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분방전 진단용 UHF cavity-backed 스파이럴 안테나

        김한별,김진혁,황금철,신재호,Kim, Han Byul,Kim, Jin Hyuk,Hwang, Keum Cheol,Shin, Jae Ho 대한전자공학회 201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8

        본 논문에서는 부분방전 진단용 UHF 광대역 cavity-backed 스파이럴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두 개의 Archimedean 스파이럴 암 (arm) 패턴, 캐비티 (cavity), 그리고 급전용 tapered 발룬 (balun)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안된 스파이럴 안테나의 동작 대역은 0.3-1.5 GHz 이고, 두 개의 스파이럴 암은 마이크로스트립 tapered 발룬 구조를 통하여 급전된다. 후면에는 이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캐비티를 부착하였다. CST사의 Microwave Studio를 이용하여 제안된 안테나의 설계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설계된 안테나의 제작 및 측정을 통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제작된 안테나는 측정된 모든 주파수에서 +z축 방향으로 지향성이 나타났고, 최대이득은 9.92 dBi 이다. In this paper, a UHF cavity-backed spiral antenna for partial discharge diagnosis is proposed. The proposed antenna consists of two-arm Archimedean spiral, a cavity, and a balun for feeding. The spiral antenna is designed for 0.3-1.5 GHz operating frequency. Two spiral arms of the proposed antenna are fed by a microstrip tapered-balun. In order to enhance the gain, the cavity is located in the back side of the spiral pattern. The proposed antenna is designed and simulated using CST Microwave Studio. The designed antenna is also fabricated and tested to validate performance. The measured radiation patterns are directional to the +z-axis and measured peak gain is 9.92 dBi.

      • KCI등재

        태양전지 모듈의 구성 요소가 PID 발생에 미치는 영향

        김한별,정태희,강기환,장효식,Kim, Han-Byul,Jung, Tae-Hee,Kang, Gi-Hwan,Chang, Hyo Sik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3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6 No.10

        PID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of PV module is the degradation of module due to the high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solar cells and ground when PV modules operate under high humidity and temperature conditions. PID is generally derived from the positive sodium ions in front glass that are accumulated on P-type solar cells. Therefore, some papers for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only front components as glass, EVA sheet, solar cell under PID generation condition were revealed.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different outputs of module with PID by considering the all parts of module including the back side elements such as glass, back sheet. Mini modules with one solar cell were fabricated with the various parts on front and back sided of module. To generate PID of module in a short time, the all modules were applied.1,000 V in $85^{\circ}C$, 85% RH. The outputs, dark IV curves and EL images of all modules before and after experiments were also measured to confirm the main components of module for PID generation. From the measured results, the outputs of all modules with front glass were remarkably reduced and the performances of modules with back and front glass were greatly deteriorated. We suggest that the obtained data could be used to reduce the PID phenomenon of diverse modules such as conventional module and 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 KCI등재

        국어사 자료로서의 『녀자초학(女子初學)』 연구

        김한별(Kim, Han-byul)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3 No.-

        본고는 지금까지 국어학계에 공개되지 않은 문헌인 『녀자초학』을 소개하고 그것을 국어사적 측면에서 조명해 보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 책은 한글로 필사된 학봉 종가의 계녀서로, 두 이본이 존재한다. 하나는 학봉의 9대 종손인 김종수가 작성한 ‘고본(稿本)’이고, 다른 하나는 그의 증손자인 김응식이 그것을 베껴 쓴 ‘전사본(轉寫本)’이다. 본고는 전사본과의 대비 작업을 중심으로 하여 고본의 언어적 특징을 ‘표기ㆍ음운ㆍ문법ㆍ어휘’로 나누어 살펴보는 데 주력하였다. 고본의 저자 김종수는 표기법을 중시하고, 서울말이나 중부 방언뿐만 아니라 자신의 경북 양반 계층 방언도 중시하는 인물이다. 이에 따라, 그는 많은 음운 변화에서 보수적인면을 보였으나, 현실 언어를 수용하는 데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고, 일부 변화에서는 개신적인 태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문법적인 측면에서는 사동사 ‘보이-[使試]’와, 척도 파생 접미사 ‘-(-애)/의’의 대당 표현으로 쓰이는 명사형 어미 ‘-기’, 목적격 조사 ‘-으로’의 존재, 접속 조사로 연결되는 명사구 나열 구성에서의 맨 마지막 격조사 생략 문제, 비교 구문에서의 조사 생략 문제 등을 다루었다. 어휘적인 측면에서는 동남 방언형과 의미 변화를 상정할 수 있는 어휘, 그리고 희귀어를 소개하였다. This article introduces a new historical literature Nyŏjach"ohak (女子初學), which has never been studied in Korean linguistics, and examines its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is book is a Hangŭl manuscript written by a father who wanted to teach one of his daughters the proper virtues and manners for a noble woman at the period. There a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text: the one is the original text written by Kim Chongsu, the 9th descendent of Hakpong, and the other is the one copied by Kim Ŭngsu, a great-grandson of Kim Chongsu.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orthographical, phonological, grammatical and lex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version based on the result from contrasting between the two versions. Kim Chongsu, the author of the original version, regarded the orthographic tradition as important and seemed to pursue not only Seoul or Central Dialect, but also his own upper class dialect in Kyŏngsangbukdo area. Consequently, phonological changes in the text show both conservative and innovational forms depending on individual change. As for grammatical characteristics, I dealt with causative verb pwoi-; nominalizer –ki used as nominal suffix –oy/uy; accusative particle –urow; omitting of case particles after the last comitative particle in a construction of coordinated noun phrases; and omitting of particles in a comparison construction. Finally, I indicated the lexical characteristics of the book in terms of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Southeastern dialect, semantic change and rare words.

      • KCI등재

        ≪학봉김션□□장(鶴峯金先生行狀)≫의 서지와 언어

        김한별 ( Kim Han-byul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9 언어와 정보 사회 Vol.36 No.-

        This article conducts a bibliographic and linguistic study on Hakpong kim sonsaeng haengjang (‘An Annotation of the Behaviors of Great Scholar Kim Hakpong’ 鶴峯金先生行狀), which is not a well-known source in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The annotation book is a one-volume manuscript translated from Classical Chinese into Korean vernacular in 1770 by Kim Chuguk, the 7th eldest son of the eldest son’s family of Kim Hakpong. Evidence from the number of handwritings, types of misspelling and the use of a certain punctuation mark, however, indicates that the book is not the original version, but a copied one. According to some intra- and extra-linguistic evidence, the transcribers must be Kim Chuguk’s family members. Based on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annotation, in order to reveal its linguistic value I have researched the following topics: its dialectal background; its orthographical, phonological, grammatical and lexical characteristics; and its translational aspect.

      • KCI등재

        골프 경기력 결정 심리요인의 탐색과 경기력 수준에 따른 위계적 중요도

        김한별(Han Byul Kim) 한국사회체육학회 2010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hierarchical importance of psychological factors for golfers based on their performanc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open-ended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were used in respective order. As a result,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were affecting golfer`s performance were fundamental, atmosphere, intervention strategy, and golf intelligence. Factors for each construct included fundamental(confidence, will power, concentration, self management), atmosphere(fellow competitors, caddies, group atmosphere, rewards), intervention strategy(decreased tension, positive mindset, decreased anxiety), and golf intelligence(brightness of golf play, creativity, image training). Furthermore, the order of hierarchical importance of constructs for superior pro-golfers was fundamental, golf intelligence, intervention strategy, and atmosphere, and for pro-golfers was fundamental, intervention strategy, golf intelligence, and atmosphere. Also, the order of hierarchical importance of factors for superior pro-golfers were confidence, image training, and will power, and for pro-golfers, were confidence, will power, and positive mindset.

      • KCI등재

        안동 지역 반촌어의 음운 변화 - 후기근대 문헌자료와 현대 음성자료 간의 실재시간 연구 -

        김한별 ( Kim Han-byul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4 No.-

        본고는 후기 근대 문헌 자료와 현대 음성 자료를 서로 비교하는 실재 시간 연구를 통하여 19세기 이후 안동 지역 반촌어에서 전개된 음운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후기 근대 국어 자료로는 학봉 종가 구성원들이 저술하고 작성한 ≪녀□초□≫(1797)과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을, 현대 국어 자료로는 필지가 안동 검제 마을에서 현지 조사를 통해 수집한 음성 자료를 선정하였다. 검제 마을은 학봉 종가 구성원들이 세거해 온 지역이라는 점에서 두 유형의 자료는 통시적 연속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하여 본고에서는 이 방언에서 전개된 음운 변화를 모음과 자음의 변화로 나누어 그 양상을 기술하고 설명하였다. 먼저, 모음의 변화로는 모음 합류(/ㅔ/와 /ㅐ/의 합류, /ㅡ/와 /ㅓ/의 혼동), 모음 상승(‘ㅔ>ㅣ’, ‘ㅓ>ㅡ’, ‘ㅗ> ㅜ’), 이중 모음의 변화(/ㅟ/, /ㅚ/, /ㅢ/, /ㅕ/, /ㅝ/ㆍ/ㅘ/의 변화), 움라우트, 전설 모음화, 원순 모음화, 모음 조화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자음의 변화로는 파찰음의 재음운화, /ㅆ/의 음운화, 체언 어간말 자음의 마찰음화, 비모음화, 어중 /ㅎ/의 약화ㆍ탈락과 유기음화를 논의해 보았다. This article describes and explains phonological changes implemented in a panch’on (‘noble class village’ 班村) dialect in Andong, Kyongsangbukto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day.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a real time study between written and spoken data from Late Early-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respectively is carried out. For the LEMK source, on the one hand, I have chosen two texts written by members of Hakpong Kim Song’il’s head family: Nyojach’ohak (‘Elementary Studies for Education of Women’ 女子初學, 1797) and Ŭisong kimssi hakpong chongga on’gan (‘Vernacular Letters by the Head Family of Hakpong from the Ŭisong Kim Clan’ 義城金氏 鶴峰宗家 諺簡). For the CK source, on the other hand, spoken data collected in Komje village in Andong by my own fieldwork has been chosen. Since Komje village is the panch’on where Hakpong’s head family has resided for generations, it seems reasonable to regard the two different types of source have a diachronical continuity in terms of both regional and social dialect. Comparing the two sources from the different periods in the same area, this article investigates both vowel and consonant changes. The vowel changes contain ① vowel merger (“merger of ay [e] and ey [ε]” and “confusion of e [ə] and u [i]”), ② vowel raising (“ey [e] > i [i],” “e [ə] > u [i]” and “wo [o] > wu [u]”), ③ changes of diphthongs (“change of wuy [uy], woy [oy], uy [iy], ye [yə], we [wə] and wa [wa]”), ④ umlaut, ⑤ vowel fronting, ⑥ labialization and ⑦ vowel harmony, whereas the consonant changes include ⑧ rephonologization of affricates, ⑨ phonologization of ss [s’], ⑩ spirantization of noun coda, ⑪ vowel nasalization and ⑫ lenition, dropping and aspiration of medial h.

      • KCI등재

        초임교사의 학교문화 적응과정에서의 학습경험 이해

        김한별(Kim Han Byul) 한국평생교육학회 2008 평생교육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을 졸업하고 처음으로 일선 학교에 부임한 초임교사들이 자신이 속한 학교문화에 적응해나가는 과정을 탐색하면서, 그 가운데 어떤 형식과 내용의 학습이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평생학습의 입장에서 교사 역시 지속적인 학습활동을 필요로 하는 평생학습자로 상정하면서 12명의 초, 중등 초임교사들의 학교 경험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BR>  연구 결과, 학생들과의 관계에서의 학습경험과 동료교사들과의 관계에서의 학습경험으로 정리될 수 있었다. 학생들과의 관계에서의 학습은 실제 수업에서 효과적인 교육방법의 탐색과 적용, 교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인식하는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리고 동료교사들과의 관계에서는 교직의 보수성에 대한 인식과 신규라는 자기 정체성으로 인한 수동적 교사역할을 내면화하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임교사들이 학교문화에 적응하는 것은 단순히 교사 개인적 차원에서 파악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이라기보다, 교사를 둘러싸고 있는 상황적 조건, 특히 교사가 맺게 되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의 속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school teachers have also been considered as learners in order to cope with their own periodical obsolesc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earning experiences of teachers in their schools. Particularly this qualitative study seeks to highlight how and what first-year teachers learned to become professional teachers in their schools.<BR>  The findings reveal two sets of learning experiences: learning with pupils and learning with teachers. In terms of relations with their students, first-year teachers try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skills that fit into their students. They also shape their identities as a teacher. However, in terms of relations with teachers, they are socialized into teacher culture, which is largely conservative. Due to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other teachers, they regard them as new-comers, and relatively novices. As a result, they do not attempt to raise concerns and ideas. Instead, they keep their voices silenced.

      • KCI등재

        종교생활의 맥락에서 살펴본 성인의 영성학습 과정 : 가톨릭 신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한별(Kim Han byul),안아라(Ahn Ah Ra),허효인(Heo Hyo 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가톨릭 신자들의 신앙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종교생활의 맥락에서 영성의 발달을 이끄는 성인들의 영성학습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비교적 오랜 기간 성실하게 신앙생활을 해왔으며, 가톨릭에서 신앙적 모범으로 인정받은 신자 7명, 사제 1명, 수녀 1명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청취하여 신앙에 영향을 미친 사건과 변화의 모습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서 드러난 영성학습의 과정을 요약하면 연구 참여자들은 초월적 존재인 하느님과 관계 맺고 일치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가지고 신앙 활동에 몰입하였으며, 그 가운데 하느님의 현존을 인식함으로써 자기정화를 경험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참여자들은 기존의 관점이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 자신, 타인, 세계를 이해하는 관점으로 변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변화된 자세로 삶을 살아가는 실천 양상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영성학습의 과정이란 초월적 존재인 하느님과의 관계를 토대로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인식을 얻는 동시에, 변화된 삶의 자세를 보이는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영성학습과 영성 발달을 추동하는 영적 경험이 친숙한 일상에서 생소하고 낯선 것을 인식하는 경험이란 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영성학습이 성인학습의 주요 주제인 비판적 사고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process for spiritual learning in the context of religious life, which is a crucial component of spiritual development for adult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research is design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nine Catholics have been conducted. The study findings reveal that participants has gone through four phases of spiritual learning. Due to problems and conflicts within their own lives, participants have aspired to connect with God, transcendent and eternal being. They have been devoted to religious practices such as attending Mass, reading Bible, praying, confessing, and Eucharistic adoration. In so doing, they have been aware of the existence of God that leads to experience a sense of self-purification. It is a spiritual experience for participants because they have come to recognize the extraordinary out of the ordinary. As a result of spiritual experiences, they have transformed perspectives, and changed ways of living. This study suggests that spiritual experience is a pivotal component of spiritual learning, and in turn, constant development of spirituality. The study also shows that people could have spiritual experience during critical thinking in the sense that it is involved with awareness for the extraordinary out of ordinary lives; challenging norms and standards that are taken for granted is regarded as critical thinking. Further studies that allow to extend interests in spiritual learning are proposed.

      • KCI등재

        평생교육사의 직업사회화

        김한별(Han Byul Kim)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직업사회화 개념을 통하여 평생교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평생교육사의 정체성 발달과 자각과정을 살펴보았다. 지자체에 근무하는 평생교육사 8인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평생교육 업무에 전문성을 갖는 존재라는 인정을 받지만, 계약직 종사자이자 수적 소수자라는 조건을 가지고 살아간다. 이러한 상황 조건으로 인하여 지자체 평생교육사는 조직 안에서 전문적인 식견과 능력을 인정받음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로서 자율성과 권한을 충분히 행사하지 못한채 지역 평생교육과 관련한 과중한 업무를 감당해야만 하는 모순적 상황에 처한다. 이에 대해 지자체 평생교육사들은 동료 공무원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가면서, 타 지자체 평생교육사들과 교류하면서, 평생교육 전공 대학원 진학을 통해서, 그리고 자신의 노력과 활동으로 인한 현장의 변화를 직접 확인하고 인식하면서 평생교육사 직업의 가치와 평생교육사로서 자신의 존재의미를 파악해간다. 그럼으로써 앞선 평생교육사의 발자취와 이후 이어질 역할의 연속 선상에서 위치하는 자신의 존재를 파악하며, 다른 직종 종사자들에 비하여 다양한 ‘관계’들을 효과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존재라는 인식을 가지며, 평생교육사란 지역주민의 실질적 변화를 촉진하는 존재라는 정체성을 발달해간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의 실질적 임파워먼트에 기여하는 연구와 교육을 위해서는 기능적 역량중심의 전문성에만 치중하기보다, 이들의 전문성이 주목받고 소비되는 현장 맥락에 대한 연구와 구체적인 현장에 대한 이해와 성찰을 돕는 평생교육사 교육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process for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lifelong educators who have worked in local government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research is design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eight lifelong educators have been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ndings, participants have gradually developed their own identity as a lifelong educators in local government by struggling with being marginalized. Although lifelong educators expertise have been acknowledged by colleagues, their autonomy and authority are largely limited because of their condition: an employee by contract, minority in the organization. In this regard, in order to avoid troubles, they have attempted to maintain goo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other lifelong educators, to enhance their expertise by attending graduate schools, and to recognize successful outcomes resulting from their own efforts. Through their work as lifelong educators in local governments, they have come to understand that the meaning of their positions and roles can be traced to practices of other lifelong educators. Furthermore, they recognize that it is their responsibility to take care of multiple relations with stakeholders, as well as learners change. This study suggests that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lifelong educators is a learning experience that takes place in the workplace, and results in identity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