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미술관 제도의 성립과 전개 : 미국 미술관 제도 정착에 있어서 MoMA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주원 (Ju Weon Kim) 상명대학교 조형예술연구소 1998 조형예술연구 Vol.3 No.-

        Museum is a social instrument that has long been with mankind, Historically, It is an organization which finds out and evaluates values of things derived from society, such as humanistic, social, historical, aesthetical, and scientific merits. In othe

      • KCI등재

        연구 논문 : 1945-1950, 한국미술의 내셔널리즘과 유토피아

        김주원 ( Ju Weon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0 美學·藝術學硏究 Vol.32 No.-

        본 연구는 식민(해방) 직후 다시 회복하거나 새롭게 건설해야 할 ``민족``-``국가``를 중심에 두고 전개되었던 1945-1960년의 한국미술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 시기 한국의 경우는, 국가 부재와 국가 수립의 상황 속에서 새로운 세계이자 장소로서의 민족-국가, 즉 내셔널리즘과 연쇄되고 있는 유토피아의 성격 분석도 절실하다. 이는 1920년대 야나기 무네요시의 한국예술의 이해 이후 오늘날까지 가속되어 온 ``한국미의 특질``, ``한국미의 정체성`` 규명에 유효하기 때문이다. 유토피아의 시대는 주체-개인-가 역사의 당사자이자 자기 운명의 주인으로서 생각하고 확신했던 시기와 일치함을 확신케 하는데, 식민 직후 조선은 유토피아의 시대였다, 해방과 더불어 식민 객체에서 독립적 민족-국가의 주체로 변모된 조선의 대부분의 개인 및 집단은 역사의 당사자이자 자기(국가-민족) 운명의 주인으로서 ``민족``과 ``조선``에 집중했다. 그러나 ``민족``의 회복과 국가 ``조선``의 새로운 건설은 식민주의의 정치적 파생물에서 생겨나 36년간 지속되었으나 청산 해야만 할 ``식민잔재``라는 모순된 현실을 직시하게 하였다. 당시 미술인들이 청산 해야 할 식민잔재에 대한 규정과 입장에선 상이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독립과 극대화된 새로운 세계에의 창안(유토피아)의 전제로서 ``민족`` 혹은 국가 ``조선``을 상정하였다. 다만, 여기서 주목할 것은 조선의 자연을 찬미하며 조선민족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있는 논객들의 언설에는 내셔널리즘의 강한 결속이 포함된 거의 ``자기기만``에 가까운 유토피아적 환상을 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 유토피아는 언제나 역사적 기억 상실이 행하는 침묵과 생략을 통해 자신의 미래상을 그리게 되는데, 식민주의 이후 반식민 ``독립`` 민족 국가들이 출현할 때는 흔히 과거를 망각-침묵과 생략-하려는 욕망이 수반되었다. 1945-1950년의 한국미술의 탈식민적 기억상실의 징후는, 해방 직후 쓰여 진 미술사 서술에서 보다 심화, 확장되고 있다. 즉 일제 식민지 시기 이전인 조선시대로 국한하여 서술하고 대상화 하는 등의 유토피아적 비약이 식민 종속에서 비롯된 고통스러운 기억들을 지워버리려는 내셔널리즘적 욕구와 함께 작동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여기에는 조선을 멸시하며 바라보았던 일본의 식민지적 ``심상역사(imaginative history)``가 식민직후 미군정에게서 반복되고 있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다만, 식민적 과거를 지우고자 하는 포스트 식민 주체들의 의도된 망각과 생략은, 신화 나 고전, 사상서나 학술서, 지리서, 나아가서는 계몽서나 문학작품, 설화나 풍문, 도판 등 유형무형의 미디어를 통해서 계승, 전달되어 식민시기 널리 유포된 심상 역사의 연속성 속에서 구체적인 이미지나 윤곽을 획득해 갔던 ``조선멸시관``을 뒤집는 시도에서부터 촉발되고 추동되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식민지속에서 잃어버린 자신의 ``과거의 모습``을 재발견하고자 하는 노스탤지어 (nostalgia) 의 윤색이며, 동시에 식민지 시기 무력함에 상처입고, 힘에 오염되고, 힘에 매료되어 온 차마 다시 보고 싶지 않은 영혼의 흉터에 안절부절 못하는 또 다른 자신의 ``과거의 모습``을 지우고 침묵하고 생략하고자 하는 포스트 식민 주체들의 양가적 태도로 드러난다. 여기서 1945-1950년에 분출되었던 한국미술의 내셔널리즘의 욕망은 ``한국전쟁``이라는 계기 앞에서 경직된 냉전의 터널 속으로 묻혀버리게 되고, 새롭게 건설되고 발전되어야 할 ``조선``, ``민족, 민족미술``은 ``좋은 장소``, ``행복의 장소``이지만 ``존재하지 않는 곳``, ``어디에도 없는 곳``으로서의 유토피아적 모색으로 성격 지어진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rt of years 1945 to 1950 that developed with its focus on the post-liberation reestablishment of the country and nation. In this particular period of Korean history, it is crucial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nationalist utopia that had been dreamt under the circumstance of the loss and reestablishment of the nation, for such analysis is an important basis in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beauty, a continuant investigation that had been initiated by Yanagi Muneyoshi`s study on Korean art in the 1920s. A utopian period takes the subject or individual to be the party/person concerned of the history in other words, the owner of ones own fate ; Chosun after liberation was going through such utopian era. Having undergone a transfiguration from a colonial object to an independent subject, most individuals and groups of Chosun started to focus on the nation and the country as a principal of their own destiny after liberation. However, the recovery of nation and the reconstruction of Chosun had to face the contradictory reality-colonial remnants; derived from colonial politics, it lived for thirty-six years yet needed to be cleared up. Artists then showed contrasting opinions about the matter yet each set their own utopian visions for the nation and the country. However, the polemics whose issues put emphasis on praising the beauty of Chosun`s nature and the superiority of the nation show utopian fantasies made up of nationalist solidarity and self-deception. A utopia illustrates its future through the silence and omission performed by the loss of historical memory. The desire to lapse, hold silent and to omit the past is a common post-liberation phenomenon accompanied by the emergence of independent nations. The post-colonial loss of memory of Korean art of years 1945 to 1950 deepens and expands its symptoms in art historical volumes written directly after liberation. This can be understood as a utopian act of defining and predicating the history of Chosun only up until the pre-colonial era as well as a nationalist desire to delete the painful memories of colonial subordination. It is interesting to notice that Japan`s colonial imaginative history that despised Chosun was repeated during the period of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The intentional lapse and omission of the past by the post-colonial subjects were conveyed and inherit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myth, classics, ideological or academic volumes, literature, tales and illustrations, attempting to overthrow the image of Chosun as a disrespected country. Such endeavors embellish the nostalgia to re-discover the past lost amongst the colony yet at the same time show the desire to delete the past that had been hurt helplessly and was tainted and captivated by colonial forces, a never-wanted-to-be-seen-again spiritual woun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