`s creation and therefore is the reality of human race and, at the same time, the reality of God. Unarguably, this is an universal pain for God. Therefore, only by talking God with His heart as True parents and especially True mother of True love we are able to relieve suffering God from the pain of this reality.

      • KCI등재

        문선명 선생의 종교사상과 민족의식

        김항제 ( Hang Je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3 No.-

        때는 1920년, 20세기 초 세계는 열강의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팽창이 정점에 달했고 한국은 일본제국주의에 의한 식민 지배를 받고 있었다. 종교적으로 말하면 한국은 종말과 묵시의 시대였고 새 시대와 새 날에 대한 메시아니즘뿐만 아니라 후천개벽에 대한 열망이 한국의 종교사상을 대변하고 있었다. 장소는 한국 평안도 정주, 한반도 서북지방에 위치한 정주는 한국 역사의 변방이었으나 일찍이 들어온 기독교회가 뿌리를 내리고 발아하여 개화의 전초지였으며 항일의 맥박이 쉼 없이 뛰는 역동의 현장이었다. 종교적으로 말하면 정주는 마지막 날의 도래를 기다리는 심판의 땅이었고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한 희망의 징표가 동시에 잉태된 곳이었다. 바로 그 때 그 곳에서 문선명 선생은 태어나고 자랐다. 16세 되던 해 부활절, 하나님의 소명을 받은 이래 70여 성상을 하나님의 부르심에 충실한 삶을 살아온 것은 오직 하나님의 창조이상과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성취와 실현에 대한 깨달음이 있었기 때문이며 그 깨달음으로 도달한 진리이며 사상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한민족에 대한 참사랑은 오롯하기만 하다. 오랜 세월 정립된 문선명 선생의 종교사상은 두 세계를 말하는 천주주의, 절대적 평화를 말하는 평화주의 그리고 가족주의를 넘어선 가정주의로 이야기할 수 있다. 문선명 사상의 민족의식은 민족과 함께하는 종교를 분명히 함으로써 한민족중심주의와 한반도유토피아니즘을 말할 수 있다. The year was 1920. The imperialist expansion of the Western powers reached the peak in the early 1920`s. Korea was also colonized by Japanese imperialism. It was not surprising that the religious hopes of the many Korean people became so predominantly eschatological. They was longing for the Messiah and the beginning of the new world. Pyungando Jungju is located in the northwest Korean Peninsula where early Christian church became settled and Korean people rose up against Japanese imperialist colonial rule. Religiously speaking, Jungju was the place where the Last Judgment would take place and a new heaven and earth came forth simultaneously In those days Sun Myung Moon was born and grew up in Jungju. On Easter Sunday at his age of 16, he received God`s call to a specific task. Since then, he has fulfilled God`s call to realize the Ideal of Creation and the Kingdom of God. His true love for Koreans is all around. Sun Myung Moon`s religious Thought established for a long time can be summarized as follow; Universalism believing in a universal reconciliation between humanity and the divine, Pacifism for absolute peace, New family movement. After all,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Sun Myung Moon`s Thought is a Korean centralism and the utopianism of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