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 성장을 위한 창의적 실패교육

        김종백(Jong-Bae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4

        학생들의 지적 성장은 학교교육의 오랜 목표이다. 학생들의 지적 성장을 위해 최근에는 학습상황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실패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대해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학습실패가 해당 영역에 대한 지식이나 문제해결력 뿐 아니라 학생들의 창의적 역량을 신장하기 위한 중요한 학습도구가 될 수 있다는 문헌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경험하는 학습실패가 어떻게 창의성 역량의 교육과 연계될 수 있는지 주요 이론과 교수-학습 전략들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분야에서 학습실패 연구는 Clifford(1988)에 의해서 실패내성에 대한 연구에서부터 시작하여 현재 많은 연구들이 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실패의 중요성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특히, Kapur(2008)와 같은 연구자는 학습에서 실패경험이 단순히 지식의 습득을 넘어서서 새로운 대안들을 만들어내고 창의적 문제해결 전략들을 찾아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실패를 어떻게 교육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 그 전략들에 대해 논의하고 그 과정에서 교수자나 학습자의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들이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실패경험을 통해서 기존의 생각의 틀로 부터 벗어나기, 주어진 교육과정 영역을 넘어서 자유롭게 교육과정 영역을 탐색하도록 허용하기 등과 같은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학습실패가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인 정서와 실패의 누적으로 인한 학습된 무기력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학습 초기과정에서 실패경험의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실패의 경험을 결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과정의 일부로 인식하는 것이 왜 중요한 지 기술하였다. Students’ creative ability has become the one of important educational goals recently. Beliefs that students can grow intellectually is a key principle in creativity education. In recentl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learners’ failure as a way for promoting creativity in schools. They start look into the ways in which learning failures are connected to creativity. Recent studies such as Kapur(2008) demonstrated that learners’ failure experiences enable students to create novel solutions to solve problems to go beyond memorizing facts or knowledge. This paper discussed strategies that students or teachers can utilize learning failures to produce positive educational outcomes and also suggested some caveats when learning failures are introduced to a classroom. Specifically, learners should avoid any pre-existing frames of thoughts to create new alternatives to solve problems. Second, teachers or students should be allowed to explore content areas freely without having any risks of academic punishment. In addition, this paper also discussed possible negative results of early experiencing learning failures regards to negative emotion. Especially, experiencing continuous failures can bring students to learned helplessness. This paper discussed how to avoid this negative consequences. Related with negative emotional effects of failures, teacher or students should be careful in the earlier stage of learning processes to avoid learning failures. Lastly, this paper also suggested that minimizing fears related with learning failures and promoting failure tolerance so that students have motivation to overcome learning failures.

      • KCI등재

        영재를 위한 교수-학습과정 설계와 분석 틀로써의 활동이론

        김종백(Kim Jong Baeg),조형정(Cho Hyung J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7 영재와 영재교육 Vol.6 No.2

          Activity theory was accomplished from studies on the condition that learners" talent are developed through learning activity. From the theory, we can get implications on instruction-learning design as analyzing structure of learning activity based on activity theory. Especially, for developing innate potential of the gifted, educators must confirm and inquiry interaction between factors in associated with all activity. The same activity can be viewed differently according to subject"s various points of view and components of this activity system also have differences based on various factors. Therefore, in case of learning activities of the gifted, respective case might be special and important.<BR>  So when researchers and educators plan instructional design for the gifted, they have to realize and reflect that what instrumental medium can be advanced cognitive ability of the gifted and that is the core which instrument is most pertinent to which learning situation. Activity theory provides a viewpoint that learning or activity means combination of various social interactions and factors. Consequently, analysis and specific application on learning activity based activity theory need to be renewed discussion to gifted education as well as common education environment.   학습활동을 통해 형성되는 학습자의 재능은 자연적인 상황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활동을 통해서 상황에 따라 규정이 되는데 이와 같은 측면을 설명할 수 있는 영재교육의 틀이 필요하며 연구자들은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이 그러한 대안이 될 수 있는지 본 연구를 통해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활동이론은 전통적인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학습환경과 학습자를 구분하여 소외시키는 입장을 비판하고 학습활동을 보다 통합적인 관점에서 보고자 함으로써 구체적인 상황과 결부된 학습활동과 일반적인 교수-학습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고정된 능력의 관점에서 보는 영재성을 탈피하고 Vygotsky(1978)가 주장했듯이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해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미래의 잠재 영재에 초점을 두고 교실수업 실천가들과 함께 개별 교육 상황들에게 작동되는 모든 활동관련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들의 확인과 탐색을 유기적으로 관련짓도록 강조한다. 활동이론이 제시하는 통합적인 관점은 단순히 학습활동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이 대상물을 변형하고 그 변형된 대상물을 통해서 학습목표를 성취하는 것이다. 이러한 학습활동은 개별적 학습 상황속에서 도구의 매개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영재아들을 위해서 이러한 지식이 적용되는 개별 학습 상황의 체험적 지각과 물리적 혹은 정신적 도구의 활용 또한 고차원적인 사고기능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한다. 또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활동이론은 영재 동료들 간의 상호작용 및 다른 전문가들간 네트워크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고 이것은 학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서 학습활동을 촉진하고 문제의식을 고양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에 기여하는 촉매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활동이론의 영재교육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 및 제안점을 주로 수업적 관점에서 논의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스키마를 활용한 문장제 문제해결 프로그램 개발

        김종백(Jong-Baeg Kim),이성원(Sung-Won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2

        문장제 문제는 수학교과가 가진 비효용성에 대한 신화를 제거하기 위하여 실생활과 접목시킨 생활문을 활용한 문장으로 이루어진 문제이다. 문장제 문제는 실제성(authenticity)을 통해 수학과 현실세계와의 접목을 꾀하고, 언어적 표현을 자주 접함으로써 언어 이해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문장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다양한 수학적 개념 속에서 필요한 개념을 언어적 표상을 통해 찾아내어 분석하고 그로부터 가장 적합한 해결책을 찾아내는 통합적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두 과정을 관리하는 능력은 영재아들이 문제풀이를 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문장제 문제는 언어능력이 발달하기 시작하는 아동초기영재학습에 기여할 수 있는 수학의 영역이다. 본 연구는 Marshall(1995)이 문장제 문제 이해와 구성 단계 사이에 발생하는 구상과 표상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5개의 스키마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Marshall(1995)의 스키마전략이 문장제 문제 해결에 얼마나 효율적이고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가를 보고자 하였고 그러한 이론적 입장에 근거하여 7차시에 걸친 영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명의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부모, 학생과의 인터뷰와 설문지, 그리고 수업 과정을 기록한 자료 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문제표상능력이 신장되었으며 수업에 대한 흥미를 보고하였다.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word problems in mathematics incorporates the real life contexts(authenticity), which may offer great deal of interests and motivation for studying mathematics. The authenticity provided by word problems is important because it improves not only the connection between mathematics and the actual world students living in, but can give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students' language understanding ability accompany with problem analysis capability. A great deal of studies have conducted on the effects of word problems on achievement and how to solve the issues to deal with the difficulties students face in solving them. Since the challenging nature of these word problem, the area of gifted children can get significant benefits from solving these kinds of problems. However, major issues in educating word problems are related with problem representation. Younger gifted children who begins to be developing their linguistic ability and face these problems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fe need to receive instructional supports. Researchers include Marshall (1995) provided instructional supports and solutions to this issue of difficulties in problem representation utilizing schematic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ing a program for helping understanding word problem based on Marshall(1995) schema strategies.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nclude seven sessions with three evaluations; (a) pre, (b) formative, (c) summative evaluation. Three volunteered 4th grad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se three students. The result showed students' improvements of problem solving ability, excitement and interests learning schemas for word problems. However, for the generalizing the effects of this program to the large population, quantitative data analysis needs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또래 협력 상황에서 능력과 과제난이도에 따른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김종백(Kim Jong-Baeg),호(Kim H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 협력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성취 능력과 과제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있는 B초등학교 병설유치원과 J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4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자들이 개발한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 관찰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에 대하여 Kruskal-Wallis 검증법과 Mann-Whiney 검증법을 실시하였고 사후 비교분석으로는 Wilcoxon의 순위합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중 긍정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은 공간ㆍ도형 문제해결과제에서 상위능력의 유아들이 하위능력의 유아들보다 높게 나타났고, 의존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은 하위 능력의 유아들이 상위와 중위 유아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과제의 수준 변인에 따르면, 과제 수준이 어려우면 유아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중에서 부정적인 상호작용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verbal interactions of varying levels of task difficulty by children of different abilities. A total of 48 5-year old children who attended 2 public kindergartens in Daej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Kruskal-Wallis and Mann-Whiney tests were conducted to find differences among children's verbal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different ability levels and levels of task difficu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highㆍmedium and low-ability children on various helping behaviors. For example, higher ability children took more positive roles in helping lower ability ones, while lower ability children were more active in requesting help. Second,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showed different behavior patterns depending on task difficulty. When the task was easy, the children collaborated well and helped one another. However, when the task was difficult, children showed negative social interaction.

      • KCI등재

        학생-교사관계와 학생의 심리적 탄력성

        김종백(Jong Bae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2

        교사의 전문성은 교육적 맥락에서 직무를 수행하며 가져야 할 자질과 역량으로 이해해야 하나, 보다 구체적인 핵심적 역량으로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은 교실 장면에서 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이해하고그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으로 규정해야 할 것이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교육의 질 개선과 함께 학생의 문제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교사의 전문성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해석하고 분석할 수 있지만 본 논문은 학생과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핵심적 역량으로 제시하였다. 교사의 교육 역량은 수업에서 그리고 교육적 장면에서 학생들과 실존적으로 만나서 그들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학생들의 탄력성을 길러 주는 것이다. 교사가 학생과 긍정적 학생-교사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학생들을 학급경영과 관리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학교 기타 여러 외적인 압력으로부터 학생들이 극복할 수 있는 탄력성(resilience)을 가지도록 돕고 교육의 공간(educational space)을 넓혀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가정을 포함한 학생들이 살아 온 배경을 통해서 가지게 된 고정된 틀(schema)과 그들의 심리적 탄력성은 변화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노력으로 긍정적인 학생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서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수용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Teacher professionalism generally is understood as qualities and capacities that teachers require for doing their jobs in educational contexts. The specific nature of teaching professions are related with the capacities, that the teacher understand students` educational needs and respond it properly.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se days is crucial because it is dealing with the problems that students face everyday in their school life. Teachers meet their students in classrooms and educational contexts to promote their resilience for overcoming external stresses and pressures. Teacher and students put their efforts together to create educational space protecting and promoting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in and out of school problems. Existing body of literature indicated that teacher can play a critical role of providing a secure base for students to change their schema and explore worlds. This paper discuss the meaning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students` resilience through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 KCI등재

        교육개혁과 교육심리학의 역할

        김종백(Jong Bae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1

        교육심리학은 제도적 교육의 발전과 함께 실질적 교실교육의 발전에 기여해 왔다. 과거 한 세기 동안의 급격하게 대중화된 공교육시스템은 정치, 경제, 시민사회의 변화와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 기술 문명과 그에 대응하는 사회가 빠르게 변화되고 성장하면서 교육에 대한 수요는 개인, 사회, 국가 등 다양한 수준에서 상응하여 개혁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교육개혁은 보다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한다. 현재 공교육 체제 안에서 교육개혁은 교실에서부터 학교제도 혹은 정책에 이르기 까지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근거 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교육개혁은 개혁이 일어나는 교실에 대한 미시적이며 과학적인 접근으로부터 양산되는 지식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소홀히 해왔다. 교육정책과 제도를 입안하는 관련 당사자들이 지금까지 축적되어 온 다양한 교실연구의 지식과 경험에 대한 이해 노력 그리고 교육심리학자들이 자신의 교실연구를 연구실 밖으로 알리려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하지 못했던 것에 중요한 이유가 있다. 교육심리학은 학교교실에서부터 구조적인 개혁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수준에서 교육개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적, 보조적, 주도적, 협력적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교육적 타당성을 갖는 연구의 수행과 함께 그 결과 얻게 되는 지식들을 교육학 내 타 분야와 공유하려는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ha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for changing educational systems and environments. Various educational demands put pressure on public sectors for reform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mong the fields, educational psychology has paid more attention to educational processes happening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psychologist has shown a great deal of interests i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attempted to create the systematic and scientific explanations of them. The role of educational psychology in reforming education is crucial for this reason. It can offer strong evidences to persist the idea or logic of educational reform. However, many educational psychologists tended to disregard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practices in real classrooms. There should be efforts to translate scientific knowledge into more understandable ones for teachers and others. In addition, educational studies should reflect more about classrooms to maintain ecological validit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김종백(Kim Jong Bae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2

          영재교육에 대한 그 간의 논의는 영재아를 어떻게 진단하고 찾아내는 가에 대한 논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 분야와 더불어 또 다른 핵심적 부분은 어떻게 하면 영재로 판별된 학생들을 교육할 것인가 인데 상대적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이지 못하며 상당 부분 일반적인 교수-학습 전략들을 다양한 영역에 원용하여 적용하고 있는 실태이다. 영역 일반적인 영재 교수전략에 한발 더 나아가서 이제 영재 교육에서 구체적인 영역 혹은 과제 중심으로 전략에 대한 심화를 위한 논의가 시작되어야 할 시점이다. 여러 영역 중에서 특별히 과학영역이 사고과정의 방법 혹은 접근의 면에서 유추하기 그리고 가설검증과 같은 방법을 활용한다는 면에서 다른 영역과 구분되는 영역 특수성을 지닌다. 이와 같은 특수성은 과학교육과정이 갖추어야 할 준거들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과학영재 교수-학습전략을 설명하기 위해 최근 소개되고 있는 구성주의 학습전략들이 과학영재 교육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접근, 쳬계적 탐구절차의 활용, 구체적인 산출물의 제작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전략과 함께 유추하기, 설명하기, 인지적 갈등 활용하기, 가설검증하기 등과 같은 구체적인 전략의 활용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영재 교육을 위한 전략적 방법들을 최근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과 연결하여 기술하였으며 영재아들이 자연 혹은 사회현상에 대해 체계적이면서 과학적인 탐구를 하도록 돕는 전략들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함께 몇 가지 연구의 예들을 함께 기술하였다.   Gifted education today focuses on the aspect how we are going to find the right children for the program. In spite of the fact that this is crucial element in gifted education field, it is also important to pay more attention to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he specific area of contents. For example, specific thinking processes in the field of science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content areas such as arts and humanities. This paper discusses three main elements of gifted curriculum standards and teaching-learning principles for science domain. Main themes discussed in this paper was students led scientific problem solving processes, use of various cognitive tools such as graphs and tables for understanding scientific phenomena, and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For teaching strategies, teacher may use tactics for creating cognitive conflicts, asking students of explaining scientific data or phenomena, utilizing students" errors for evaluating their knowledge structure. General instructional package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and design-based learning may be utilized for developing gifted education program in the field of scienc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