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김정석,Kim, Cheong-Seok 한국인구학회 2007 한국인구학 Vol.30 No.2

        저출산 현상의 지속과 심화, 그리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파장이 부각됨에 따라 출산관련연구가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IMF 위기라는 전사회적 현상 속에서 개인의 출산행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한 연구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연구들을 바탕으로 출산행위에 관련된 요소들을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경제적 상황, 출산관련 생활사건변수, 시부모 및 친정부모 생존여부, 현존자녀 및 이상자녀변수 등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기존연구들과는 달리 출산아수가 아니라 출산계획을 분석대상으로 하는 한편, 현재의 출산아수별로 출산계획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에서 35세 이하 기혼여성들을 추출해 분석해 본 결과, 첫째아 계획은 보편적인 현상이며 둘째아 계획에는 가구경제의 안정성, 양육보조자의 존재 등이 중요한 요소임을 발견했다. 이는 둘째아 계획이 주어진 경제와 양육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셋째아 계획은 남아의 존재여부와 이상자녀의 성 구분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남아(선호)가 여전히 상당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는 출산아수에 따라 출산계획의 기제가 차별적임을 의미한다. 출산계획의 출산아수별 차별적인 기제는 출산행위에 대한 깊이를 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 같은 기제를 접근하는 데 있어 계량적인 접근방식과 더불어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질적 연구(특히 집단초점토론)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As the fertility level in Korea continues to drop with detrimental implications for the society, it has regained much attention of academics and policy makers. This study, building on the previous research on fertility behavior, attempts to explore the plan of young married women to have an additional child. While such plan is not always put into practice, it is still closely related to fertility behavior. In addition, it can provide useful clues to understanding behavior in the future. Utilizing a recent nationwide survey on marriage and fertility, the study analyzes the plan of further birth among young married wome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ir children. The results show that the plan for first child is quite universal as no difference is found by their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wever, having plan for second child differs by the work status of husbands, presence of mother of young married women, and the sex of first child. The effects of first two factors suggest that young married women take into consideration stability of home economics and availability of care sharing. As for the plan for the child, the present and ideal sex composition of children appear most importan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chanism of fertility progression differs by the current number of children. Thus, consideration of such differential would help us deepen our understanding of fertility behaviors and need to reflect in the study. The study also argues tha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accompanied by to capture complexity of fertility decision making process.

      • KCI등재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김정석(Cheong-Seok Kim)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1

        결혼은 그 자체로서 매우 중요한 주제이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저출산의 주요원인으로 언급되면서 학문적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혼에 대한 체계적이고 분석적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자료를 이용해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을 분석하고 있다. 미혼남녀전체를 대상으로 로짓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들의 인구학적 특성, 경제상황, 가구 및 가족특성, 성과 혼전동거에 대한 태도 등이 통제된 상황에서도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결혼을 하겠다는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남녀별 로짓회귀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취업, 가구형태, 성과 혼전동거태도 등의 효과가 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취업의 경우, 미혼남성의 결혼의향은 높이지만, 미혼여성에게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여성의 경제적 기반과 결혼에 대한 두 가지 주요 이론인 경제독립가설과 경력진입모형 모두와 거리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독립가구거주와 성 및 혼전동거에 대한 개방적 태도의 효과는 미혼남성에게 발견되지 않지만 미혼여성에서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성에 따른 이상의 변수들의 차별적인 효과는 미혼에서 결혼으로 이행하는 과정과 동기가 성에 따라 다르게 작동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결혼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경험적 연구에서 이러한 남녀간 차별성이 반영될 필요성이 있다. Patterns and changes of marriage have drawn much attention as they have been pointed out a key factor of low fertility. Nonetheless, systematic studies on marriage have been quite limited. This study, using recent nationwide survey on marriage and fertility, attempts to explain whether and how intention of marriage would differ between never married men and never married women. The logit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the likelihood of planning marriage between both sexes are still different even after controll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conomic status, household and family background, and attitudes toward sex and premarital cohabitation. Furthermo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likelihood of planning marriage turns out to be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For instance, men with a job is more likely than men without a job to plan marriage. However, for women, the effect of having a job is not found. Such result, with other sex differential effects of living arrangement and attitudinal variable, suggests that the mechanism through which men and women transit from singlehood to marriage would differ. More attention on gender differential should be paid in developing conceptual arguments and conducting empirical analysis regarding marriage and its related topics.

      • KCI등재

        노년부부가구 남편과 부인의 부부관계 만족도

        김정석(Cheong-Seok Kim),최형주(Hyung-Ju Choi) 한국인구학회 2011 한국인구학 Vol.34 No.2

        노년기는 부부가 함께 지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다른 시기보다 부부관계의 중요성이 커진다. 따라서 생애주기상의 다른 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노년기 부부관계에 대하여 많은 관심과 다차원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그런데 부부관계는 남편과 부인 두 사람간의 관계이기 때문에, 이들 개인이 가지고 있는 본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특성 또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이 연구는 개인과 배우자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남편과 부인이 서로에게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 그리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비교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0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부부관계 만족도에 대한 순서형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편의 만족도는 부인의 특성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대체로 자신의 특성에만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편, 부인의 부부관계 만족도는 본인의 특성뿐 아니라 남편의 특성에 따라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노년기 부부관계에서 부인들의 배우 자에 대한 의존성을 의미하며, 여성들의 가족중심적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된다. The prolongation of life expectancy has expanded the duration of marriage in old age. In the meanwhile, the change of life style emphasizing privacy and sociodemographic environment favoring independent living has increased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the elderly living with spouse only. This study, focusing on those aged 60 and over who live with spouse only the elderly, explores their marital relationship. The study pays a special attention to compare whether and how th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with spouse would differ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ordered logit model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nationwide survey "2008 Korean National Survey of Welfare Need in the Elderly". The results show that the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husbands is influenced by their own characteristics but hardly affected by his wife"s. In contrast, the satisfaction of wife is influenced by husband"s characteristics as well as hers. These finding reflect that women are more strongly family-centered and dependent on their husband.

      • KCI등재

        졸혼(卒婚)에 대한 사회학적 단상: 졸혼의 정의, 특성, 기제 및 전망

        김정석(Kim, Cheong-Seok),김미선(Kim, Miseon) 한국인구학회 2020 한국인구학 Vol.43 No.4

        최근 들어 ‘졸혼’이 지대한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으나 이에 대한 학문적 접근과 이해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사회학적 관점에서 졸혼의 정의, 특성, 기제 및 전망을 살펴보려는 시론적 성격을 띠고 있다. 가족사회학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는 현대 핵가족의 결혼 속성은 법률적 승인, 애정적 교류, 정서적 지지, 경제자원 공유, 상호 돌봄, 생활공간 공유 등으로 정리된다. 졸혼은 법률적 결혼 상태의 온전한 유지, 배우자 간 애정적 교류, 정서적 지지의 상당한 유지, 일상적 생활 돌봄의 약화, 생활공간의 분리라는 속성적 특성에서 결혼, 별거, 이혼 등과 구분된다. 한편, 졸혼은 그 목적과 과정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적극적 졸혼은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의 추구를 위해, 배우자 간 균형적인 지위와 상호호혜적인 요청에 의한 것이다. 소극적 졸혼은 미래지향적이기보다는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현재의 일상으로부터 해방을 위한 것으로, 부부간 불균형적인 지위 속에서 한 배우자의 요청과 상대방의 수용에 기초한다. 본 연구는 생애과정관점, 합리적 선택 및 교환이론, 갈등이론을 주요 이론적 자원으로 개인이 졸혼을 선택하고 부부가 졸혼을 결정하고 실천하는 미시적 수준의 기제를 제시하고 있다. 졸혼에 대한 전망은 개인 및 부부단위의 선택, 결정,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환경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는 인구학적 조건, 가치와 신념체계 변동, 경제조직변화 및 정보화 등 몇 가지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제시한다. 결혼의 감소추세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사람들이 여전히 결혼에 이른다. 이들에게는 결혼 지속의 욕구가 강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평균수명증가로 인해 중년기 부부생활의 기간 또한 연장된다. 이러한 인구학적 조건은 결혼생활 속에서 졸혼의 출현가능성을 높인다. 가치 및 신념체계의 변화, 즉 개별화 사조, 성평등적 가치관, 졸혼관념의 사회적 확산 등은 졸혼에 대한 열망을 강화하고 졸혼결정에 따르는 심리적 진입장벽을 낮춤으로써 졸혼의 출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일인가구경제의 확대 및 구축, 그리고 사회네트워크서비스의 발달 또한 졸혼확산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졸혼연구의 학문적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많은 비판과 경험적 분석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또한 새롭게 등장하는 가족현상을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데 필요한 방편론적 예시가 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Jol-Hon (graduation of marriage)" has been receiving great social attention, but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it is insufficient. From a sociolog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micro level mechanism, and societal prospects of Jol-Hon. The marriage components of the modern nuclear family include legal approval, affectionate exchange, emotional support, sharing of economic resources, mutual care, and sharing of living space. Jol-Hon is distinguished from marriage, separation, and divorce in that the legal marital status is maintained intact, the affectionate exchanges and emotional support between spouses are significantly sustained, but daily life care and sharing of living space are weak. Jol-Ho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y its purpose and process. Active Jol-Hon, based on a balanced position between spouses and mutually beneficial requests, pursues a new lifestyle. Passive Jol-Hon is for liberation from the present mundane marriage rather than future-oriented, and is based on the request of one spouse and the acceptance of the other in an unbalanced position between the couple. This study, relying on life course perspective, conflict theory, and rational choice and social exchange model, presents a framework of mechanism for Jol-Hon. This micro level framework illustrates on how each spouse would choose Jol-Hon over current marital life and how the couples would agree and practice it. Also, the study outlines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oice, decision and practice of individuals and couples. They include the demographic conditions (i.e. marriage selection effect, life expectancy increase), ideational changes (toward gender equality along with individualization), and social structure and systems such as one person household economy and SNS. These factors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propensity of Jol-Hon. This paper is open to constructive criticisms and expected to lead empirical research for the study of Jol-Hon. It is hoped to serve as an example of the research strategy useful for academic approach to the emerging family phenomenon.

      • 노후생활에서의 성별 차이

        김정석(Kim Cheong-Seok) 한국사회학회 2003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 No.-

        이 논문은 노후 경제적 자원이 노인의 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살펴보려는 의도를 가진다. 이를 위해 노후의 자립적 수입원 보유여부와 수입액을 중심으로 성에 따라 개인적 수준과 가족 및 가구 수준의 변수들이 어떠한 차별적 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1998)’자료를 이용해 남녀노인전체를 대상으로 한 모형과 남녀노인별 모형을 동시에 분석해 본 결과 노인들의 성에 따라 그 효과의 크기나 방향이 다른 변수들이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두드러진 성별 차이를 보이는 변수들은 배우자유무, 자녀동거여부이다. 배우자유무의 경우, 이 변수가 경제적 자원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는 정도는 남성노인보다는 여성노인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녀동거여부는 남성노인들에서는 자신들의 경제적 자원과 무관하거나 긍정적인 관계를 갖는 반면, 여성노인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이는 여성노인들의 배우자에 대한 의존성과 자녀에 대한 의존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노인들의 성에 따라 이들의 개인적 혹은 가족 및 가구적 특성이 그들의 경제적 자원상황과 다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노인들의 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용하는 기제, 혹은 주요변인들에 대한 보다 많은 논의와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conducts empirical research on gender differentials of economic resources in old age. The economic resources are assessed by the presence of independent income source and the amount of total income. The study, based on nation-wide survey of the elderly, examines the effects of individual level variables and household level ones. Also, it compares such effects between male elderly and female elderly. The analysis shows that several variables have gender specific effects. Among them, particularly interesting and important are marital status and coresidence with children. The positive effect of having spouse is greater among female elderly than among male elderly. Also, while coresidence with children among male elderly has insignificant or slightly positive relation to their own economic resources, it has negative relation among female elder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emale elderly are dependent on their husbands and children. The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on the elderly incorporate gender differentials into models attempting to capture diversity within the elderly population.

      • KCI등재

        노년기 관광여행문화의 탐색

        김정석(Cheong Seok Kim) 한국노년학회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1

        This study,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elderly and young married women, investigates the issues surrounding leisure-tour activity in old age. The attraction of leisure-tour activity including escape from the routine daily life and self-development is wildly perceived among the elderly as well as among the young married women. The view that the elderly deserve enjoying their old age through such activity is held by both generations. While the leisure-tour activity of the elderly is constrained by their current economic condition and health status, it is done on the continuity of the life style before the old age. In addition, differences in the needs and practice of leisure-tour activity by socio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are observed. The desire that the elderly want to travel with their adult children is expressed. However, realization of such desire is recognized difficult to achieve due to time conflict between the generations. For 'filial tour' peculiar to Korean society, the elderly appear to have gloomy image; it is for the older elderly who cannot but depend on their children. The idea of 'filial tour' is deeply appreciated by both generations, but its practice contains various meanings. It is brought out that adult children prepare 'filial tour', for their convenience rather than for considering what their elderly parents desire. It is suggested that leisure-tour activity of the elderly gain more attention for its difference from leisure-tour activity of the young and for emerging diversity within the elderly. 노년기 여가활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증대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연구사례들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노후의 주요 여가활동의 하나인 노년기 관광여행을 중심으로 노인들과 자녀세대 주부들의 인식과 태도 및 그 현황을 탐색한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노인과 자녀세대 주부 20여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면접대상자 대부분이 노년기 관광여행은 지나간 삶에 대한 보상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인들의 관광여행은 현실적으로 건강과 비용문제의 제약을 받지만, 노년기 이전 생활양식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짐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노인들내에서도 관광지나 관광행태 등을 통해 사회계층적 차이를 인지하고 차별화하려는 모습들도 발견된다. 관광여행의 경비는 노인 대부분이 본인부담 의지를 보이며, 자녀의 경제적 형편을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관광여행 동반자는 주로 부부나 친지 등이다. 적지 않은 노인들이 성인 자녀들과의 여행을 바라기는 하지만, 서로간의 시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동반여행이 힘들다는 이해가 지배적이다. 효도관광이라는 용어에 대해 노인들은 우울한 이미지를 부여하고 있는데, 이는 효도관광은 아주 연로한 노인들의 여행이라는 인식과 연결되어 있는 듯하다. 효도관광이 노부모에 대한 감사와 충분한 배려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특정 기념일을 대체하기 위한 이벤트성 관광여행으로 이용된다는 점 또한 적지 않게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앞으로 노년기 관광여행이 수적으로 증가할 뿐 아니라 그 내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리라는 전망을 가능하게 한다. 건전하고 바람직한 노년기 관광여행문화 정착과 더불어 비노년층에 대비한 노년층의 특성, 다양하고 세분화된 노년층내의 욕구 등을 반영할 수 있는 관광산업과 사회 복지적 접근들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노부모들의 노후부양관 변화, 1994-2004년

        김정석(Kim, Cheong-Seok)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4

        노인복지정책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계획되고 진행되기 위해서는 그 대상이 되는 노인들의 가치관과 태도에 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파악하려는 체계적인 노력과 관심은 부족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한국 노인들의 노후부양관이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노인들 내에서 노후부양관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994년과 2004년에 실시한 노인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노후부양관은 노인들이 바람직하게 여기는 노후부양주체에 대한 태도를 통해 접근하였다. 노인들의 노후부양관은 크게 가치규범과 현재의 사회적, 경제적, 인구학적 자원 등에 의해 차이가 난다는 기존 논의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를 나타내는 다양한 노인특성과 시기를 주요 설명변수로 설정하였다. 가족책임에 대비한 개인책임 강조와 사회적 책임 강조 경향을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노후부양주체에 대한 태도는 가치규범과 자원을 나타내는 변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상황에서도 지난 10년간의 태도변화는 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아들유무, 거주지역, 경제적 자원에 따른 노인들간의 태도 차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들은 앞으로의 노인들은 가족책임이라는 전통적 노후부양관에서 탈피할 뿐 아니라 노인집단간 차이도 적어질 것임을 제시한다. 다만, 가족책임으로부터 벗어난 노후부양관이 개인책임과 사회적 책임 중 어느 방향으로 진전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더 많은 논의와 연구가 요구된다. In planing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it is required to gain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ttitudes and values that the elderly hold. Nonetheles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such issue.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whether and how the attitudes of the elderly are different across social groups and across time. Using the surveys on Korean elderly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1994 and 2004, the stud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elderely themselves view family, self or the state as a desired source of support. The multinomial logit model analysis reveals that the views of old age support differ by the current resources as well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arents. Also, regardles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attitude itself has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decade. Furthermore, the effects of some characteristics such as absence of a son, residential area and income sources has diminished over ti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lderly in the near future will emphasize self-responsibility and state-responsibility as well, while it is still unknown on which they will put more emphasis.

      • KCI등재

        Family, Self or State as a Desired Source of Support for the Elderly

        Cheong-Seok Kim(김정석),Ka-Oak Rhee(이가옥) 한국인구학회 1999 한국인구학 Vol.22 No.2

        급격한 사회변동을 경험하고 있는 한국사회가 인구변천의 마지막단계에 진입하면서 인구관련분야의 정책의 핵심은 출산과 인구통제에서 노령인구의 문제로 옮겨지고 있다. 최근 들어 국가가 자가부양(self-care)이나 가족부양(family care)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공적 서비스(public service)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들이 강조됨에 따라 노인부양규범이나 의식의 현황 및 변화에 관한 이해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1994년 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노인생활실태조사〉를 이용하여 노부모들이 어느 정도로 가족, 자신 그리고 국가를 바람직한 노후생활의 부양원으로 보는가를 알아보고 있다. 다항로짓모형에 근거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아들이 없는 노부모인 경우 가족이 노인을 부양해야 한다는 전통적인 견해가 약하고, 경제나 건강상 여건이 좋은 노인일수록 자가부양의 견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제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있거나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노인들이 국가의 책임을 강조한다고 가정한 가설은 본 연구결과 지지 받지 못했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나 추후연구를 위한 제안 등은 결론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As Korean society has undergone rapid socioeconomic transformation and reached the final stage of its demographic transition, the central emphasis of population policies in Korea has shifted from fertility and population control to aging issues. Recently, it has been advoca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ovide more intensive public services to supplement self-care and family caregiving, heightening the need to know more about the norms and expectations of old-age support and how they will change. Using the Survey of the Living Status of the Korean Elderly in 199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tent to which the Korean elderly themselves view family, self, or the state as desired sources of support. The multinomial log it model analysis reveals that the elderly without a son are less likely to emphasize the traditional view of family, while economically and physically better off elderly are more likely to favor the view of self-support. However, the idea that the emphasis on the ‘state responsibility’ may be found among those elderly who are in need of financial help and in poor health is not support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김정석(Kim, Cheong-Seok),김익기(Kim, Ik-Ki) 한국노년학회 2000 한국노년학 Vol.20 No.2

        이 연구는 현대 한국 노인들의 삶의 질을 이해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노부모들이 성인자녀와 맺고 있는 지원 교환(support exchange)의 형태에 따라 이들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지수(overall life satisfaction index)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 있다. 형평이론 혹은 교환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가 설정한 주요 연구가설은 (1) 자녀로부터 지원을 받기만 하는 노인들에 비해, 자녀와 지원을 서로 주고받는 노인들의 생활 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며 (2) 자녀에게 지원을 주기만 하거나 지원을 주지도 받지도 않은 노인들의 생활 만족도는 낮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 연구가설의 경험적인 검정은 1997년에 실시된<노인의 주거 및 삶의 질에 관한 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세대간 지원 교환 형태에다 노인들의 경제적 상황, 건강 상태 및 여러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특성을 차례로 포함시킨 일련의 다중희귀모형분석의 결과는 대체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가설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간 지원의 상호교환이 노인들의 주관적인 안녕에 주요한 요소라는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비록 노부모는 자신들의 능력에 관계없이 성인 자녀들로부터 부양을 받는 것이 당연하다고 규정하는 효의 개념이 있다 하더라도, 자녀로부터의 일방적인 지원의 수급은 노부모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In this study, we addressed the issue of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elderly today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s of support exchange across generation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measured by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index. Relying on equity or exchange theory, we formulated hypotheses: in contrast to the elderly who only receiving, the elderly who both give and receive are more satisfied with life while the elderly who only give or the elderly who do not exchange any support with their children are less satisfi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Survey of Living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Elderly in 1997(n=1, 056) appear to support these hypotheses as a whole. The finding that the balanced exchange relation between generations is an crucial aspect of subjective well being of the elderly in Korea suggests that becoming only receiver of support from their children without being able to reciprocate may lead to depressed affect, although the elderly parents developed social credit from past contribution to their children and the filial piety dictates that the elderly parents should be cared for regardless of their ability to compensate the support received. This finding may imply the transition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 from the unidirectional one with the elderly parents being in the position of receiving to the bi-directional one which emphasizes mutual care and assistance.

      • KCI등재

        필리핀 국제결혼여성의 이주흐름

        김정석(Cheong-Seok Kim) 한국인구학회 2009 한국인구학 Vol.32 No.3

        이 연구는 한국에 이미 입국한 국제결혼여성들을 분석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필리핀의 국제결혼여성들이 어떤 국적의 남편과 결혼하는가를 살피고 있다. 필리핀의 국가통계에 따르면, 한국으로 시집가는 필리핀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미국 등을 비롯한 다른 국가에 비해 그 규모도 작고, 역사도 짧다. 필리핀 신부들의 관점에서 보면, 한국은 자신들이 시집갈 수 있는 여러 국가의 하나에 불과하다. 국제결혼을 하고 출국을 기다리는 필리핀 신부들에 대하여 사회조사를 실시해 본 결과, 자료가 갖는 한계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국적에 따라 필리핀 신부와 남편의 특성은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으로 시집가는 여성들은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지역 등으로 시집가는 여성들에 비해 매우 젊으며, 교육수준이나 영어구사 수준이 낮다. 또한 동아시아 지역의 남편들은 저학력자가 많다. 부부가 만난 경로에서도 지역간 차이가 나타난다.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지역 국적의 남편들과는 인터넷을 통해 만난 사례가 두드러지는 반면, 동아시아 지역 국적의 남편들과는 친지 및 제3자의 소개를 받은 사례와 학교나 직장에서 만난 사례가 많다. 필리핀 신부들의 국제결혼 과정과 배경을 단순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동아시아 지역과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지역으로의 국제결혼 이주 양상은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들내에서도 계층화 현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가늠하게 한다. The increase of foreign wives and diversification of their nationalities has drawn much attention of academics and society to various issues related to cross border marriage in Korea. Unlike most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explores the streams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ilipinas. It recognizes that Korea is only one of the destinations to the Filipinas intending to move out their country through marriag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Filipinas attending seminar required for their departure to husbands' countries after cross border marriage. The analysis reveals that, compared to the Filipinas moving to North America, Europe or Oceania, those moving to East Asia are younger, less educated and economically worse off. Husbands from East Asia are less educated than husbands from other areas. They are more likely to meet their spouses through introduction of friends, relative or the third party. Also, meeting spouses at work or school is more prevalent among husbands from East Asia, while internet appears a main channel to meet spouses for husbands from North America, Europe or Oceania.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usbands and their nationalities differ by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ilipinas suggests that international marriage migration may be stratified depending on dest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