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의 생태적 특성 및 강릉지역 발생소장

        권민,김주일,김점순,Kwon, Min,Kim, Ju-Il,Kim, Jeom-S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3

        The seasonal fluctuation of the large 28-spotted lady beetle,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 was observed in potato fields of Gangneung region, Gangwondo Province. The effects of their leaf consumption over a 24 hour period and developmental periods by different temperatures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developmental threshold (DT) and effective cumulative temperature (ET) of each stage were calculated.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of H. vigintioctomaculata were captured in the fields from May to September, with three peaks in late May, late June, and late August. Leaf consumption by larval stages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instar. The 4th instar larvae consumed potato leaves much more than other stages. Egg hatchability and emergence rate of H. vigintioctomaculata were lower at $10^{\circ}C$ and $30^{\circ}C$, but higher at around $20{\sim}23^{\circ}C$. The developmental periods of each stage became shorter as temperature increased; 90 days at $10^{\circ}C$, 40 days at $20^{\circ}C$ and 25 days at $25^{\circ}C$. Base on developmental velocity to temperature, calculated DT and ET were $7.3^{\circ}C$ and 83.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의 강릉지역 발생소장과 발육단계별 감자잎 섭식량 및 온도별(10, 15, 20, 25, $30^{\circ}C$) 발육소요기간을 조사하였다.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는 연 3회, 즉 5월 하순, 6월 하순 및 8월 하순에 발생하였으며, 특히 5월 하순부터 7월 중순까지 높은 밀도로 발생하여 감자 식물체를 집중적으로 가해하였다. 발육단계별 감자잎 섭식량은 유충의 영기가 진전될수록 많았으며, 4령 유충기에 가장 많은 섭식량을 보였다.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부화율과 우화율은 각각 $10^{\circ}C$ 및 $30^{\circ}C$에서는 매우 낮았고 $20{\sim}23^{\circ}C$에서 가장 높았다. 알에서 성충으로 우화되기까지 발육단계별 생육기간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10^{\circ}C$에서 90일 정도로 매우 느렸으며 $20^{\circ}C$에서는 40여일, $25^{\circ}C$에서는 25일이 소요되었다. 또한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알에 대해서 $7.3^{\circ}C$와 83.3 DD, 유충에 대해서 $5.2^{\circ}C$와 294.1 DD, 번데기에 대해서 $6.2^{\circ}C$와 97.1 DD이었다.

      • SCIEKCI등재

        Surveys on Disease Occurrence in Major Horticultural Crops in Kangwon Alpine Areas

        함영일,권민,김점순,서효원,안재훈,Hahm, Young-Il,Kwon, Min,Kim, Jeom-Soon,Seo, Hyo-Won,Ahn, Jae-Hoon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1998 Plant Pathology Journal Vol.14 No.6

        강원 고랭지의 대표적 지대인 평창의 대관령, 홍천의 내면 그리고 횡성의 둔내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원예작물에 대해 1994년$\sim$1997년까지 4년에 걸쳐 실시한 병해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추와 무에서는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TuMV)가 '92년부터 고랭지에 다발생하여 '94년과 '96년에 피해가 심하였으며, 이 바이러스병과 함께 무름병의 발생이 심한 편이었으며, 최근에는 무사마귀병의 피해고 '96년부터 점증 추세에 있으며 수년 전까지 피해가 심했던 뿌리 마름병은 최근 발생이 지극히 저조한 점이 특이하다. 거의 모든 채소작물에서 무름병, 잿빛곰팡이병, 노균병, 흰가루병, 잘록병, 검은무늬병 등의 발생이 심한 것이 특징인데 저지대와 달리 고랭지 기후환경과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한편 조사기간 중 새로운 미기록종으로는 셀러리의 바이러스(BBWV)와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메론의 점무늬병(Cercospora citullina), 딸기의 흰가루병(Erysiphe polygori), 양상추의 흰가루병(Erysiphe cichoraceaium) 등이 밝혀졌으며 기주 미기록으로는 파슬리의 무사마귀병(Plasmodiophora brassicae)이 밝혀진 것이 특이하다. 2)여러 가지 화훼작물에는 주로 바이러스병,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흰무늬병 등의 발생이 많았으며 특히 자생 나리류에 흰무늬병(Cercospora spp.) 발생이 심하였다. 미기록종으로는 꽃도라지의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f. sp. eustomae), 바이러스병(BBWV, CMV),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잿빛곰팡이병(B. cinerea), 카네이션의 반점병(Cladosporium echinulatum), 용담의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잎마름병(Alternavia dianthi) 등과 Phytoplasma에 의한 스타티스의 빗자루병, 리아트리스의 빗자루병, 자생나리류의 흰무늬병(Cercospora sp.), 스토크의 TuMV 등이 동정되었다. These surveys were conducted to check the occurrence of disease in various horticultural crops in alpine areas, especially Daekwallyong areas, Pyongchang-Gun, and Hyeongseong-Gun in Kangwon province. TuMV on Chinese cabbage was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s, especially in 1994 and 1997. The incidence of soft rot and clubroot has been increased gradually. Brittle root rot on Chinese cabba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Soft rot, gray mold, downy mildew, powdery mildew, bottom rot and Alternaria leaf spot were the common diseases on most vegetable crops. Gray mold (Botrytis cinerea) on celery, cercospora leaf spot (Cercospora sp.) on melon, powdery mildew (Erysiphe cichoracearum) on lettuce, and clubroot (Plasmodiophora brassicae) on parsley are newly found in Korea. The most common and predominant diseases were viruses, especially CMV, TMV, TuMV, BBMV, and gray mold, wilts, and cercospora leaf spot on many flowers in alpine areas. Fusarium oxysporum f. sp. eustomae causing wilting on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Turnip mosaic virus causing mosaic and color breaking on stock, Cercospora spp. causing cercospora leaf spot on various wild lily, Cladosporum echinulatum causing leaf spot on carnation, and phytoplasma causing witches' broom on statice (Limonium sinuatum) and blazing star (Liatris spp.) were newly found during these surveys in Korea.

      • KCI등재

        복숭아혹진딧물 야외개체군의 살충제 저항성 마커 선발

        김주일,권민,심재동,김점순,이영규,지삼녀,이정태,류종수,유동림,이계준,Kim, Ju Il,Kwon, Min,Shim, Jae Dong,Kim, Jeom Soon,Lee, Yeong Gyu,Jee, Sam Nyu,Lee, Jeong Tae,Ryu, Jong Soo,Yoo, Dong Lim,Lee, Gye J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2

        2009~2011년 동안 국내 주요 배추 재배지 5개 지역(평창, 홍천, 봉화, 무주, 제주)에서 살충제에 대한 복숭아혹진딧물의 저항성 발달 정도를 조사하고, 야외 개체군에 적용 가능한 살충제 저항성 마커를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된 5개 지역 개체군 모두 여러 살충제 종류에 대하여 다양한 저항성을 보였다. 다양한 저항성을 보인 5개 지역 야외 개체군으로부터 여라 살충제에 대하여 복합적으로 저항성을 보이는 복합저항성 계통(MR)을 선발하였고, 이 MR과 모든 지역 채집 개체군에 대해 등전점전기영동과 정량염기서열분석(quantitative sequencing, QS)을 통하여 에스터레이즈 과발현과 살충제 작용점 내 돌연변이를 확인하였다. MR을 포함한 모든 야외 개체군에서 에스터레이즈의 과발현과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 1 유전자(ace1)의 StoF 돌연변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넉다운 저항성 돌연변이로 잘 알려진 파라 타입 나트륨 채널 유전자(para)의 LtoF 돌연변이는 모든 지역 채집 개체군은 물론 비펜스린에 대해 3,461배 저항성을 보이는 MR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 외에 MtoL 돌연변이를 발견하였는데, 생물검정 결과 저항성 수준과 돌연변이 발생 빈도가 일치하였다. 따라서 생물검정 대신, 이러한 분자 마커를 활용 한다면 더 효율적으로 살충제 저항성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분자 마커들(ace1의 StoF, para의 MtoL)은 정량염기서열분석, PCR amplification of specific alleles (PASA) 등의 진단 방법에 쉽게 응용이 가능 하고, 이러한 방법은 야외 복숭아혹진딧물 저항성 관리에 적용이 가능 할 것이다. The resistance levels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against 10 insecticides was checked and selected the applicable insecticide resistance markers. We conducted our study in 5 cabbage cultivation regions (Pyeongchang, Hongcheon, Bongwha, Muju, and Jeju) of Korea, over 3 successive years (2009-2011). We selected a multi-resistant (MR) strain from among the 5 field-collected populations. We analyzed esterase over-expression and mutation(s) in the target sites, by using native isoelectric focusing (IEF) and quantitative sequencing (QS). We detected esterase over-expression and StoF mutation in the acetylcholinesterase 1 gene (ace1) in all of the field-collected populations, including the MR strain. We did not detect the LtoF mutation, which is a well-known knockdown resistance (kdr) mutation in the para-type sodium channel gene (para), in the MR strain; however, the value of the MR strain for bifenthrin was 3,461-fold higher than that of the susceptible strain. Our results indicate that insecticide resistance is more effectively evaluated using molecular markers than by conducting a bioassay. The molecular markers StoF in ace1 and MtoL in para can easily be applied in diagnostic methods such as QS or PCR amplification of specific alleles (PASA). These methods may be extended to management of M. persicae resistance in the field.

      • KCI등재

        뿌리혹병에 대한 저항성 및 감수성 품종간의 glucosinolate 함량 변이

        이준구(Jun Gu Lee),김점순(Jeom Soon Kim)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2

        배추 뿌리혹병 저항성과 감수성 35품종을 뿌리혹병 이병포장에 재배하여 각 품종별 발병도와 뿌리 내 indolic 및 phenyl glucosinolate 함량 변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저항성(‘CR-강타’, ‘CR-새로나’)과 감수성(‘칠성’, ‘강력여름’) 각 2품종에 뿌리혹병 균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후 체내 glucosinolate 함량변화를 접종하지 않은 건전 식물체와 비교하였다. 배추뿌리에서는 2종의 indolic 및 1종의 phenyl glucosinolate가 동정되었다. 동정된 3종의 glucosinolate 중 glucobrassicin과 gluconasturtiin은 뿌리혹 발병도와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²=0.519), 4-methoxy-glucobrassicin 함량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r²=0.684). 뿌리혹병의 인위적 접종 20일 후, 뿌리내 glucobrassicin과 gluconasturtiin 함량은 감수성인 ‘칠성’과 ‘강력여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저항성 품종들에서는 함량의 차이가 없었다. 반면, 4-methoxy-glucobrassicin 함량은 접종 20일 후 감수성 품종에서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저항성 품종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타 두 물질과 상반되는 특이한 변화양상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배추 뿌리 내에 동정된 3종의 glucosinolate는 발병도와 정의 또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접종 후 경시적인 변화 역시 이와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동정된 이들 3종의 glucosinolate는 뿌리혹의 발달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저항성과 감수성을 판별할 수 있는 지표로서 이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Variations of major glucosinolate (GS) contents in root among 35 clubroot-resistant and -susceptible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ssp. pekinensis) cultivars cultivated on infected soil were evaluated. Two indolic (glucobrassicin and 4-methoxy-glucobrassicin) and one phenyl GS (gluconasturtiin) were identified as major GSs in Chinese cabbage root. Among the three identified GSs, the contents of glucobrassicin and gluconasturtiin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lubroot disease severity (r²=0.519), while the 4-methoxy-glucobrassicin cont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r²=0.684). After artificial infection with P. brassicae, the glucobrassicin and gluconasturtiin contents in root increased after 20 days in only the two susceptible cultivars ‘Chilsung’ and ‘Kangryeok-Yeorum’, while the content changes in the two resistant cultivars ‘CR-kangta’ and ‘CR-saerona’ were not significant. The 4-methoxy-glucobrassicin conten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wo susceptible cultivars from 20 days after infection, showing the inverse fluctuation compared to the other GSs. Consequently, we could detect the characteristic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 of individual GS with clubroot disease severity and rapid fluctuation of GS contents after infection in Chinese cabbage root.

      • KCI등재

        고랭지 당근밭의 병해충 발생 양상과 수확 후 잔재물 제거 효과

        권민(Min Kwon),류경열(Kyeong-Yeol Ryu),김점순(Jeom-Soon Kim),신관용(Gwan-Yong Shin) 한국원예학회 2007 원예과학기술지 Vol.25 No.4

        고랭지 당근밭의 객토가 병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2004년에 걸쳐 강원도 평창군 고랭지 50곳 밭을 조사하였다. 또한 농약 무처리구를 포함한 5곳의 당근밭을 정하여 시기별 종류별 병해충 발생량을 조사하였고, 선충 발생밀도와 토양 이화학적 요인(pH, EC, NH₄₋N, NO₃₋N,유기물, P, Ca, Mg, K)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고랭지당근에 주로 발생하는 병해충 발생양상은 제주도 및 평난지와는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발생한 병해 8종 가운데 당근검은잎마름병(Alternaria dauci)발생이 가장 심하였고, 방제를 하지 않는 경우 70% 이상의 발병주율을 보였다. 이 병의 방제적기는 7월 중하순으로 판단되었다. 고랭지당 근밭의 선충 밀도는 객토연차와는 상관성이 없었으며, 선충밀도는 어떠한 토양요인과도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전년도에 당근을 재배하고 수확후 잔재물을 제거한 시험구 및 방치한 시험구에 이듬해 당근을 재배한 결과 생육상의 차이점이나 당근검은잎마름병과 토양선충의 발생량간에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포장위생의 차원에서 수확후 잔재물을 제거하는 작업은 다음 해의 병해충 발생유무와는 큰 관계가 없다고 생각된다. 수확후 잔재물을 방치한 구와 제거한 구는 당근검은잎마름병 발병주율이 평균 50~60%로서 비슷하였다. 따라서 고랭지 당근밭에서 수확잔재물 처리를 병해충 발생의 문제보다는 토양유실이라는 측면에서 경제적 유불리성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il-dressing in carrot field on pests occurrence, totally 50 fields cultivating carrot were chosen within Pyeongchang area, where highland adoptable carrots were cultivated every year. Also, occurrence degree of pests was surveyed by species and by times for 5 carrot fields including one pesticide-free field. In addition, relationship between phytophagous nematode density and soil physico-chemical components (soil pH, EC, content of NH₄₋N, NO₃₋N, organic matter, P, Ca, Mg and K) was analyzed. Occurrence pattern of carrot pests at highland region was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at plain area. Among eight diseases surveyed, alternaria leaf blight (Alternaria dauci) was most serious, if not controled, infection degree could reach more than 70%. The appropriate fungicide-spraying period for the control of this disease would be mid July the most in the field. Density of phytophagous nematode and yearly soil-dressing intervals did not represent a significant correlation. Furthermo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ematode density and soil physico-chemical components was confirmed. The effect of field sanitation on pests occurrence next year was not certain in this study. Both debris-left plot and debris-cleared plot showed a similar occurrence degree of pests, e.g. 50~60% on average for alternaria leaf blight.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removal of plant debris from the fields after harvest should be re-examined deeply in reference to soil erosion protection not pests occurrence.

      • 고추역병 예측모델을 위한 맞춤통보용 방제모듈 개발에 대한 고찰

        심명선(Myung Syun Shim),임진희(Jin Hee Lim),김점순(Jeom -Soon Kim),유성준(Seong Joon Yoo)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4 농업과학연구 Vol.41 No.1

        Phytophthora blight occurrence is caus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progress can be regularly predicted so that several predictive models have been developed. The models predict the timing of the disease occurrence, but they do not include the methods of the disease control. Effective fungicide control, control threshold, prediction models were investigated in the study to reflect on customized control modules for the model forecasting the occurrence of Phytophthora blight on hot pep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