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정권교체(Regime Change)” 정책 사례연구

        김재천(金載千)(KIM Jaechun)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9 신아세아 Vol.16 No.3

        911테러사태 이후 부시 행정부는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정권교체(regime change)를 감행했고, 북한의 김정일 정권을 대상으로도 정권교체정책을 진지하게 고려했었다. 일반의 이해와는 달리 정권교체의 외교정책은 부시 행정부의 신외교정책 기조를 반영한 외교정책행위가 아니라 18세기말부터 미국이 줄곧 사용해온 미국의 주요 외교정책수단(foreign policy tool)이었다. 본 연구는 미국이 해외에서 감행한 정권교체정책 사례를 정권교체가 추진되었던 시대상황, 정권교체를 추진했던 방법, 정권교체로서 달성하고자 했던 외교정책 목적 등을 변수로 하여 분류하는 유형화 작업을 시도해 본다. 미국의 정권교체 사례는 시기별로 제국주의유형, 냉전유형, 탈냉전 및 테러와의 전쟁유형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제국주의유형 정권교체는 대부분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보호, 증진시키기 위하여 추진되었으며 미국의 군대를 직접 파병하여, 대상국을 침공, 점령하거나 정권의 반대세력에서 “공공연한” 군사적인 도움을 제공하여 정책목표를 달성했다. 911이후 테러와의 전쟁 시대 정권교체 역시 미국의 군사력을 직접 사용한 공공연한 “침공형”이었는데, 공개적인 침공에 의한 정권교체가 가능했던 이유 중 하나는 미국의 본토를 공격한 테러사건이 정권교체정책에 공개적인 무력동원의 구실을 제공해 주었기 때문이다. 냉전유형은 제국주의시대 유형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미국의 상업이익보호를 목적으로 촉발되었으나, 대부분 CIA의 비밀공작(Covert Action)을 통해 “암암리에” 진행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After the 911 terror incident the Bush administration toppled Taliban regime in Afghanistan and Hussein regime in lraq, and replaced them with new regimes that are more amenable to American strategic interests. But contrary to conventional wisdom that policy of "regime change" was reflective of Bush's new foreign policy doctrine in the age of terror, regime change has been an important element of the US foreign policy at least since the late 18th century when the Harrison administration carried out regime change in Kingdom of Hawaii.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ategorize the cases of American foreign policies of regime change on the bases of three variables: distinct nature of the time when the regime change was carried forward, methods that the US relied on to execute regime change, and the nature of policy objectives that the US attempted to accomplish by regime change. The cases of US regime change policies can be clustered into three time periods: period of imperialism, Cold War period, and post 911 period. US policies of regime change that fall into period of imperialism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Policies of regime change were aimed at protecting and promoting American economic interest, and they were executed by invading or sending American military troops or assistance in overt manner. American policies of regime change in post 911 era also were carried forward in overt fashion, because 922 attack provided a pretext for open military invasion abroad. Most cases of regime change during the Cold War era proceeded in covert manner relying on CIA covert action.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바이든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

        김재천(Jaechun Kim)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22 신아세아 Vol.29 No.2

        ‘인도태평양’은 미국의 전략개념 이전에 급속히 부상하고 있는 지정학적 지역개념이기도 하다. 통합된 지역개념으로 인도태평양은 안보·경제·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은 대중국 견제의 성격을 띠고 있지만, 전략적으로 가장 중요한 지역인 인도태평양에 대한 정책은 미국의 국가이익과 직결되어 있기도 하다. 트럼프 행정부가 인도태평양 전략을 오바마의 ‘아시아 재균형’을 대체하는 아시아 전략으로 채택하면서 미국은 다시 큰 전략의 틀 안에서 아시아 정책과 중국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미국의 아시아 전략은 강성권력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지역 국가들의 “마음을 살 수 있도록” 연성권력을 잘 활용해야 한다. 하지만 트럼프의 인도태평양 전략은 미국 우선주의, 동맹과 제도의 무시, 외교적·경제적 관여의 결여로 인해 한계를 드러냈다.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계승해 보완하고 강화하며 추진하고 있다. 바이든의 인도태평양 전략은 전략의 다면성을 확충하고 동맹 외에도 외교력,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 제도와 같은 연성권력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트럼프의 전략에 비해 세련된 모습으로 더 효율적으로 가동되고 있다. 하지만 미국 우선주의의 잔재, 미국의 분열상, 우크라이나 전쟁 등은 바이든의 인도태평양 전략의 수행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The ‘Indo-Pacific’ is an American strategy for Asia, but it is also a new concept of region in Asia. It has assumed new importance due to the changing geopolitical environment associated with the rise of China and ensuing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This research traces the ways in which the Indo-Pacific has emerged as a new geopolitical concept for Asia and has evolved as the US strategy for Asia. When the Trump administration replaced Obama’s “Rebalance” strategy with the Indo-Pacific strategy the US was able to pursue Asian policies under an overarching strategic framework, but Trump’s strategy experienced setbacks because of the ‘America First’ posture, failure to elicit cooperation from allies and stakeholder countries in the region, and an inability to utilize institutional assets and diplomacy. While the Trump administration relied mainly on hard power, the Biden administration’s Indo-Pacific strategy diverges from his predecessor’s in that it seeks to expand and utilize US soft power capabilities, inducing more proactive and voluntary cooperation from regional countries by strengthening minilateral institutions, alliance and other partnerships, value diplomacy, and the like. Biden’s strategic approach, its presumed merits notwithstanding, is likely to encounter a number of hurdles because of remnants of America First, divisions in US society, the Ukrainian war, and other factors.

      • KCI등재

        민주 평화론(Democratic Peace Theory)과 비밀전쟁(Covert War)

        김재천(Jaechun Kim) 한국정치학회 2004 한국정치학회보 Vol.38 No.3

        본 논문은 1970년대 초 미국이 칠레를 대상으로 치른 비밀전쟁 사례를 통해, 냉전 체제의 종식과 함께 서구 국제정치 학계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한 “민주 평화론(Democratic Peace Theory)”의 적실성을 고찰해 보았다. 민주주의 국가들이 서로 전쟁을 하지 않는다는 민주명화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은 구조적/제도적(Structural/Institutional) 해석과 문화적/규범적(Cultural/Normative) 해석, 두 범주로 나누어 진다. 민주 평화론의 양대 해석을 합성하여 민주국가간의 전쟁부재 현상을 설명하려는 일부 학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민주평화현상은 민주주의 국가들만이 공유하고 있는 “민주적 규범과 문화”를 배제하고는 설명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국제정치학계의 일반적 인식이었다. 그러나 민주주의 국가 미국이 타(他)민주주의 국가 칠레를 상대로 벌인 대규모의 비밀전쟁 행위는 규범이론에 근거한 민주 평화론의 문화적 해석에 의문점을 제기하고 있다. 민주국가의 지도자들이 타(他)민주주의 국가와의 갈등을 민주적 분쟁해결 문화를 적용하여 평화적으로 해결한다면, 미국은 아옌데 집권으로 야기된 칠레와의 갈등 역시 평화적으로 해결했어야 할 것이다. 미국의 대(對)칠레 비밀전이 다방면에 걸쳐 매우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미국의 칠레 비밀전쟁이 전면전이 아니기 때문에 민주 평화론에 반하는 사례가 아니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아옌데 집권기간 동안 칠레가 “민주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의 대(對)칠레비밀전이 민주 평화론에 반하는 사례가 아니라는 주장 역시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설득력이 떨어진다. 미국의 비밀 정치공작, 선전 활동, 경제 전쟁 등은 칠레의 합법적인 대통령을 축출했을 뿐만 아니라, 규범이론의 해석과는 정반대로 칠레 민주주의 체제 전체를 파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칠레의 민주적 선거과정에의 개입, 자유 언론질서의 파괴, 폭력의 조장 등은 민주국가 지도자들이 타(他)민주주의 국가와의 외교관계에 적용한다는 민주적 규범과 문화로 설명될 수 없는 정책결정이었다. A body of scholarly work organized around the “Democratic Peace” demonstrates that democracies rarely if ever wage war against other democracies, although occasionally they may do so against non-democracies. However, the United States has engaged in covert wars against other democratically elected governments. Do the so-called Democratic Peace findings carry over to the somewhat murkier realm of covert war? By analyzing the U.S. covert war against Chile in the early 1970s, this paper assesses the implications of covert wars waged between democracies for Democratic Peace scholarship. Arguably, there are two strands of causal logic to Democratic Peace. One attributes the absence of war among democracies to democratic institutional constraints: the restraining effects of public opinions, or those of the checks and balances embedded in a democratic state’s domestic political institutions(institutional/structural explanation). Other theories posit that democratic norms and culture peaceful conflict resolution norms and culture shared by elites account for the absence of war between democratic states(normative/cultural explanations). If the nonviolent norms of elites in democracies were sufficient, the U.S. should not have resorted to covert war as well as overt war to resolve conflict with democratic Chile. The paper demonstrates that the findings on the U.S. covert war against Chile undermines the cultural/normative explanation of Democratic Peace.

      • KCI등재

        한국전쟁의 발발과 미국 세계전략의 변화

        김재천(Jaechun Kim),안현(Ahn Hyun) 21세기정치학회 2010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0 No.3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brought about an important change to the Global Strategy of the US. This research traces the ways in which the Korean War had transformed and militarized the US Global Strategy. Global Strategy is defined as strategy of superpowers or would-be superpowers to create and manage world's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order to their liking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and furthering their national interests. Post WWII US Global Strategy was made up of two major factors: institutional component and military element. Security imperatives of the early Cold War era notwithstanding, the US ran into difficulty mobilizing popular consent for militarizing Global Strategy.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was perceived by many in the US as domino theory came into reality, thereby serving as catalyst for militarization of the US Global Strategy. Militarization of US Global Strategy, which was rendered possible by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s still very much intact even two decades after the Cold War international order has been disintegrated.

      • KCI등재

        민주평화론

        김재천(Jaechun Kim) 21세기정치학회 2009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9 No.2

        As with the demise of Cold War international order the Democratic Peace theory has not only emerg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Liberal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but also has become the central pillar on which Clinton’s Enlargement policy as well as Bush’s War on Terror are based. Contrary to most of Realist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that assume war is ‘natural sta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at maintenance of proper ‘balance of power’ discourages wars from taking place, Democratic Peace theory asserts that establishing sustainable peace is possible through propagating stable liberal democracies worldwide. Arguably, there are two strands of theories to Democratic Peace phenomenon: institutional/structural interpretations and normative/cultural explanations. Despite a number of scholarly attempts to synthesize these two groups of theories, dyadic phenomenon of Democratic Peace still lacks convincing theoretical explanations. Asymmetry between Democratic Peace ‘phenomenon’ and Democratic Peace ‘theory’ has discouraged scholars outside Western academic circle from accepting Democratic Peace premise. Although most of scholarly works assessing possibility of establishing Democratic Peace in Northeast Asia and Korean peninsula do not deny positive effects of expansion of democracy in the region, they conclude that prevalent nationalistic sentiments and vulnerability of region’s security structure prevents Democratic Peace from taking place in the region. Constructivism is well suited-to trace the processes that lead to development of Democratic Peace phenomenon, because enmity as well as amity between countries results from previous interactions. Constructivist perspectives help understand Democratic Peace not as iron law but as probabilistic statement. Such constructivist interpretation of Democratic Peace would contribute a more level-headed and productive discourse on Democratic Peace in Northeast Asia and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한국의 글로벌 거버넌스 참여전략

        김재천(金載千)(KIM Jaechun),안현(安炫)(AHN Hyun)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3 신아세아 Vol.20 No.3

        냉전의 국제질서 하에서 국가의 생존과 경제근대화가 급선무였던 대한민국의 외교는 행태(行態)적으로는 주변국을 대상으로 한 양자주의, 공간(空間)적으로는 동북아에 머물러 있었고, 수단(手段)적으로는 경제력과 군사력의 하드파워를 중시하는 정책을 추진했었다. 하지만 네트워크화(化) 된 새로운 국제환경 아래에서는 글로벌 거버넌스에 적극 참여하여 소프트파워 역량을 배양하는 ‘대(對)세계전략’이 요구된다. 한국은 글로벌 거버넌스의 제반 분야 중 특히 국제평화활동(Peace Operations: PO)에 특화(特化)하여 기여함으로써 소프트파워를 증진할 수 있고, 이러한 소프트파워는 국제사회에서 한국이 발휘할 수 있는 영향력 확대로 이어질 것이다. 중견국가(middle power) 한국의 특수한 위상과 역사적 경험을 감안했을 때, 국제평화활동의 참여와 기여는 상당히 ‘한국적’인 글로벌 거버넌스 참여전략이 될 수 있다. 국제평화활동 참여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임무확대와 활동유형의 다변화를 도모하고, 국제평화활동은 ‘군사작전’이 아니라 ‘민관합동 국제평화사업’이라는 발상의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 또한 국제평화활동 기여를 통한 글로벌 거버넌스 참여 정책은 한국의 전통적 외교·안보·통일 정책수행과 상호 보완, 추진되어야 소프트 파워 증진과 영향력 확대라는 목표달성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Preoccupied with the dual tasks of ‘state survival’ and ‘economic modernization,’ Korea during the Cold War era had invested most of its strategic resources in managing bilateral relations with major stakeholder countries in Northeast Asia and in improving military and economic power, i.e., ‘hard power.’ A fundamentally changed international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however, compels Korea to adopt a new national strategy to partake in ‘global governance’ and to contribute to global public goods. Given its historical record as non-aggressor and its peculiar status as ‘middle power’ in the region, Korea seems to be well suited to specialize in ‘Peace Operations(PO)’ and to cultivate ‘peace’ soft power. Korea’s strategy to participate in global governance and to contribute to Peace Operations should be implemented in harmony with its traditional foreign and unification policy agendas. Korea’s national strategy for participating in global governance and contributing to global community is expected to increase Korea’s intangible foreign policy assets, thereby enhancing its ‘agenda setting’ ability.

      • 클라우드 기반 자산 및 부실예측관리 통합 지원시스템

        김재천 ( Jaechun Kim ),정목동 ( Mokdong Ch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1

        본 논문은 클라우드 기반 자산 및 부실예측관리 통합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자동화된 통합인증 및 접근제어 시스템으로서, 각기 독립된 모듈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기초로 거래관리 모듈로 통합하여, 자산 및 부실예측을 평가하고 통합지원 시스템의 데이터 및 기법을 다른 모듈과 공유함으로써 자산 및 부실채권 회수 및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제안 시스템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되므로 정보화를 통한 경영혁신 및 경영정보를 활용한 리스크관리 시스템을 처리하는데 목적을 둔다. 따라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고객 및 기업의 전략경영 등의 기능을 강화하여 업무투명성, 비용절감, 고객 접근성이 기존시스템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China's Policy for Climate Change and Human Rights

        Kim Jaechun(김재천) 한국공공정책학회 2010 공공정책연구 Vol.17 No.2

        중국의 부상과 함께‘글로벌 거버넌스(Global Governance)’에서의 중국의 역할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와 인권에 관한 중국의 내외(內外) 정책은 이러한 이슈영역을 관리하는 글로벌 거버넌스의 명운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인권에 관해 중국이 취해온 일련의 내외 정책을 살펴본다. 기후변화와 인권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함에 있어 중국이 직면해온 문제점과 과제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문제점들이 글로벌 거버넌스에서의 중국 의 역할을 어떻게 규정지었는지 고찰한다.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그린가스 배출에 관한 국제협약에 관한 중국과 서구세계의 입장은 상이하다. 하지만 중국이 지속 가능한 성장에 관심을 보이고 있고 기후변화를 다루는 국제회의와 레짐(regime)에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세계 공공재의 대표격이라고 할 수 있는 환경과 기후문제에 보다 전향적인 자세를 취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고 서구세계와의 입장차도 좁혀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권문제는 중국의 체제유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서구세계의 요구를 대폭 수용하기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중국은 최근 인권에 관한 국제회의와 규약과 레짐에 점진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고, 국제사회가 중국이 경험한 독특한 개발경험을 존중한다면 인권에 관한 글로벌 거버넌스에 중국이 점차적인 협조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중국도 이러한 정책영역을 다루는 글로벌 거버넌스에서의 전향적 역할이 체제안정과 지속적 경제성장과 대치되는 개념이 아니라는 것을학습하고 있다. As China is rapidly integrating into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its role in global governance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China’s policy with regard to climate change and human rights has great ramifications for global governance on those issue areas. This research summarizes the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that China has pursued in ‘climate change’ and ‘human right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analyzing the very nature of challenges that China is faced with and how they have influenced China’s role in global governance. China’s position on binding emissions reduction commitments is at variance with that of many western countries. Some of the demands that China has put forward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climate change are not easily acceptable to the US and the EU. Nevertheless, as long as China remains as active participant, it is expected that China and the developed countries would work together and sort out the differences to cope with the dangers of climate change. China’s conception of human rights is much at odds with that of international community. China in recent years have joined a number of international agreements on human rights and taken meaningful measures to improve human rights situations within its border. A future in which China fully embraces environment protection and human rights issues will require creative approaches to integrate the goal of continued growth and stability with the role of more responsible member of international community.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be more patient with China and understand the particular situation where China is in at this particular stage of development. Embracing a more proactive and responsible role in global governanc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come at the expense of continued growth and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