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낙동정맥내 주요 산림의 나비류 군집과 환경과의 관계

        김지석 ( Ji-seok Kim ),이수동 ( Soo-dong Lee ),김한 ( Ha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나비는 소비자, 먹이원, 숙주, 수분매개자 등 다양한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를 가지며(Blair, 1999),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개체군 구조가 달라지는 생물로 알려져 있다(Warren, 1987). 애벌레 시기에는 특정 식물만 먹고 성충이되면 꽃에서 흡밀하기 때문에 식물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김지석과 강현경, 2011). 또한 주변 환경의 변화는 꽃이 피는 식물 및 나비의 서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김지석과 강현경, 2011) 나비류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환경 요인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연구는 낙동정맥내 주요 산림인 백병산(13개소), 백암산(21개소), 고헌산(22개소), 구덕산(20개소)에 서식하는 나비류군집과 환경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조사는 나비의 활동에 적당한 맑은 날에 등산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양 옆 5m(10×20m: 200㎡)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종의 개체수를 기록하였다. 육안으로 직접 동정이 되지않는 나비는 망(지름 40cm)을 이용하여 채집하였으며, 종동정은 주흥재 등(1997), 김용식(2002)의 방법으로, 명명은 한국곤충명집(한국곤충학회와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을 따랐다. 성충기의 먹이인 흡밀식물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나비가 흡밀하는 식물종과 개화여부를 파악하여 기록하였다. 서식환경에 따른 나비 군집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해발고 100m 단위로 방형구(면적 : 약 250~500㎡)을 설치한후, 조사지역의 토지이용유형, 식생유형, 울폐도 등을 야외기록장에 기록하였으며 울폐도는 어안렌즈를 활용하여 촬영한 후 피도를 산정하였다. 군집 특성은 군집분류법을 활용하여 분류하고 해발고, 토지이용유형, 식생유형 등 환경요인에 따른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지수, 우점도, 균재도등을 비교·분석하였다. 4개 조사지의 나비 출현 현황을 조사한 결과, 백병산 41 종류 142개체, 백암산 41종류 167개체, 고헌산 47종류 200개체, 구덕산 25종류 185개체가 관찰되는 등 총 5과 73종류(호랑나비상과)가 확인되었다.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 100종 중 남방노랑나비와 암끝검은표범나비가 고헌산과 구덕산에서 확인되었다. 시기별 나비의 행동을 분석한 결과, 이동하는 나비는 321개체로 전체의 46.3%였으며 휴식 216개체(31.1%), 먹이행동 131개체(18.9%), 물먹기와 구애행동은 각각 12개체(1.7%), 산란 2개체(0.3%)이었다. 계절별 행동을 분석해 보면, 봄철에는 이동, 여름철은 휴식 비율이높았고 먹이행동은 봄철에 전체의 10.7%였지만, 여름철과 가을철에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흡밀식물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먹이 행동을 보인 나비 종류를 파악한 결과, 총 73종류 중 31종류로 파악되었으며 이용 식물은 47종류였다. 나비별 흡밀식물로는, 큰줄흰나비가 14종류를 이용하여 가장 다양한 식물에서 흡밀하였으며, 줄점팔랑나비 11종류, 남방부전나비 8종류, 네발나비와 작은멋쟁이나비, 푸른부전나비, 호랑나비가 각각 4종류 등의 흡밀하였다. Specialist 종으로는 네발나비, 모시나비, 남방부전나비 등이, 나머지 나비들은 상대적으로 Generalist에 해당하였다. 흡밀식물 중 가장 많은 나비 개체가 이용하는 식물로는 총 22개체가 흡밀한 참싸리였으며, 며느리밑씻개 11개체, 파리풀 8개체, 개쑥부쟁이 7개체, 미나리냉이 6개체의 순이었다. 조사지역별 종다양성지수(Shannon)를 산출한 결과 백병산은 평균 0.8551(0.4771~1.0881), 백암산은 평균0.6774(0.2764~1.0290), 고헌산은 평균 0.7289(0.2442~1.0414), 구덕산은 평균 0.6825(0.2764~1.0004)이었다. 지역별 상대적인 유사도지수값을 샆펴보면, 백병산은 백암산, 고헌산과 유사도지수 24.47~25.49로 구덕산보다 높았으며, 구덕산은 고헌산과 종구성이 상대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위도에 따라 백병산과 백암산은 유사한 종구성이었으나 구덕산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위도상 중간에 위치한 고헌산은 다른 3개 지역과 비교적 유사한 종구성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비와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나비 종수, 개체수, 산림 울폐도, 종다양성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나비의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지수는 울폐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울폐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종수나, 개체수, 종다양성지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역의 특성에 따른 나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임도, 초지, 산 정상, 산림에 따른 나비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지수에 대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산정상이 가장 높았고, 임도, 초지, 산림 순이었다. 분산분석 결과,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성지수는 모두 집단간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산림-산 정상은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지수에서 차이가 인정되어 산 정상이 산림내부보다 나비의 다양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오대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 식생비오톱 특성 분석

        김지석,이영경,이병인,Kim, Ji-Suk,Yi, Young-Kyoung,Yi, Pyong-I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2

        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의 식생비오톱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오대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52개의 방형구를 토지이용유형별로 설치하여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군락분류결과, 6개 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2개 군락의 식별종은 서양민들레, 개망초, 왕포아풀로 도시화지역, 본 조사에서는 사찰지 내에 분포하는 식물이었다. 1개 군락의 식별종은 양지꽃으로 숲 가장자리에 주로 분포하는 종이었으며, 3개 군락의 식별종은 조릿대와 신갈나무로 산림지역 분포식물이었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와 DCA 기법을 활용한 서열분석을 통하여 공원문화유산지구는 사찰비오톱, 사면벌채지비오톱, 산림비오톱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유형별 종수, 귀화식물, 상대우점치, 유사성에서 차이를 확인하였다. 사찰비오톱 우점종은 왕포아풀과 쑥이었으며, 사면벌채지비오톱은 미역줄나무, 산림비오톱은 신갈나무, 전나무, 느릅나무였다. 사면벌채지비오톱은 다른 비오톱에 비하여 출현 종수가 많았으며, 사찰비오톱은 귀화식물 출현 종수가 많았다. We investigated the vegetation structure in Cultural Heritage Site of Odaesan National Park using 52 quadrats for each type of land use to figure out some characteristics of plant biotope. As we classified vegetation communities, they are six groups of communities. distinguished species in two of them are Taraxacum officinal, Erigeron annuus and Poa pratensis which are common in urban areas. Distinguished species in one of them are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which is common in outskirt of forest. And Distinguished species in another 3 communities are Sasa borealis and Quercus mongolica which are common in forest. Using TWINSPAN and DCA, we are able to classify the six communities into 3 types biotope (temple-biotope, slope-biotope, forest-biotope) in Cultural Heritage Site. The dominant species of urban-biotope are Poa pratensis, Artemisia prinseps and that of slope-biotope is Tripterygium regelii. Also the dominant species of forest-biotope are Quercus mongolica, Abies holophylla and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We could see more species in slope-biotope than another biotope types. Moreover, in urban-biotope types, we could find many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 KCI등재

        나비와 흡밀식물과의 관계 분석을 통한 조경설계에의 활용방안 연구 - 서울 월드컵공원을 대상으로 -

        김지석,강현경,Kim, Ji-Seok,Kang, Hyun-Kyung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1

        본 연구는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였던 월드컵공원내 하늘공원과 노을공원에 서식하는 나비 출현종 및 흡밀식물 현황, 흡밀식물과 나비와의 상호관계를 구명하여 나비 서식지 조성시 식재종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나비는 총 5과 23종 1,129개체가 출현하였으며,나비의 주요 행동은 흡밀 행동이 전체의 36%로 연구대상지가 나비에게 흡밀공간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월드컵공원에서 나비와 흡밀식물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나비와 흡밀식물의 꽃색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나비를 유인하기 위한 식재시 특별하게 꽃색을 고려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나비가 선호하는 흡밀식물은 대부분 귀화식물로 나비 서식지를 조성함에 있어 흡밀하는 식물로 자생종이나 귀화종을 구분하여 나비를 유인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자생식물을 활용할 필요가 있는 지역의 경우에는 낭아초, 싸리, 벌개미취와 같은 종이 나비 유입을 위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흡밀나비 개체수와 흡밀식물 종 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곡선추정 회귀분석 대수모형 곡선에서 일반종과 특이종으로 구분한 결과, 노랑나비, 배추흰나비, 줄점팔랑나비는 일반종으로 구분되었고, 범부전나비, 큰줄흰나비, 남방부전나비, 푸른부전나비는 특이종으로 구분되었다. 특이종 중 범부전나비는 낮은 산이나 숲을 선호하는 종으로, 초지를 선호하는 3종(큰줄흰나비, 남방부전나비, 푸른부전나비)과 서식지 차이가 있어 초본식생지에서 목본식생지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쓰레기 매립지의 식생현황에서 보전가치가 더 높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나비서식지 조성시 목표종을 선정할 때, 식물과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특이성이 높은 종을 고려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특이종은 경우에 따라 대상지내의 목표종으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in order to select specialist butterfly species that inhabit Haneul and Noeul Parks, previously landfill areas, we verifi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nectar plants and butterflies. While we will design the butterfly habitats, this paper will provide the foundation data for selecting the plants. The completed survey indicat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5 families, 23 species and 1,129 individuals. Butterflies of the main action were feeding on nectar, and such behavior was 36% of the total actions. Therefore, these parks play an important role in butterflies feeding on nectar. The correlation between butterflies and the nectar plants' color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flower color when choosing plants to attract the butterflies. In addition, butterflies prefer naturalized plants for feeding on nectar. Thus, when creating butterfly habitats, there is no use in attracting the butterflies by classifying the naturalized plants and native plants. However, if some areas that are need to plant native plants such as Inkigofera pseudo-tinctoria, Lespedeza bicolor, Aster koraiensis make use it, there could be taken an advantage to attract the butterflies. According to the algebraic curve model of curve estimation regression analysis, we were able to classify the generalist species and specialist species by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Colias erate, Artogeia rapae and Parnara guttata were classified as generalist species, where as Rapala caerulea, Pieris melete, Zizera maha and Celastrina argiolus were classified as specialist species. Rapala caerulea prefers hills and forest for its habitat; therefore, it is clearly distinct from Pieris melete, Zizera maha and Celastrina argiolus which prefer grassland for habitats. These results show that Rapala caerulea is high conservation value in a landfill area where is developing ecological succession from grasslands to wood lands. In conclusion, these research are able to contribute to select the target species and suitable species that consider a singularity between butterflies and nectar plants, when we are creating the butterfly habitats, moreover these research will contribute to maintain a stable habitats.

      • 초소형위성의 폐기 기동을 위한 항력 증대 장치 개발

        김지석,김해동,Kim, Ji-Seok,Kim, Hae-Dong 한국우주과학회 2022 우주기술과 응용 Vol.2 No.1

        In this paper, we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a drag augmentation device for nanosatellite. Recently, space industry has entered the New Space era, and barriers to entry into Low Earth Orbit (LEO) for artificial objects such as small rockets and nanosatellite mega constellations have been significantly lowered. As a result, the number of space debri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and it is approaching as a major threat to satellite currently in operation as well as satellites to be launched in near future. To prevent thi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ke Inter-Agency Space Debris Coordination Committee (IADC) have been proposed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conducted KARI Rendezvous & Docking demonstration SATellite (KARDSAT) project, the first nanosatellites for rendezvous and docking technology demonstration in Korea, and we also developed drag augmentation device for KARDSAT Target nanosatellite that complied with the international guideline of post-mission disposal.

      • KCI등재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진 유발 산사태의 취약섬 분석

        김지석,박혁진,이정현,Kim, Ji-Seok,Park, Hyuek-Jin,Lee, Jung-Hy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1 자원환경지질 Vol.44 No.4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의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진관련 재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진의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진에 의해 유발되는 산사태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필리핀 레이테섬 산사태의 경우처럼 집중강우에 의해 포화된 사변에서는 소규모의 지진에 의해서도 대규모의 산사태가 유발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소규모 지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에 의한 산사태의 발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에 의해 지하수위가 상승하여 포화된 지반 조건에서 소규모 지진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산사태의 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지질 및 지형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Newmark displacement model을 해석모델로 선정하고 GIS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수치지형도와 지질도 등을 이용, 사변의 기하학적 특성과 지질공학적 특성에 대해 커버리지 형태인 10 m ${\times}$ 10 m 크기 격자(grid) 형태의 주제도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지진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Arias intensity와 임계가속도와 결합하여 Newmark 변위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2007년 l윌 연구지역 주변에서 발생한 규모 4.8의 지진에 대하여 지진에 의해 유발되는 산사태의 취약성을 분석하였으며 지반의 포화정도가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하수위를 변동시켜가며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지진의 규모와 진앙까지의 거리가 산사태의 취약성 해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0 - 4.0 규모의 지진이 연구지역 내의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며 집중강우에 의해 지반에 포화된 상황을 고려하기 위해 지하수위를 변동시켜가며 산사태의 취약성을 분석하였다. Since the frequency of the earthquake occurrence in Korean peninsular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 possibility that massive landslides are triggered by earthquake is also growing in Korea. Previously, the landslide is known to be induced by large magnitude earthquake, whose magnitude is larger than 6.0. However, the landslide can be induced by only small magnitude earthquake, especially in the fully saturated soil. Therefore, the susceptibility of landslide caused by small magnitude earthquake in fully saturated soil is analyzed in this study. For that, the topograph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 were obtained and managed by GIS software. In the procedure of the study, slope angle, cohesion, friction angle, unit weight of soil were obtained and constructed as a spatial database layer. Combining these data sets in a dynamic model based on Newmark's displacement analysis, the landslide displacements were estimated in each grid cell. In order to check out the possibility of the earthquake induced landslides, the level of the groundwater table is varied from dry to 80% saturated soil.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magnitude of earthquake and distance to epicenter, four different earthquakes epicenters were considered in the study area.

      • 제1분과 : 식물상 및 식생 관리 ; 식물군집 특성에 따른 비오톱 유형 분류

        김지석 ( Ji Suk Kim ),정태준 ( Tae Jun Jung ),홍석환 ( Seok Hwan H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Dahl(1908)은 생물이 서식하는 물리적인 요인의 복잡성을 정의하기 위하여 비오톱(biotope)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소개하였다. 비오톱 개념은 생물군집과 관계가 있으며 Tansley가 1935년에 생태계의 개념을 정의한 이후로 생태계는 비생물적인 요소와 생물적 요소로 구성되었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비생물적인 요소는 비오톱이라 하였고, 생물적 요소는 생물군집이라 하였다. Sukopp and Weiler(1986) 는 비오톱을 “이웃한 다른 생물군집과 공간적 경계를 나눌수 있고 일정한 최소면적을 가진 특정생물군집의 서식 공간”이라고 정의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부의 ‘비오톱지도 작성지침’에서 비오톱을 ‘특정한 식물과 동물이 하나의 생활공동체 즉 군집을 이루어 지표상에서 다른 곳과 명확히 구분되는 하나의 서식지를 말함’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이를 정리하면 비오톱은 특정한 생물군집이 지속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일정한 공간 영역을 말하며, 하나의 비오톱은 그 위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과 지질, 지형, 지리 등의 물리적 요인에 의해 고유한 환경 특성을 갖기 때문에 다른 비오톱과 구분된다(Oh et al. , 2010).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비오톱 지도는 현재 서울시를 시작으로 성남시, 광양시, 고양시, 시흥시, 원주시, 순천시, 천안시, 당진군, 충청남도 7개 시·군 등 대도시와 수도권에 위치한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활발히 제작되었다. 하지만 비오톱지도는 생물 군집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구분되는 지점(경계)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토대로 작성되지 않았다. 비오톱유형화는 개별비오톱의 생태적 특징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나타나는 과정이며(Ministry of Environment, 2008), 비오톱 유형 분류 시 토지이용유형을 기본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도시 내 토지이용유형에 따른 생물종조성의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에 기초하고 있다(Lee et al. , 2011). 국내에서도 야생조류(Kim et al. , 2012), 잠자리(Kim et al. , 2013) 등이 토지이용유형에 따라 생물 종구성 차이를 보인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독일의 경우에도 생물 종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이용유형, 식생형태, 건축물 설립연대, 토양, 이용강도 등을 고려하여 비오톱유형을 분류하였다(Lee et al. , 2011). 하지만 모든 생물서식처를 기반으로 하는 공간구획을 위한 생태계 정보의 종합적 수집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으로, 식생은 그 지역의 지형, 토양, 인위적 간섭 등 영향을 대별하므로(Motzkin et al. , 1999) 공간유형을 생태적으로 구분하는 단위로 주로 이용되어 왔고(Atkinson, 1985), 이는 비오톱지도화에 영향을 주어 식생조사에 의한 지도화가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에서 발전하였다. 1970년대부터 독일에서는 경관계획의 필수적인 요소로서 자연보전을 위한 비오톱 지도화를 적용하였다 (Reumer and Epe, 1999) 이에 본 연구는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를 사례지로 하여 비오톱 유형 분류 시 기본으로 사용하는 토지이용유형에 따라 식생군락을 분류하여 보고, 특정 식생군락의 공간적경계를 구분하여 비오톱 유형화 및 지도화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2005년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에 준공된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로 하였으며 면적은 92, 362㎡이다. 조사는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의 토지이용유형에 따라 현황도를 작성하고, 토지이용유형별 식물군집구조 조사를 실시하였다. 군집 분류법을 활용하여 군집을 분류하고, 군집 분류 결과를 토대로 비오톱을 유형화하였으며, 비오톱지도를 작성하였다. 조사구는 토지이용유형 결과를 토대로 토지이용유형별 총 55개의 조사구를 선정하였다. 토지이용현황 조사는 2013년 5월 2일에 실시하였고, 설계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캠퍼스 내 모든 지역에 대해서 토지이용현황을 조사하고 1:1, 000 수치지형도에 도면화 하였다. 식물군집구조 조사는 2013년 5월 9, 14, 21, 22일에 실시하였으며, 55개소의 조사구에 대하여 2×2m의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조사는 식물사회의 종조성을 강조하는 Braun-Blanquet의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우점을 평가하는 피도의 계급 판정은 Braun-Blanquet의 scale을 변형한 9계급의 변환통합우점도 (Westhoff and van der Maarel, 1973)에 준하여 기재하였다. 군집분류는 유사한 표본단위들을 하나의 집단으로 만들어 다른 집단과 구분되게 하는 과정으로 TWINSPAN(Hill, 1979)을 활용하였다. 군집 분류된 결과를 바탕으로 비오톱 지도를 작성하였으며 모든 도면 작성에는 ArcGIS 10. 0을 사용하였다.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의 토지이용유형은 총 16개로 분류되었으며, 식생이 출현하는 9개 유형을 대상으로 군집분류를 실시한 결과 7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비오톱 분류 유형을 Biotope Class, Biotope Group, Biotope Type, Biotope Sub-Type으로 구분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Biotope Class는 TWINSPAN에 의해 분류된 첫 번째 분류된 군락으로 인간 행동적 요인의 영향으로 판단되었으며 산림지역과 인간의 적극적 이용지역으로 구분되었다. 두 지역을 구분하는 식별종으로는 감태나무였다. Biotope Group 은 인간의 적극적 이용지역의 경우, 바닥 형태에 따라 틈새투수 포장이 있는 지역과 투수 식생지역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틈새투수 포장지역과 투수 식생지역을 구분하는 식별종은 망초·주름잎(틈새투수 포장지역)과 얼치기완두·고들빼기·잔디(투수 식생지역)이었다. 산림의 Biotope Group은 조사구 부족으로 더 이상 분류할 수 없었다. Biotope Type은 틈새투수 포장지역의 경우, 식생 이입을 의도하지 않은 틈새 포장지역(광장이나 보도)과 의도적으로 투수지역을 만든 주차장으로 구분되었다. 투수성 주차장 지역은 광장이나 보도에 비하여 토양의 면적이 더 넓어 식생이입에 유리한 조건이었다. 작은 토양 면적의 차이가 식생 종조성의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틈새 투수포장지역의 식별종은 개소시랑개비(투수지역 주차장)였다. 투수 식생지의 경우, 평지 식생지와 사면 식생지로 구분되었다. 평지 식생지와 사면 식생지를 구분하는 식별종은 큰김의털이었다. Biotope Sub-Type은 의도적 틈새투수지인 투수 주차장과 비의도적 틈새투수지인 광장·보도로 구분되었지만, 광장과 광장으로 통하는 넓은 보도가 유사한 군락특성을 보였다. DCA 분석 결과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어 군락Ⅰ과 Ⅱ는 같은 Biotope Sub-Type으로 하였다. 평지 식생지는 조경수 식재지와 자연초지로 구분되었다. 광장과 보도를 구분하는 식별종은 마디풀(광장)이었으며, 조경수 식재지와 자연초지를 구분하는 식별종은 잔디·고들빼기(조경수식재지)와 돌콩(자연초지)이었다.

      • 다중균열이 존재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해석적 파열압 예측

        김지석(Ji-Seok Kim),전준영(Jun-Young Jeon),김윤재(Yun-Jae Kim),엄기현(Ki-Hyeon Eom),김진원(Jin-Weon Kim),김종성(Jong-Sung Kim)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4 No.11

        Steam generator is composed of thousands of steam generator tubes. Since heat transfer occurs between the steam generator tube in which primary water is passing through and secondary water, it is very dangerous that primary water is mixed with secondary water if the steam generator tubes have through-wall crack. So prediction of burst pressure for steam generator tube is necessary. In order to predict burst pressure of steam generator tube, tube tensile test and notch tensile test are needed. From these tests, tensile properties and multi-axial fracture strain are determined. By using stress-modified fracture strain model, burst pressure for steam generator tube with multiple cracks are numerically obtained. In conclusion, burst pressure is reduced as the crack length increases. And it is found that as crack length between cracks increases, reduction of burst pressure due to multiple cracks decr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